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726B1 - Hygienic carry out possible a spoon stand - Google Patents
Hygienic carry out possible a spoon st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5726B1 KR100875726B1 KR1020080087455A KR20080087455A KR100875726B1 KR 100875726 B1 KR100875726 B1 KR 100875726B1 KR 1020080087455 A KR1020080087455 A KR 1020080087455A KR 20080087455 A KR20080087455 A KR 20080087455A KR 100875726 B1 KR100875726 B1 KR 1008757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lery
- hole
- lamp
- reservoir body
- water reservo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접촉하는 수저의 음용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수저를 살균하여 살균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손잡이부를 잡은 상태로 수저를 보관하거나 인출하는 것으로서, 수저의 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gienic drawable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o sterilize the cutlery in a state in which the drinking portion of the cutlery with which food is in contact with the top to improve sterilization power, as well as to hold the cutlery while holding the handle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gienic withdrawable cutlery that can prevent re-contamination of the cutlery.
일반적으로 대중 음식점 등 의 접객업소와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수저통은 다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이하 "수저"이라 한다)을 수납하여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박테리아 및 곰팡이 등과 같은 세균으로부터 감염될 불안요소가 있어 수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In general, spoons used in hospitality establishments such as restaurants and homes are stored so that many spoons and chopstic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utlery") can be used by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eople. There is anxiety, so we need a way to sanitize the cutlery.
따라서, 대부분의 대중 음식점 등에서는 수저를 사용한 후 세척 및 살균, 소독하여 이용토록 하고 있으나, 이는 세척하고 살균, 소독한 다음 수저통에 다시 보관하여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사용 도중에 오염되는 경우가 많다.Therefore, most restaurants, etc., use the cutlery after washing,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it, but this is washed, sterilized and sterilized and then stored in the container so that many people can use it. many.
즉, 수저통으로부터 수저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도중에 세균 등이 침입하게 되는 경우 또는 수저에 묻어있던 세제가 충분히 세척되지 않아 비위생적인 폐단이 있고, 수저통을 자주 세척하지 않으면 수저통이 오염되어 그 내부에 보관되는 수저에 세균이 침투할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어 이와 같은 보관 중의 수저를 위생적으로 살균, 소독하여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at is, when bacteria are infiltrated while using the spoon from the spoon, or the detergent on the spoon is not sufficiently washed, there is an unsanitary waste, and if the spoon is not washed frequently, the spoon is contaminated and stored inside. Si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bacteria penetrating into the cutlery, a means for hygien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cutlery in storage is urgently required.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음식점에서는 사용한 후의 수저를 수거하여 세제로 세척한 다음 수분을 제거시키고 종이 포장지를 씌워 보관하다가 필요시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수저에 묻어 있던 세제가 충분히 세척되지 않아 비위생적인 폐단은 여전하고, 또한 수저에 포장지를 씌워야 하므로 인건비가 지출됨은 물론 수저 포장지를 따로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고, 또한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쓰레기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s a way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restaurant collects the cutlery after use, washes it with detergent, removes moisture, and puts it in a paper wrapper so that it can be used when necessary. The unsanitary waste is not washed, and also because the cover must be wrapped in the cutlery, labor costs are spent, as well as the economic burden of purchasing the cutlery wrapper separatel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waste is generated unnecessarily.
그리고 수저 포장지는 살균처리가 된 것이 아니어서 비위생적인 문제를 해결치 못하였다. 또한, 수저를 포장할 때 포장지속에 입김을 불어넣어 틈새가 생기게 한 후 수저를 삽입시키기 때문에 포장작업 또한 불결하고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And the cutlery wrapper was not sterilized and did not solve the unsanitary problem. In addition, the packaging work is also unclean and sanitary problem because the gap is created by blowing a breath into the packaging when packaging the cutlery.
한편,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저통 몸체(100)의 일측에 램프 하우징(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램프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살균램프(111)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수저통 몸체(100)의 측면 즉, 램프 하우징(110)이 설치된 측면에는 살균램프(111)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이 수저통 몸체(100)의 내부로 조사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통공(101)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a
또한, 상기 수저통 몸체(100)의 내부에는 수저(120)가 놓여지는 물받이판(130)이 설치되어 있되, 그 물받이판(130)의 상면에는 분리판(131)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수저통 몸체(100)의 상측에는 뚜껑(140)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뚜껑(140)의 상면 중앙에는 뚜껑(140)을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 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41)가 설치되어 있다.And the
따라서, 수저통 몸체(100)의 내부에 수저(120)를 보관하는 것이며, 상기 수저(120)는 물받이판(130)에 의해서 받쳐진 상태이므로, 수저(120) 표면의 수분은 물받이판(130)의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다.Therefore, to keep the cutlery 120 in the interior of the
한편, 상기 수저(120)를 살균 소독할 때에는 램프 하우징(110)의 표면에 설치된 스위치(112)를 온 상태로 절환하면, 램프 하우징(110)에 내장된 살균램프(111)가 점등되고, 그 살균램프(111)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은 통공(101)을 통하여 수저통 몸체(100)에 보관된 수저(120)로 조사되어 상기 수저(120)를 살균 소독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disinfecting the
이와 같은 종래의 수저통은 살균램프(111)가 점등된 상태에서 뚜껑(140)을 분리시키면, 상기 살균램프(111)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이 외부로 조사되는 것이며, 이때 사용자의 육안 및 피부로 조사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spoon is to remove the
또한, 수저(120)의 살균이 완료된 후 수저통 몸체(100)에 보관된 수저(120)를 인출 할 때에는 수저통 몸체(100)의 상부가 개방되게 뚜껑(140)을 분리시킨 후 수저통 몸체(100)에 보관된 수저(120)를 인출하는 것이다.In addition, after the sterilization of the
이와 같이 수저를 인출할 때 수저통 몸체(100)에 보관된 수저(120)가 노출되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그리고, 종래에는 뚜껑(140)을 분리시킬 경우 수저통 몸체(110)에 보관된 수저(120)의 음용부 및 손잡이부가 노출되므로 수저(120)를 인출할 때 음용부를 접촉하여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related art, when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낸 특허출원 제2001-48419호와 같은 살균램프가 구비된 수저통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water reservoir equipped with a sterilizing lamp such as Patent Application No. 2001-48419 shown in FIG. 3 was developed.
상기한 수저통은 수저를 수직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부 일측에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 내지 반투명한 뚜껑부(C)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내부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 보관할 수 있는 숟가락 보관함(10)과 젓가락 보관함(11)이 다수개로 구획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 형상의 반사갓(12)이 체결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갓(12)의 내측으로는 자외선 살균램프(13)가 설치되어 있는 수저통 본체(1)와, 상기 수저통 본체(1)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부 일측에는 뚜껑부(C)를 개방 할 때는 자외선 살균램프(13)가 꺼지고 닫을 경우에는 켜지도록 된 리미트스위치(20)가 결합되어 있는 배면판체(2)와, 상기 수저통 본체(1)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리미트스위치(20)의 조작을 컨트롤하는 회로기판(3)과, 상기 수저통 본체(1) 저면에는 수납된 수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 보관하는 물받이판(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저부에는 바닥판체(5)가 상기 수저통 본체(1)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The spoon is to hold the spoon in a vertical state, the upper side is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lid portion (C) is rotatably coupled so that the inside can be seen, and the spoon and chopsticks can be separated and stored inside The
그러나 이러한 수저통은 수저를 수직한 상태로 보관 및 살균할 수는 있지만, 수저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반드시 개방시켜야 하는 것이며, 뚜껑 개방시 수저의 음용부가 노출되어 오염되었으며, 수저를 인출하거나 보관할 때 음용부를 손으로 잡아야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lthough the container can be stored and sterilized in a vertical state, the lid must be opened to withdraw the spoon, and the drinking part of the spoon is exposed when the lid is opened, and it is contaminated when the spoon is taken out or stored. There was a problem such as holding the wealth by hand.
특히, 수저를 인출할 때 인출하고자 하는 수저의 음용부는 물론, 인접한 수저의 음용부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when withdrawing the cutlery,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user's hand is in contact with the drinking portion of the cutlery to be withdrawn, as well as the drinking portion of the adjacent cutler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저의 음용부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보관한 상태에서 수저의 음용부를 살균 소독함은 물론, 수저를 인출할 때 살균 완료된 수저의 음용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disinfect and disinfect the drinking portion of the cutlery in the vertical storage so that the drinking portion of the cutlery upwards, as well as drinking the sterilized cutlery when withdrawing the cutler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gienic drawable container for preventing hygiene from being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저의 손잡이부를 잡은 상태에서 수저통에 보관하거나 인출하게 되므로 사용하고자하는 수저는 물론, 인접된 수저의 음용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gienically withdrawable spoon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drinking portions of adjacent spoons, as well as the cutlery to be used or stored in the spoons while holding the handle of the spoon.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은 저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인출공이 형성된 수저통 몸체; 상기 수저통 몸체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격벽이 마련된 분리부재; 상기 수저통 몸체의 상부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 중앙에는 램프 삽입공이 형성된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에 형성된 램프 삽입공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살균램프가 구비된 램프소켓; 상기 살균램프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이 수저통 몸체 내부로 조사되게 반사시키도록 램프소켓 저면에 설치된 반사판; 상기 수저통 몸체의 저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물받이; 상기 수저통 몸체에 보관되는 소형 수저를 지지하도록 분리부재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보강부재; 상기 수저통 몸체의 외측 둘레면에 회전 가능하게 감싸여지고 둘레면에는 인출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된 외부 커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Hygienic withdrawable wa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inage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ervoir body formed with a drawing hole; A separation member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partition walls to separ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reservoir body; An upper cover detachably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istern body and having a lamp insertion hole formed at a center of an upper surface thereof; A lamp socket installed detachably in a lamp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cover and having a sterilizing lamp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reflection plat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mp socket to reflect the ultraviolet rays generated from the sterilizing lamp to be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A drip tra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container body to be pulled out; A reinforcing member selectively fitted to the separating member to support the small cutlery stored in the cutlery bod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n body is rotatably wrapped,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es an outer cove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let hole.
또한 본 발명은 분리부재의 저면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안내돌기가 동심원을 이루는 위치에 적어도 3개 이상 복수개가 더 형성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ree or more pluralities are further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parating member in a position where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 formed in the hemispherical shape forms a concentric circle.
또한 본 발명은 저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인출공이 형성된 수저통 몸체; 상기 수저통 몸체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격벽이 마련된 분리부재; 상기 수저통 몸체의 상부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커버; 상기 수저통 몸체의 저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물받이; 상기 수저통 몸체에 보관되는 소형 수저를 지지하도록 분리부재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보강부재; 상기 수저통 몸체의 외측 둘레면에 회전 가능하게 감싸여지고 둘레면에는 인출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된 외부 커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rainage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let body formed with the drawing hole; A separation member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partition walls to separ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reservoir body; An upper cover detachably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body; A drip tra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container body to be pulled out; A reinforcing member selectively fitted to the separating member to support the small cutlery stored in the cutlery bod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n body is rotatably wrapped,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es an outer cove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let hole.
본 발명은 수저의 음용부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보관한 상태에서 수저의 음용부를 살균 소독함은 물론, 수저를 인출할 때 살균 완료된 수저의 음용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es the drinking portion of the cutlery in a state in which the drinking portion of the cutlery is sto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preventing the drinking portion of the cut sterilized cutlery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utlery is taken out. There are unique effects that can be managed.
또한 본 발명은 수저의 손잡이부를 잡은 상태에서 수저통에 보관하거나 인출하게 되므로 사용하고자하는 수저는 물론, 인접된 수저의 음용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stored or withdrawn in the spoon in the state holding the handle of the cutlery, as well as the cutlery to use, there is a unique effect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drinking portion of the adjacent cutlery.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nitary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anitary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저(220)를 수직 방향으로 보관할 수 있는 수저통 몸체(20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저통 몸체(200)의 저면 중앙에는 배수공(202)이 마련되어 있다.As referred to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상기 수저통 몸체(200)의 외측 둘레면에는 수저(220)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공(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공(201)은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수저통 몸체(200)의 내부에는 그 수저통 몸체(200) 내부 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재(210)가 삽입되어 있되, 상기 분리부재(210)에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격벽(2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부재(210)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분리부재(210)의 저면에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안내돌기(212)를 적어도 3개 이상 복수개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며, 그 회전 안내돌기(212)의 위치는 동심원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다.At this time, at least three or more
또한, 수저통 몸체(200)에 보관되는 소형 수저(220a)를 지지할 수 있도록 분리부재(21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보강부재(230)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한편, 수저통 몸체(200)의 상부에는 상부 커버(240)가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상부 커버(240)는 내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램프 삽입공(241)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상부 커버(240)의 상부에는 램프소켓(250)이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램프소켓(250)의 하부에는 램프 삽입공(241)에 삽입되는 살균램프(2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램프소켓(250)의 저면에는 살균램프(251)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이 수저통 몸체(200) 내부로 조사되게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270)이 설치되어 있다.A
또한, 상기 램프소켓(250)의 상부 일측에는 전원선(260)을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252)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n
그리고, 상기 수저통 몸체(200)의 저면에는 배수공(202)을 통하여 배수된 수분이 모아지는 물받이(280)가 설치되어 있되, 그 물받이(280)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And, the bottom of the
한편, 상기 수저통 몸체(200)의 외측 둘레면에는 외부 커버(290)가 회전 가능하게 감싸여져 있고, 그 외부 커버(290)의 둘레면에는 수저통 몸체(200)에 형성된 인출공(201)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291)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a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수저통 몸체(200)에 수저(220)를 보관 할 때에는 상부 커버(240)를 분리시킨 후 수저통 몸체(200) 내부에 분리부재(210)를 삽입하는 것이다.First, when storing the cutlery 220 in the
상기 분리부재(210)는 반드시 삽입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분리부재(210)를 삽입할 경우에는 보관되는 수저(220)를 다양한 형태(종류, 크기 등)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The separating
그리고, 소형 수저(어린이용, 티 스푼 등)를 보관 할 때에는 보강부재(230)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when storing a small cutlery (for children, tea spoon, etc.), it is preferable to insert the reinforcing
상기 분리부재(210)를 삽입 후 상부커버(240)를 결합하는 것이다.After inserting the separating
이러한 상태에서 수저(220)를 보관할 때에는 외부 커버(290)에 형성된 통공(291)과 수저통 몸체(200)에 형성된 인출공(201)이 일치되게 외부 커버(290)를 회전시킨다.When storing the cutlery 220 in this state, the
그리고 수저(220)의 음용부(221)가 상부로 향하고 손잡이부(222)가 하부로 향하도록 손잡이부(222)를 잡고, 음용부(221)부터 인출공(201)을 통하여 삽입하는 것이며, 삽입된 수저(220)는 수직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다.And holding the
이때, 인출공(201)이 차단되도록 외부 커버(290)를 회전시키면, 수저통 몸체(2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by rotating the
따라서, 세척 완료된 수저(220)를 수저통 몸체(200)에 보관하면, 수저(220) 표면의 수분은 하부로 이동되어 수저통 몸체(20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배수공(202)을 통하여 물받이(280)에 모아지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washed cut
한편, 수저통 몸체(200)에 보관된 수저(220)를 살균하고자 할 때에는 전원선(260)을 콘센트(252)에 결합한 후 램프소켓(250)에 설치된 스위치(253)를 온 상태로 절환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you want to sterilize the
상기 스위치(253)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 램프소켓(250)에 설치된 살균램프(251)가 점등되고 그 살균램프(251)에서는 자외선이 조사된다.When the
이때 살균램프(251)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은 램프소켓(250)의 저면에 설치된 반사판(270)에 반사되어 수저통 몸체(200)의 내부로 조사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ltraviolet rays generated from the
즉, 상부에 위치된 수저(220)의 음용부(221)는 살균램프(25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서 살균 소독되는 것이다.That is, the
그리고 수저통 몸체(200)에 보관된 수저(220)를 인출 할 때에는 수저통 몸체(200)의 둘레면에 형성된 인출공(201)과 외부 커버(290)에 형성된 통공(291)이 일치되게 상기 외부 커버(290)를 회전시킨 후 인출공(201)을 통하여 인출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 커버(240)를 통하여 보관된 수저(220)를 확인하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수저(220)의 손잡이부(222)를 잡고 인출공(201)으로 인출하는 것이다.And when the withdrawal of the
즉, 수저(220)를 인출할 때 손잡이부(222)를 잡고 인출공(201)을 통하여 인출하게 되므로 주변에 보관된 또 다른 수저(220)의 음용부(221)와 사용자 손의 접 촉으로 인한 수저(220)의 오염이 방지됨은 물론, 수저(220)의 음용부(221)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수저(220)를 인출하게 되므로 살균소독 완료된 수저(220)를 위생적으로 보관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한편, 격벽(211)에 의해서 분리되게 보관된 수저(220)를 인출할 때 수저통 몸체(200)를 회전시킬 수도 있지만 분리부재(210)를 회전시키면, 수저(220)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부재(210)를 회전시키면 그 분리부재(210)의 저면에 형성된 회전 안내돌기(212)는 수저통 몸체(200)에 점접촉 되어 있으므로 분리부재(210)를 적은 힘으로도 회전시키게 되어 인접된 수저(220)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withdrawing the
<실시예 2><Example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anitary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anitary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저(220)를 수직 방향으로 보관할 수 있는 수저통 몸체(20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저통 몸체(200)의 저면 중앙에는 배수공(202)이 마련되어 있다.As referred to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상기 수저통 몸체(200)의 외측 둘레면에는 수저(220)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공(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공(201)은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수저통 몸체(200)의 내부에는 그 수저통 몸체(200) 내부 공간을 분리하 기 위한 분리부재(210)가 삽입되어 있되, 상기 분리부재(210)에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격벽(21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저통 몸체(200)에 보관되는 소형 수저(220a)를 지지할 수 있도록 분리부재(21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보강부재(230)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한편, 수저통 몸체(200)의 상부에는 상부 커버(240)가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상부 커버(240)는 내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수저통 몸체(200)의 저면에는 배수공(202)을 통하여 배수된 수분이 모아지는 물받이(280)가 설치되어 있되, 그 물받이(280)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And, the bottom of the
한편, 상기 수저통 몸체(200)의 외측 둘레면에는 외부 커버(290)가 회전 가능하게 감싸여져 있고, 그 외부 커버(290)의 둘레면에는 수저통 몸체(200)에 형성된 인출공(201)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291)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a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수저통 몸체(200)에 수저(220)를 보관 할 때에는 상부 커버(240)를 분리시킨 후 수저통 몸체(200) 내부에 분리부재(210)를 삽입하는 것이다.First, when storing the
상기 분리부재(210)는 반드시 삽입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분리부재(210)를 삽입할 경우에는 보관되는 수저(220)를 다양한 형태(종류, 크기 등)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The separating
그리고, 소형 수저(어린이용, 티 스푼 등)를 보관 할 때에는 보강부재(230) 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when storing a small cutlery (for children, tea spoon, etc.), it is preferable to insert the reinforcing
상기 분리부재(210)를 삽입 후 상부커버(240)를 결합하는 것이다.After inserting the separating
이러한 상태에서 수저(220)를 보관할 때에는 외부 커버(290)에 형성된 통공(291)과 수저통 몸체(200)에 형성된 인출공(201)이 일치되게 외부 커버(290)를 회전시킨다.When storing the
그리고 수저(220)의 음용부(221)가 상부로 향하고 손잡이부(222)가 하부로 향하도록 손잡이부(222)를 잡고, 음용부(221)부터 인출공(201)을 통하여 삽입하는 것이며, 삽입된 수저(220)는 수직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다.And holding the
이때, 인출공(201)이 차단되도록 외부 커버(290)를 회전시키면, 수저통 몸체(2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by rotating the
따라서, 세척 완료된 수저(220)를 수저통 몸체(200)에 보관하면, 수저(220) 표면의 수분은 하부로 이동되어 수저통 몸체(20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배수공(202)을 통하여 물받이(280)에 모아지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washed cut
그리고 수저통 몸체(200)에 보관된 수저(220)를 인출 할 때에는 수저통 몸체(200)의 둘레면에 형성된 인출공(201)과 외부 커버(290)에 형성된 통공(291)이 일치되게 상기 외부 커버(290)를 회전시킨 후 인출공(201)을 통하여 인출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 커버(240)를 통하여 보관된 수저(220)를 확인하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수저(220)의 손잡이부(222)를 잡고 인출공(201)으로 인출하는 것이다.And when the withdrawal of the
즉, 수저(220)를 인출할 때 손잡이부(222)를 잡고 인출공(201)을 통하여 인 출하게 되므로 주변에 보관된 또 다른 수저(220)의 음용부(221)와 사용자 손의 접촉으로 인한 수저(220)의 오염이 방지됨은 물론, 수저(220)의 음용부(221)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수저(220)를 인출하게 되므로 위생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도 1은 종래의 수저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poon.
도 2는 종래의 수저통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poon.
도 3은 종래 다른 실시예의 수저통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lery of another conventional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ygienic withdrawable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ygienic drawable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anitary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으로 인출가능한 수저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anitary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00 : 수저통 몸체 201 : 인출공200: spoon body 201: drawing hole
202 : 배수공 210 : 분리부재202: drain hole 210: separating member
220 : 수저 220a : 소형 수저220:
221 : 음용부 222 : 손잡이부221: drinking portion 222: handle portion
230 : 보강부재 240 : 상부 커버230: reinforcing member 240: upper cover
241 : 램프 삽입공 250 : 램프소켓241: lamp insertion hole 250: lamp socket
251 : 살균램프 270 : 반사판251: sterilization lamp 270: reflector
280 : 물받이280: drip tray
Claims (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45210 | 2008-05-15 | ||
KR1020080045210 | 2008-05-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5726B1 true KR100875726B1 (en) | 2008-12-26 |
Family
ID=4037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7455A KR100875726B1 (en) | 2008-05-15 | 2008-09-04 | Hygienic carry out possible a spoon st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5726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49391A1 (en) * | 2009-09-01 | 2011-03-03 | Cheng-Pu Yang | Storage Container Having Sterilizing Function by Using Ultraviolet Rays |
KR101554349B1 (en) * | 2014-03-28 | 2015-09-18 | 주식회사 천우굿프랜즈 | A sterilizer for spoon and chopsticks |
KR101772532B1 (en) * | 2016-06-21 | 2017-08-29 | 김명구 | waste food Cleaning device for the tool group |
KR20220147392A (en) * | 2021-04-27 | 2022-11-03 | (주)파워캐스트 | Kitchenware sterilization device |
KR20230006948A (en) * | 2021-07-05 | 2023-01-12 | 주식회사 바른 | Kitchenware sterilization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9772A (en) | 1977-06-24 | 1979-01-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Method of arranging polar parts in print wire substrate |
JPS59128273A (en) | 1982-12-30 | 1984-07-24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Composite ceramic |
-
2008
- 2008-09-04 KR KR1020080087455A patent/KR10087572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9772A (en) | 1977-06-24 | 1979-01-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Method of arranging polar parts in print wire substrate |
JPS59128273A (en) | 1982-12-30 | 1984-07-24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Composite ceramic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49391A1 (en) * | 2009-09-01 | 2011-03-03 | Cheng-Pu Yang | Storage Container Having Sterilizing Function by Using Ultraviolet Rays |
KR101554349B1 (en) * | 2014-03-28 | 2015-09-18 | 주식회사 천우굿프랜즈 | A sterilizer for spoon and chopsticks |
KR101772532B1 (en) * | 2016-06-21 | 2017-08-29 | 김명구 | waste food Cleaning device for the tool group |
KR20220147392A (en) * | 2021-04-27 | 2022-11-03 | (주)파워캐스트 | Kitchenware sterilization device |
KR102578022B1 (en) | 2021-04-27 | 2023-09-14 | 주식회사 파워랩스 | Kitchenware sterilization device |
KR20230006948A (en) * | 2021-07-05 | 2023-01-12 | 주식회사 바른 | Kitchenware sterilization device |
KR102559560B1 (en) | 2021-07-05 | 2023-07-26 | 주식회사 바른 | Kitchenware steriliza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5726B1 (en) | Hygienic carry out possible a spoon stand | |
KR200453674Y1 (en) | a sterilizer for spoon and chopsticks | |
KR20150106115A (en) | The sink improved hygiene of cutting board | |
KR100857288B1 (en) | sanitary spoon stand and table using that | |
WO2017103956A1 (en) | 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device for the oral hygiene toothbrushes | |
KR20160002642U (en) | Sterilizing Container for Spoons and Chopsticks | |
KR101116463B1 (en) | Structure of sink bawl | |
KR100974829B1 (en) | Clinging sterilizer of glass | |
KR200443494Y1 (en) | Drawer type sterilizer | |
KR101981235B1 (en) | A menstrual cup sterilizer | |
KR20130135811A (en) | The inside cover of a spoon box | |
KR100862739B1 (en) | sanitary spoon stand and table using that | |
KR200437195Y1 (en) | Toothbrush combined use tongue cleaner sterilizer | |
KR20020005518A (en) | Spoon and chopsticks case being established sterilization lamp of ultra-violet rays | |
KR200318599Y1 (en) | A ultraviolet rays sterilized spoon stand | |
KR200258446Y1 (en) | Spoon and chopsticks case being established sterilization lamp of ultra-violet rays | |
KR20160003449U (en) | case of cooking utensil | |
KR200300539Y1 (en) | A spoon and chopsticks disinfector for roaster table | |
KR200279906Y1 (en) | A Ultraviolet Sanitizer for Blade | |
KR200430228Y1 (en) | Paper towel box with an antiseptic solution apperatus | |
KR200362576Y1 (en) | UV Sterilizer with Snow Box | |
KR19980019068U (en) | Cutlery with UV germicidal lamp | |
KR20070115148A (en) | A nursing bottle sterilization | |
KR200383345Y1 (en) | Sterilizing spoon and chopsticks case using lamp of ozone | |
KR200194613Y1 (en) | Ultraviolet steriliz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