KR100876559B1 -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559B1
KR100876559B1 KR1020070035550A KR20070035550A KR100876559B1 KR 100876559 B1 KR100876559 B1 KR 100876559B1 KR 1020070035550 A KR1020070035550 A KR 1020070035550A KR 20070035550 A KR20070035550 A KR 20070035550A KR 100876559 B1 KR100876559 B1 KR 100876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mobile terminal
situ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158A (ko
Inventor
윤성임
신경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8005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에 관한 것으로, 향후 퍼스널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게 될 다기능 및 고성능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동일 도메인 내에서 근거리에 있는 센싱 중심 장치 또는, 정보 가전 등의 서비스 중심 장치를 통해 수집된 상황정보를 사용자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부가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에 특정 센서를 장착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사용자 및 사용자 주변 환경의 상황정보를 반영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개인 정보의 신뢰성 및 보안 측면을 강화할 수 있으며 센싱 장치뿐만 아니라 정보가전 및 정보기기로부터 수집된 상황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70035550
이동 단말, 상황 정보, 센싱 중심장치, 서비스 중심 장치

Description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METHOD FOR PROVIDING CONTEXT-AWARE SERVICES SYSTEM AND USING MOBILE TERMINAL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싱 중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위치한 동일 도메인 내에서 퍼스널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다기능 및 고성능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센싱 중심 장치로부터 수집된 특정 영역의 환경 정보, 인간이나 동물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용품의 물리적인 특성 정보와 함께 독자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가전/정보기기 등의 서비스 중심 장치를 통해 수집된 상황정보를 기 입력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개인화된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데 적합한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시간과 장소 및 대상의 구속없이 언제 어디서나 고속 고품질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뿐만 아니라, 유무선 네트워크의 컨버전스 및 일상 곳곳에 편재된 센서의 융합을 통해 사용자 위치 기반의 이동성(mobility) 서비스 및 개인화된 상황인식(context-aware)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며, 이동 단말은 점차 다기능 및 고성능화되어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 터미널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서 상황인식 서비스를 위한 상황정보(context)는 사용자와 사물 및 이들의 상호 작용에 연관된 모든 형태의 정보로서 혈압, 체온, 맥박, 혈당, 체지방 등의 신체정보와 빛, 소리, 온도, 습도 등의 환경정보와 가속도, 압력, 진동 등의 물리정보와 이외 기타 정보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황정보는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 단말에 센서를 내장시켜 수집하거나 사용자 주변의 환경 속에 위치하는 센서 노드(장치)나 정보가전 및 정보기기를 통해 수집되어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및 상황인식 서비스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공보 제 10-2004-0079001호에 개시된 "맥박 측정 센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는 맥박 측정 센서를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시켜 시간, 장소에 무관하게 사용자의 맥박에 따른 건강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공보 제 10-2004-0107231호에 개시된 "유비쿼터스 기반의 상황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센서노드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사용자마다 최적화된 상황정보 제공 서비스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특정 부가정보, 즉 다양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특정 용도의 센서를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에 장착해야 하며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사용자 및 사용자 주변 환경의 상황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복합적이고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황정보 제공 서비스를 지원하므로 센서노드를 통해 수집된 상황정보를 개인화된 형태로 해석추론하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및 사용자 주변 환경의 상황정보 및 사용자 프로파일 등의 개인 정보를 상황인식 서버로 전송하여 관리해야 하므로 신뢰성 및 보안 측면에 어려움이 있었고, 센싱 장치만을 활용하므로 이동 단말이 위치한 동일 도메인 내의 정보가전 및 정보기기에서 수집된 상황정보를 모두 활용하는 경우보다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단말 사용자가 위치한 동일 도메인 내에서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센싱 중심 장치로부터 수집된 특정 영역의 환경 정보, 인간이나 동물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용품의 물리적인 특성 정보와 함께 독자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중심 장치(정보가전/정보기기 등)를 통해 수집된 상황정보를 이동 단말에 기 입력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개인화된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은 사용자(이동 단말)가 위치한 동일 도메인 내에 위치하는 센싱 중심 장치 및 서비스 중심 장치의 상황정보 유형(type)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선호도가 있는 경우, 센싱 중심 장치로부터 수집된 상황정보 및 독자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중심 장치(정보가전/정보기기 등)로부터 수집된 상황정보가 통합 인터페이스를 가진 이동 단말로 전송되고 이동 단말은 기입력된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상황인식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방법은,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주기적으로 관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과 동일한 도메인 내에 위치한 특정 영역의 센싱 정보를 수집 가공하는 센싱 중심 장치 및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 시 파생되는 상황정보를 수집가공하는 서비스 중심 장치로부터 특정 센싱 정보 타입을 전달받는 과정과, 상기 전달받은 센싱 정보 타입의 서비스 제공 여부를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을 수행할 경우, 상기 센싱 중심 장치 및 서비스 중심 장치로 상황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는 과정과, 상기 상황정보를 해석하고, 추론하여 개인화된 상황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상황 인식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시스템은,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이동단말로서, 특정 영역의 환경 정보, 인간이나 동물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용품의 물리적인 특성 정보를 수집가공하는 복수의 센싱 중심 장치 및 상기 특성 정보와 함께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시 파생되는 상황정보를 수집가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중심 장치와 각각 연결하고, 각 장치로부터 센싱정보 유형 및 상황정보를 전달받는 통합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통합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 유형의 서비스 제공 여부를 기 입력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상기 센싱 중심 장치 및 서비스 중심 장치로 상황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상황 정보를 토대로 개인화된 상황 인식 서비스를 결정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겠다. 그러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개념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과 사용자가 위치한 동일 도메인 내에 위치하는 센싱 중심 장치 또는 서비스 중심 장치간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된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의 상황정보 및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 시 파생되는 상황정보를 공유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상황인 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황 정보는, 빛, 온도, 소리, 습도, 가속도, 위치, 진동, 화재, 가스 누출 등의 환경 정보와, 체온, 혈압, 맥박, 심전도, 혈당 등의 인간이나 동물의 신체 정보와, 전자 제품, 식품, 약품, 용기 등의 무게, 식별자, 부피, 용량, 유효일, 등의 생활용품의 물리적인 특성 정보 및 기타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영역의 환경 정보, 인간이나 동물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용품의 물리적인 특성 정보 등을 수집가공하는 센싱 중심 장치(102)와,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시 파생되는 상황정보를 수집가공하는 정보가전/정보기기 등의 서비스 중심 장치(104)와, 센싱 중심 장치(102) 및 서비스 중심 장치(104)와 각각 연결하기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수집된 상황정보 및 기 입력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이동 단말(106)을 포함한다. 여기서, 센싱 중심 장치(102)와 이동 단말(106) 간의 통신 및 서비스 중심 장치(104)와 이동 단말(106) 간의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이동통신, 블루투스, 와이브로, 지그비 등의 원격 통신 기술을 모두 포함한다.)을 이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은 다수의 숫자 및 기능키로 구성되며 사용 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08)로 전송하는 키 입력부(202)와, 사용자가 설정한 벨소리와 음성 신호 및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신호 등을 출력하는 음성처리부(204)와, 이동 단말의 동작 운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신호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한 배경화면 및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206)와,
이동통신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08)와, 이동통신 단말의 동작 알고리즘 및 전화번호, 문자 메시지, 각 상태에 따른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10)와, 음성 신호와 문자 메시지 및 상황정보 등을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212)와, 다양한 센싱 중심 장치 및 서비스 중심 장치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통합 인터페이스부(214)와 수집된 상황정보 및 기입력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상황인식 서비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처리부(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황인식 서비스 처리부(216)는 다시 기 입력된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따라 센싱 중심 장치 및 서비스 중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황정보의 유형(type)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서비스 판단부(218)와 다양한 장치들로부터 전송받은 상황정보를 해석하고 추론하고 가공된 상황정보를 관리하는 상황정보 관리부(220)와 개인화된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부(222)로 구성된다. 참고적으로, 이동 단말의 기타 다른 구성 요소들은 기존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싱 중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 중심 장치는 사용자 및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301)와 감지된 상황정보를 처리(저장 혹은, 가공)하는 처리부(302)와 이동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리 통신부(303)와 전력 관리를 담당하는 전력부(304)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400)의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서비스 판단부(408)는 414단계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상황정보 관리부(410)는 416단계에서 상황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부(412)는 418단계에서 과거에 제공된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관리한다.
특정 영역의 환경 정보, 인간이나 동물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용품의 물리적인 특성 정보 등을 수집가공하는 센싱 중심 장치(402) 또는,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시 파생되는 상황정보를 수집가공하는 정보가전/정보기기 등의 서비스 중심 장치(404)는 각각 동일 도메인 내에 이동 단말(400)이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하면, 이동 단말의 통합 인터페이스부(406)로 420단계에서 센싱정보의 유형(type) 정보를 전달하고, 통합 인터페이스부(406)는 422단계에서 이를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서비스 판단부(408)로 전달한다.
이에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서비스 판단부(408)는 424단계에서 전달받은 센싱 정보 유형에 따라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의 선호도가 없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이동 단말(400)이 센싱 중심 장치(402) 또는, 서비스 중심 장치(404)로부터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하는데 전력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424단계에서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서비스 판단부(408)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있는 경우,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서비스 판단부(408)는 426단계에서 통합 인터페이스부(406)로 상황정보를 요청하면, 통합 인터페이스부(406)는 428단계에서 이동 단말(400)에 인식된 센싱 중심 장치(402) 및(또는) 서비스 중심 장치(404)로 상황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센싱 중심 장치(402) 및(또는) 서비스 중심 장치(404)는 430단계에서 이동 단말(400)의 통합 인터페이스부(406)로 상황정보를 전달하고, 통합 인터페이스부(406)는 전달 받은 상황정보를 432단계에서 상황정보 관리부(410)로 전달한다. 상황정보 관리부(210)는 전달받은 상황정보를 434단계에서 해석하고, 해석된 상황정보를 436단계에서 상황정보 저장소에 저장하고, 438단계에서 상황정보를 추론하여 개인화된 상황정보를 440단계에서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부(412)로 전달한다.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부(412)는 전달받은 개인화된 상황정보를 토대로 442단계에서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결정하고, 444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과 사용자가 위치한 동일 도메인 내에 위치하는 센싱 중심 장치 또는 서비스 중심 장치간의 근거리 통 신 기능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된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의 상황정보 및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 시 파생되는 상황정보를 공유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위치한 동일 도메인 내에서 퍼스널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다기능 및 고성능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센싱 중심 장치로부터 수집된 특정 영역의 환경 정보, 인간이나 동물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용품의 물리적인 특성 정보와 함께 독자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가전/정보기기 등의 서비스 중심 장치를 통해 수집된 상황정보를 이동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개인화된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이로써, 특정 부가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에 특정 센서를 장착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사용자 및 사용자 주변 환경의 상황정보를 반영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 공 방법으로 개인 정보의 신뢰성 및 보안 측면을 강화할 수 있으며 센싱 장치뿐만 아니라 정보가전 및 정보기기로부터 수집된 상황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주기적으로 관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과 동일한 도메인 내에 위치한 특정 영역의 센싱 정보를 수집 가공하는 센싱 중심 장치 및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시 파생되는 상황정보를 수집 가공하는 서비스 중심 장치로부터 특정 센싱 정보 타입을 전달받는 과정과,
    상기 전달받은 센싱 정보 타입의 서비스 제공 여부를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을 수행할 경우, 상기 센싱 중심 장치 및 서비스 중심 장치로 상황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는 과정과,
    상기 상황정보를 해석하고, 추론하여 개인화된 상황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상황 인식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단말에서 과거에 사용자에게 제공한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화된 상황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 레지스트리로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상황인식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빛, 온도, 소리, 습도, 가속도, 위치, 진동, 화재, 가스 누출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체온, 혈압, 맥박, 심전도, 혈당을 포함하는 인간이나 동물의 신체 정보와,
    전자 제품, 식품, 약품, 용기 등의 무게, 식별자, 부피, 용량, 유효일을 포함하는 생활용품의 물리적인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4.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이동단말로서,
    특정 영역의 환경 정보, 인간이나 동물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용품의 물리적인 특성 정보를 수집가공하는 복수의 센싱 중심 장치 및 상기 특성 정보와 함께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시 파생되는 상황정보를 수집가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중심 장치와 각각 연결하고, 각 장치로부터 센싱정보 유형 및 상황정보를 전달받는 통합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통합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 유형의 서비스 제공 여부를 기 입력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상기 센싱 중심 장치 및 서비스 중심 장치로 상황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상황 정보를 토대로 개인화된 상황 인식 서비스를 결정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처리부
    를 포함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이동 단말.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인식 서비스 처리부는,
    기 입력된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센싱 중심 장치 및 서비스 중심 장치로부터 전송된 센싱 정보의 유형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판단부와,
    상기 수신된 상황정보를 해석하고 추론하여 가공된 개인화된 상황정보를 관리하는 상황정보 관리부와,
    상기 개인화된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이동 단말.
  7. 삭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빛, 온도, 소리, 습도, 가속도, 위치, 진동, 화재, 가스 누출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체온, 혈압, 맥박, 심전도, 혈당을 포함하는 인간이나 동물의 신체 정보와,
    전자 제품, 식품, 약품, 용기의 무게, 식별자, 부피, 용량, 유효일을 포함하는 생활용품의 물리적인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이동 단말.
KR1020070035550A 2006-12-05 2007-04-11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 KR100876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029 2006-12-05
KR20060122029 2006-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158A KR20080052158A (ko) 2008-06-11
KR100876559B1 true KR100876559B1 (ko) 2008-12-31

Family

ID=3980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550A KR100876559B1 (ko) 2006-12-05 2007-04-11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211B1 (ko) * 2008-12-05 2013-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
FI122770B (fi) 2009-11-11 2012-06-29 Adfore Technologies Oy Kontekstitietoisuudella ohjattava mobiililaite
KR101680266B1 (ko) 2010-01-29 201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역 서비스 정보를 이용한 상황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US8313018B2 (en) 2010-10-27 2012-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icket virtual sensor for context detection
WO2023080577A1 (en) * 2021-11-06 2023-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by predicting next user 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158A (ko)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9290B1 (en) Managing context-related information with a mobile station
CN105408865A (zh) 用于IoT系统的数据注释作为服务
JP6791569B2 (ja) ユーザプロファイル生成方法および端末
US7676832B2 (en) Personaliz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profile information classifying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772928B1 (ko)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76559B1 (ko) 이동 단말 중심의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
CN106663143A (zh) M2m本体管理和语义互操作性
JP2013518338A (ja) キャッシングされたウェブページ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このためのサーバー、このための端末、このための方法及びこの方法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782067B1 (ko)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한 동적 서비스 조합 시스템 및서비스 제공 방법
US202103613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cking an Asset in a Medical Environment and Determining its Status
US20070136746A1 (en) User context based dynamic service combination system and method
KR101938734B1 (ko) 게이트웨이 기반의 m2m 디바이스들 기능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0747509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이동 단말 기반의 서비스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3894B1 (ko) 온톨로지를 이용한 장소성 기반 상황 정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Michahelles et al. Smart CAPs for smart ITs–context detection for mobile users
KR100643704B1 (ko) 모바일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모바일 개인화 서비스 방법
KR20100045584A (ko) Hci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개미군집 알고리즘 기반 통합 컨텍스트 생성 시스템
Hoh et al. Context-aware systems—a primer for user-centred services
KR100743963B1 (ko)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Handosa Supporting User Interactions with Smart Built Environments
KR100733404B1 (ko) Wpan을 이용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방법
Popescu-Zeletin et al. Pervasive communication: a human-centered service architecture
KR20200003564A (ko)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8169913A (ja) レコメンドシステム及びレコメンド方法
Gui Development of a new client-server architecture for context aware mobile comp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