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209B1 - 하, 배수관 관통장치 - Google Patents

하, 배수관 관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209B1
KR100876209B1 KR1020070048897A KR20070048897A KR100876209B1 KR 100876209 B1 KR100876209 B1 KR 100876209B1 KR 1020070048897 A KR1020070048897 A KR 1020070048897A KR 20070048897 A KR20070048897 A KR 20070048897A KR 100876209 B1 KR100876209 B1 KR 100876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enclosure
housing
drain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595A (ko
Inventor
김진도
Original Assignee
김진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도 filed Critical 김진도
Priority to KR102007004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20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에 적재되며, 일단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타단이 상기 함체에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 상기 함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함체로부터 인출되는 스프링의 골 사이로 인입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 회전 시 상기 스프링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를 사용하면, 스프링을 하, 배수관 내부로 삽입시키는 작업이 간편해지고,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도 스프링을 용이하게 회전 및 이송시킬 수 있으며, 함체 및 스프링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수관, 배수관, 관통, 스프링, 삽입, 회전, 이송

Description

하, 배수관 관통장치{Apparatus for perforating sewer pip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스프링이 회전하면서 직선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조작된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함체 110 : 내부공간
120 : 관통공 130 : 회전축
200 : 스프링 300 : 회전수단
310 : 손잡이 320 : 제1 기어
330 : 제2 기어 400 : 가이드수단
500 : 유도관 600 : 굴착판
610 : 장착블록 700 : 지지프레임
본 발명은 막힌 하수관이나 배수관 내로 긴 스프링을 삽입시켜 막힌 부분을 뚫기 위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 배수관 내로 스프링을 인입시키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 배수관 관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하, 배수관이나 변기 등이 막혀 소통이 되지 않을 경우 염산 등의 화공약품을 부어 녹이는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이와 같은 경우 머리카락, 치솔, 비누 등을 녹이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서 관통율이 저조하고 또, 하, 배수관등이 합성수지제인 경우 상기 관이 염산에 녹아서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하, 배수관 내로 스프링을 장입시켜 막힌 부분을 뚫는 방법도 사용되어 왔으나, 관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스프링을 회전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하, 배수관 관통기'(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136570호)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하, 배수관 관통기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 내에 권취되어 일단이 상기 함체 외부로 인출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장착되는 관통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함체 내부로부터 스프링을 인출시켜 하, 배수관 내로 삽입시킨 후, 휴대용 드릴을 이용하여 상기 함체를 회전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스프링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하, 배수관 관통기는, 스프링을 하, 배수관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스프링을 합체로부터 꺼내 하, 배수관 내부로 밀어 넣어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휴대용 드릴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사용 장소에 제약이 있으며, 휴대용 드릴의 회전력에 의해 함체 및 스프링이 흔들리게 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프링을 하, 배수관 내부로 삽입시키는 작업이 간편해지며,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도 스프링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작업 안전성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하, 배수관 관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에 적재되며, 일단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타단이 상기 함체에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
상기 함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함체로부터 인출되는 스프링의 골 사이로 인입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 회전 시 상기 스프링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이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의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함체와 개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유도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유도관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의 골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회전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상기 함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함체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함체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이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기어와,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기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2 기어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끝단이 뾰족한 나사로 적용된다.
하, 배수관의 막힌 부분을 굴착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의 끝단에 장착되는 굴착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함체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12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의 내부공간(110)에 적재되며 일단이 상기 관통공(1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타단이 상기 함체(100)에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200)과, 상기 함체(10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0)과, 상기 함체(100)로부터 인출되는 스프링(200)의 골 사이로 인입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200) 회전 시 상기 스프링(200)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이드수단(400)과, 하, 배수관의 막힌 부분을 굴착하기 위하여 상기 스 프링(200)의 끝단에 장착되는 굴착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함체(100)는 상기 관통공(1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타측 즉, 상기 관통공(120)이 형성된 반대측에 회전 중심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1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200)은 하, 배수관의 내부로 삽입된 후 회전됨으로써 상기 하, 배수관의 막힌 부분을 뚫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하, 배수관의 깊은 곳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200)은 상기 함체(100)의 내부공간(110)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110)의 내벽을 따라 권취되도록 적재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200)이 함체(100) 내에 적재되는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하, 배수관 관통기'(실용신안등록 20-136570호)에 언급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수단(300)은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상기 함체(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상기 함체(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회전축(130)에 결합되는 제1 기어(320)와,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기어(32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기어(330)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함체(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기어(330)에 결합되는 손잡이(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10)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제2 기어(33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 기어(330)와 기어 결합된 제1 기어(320) 및 함체(100) 역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기어(320)는 상기 제2 기어(330)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제1 기어(320) 및 함체(100)는 제2 기어(330)보다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손잡이(310)를 회전시키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함체(1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기어(320)보다 제2 기어(330)를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310)를 회전시키는 속도보다 빠르게 함체(1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만이 언급되고 있지만,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상기 함체(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 기어(320)보다 제2 기어(330)를 작게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제1 기어(320) 및 제2 기어(330)를 생략하고, 상기 손잡이(310)를 상기 회전축(130)에 직접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함체(100)의 관통공(120)에는, 상기 스프링(200)의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유도관(500)이 상기 함체(100)와 개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도관(500)은 함체(10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함체(100)를 따라 회전하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관통공(120) 측에 별도의 유도관(500)이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스프링(200)이 상기 유도관(500) 내부를 지나면서 진동이나 휨 현상이 감소되므로 인출방향이 보다 일정해지고, 이에 따라 스프링(200)을 하, 배수관으로 삽입시키는 작업이 용이 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400)은 상기 스프링(200)을 회전시키는 힘을 스프링(200)을 이송시키는 힘으로 바꾸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끝단이 상기 스프링(200)의 골 사이로 인입되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수단(400)은 함체(100)의 회전이나 스프링(200)의 회전 및 직선 이송에 관계없이 항상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함체(100)의 일측에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유도관(5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수단(400)은 끝단이 상기 유도관(500)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200)의 골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수단(400)의 역할에 관해서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굴착판(600)은 하, 배수관의 막힌 부분을 굴착하거나, 하, 배수관에 끼인 머리카락 등을 감아 빼 내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에 도시된 평판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굴착판(600)이 별도의 장착블록(610)에 의해 스프링(200)의 일단에 장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굴착판(600)은 별도의 장착블록(610) 없이 상기 스프링(200)의 일단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은 스프링(200)이 회전하면서 직선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조작된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수단(400)은 끝단이 스프링(200)의 골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200)의 골은 비스듬히 경사를 가지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수단(400)의 끝단이 스프링(200)의 골 사이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2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200)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3의 화살표 참조). 즉, 상기 스프링(200)은 수나사가 회전을 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회전을 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송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의 하, 배수관 관통기를 사용할 때처럼 스프링(200)을 손수 꺼내고 하, 배수관 내로 삽입시킬 필요 없이, 스프링(200)의 일단을 하, 배수관에 위치시킨 후 손잡이(310)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상기 스프링(200)을 하, 배수관 내로 삽입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 배수관 관통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도, 상기 손잡이(3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프링(200)이 상기 함체(100) 내부로 자동 적재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200)이 하, 배수관의 막힌 부분까지 삽입되어 막힌 부분을 굴착히기 위해 상기 스프링(200)을 회전만 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수단(400)을 상기 스프링(200)의 골 사이로부터 인출시킨 후 상기 손잡이(31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수단(400)이 스프링(200)의 골 사이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310)를 회전시켜 상기 스프링(200)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스프링(200)은 길이방향으로 이송되지 아니하고 회전운동만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400)은 끝단이 스프링(200)의 골 사이로 인입되거나 스프링(200)의 골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동작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끝단이 뾰족한 나사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수단(400)이 나사로 적용되면,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수단(400)을 회전시키는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링(200)의 이송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는, 상기 함체(10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회전수단(300)이나 유도관(500), 가이드수단(400)이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130)과 유도관(500)과 손잡이(310) 등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프레임(700)(도 1 참조)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지지프레임(700)이 추가로 구비되면 배수관 관통장치를 바닥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함체(100)와 스프링(200)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함체(100)와 스프링(200)의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 배수관 관통장치를 사용하면, 스프링을 하, 배수관 내부로 삽입시키는 작업이 간편해지고,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도 스프링을 용이하게 회전 및 이송시킬 수 있으며, 함체 및 스프링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내부공간(110)이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12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함체(100);
    상기 함체(100)의 내부공간(110)에 적재되며, 일단이 상기 관통공(1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타단이 상기 함체(100)에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200);
    끝단이 상기 함체(100)로부터 인출되는 스프링(200)의 골 사이로 인입되도록 위치가 고정되는 가이드수단(400);
    을 포함하여,
    상기 스프링(200)은, 상기 함체(100)가 회전될 때 골 사이에 상기 가이드수단(400)의 끝단이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 배수관 관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00)의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함체(100)와 개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상기 관통공(120)에 결합되는 유도관(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수단(400)은 끝단이 상기 유도관(500)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200)의 골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 배수관 관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함체(100)에 연결되는 손잡이(310)를 구비하는 회전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10)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때 상기 함체(100)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 배수관 관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0)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130)이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수단(300)은, 상기 회전축(130)에 결합되는 제1 기어(320)와,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기어(32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기어(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310)는 상기 제2 기어(3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 배수관 관통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400)은 끝단이 뾰족한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 배수관 관통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 배수관의 막힌 부분을 굴착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200)의 끝단에 장착되는 굴착판(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 배수관 관통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0)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1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 배수관 관통장치.
KR1020070048897A 2007-05-18 2007-05-18 하, 배수관 관통장치 KR100876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897A KR100876209B1 (ko) 2007-05-18 2007-05-18 하, 배수관 관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897A KR100876209B1 (ko) 2007-05-18 2007-05-18 하, 배수관 관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595A KR20080101595A (ko) 2008-11-21
KR100876209B1 true KR100876209B1 (ko) 2008-12-31

Family

ID=4028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897A KR100876209B1 (ko) 2007-05-18 2007-05-18 하, 배수관 관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45B1 (ko) * 2016-04-27 2017-02-10 박승열 배관용 스케일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9836B (zh) * 2017-01-21 2019-04-02 浙江绣山园林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管道清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709Y1 (ko) 2004-08-12 2004-10-25 구본행 배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709Y1 (ko) 2004-08-12 2004-10-25 구본행 배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45B1 (ko) * 2016-04-27 2017-02-10 박승열 배관용 스케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595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91846A (ja) 地中ドリリングピラー設置方法及びドリル機
PT1310600E (pt) Dispositivo de perfuracao e metodo de perfuracao
EA200800623A1 (ru) Вращающийся керноотборник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з стенки скважины керна из толщи пород
KR100876209B1 (ko) 하, 배수관 관통장치
KR101714907B1 (ko) 시트파일 시공장치
JP2011047269A (ja) 掘削機および掘削方法
ATE44548T1 (de) Stichlochbohrmaschine fuer schachtoefen.
KR101341585B1 (ko) 시추용 케이싱의 체결 및 분리 장치
CN102661121B (zh) 极地冰层下取岩样的回转钻进装置
JP2006291571A (ja) 土壌サンプリング装置
JP2006097275A (ja) 既設杭の切断・撤去装置及び切断・撤去方法
CN208749317U (zh) 一种可快速清除钻孔中大直径砾石的钻头
CN103149052A (zh) 一种土钻
CN202578496U (zh) 极地冰层下取岩样的回转钻进装置
CN203248069U (zh) 矩形孔钻井机
JP2007170087A (ja) 掘削装置
JP4342241B2 (ja) サンプリング装置
CN209924053U (zh) 一种操作方便的下水道疏通器
CN218452601U (zh) 主轴回转固定装置
CN211489770U (zh) 一种钻铣床钻头导向滑移装置
CN113043470B (zh) 一种装修用墙面刨沟装置
CN218576635U (zh) 一种建筑施工用水泥墙预制钻孔装置
JP4863343B2 (ja) 削孔装置及び圧入機
CN215397657U (zh) 一种圆管工件内壁双头印刷机构
CN105240027A (zh) 同轴反向式电缆隧洞钻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