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505B1 -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505B1
KR100875505B1 KR1020070045925A KR20070045925A KR100875505B1 KR 100875505 B1 KR100875505 B1 KR 100875505B1 KR 1020070045925 A KR1020070045925 A KR 1020070045925A KR 20070045925 A KR20070045925 A KR 20070045925A KR 100875505 B1 KR100875505 B1 KR 100875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treatment
wastewater
reaction
reaction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970A (ko
Inventor
노현승
Original Assignee
노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현승 filed Critical 노현승
Priority to KR102007004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505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oa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장치 설치면적을 종래보다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처리된 상등수의 BOD를 종래보다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며 일측에 상등수 배출구가 형성된 월류통을 구비하고, 내부는 침전슬러지 배출구와 연결되는 침전지를 구성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의 외통본체와; 일측에 폐수유입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침전지와 연결된 처리수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폐수유입구와 처리수배출구 사이에 폐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순차 배치되고 내부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각각 소정 비율로 교대로 배치된 복수개의 반응조를 구비하여 상기 외통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폐수처리반응조와;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폐수처리반응조 내에 배치되며, 하단부에 외부와 연통하는 부상슬러지 배출구가 연결된 부상슬러지 저류조와; 상기 폐수처리반응조 및 부상슬러지 저류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여 폐수처리반응조에서 발생하는 부상슬러지를 상기 부상슬러지 저류조로 포집하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부상슬러지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폐수, 산화, 응집, 반응조, 저류조

Description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electrical rea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폐수처리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폐수처리반응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4는 폐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폐수처리반응조를 전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통본체 11: 상등수 배출구
12: 월류통 13: 침전슬러지 배출구
13a: 밸브 14: 침전지
15: 경사부 20: 폐수처리반응조
20-1: 제1반응조 20-2: 제2반응조
20-3: 제3반응조 21: 폐수 유입구
22: 격벽 24a,24b: 구리선
25a: 폐수처리반응조 외벽 25b: 폐수처리반응조 내벽 26a: 양극판 26b: 음극판
27: 유통로 28: 처리수 배출구
30: 부상슬러지 저류조 31: 부상슬러지 저류조 본체
32: 부상슬러지 포집통 33: 부상슬러지 배출구
40: 부상슬러지 제거수단 41: 모터
42a,42b: 스크레이퍼 43: 감속기
44: 축 45: 회전체
본 발명은 각종 산업폐수나 생활오수 등을 처리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의 외통 본체 내에 전기적인 산화 및 응집작용에 의하여 폐수를 연속적으로 정화처리하는 폐수처리반응조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폐수처리반응조내에서 부상하는 부상슬러지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부상슬러지 저류조 및 슬러지 제거수단을 하나의 장치로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간소화함과 동시에, 폐수의 처리능력 및 처리효율을 월등히 높일 수 있는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산업발달로 인해 물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하수 및 폐수의 배출량이 크게 증대되고 있으며, 각종 산업폐수 및 생활오수의 처리방법으로서는 침전, 여과 등을 이용한 물리적 처리방법,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화학반응에 의한 처리를 하는 화학적 처리방법,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 처리하는 생물학적 처리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전기분해나 전기응집에 의한 폐수 처리방법은 그 처리효율 및 처리속도가 뛰어나고 수용액에 녹아 있는 다양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학약품에 의한 처리에 비해 새로운 오염문제를 야기하는 정도가 상당히 낮기 때문에 각광을 받아 오고 있다.
일반적인 전기분해 방식은 유분, 무기성 및 유기성 오염물질, 콜로이드성 오염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이며 장치의 크기에 비하여 고농도의 폐수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폐수 중에 제거해야 할 오염물질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처리하려는 물질의 반응속도가 느리고 또한 장시간 걸쳐서 전기분해를 행하는 경우 전극봉의 소모가 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특허등록 제167123호 공보에서와 같이 통상의 전기분해 방식을 응용한 폐수처리방법과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전극봉이 설치된 전기 반응조에 무기응집제를 투입하여 전기분해를 실시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을 순수하게 전기분해 할 수 없으며, 특히 무기응집제를 사용함에 따라 전기분해속도가 느려져 전력소모가 커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반응조, 중화조, 응집조, 침전조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이 많고, 그 반응조의 구성도 전극봉이 단순하게 나란히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어 그 처리능력도 좋지 않았다.
한편, 국내 특허등록 제633454호 공보에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본체부 내에 알루미늄 박막을 양극과 음극이 2:1의 비율로 경사지게 배치한 후 직 류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고, 본체부의 상부를 덮는 캡의 저면은 단면이 직삼각형 형태인 삼각뿔 형태로 홈부를 형성하여 폐수의 응집과 흡수, 흡착, 침전 및 부상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폐수처리용 전기 반응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705271호 공보에는 하나의 반응조를 이용하여 폐수 내에 잔존하는 고농도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해 전기응집과 산화를 동시에 발생시키고 압축공기를 생성시켜 교반 및 폭기작용에 의해 폐수의 응집과 흡수, 흡착, 침전 및 부상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응집을 이용한 폐수정화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폐수처리용 전기 반응조"나, "전기응집을 이용한 폐수정화장치"는, 동일한 재질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2:1의 비율로 일정하게 배치한 하나의 반응조를 이용하여 폐수처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폐수의 최종 처리를 거친 후에도 처리된 상등수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Biochemical Oxygen Demand)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서 그 처리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극판의 수가 2:1로 일정하게 배치되고 있었기 때문에, 반응조 내를 진행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 폐소의 농도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폐수처리반응을 진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양극판이 음극판의 2배로 배치되고 있었기 때문에, 양극판에서 발생하는 반응량에 대비하여 그만큼 음극판에서 일어나는 반응량이 따라가지 못하여 그 처리능력이 더욱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기술의 폐수처리장치들은, 처리능력을 원하는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하여, 동일한 구성의 폐수처리장치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연결배치하여, 폐수처리반응을 반복시행할 필요가 있었고, 또한 별도의 침전지 등과 같은 부대시설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전반적인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면적을 크게 차지하여 결과적으로 처리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장치 설치면적을 줄이면서도, 처리수의 BOD를 종래보다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산업폐수나 생활오수 등을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통해 처리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폐수처리장치로서,
상단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며 일측에 상등수 배출구가 형성된 월류통을 구비하고, 내부는 침전슬러지 배출구와 연결되는 침전지를 구성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의 외통본체와; 일측에 폐수유입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침전지와 연결된 처리수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폐수유입구와 처리수배출구 사이에 폐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순차 배치되며 내부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각각 소정 비율로 교대로 배치된 복수개의 반응조를 구비하여 상기 외통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폐수처리반응조와;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폐수처리반응조 내에 배치되며, 하단부에 외부와 연통하는 부상슬러지 배출구가 연결된 부상슬 러지 저류조와; 상기 폐수처리반응조 및 부상슬러지 저류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여 폐수처리반응조에서 발생하는 부상슬러지를 상기 부상슬러지 저류조로 포집하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부상슬러지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반응조에 배치된 양극판 및 음극판의 수는, 폐수유동방향을 따라 후순위에 배치된 반응조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상슬러지 저류조는, 폐수처리반응조의 중앙에 위치한 부상슬러지 저류조 본체와, 상기 부상슬러지 저류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폐수처리반응조에서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간격 사이가 상기 복수개의 반응조가 되도록 폐수처리반응조를 구획하며 상부가 개방된 복수개의 부상슬러지 포집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수처리반응조는 중공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그 중공부에 상기 부상슬러지 저류조 본체가 배치되고, 상기 부상슬러지 포집통은 상기 원통의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각 반응조 내에 격벽이 배치되며, 상기 반응조는 격벽에 의하여 폐수가 상향으로 흐르는 상향유동 반응조와 격벽을 월류한 폐수가 하향으로 흐르는 하향유동 반응조로 구획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 및 부상슬러지 포집통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 반응조에 배치된 양극판 및 음극판의 비율은, n+1: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상슬러지 포집통과 폐수처리반응조의 하부면 사이에 유통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통본체는 그 하부에 테이퍼 형상의 경사부가 구비된 호퍼형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상슬러지 포집통과 부상슬러지 저류조 본체의 하부는, 부상슬러지 저류조 하부 중심을 향하여 연이어 경사진 경사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상슬러지 제거수단은, 구동수단인 모터와, 감속기를 개재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축과, 이 축의 선단부에 장착된 회전체와, 이 회전체의 양단에 장착된 스크레이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반응조는, 제1반응조, 제2반응조 및 제3반응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1반응조 및 제2반응조에 배치된 양극판은 스테인레스, 철,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반응조에 배치된 양극판은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반응조 내지 제3반응조의 양극의 재질이 모두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호퍼형의 외통본체(10)와, 이 외통본 체(10) 내에 설치되어 폐수를 산화 및 응집반응에 의해 정화 처리하는 복수개의 반응조로 이루어진 폐수처리반응조(20)와, 상기 폐수처리반응조(20) 내에 배치된 부상슬러지 저류조(30)와, 상기 폐수처리반응조(20) 상으로 부상하는 슬러지를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한 부상슬러지 제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통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구성되며, 그 하부에는 테이퍼 형상의 경사부(15)가 구비된 호퍼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본체(10)의 하단부는 지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지지프레임(16)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호퍼 경사부(15)의 단부는 침전슬러지 배출구(13)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와 호퍼 경사부(15)의 단부 사이의 배출관에는 밸브(13a)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외통본체(10)의 개방된 상부에는, 그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월류통(12)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월류통(12)의 일측에는 상등수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본체(10)의 내부는 상기 폐수처리반응조(20)로부터 흘러나온 처리수를 침전반응시키기 위한 침전지(14)가 된다.
한편, 상기 외통본체(10)의 침전지(14) 상부에는, 복수개의 반응조를 포함하는 폐수처리반응조(20)가 장착된다.
상기 폐수처리반응조(20)의 일측 하부에는 폐수유입구(21)가 구비되어 있고, 다른 일측 하부에는 폐수처리반응조(20)에서 처리되어 나온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배출구(2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처리수배출구(28)는 상기 외통본체(10)의 침전지(14) 내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폐수처리반응조의 각 반응조 내에는 양극판(26a)과 음극판(26b)이 각각 소정의 비율로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반응조에 배치된 양극판(26a) 및 음극판(26b)의 수는, 폐수유동방향을 따라 후순위에 배치된 반응조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이 좋다. 폐수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폐수의 불순물 농도는 처음에는 높았다가, 상기 반응조의 처리반응에 의하여 뒤에 배치된 반응조로 갈수록 점차 낮아진다. 따라서, 앞에 배치된 반응조 내의 극판의 수를 많이 하여 초기에 집중적으로 처리반응을 수행하고, 뒤에 배치된 반응조 내에서는 극판의 수를 점차 줄여 처리반응을 수행하면, 처리되어야 할 폐수 원수의 불순물 농도에 대응되도록 처리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하나의 반응조 내에서 극판을 일정한 개수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하면, 불순물 농도가 높은 반응조 전단부에 배치된 극판은 빨리 소모되고, 불순물 농도가 낮은 반응조 후단부의 극판은 거의 소모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폐수 내의 불순물 농도에 대응하여 처리반응을 즉각 즉각 적시에 처리하기 힘들기 때문에, 처리반응시간이 더 길어지고, 반응효율도 떨어진다. 더구나, 소모가 빠른 반응조 전단부의 극판은 수시로 교체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극판의 교체를 위하여 전체 장치의 가동을 중단하여야 했기 때문에, 처리효율의 면에서 아주 불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폐수처리반응조(20)를 복수의 반응조로 구획하고, 각 반응조 내의 극판의 수를 처리수의 불순물 농도에 대응하여 후순위의 반응조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배치하면, 각 반응조 내의 반응상황을 불순물 농도에 부합하도록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앞순위 반응조에는 극판이 다수 배치되어 있 고, 후순위 반응조에는 극판이 상대적으로 적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각 반응조의 극판 소모량도 거의 동등한 정도로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극판 교체시기도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반응조의 극판 소모량을 추적하여 한꺼번에 극판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극판의 교체를 위하여 자주 장치 가동을 중단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장치가동시간을 늘려, 처리효율의 면에서 매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반응조 내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양극판(+)-음극판(-)양극판(+), 양극판(+)-음극판(-)양극판(+),양극판(+)-음극판(-)양극판(+)과 같이, 2:1의 일정한 비율로 하고 있었다.
그런데, 전기산화 및 응집에 의한 폐수처리반응 중 주요한 메커니즘의 하나는, 양극측에서 용출된 양극이 폐수내의 유기물 등 불순물과 결합하여 불순물을 산화 및 응집시키고, 이러한 응집된 응집물이 음극측에서 발생된 수소, 산소 또는 염소기체에 포집되어 반응조 내를 부상하여 부상슬러지로서 제거되는 과정에 의하여 진행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양극판을 음극판의 2배의 비율로 배치하면, 양극판보다 음극판의 수가 훨씬 적게 되므로, 예컨대 양극측에서 산화 및 응집된 응집물을 음극측에서 충분히 포집하여 부상슬러지로서 제거하기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 반응조에 배치되는 양극판(26a)과 음극판(26b)의 비율을, 후순위로 배치된 반응조로 갈수록 작게 하면서도, 각 반응조 내에 배치된 양극판(26a) 및 음극판(26b)의 비율을 n+1:n으로 하여 양극판과 음극판의 개수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양극에서의 처리반응량과 이에 대응하는 음극에서의 처리반 응량을 비슷하게 맞추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폐수처리반응조(20) 내에 제1, 제2 및 제3 반응조(20-1,20-2,20-3)의 3개의 반응조를 배치하고, 제1반응조(20-1)에는 5:4, 제2반응조(20-2)에는 4:3, 제3반응조(20-3)에는 3:2의 비율로 순차적으로 극판의 수가 작아지도록 양극판(26a) 및 음극판(26b)을 교대로 배치하여 상술한 효과를 달성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폐수처리반응조(20)에서 발생한 부상슬러지를 곧바로 부상슬러지 저류조(30)로 포집할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를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부상슬러지 저류조(30)는, 상기 폐수처리반응조(20)의 중앙에 위치한 부상슬러지 저류조 본체(31)와, 상기 본체(31)와 연결되고 폐수처리반응조(20)에서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부상슬러지 포집통(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집통(32)에 의하여 폐수처리반응조(20)가 구획되며, 상기 포집통(32)의 사이가 각 반응조가 된다.
본 실시예의 폐수처리반응조(20)는, 중공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복수개의 반응조가 상기 원통의 원주를 따라 순차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반응조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상슬러지 저류조 본체(31)는 상기 원통의 중공부에 위치하고, 상기 포집통(32)이 상기 원통부 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집통(32)이 3개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반응조가 제1, 제2 및 제3반응조(20-1,20-2,20-3)의 3개로 구성되어 있다. 포집통(32) 및 반응조의 수는 처리해야 할 폐수의 양, 폐수에 포함된 불순물의 농도, 목표 처리능력 및 효율 등 여러 가지 인자를 고려하여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선에서 결정할 수 있다. ,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반응조 내에 배치된 양극판(26a)과 음극판(26b)은, 상기 중공원통형의 폐수처리반응조(20)의 외벽(25a) 및 내벽 (25b)에 배치되며 각각 해당되는 극성의 전류가 도통되는 구리선(24a) 및 구리선 (2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극판(26a)과 음극판(26b)은 상기 반응조의 내벽(25b) 및 외벽(25a)과의 사이에 설치된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하여 상기 반응조 내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양극판(26a)과 음극판(26b)의 고정 설치구조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 부상슬러지 포집통(32)과 부상슬러지 저류조 본체(31)의 하부는, 부상슬러지 저류조(30) 하부 중심을 향하여 연이어 경사진 경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따라서 상기 부상슬러지 저류조(30)는 전체적으로 호퍼형상 단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 외부와 연통하는 부상슬러지 배출구(33)가 연결된다.
상기 부상슬러지 포집통(32)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후술하는 부상슬러지 제거수단(40)의 스크레이퍼(42a,42b)가 이 상부를 지나면서 폐수처리반응조(20)의 부상슬러지를 긁어 담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의 각 반응조(20-1,20-2,20-3)의 내부에 격벽(22)을 설치하여 상기 각 반응조를 다시 2개의 반응조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반응조에 모두 격벽(22)을 설치하면, 전체 반응조는 모두 6개(20-1a,20-1b,20-2a,20-2b,20-3a,20-3b)가 되어, 작은 공간 안에 다수의 반응조를 배치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폐수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폐수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상기 격벽(22)을 타고 넘도록, 즉 월류하도록 폐수 유동방향을 설계하면, 상기 반응조는 상기 격벽(22)을 경계로 폐수가 상향으로 흐르는 상향유동 반응조(20-1a,20-2a,20-3a)와 격벽(22)을 월류한 폐수가 하향으로 흐르는 하향유동 반응조(20-1b,20-2b,20-3b)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22)을 경계로 폐수의 상하 유동이 반복되게 하면, 폐수와 상기 극판의 접촉회수가 증가하고, 폐수가 자연히 교반되는 결과가 되어 처리반응효율이 향상된다. 물론, 폐수와 극판과의 처리반응은 전기를 통하는 전해반응으로서, 기포가 형성되는 반응 자체의 성질상 반응계면 상에서 끊임없이 와류가 생성되므로, 반응조 내에 교반기를 설치할 필요성은 적지만, 상기와 같이 격벽(22)을 형성함에 의하여, 교반기를 설치하는 것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교반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상슬러지 포집통(32)을 경계로 하여 크게 제1,제2 및 제3의 반응조(20-1,20-2,20-3)로 구분되고, 각 반응조의 격벽(22)에 의하여 상기 각 반응조가 다시 각각 상향유동 반응조(20-1a,20-2a,20-3a)와 하향유동 반응조(20-1b,20-2b,20-3b)로 구분된다.
상기 유동방향이 상이한 각 반응조 내에 배치된 양극판(26a)과 음극판(26b)의 비율은, 동일한 순위의 반응조라면 반응의 균일성을 위하여 동일하게 되어 있 다. 즉, 상기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응조(20-1) 내의 상향유동반응조(20-1a)와, 하향유동반응조(20-1b) 내에 배치된 양극판(26a)과 음극판(26b)의 비율은 각각 5:4로 동일하며, 제2반응조(20-2) 내의 두 반응조(20-2a,20-2b)에서는 각각 4:3으로, 제3반응조 (20-3)내의 두 반응조(20-3a,20-3b)에서는 각각 3:2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상슬러지 포집통(32)과 폐수처리반응조(20)의 하부면의 사이에 폐수가 흘러가는 유통로(27)를 형성하면, 결국 폐수는 상기 격벽(22)을 월류하고, 상기 유통로(27)를 통하여 흐르는 상향 및 하향유동이 반복되는 흐름이 된다.
한편, 상기 폐수처리반응조(20)와 상기 부상슬러지 저류조(30)의 상부에는, 폐수처리반응조(20)에서 발생하는 부상슬러지를 포집하는 부상슬러지 제거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상슬러지 제거수단(40)은, 구동수단인 모터(41)와, 감속기(43)를 개재하여 모터(41)에 의해 회전하는 축(44)과, 이 축(44)의 선단부에 장착된 회전체(45)와, 이 회전체(45)의 양단에 장착된 스크레이퍼(42a,42b)로 구성된다.
도1 내지 도4에 개시된 본 발명의 폐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특히, 도4는 폐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중공원통형의 폐수처리반응조(20)를 펼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하지 않은 펌프 등에 의하여 펌핑된 폐수는 상기 폐수유입구를 통하여 폐수처리반응조(20)의 제1반응조(20-1) 하부로 유입된다. 제1반응조(20-1)에 유입된 폐수는 제1반응조(20-1)의 상향유동 반응조(20-1a) 내의 격벽(22) 상단까지 점차로 차오른 후, 격벽(22)을 월류하고, 상기 격벽(22)을 월류한 폐수는 하향유동 반응조(20-1b)로 흘러내려간다.
다음에, 상기 폐수는 제1반응조(20-1)의 햐향유동 반응조(20-1b)와 제2반응조(20-2)의 상향유동 반응조(20-2a) 사이에 위치한 부상슬러지 포집통(32) 하부의 유통로(27)를 통하여 제2반응조(20-2)로 흘러들러가며, 제2반응조(20-2) 및 제3반응조(20-3) 내에서도 각각 상향유동-격벽 월류-하향유동 되며, 부상슬러지 포집통(32) 하부에 형성된 유통로(27)를 통하여 그 다음 순위의 반응조로 흘러간다.
상기 각 반응조의 양극판(26a)과 음극판(26b)에는, 상기 폐수처리반응조(20)의 중공 원통 외벽(25a)과 내벽(25b)에 설치된 구리선(24a, 24b)에 의하여 직류 전류가 도통되며, 이 전류에 의하여 폐수 내에 포함된 유기물, 무기물 등 각종 제거대상 불순물이 산화 및 응집된다. 이 응집된 불순물(플럭;floc)은 음극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하여 부상하면서 좀 더 큰 플럭으로 응집되고, 최종적으로 수면으로 부상하여 제거대상으로서의 부상슬러지가 된다.
생성된 부상슬러지는, 부상슬러지 제거수단(40)의 스크레이퍼(42a,42b)에 의하여 상기 부상슬러지 포집통(32)으로 포집 제거된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과 연결된 부상슬러지 제거수단(40)의 모터(41)가 회전하면 감속기(43)를 개재하여 모터(41)와 연결된 축(44)이 회전하며, 상기 축(44)의 선단부에 장착된 회전체(45)가 소정 속도로 폐수처리반응조(20) 및 부상슬러지 포집통(32) 상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45)의 양단에는 스크레이퍼(42a,42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크레이퍼(42a,42b)가 상기 폐수처리반응조(20)의 각 반응조 상을 지나면서 그 수면상의 부상슬러지를 상기 부상슬러지 포집통(32)의 개방된 상부로 포집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폐수처리반응조(20)에서는 각 반응조내에서 연속적으로 폐수의 산화 응집에 의한 처리반응이 행해짐과 동시에, 폐수 내의 불순물은 부상슬러지로서 제거되고, 최종적으로 처리된 처리수는 제3반응조(20-3) 옆 하부의 유통로 (27)로 배출되어, 침전지(14)로 개구된 처리수배출구(28)를 통하여 침전지(14)로 배출된다.
상기 처리수는, 부유성이 강한 불순물은 거의 부상슬러지로 제거된 상태로서, 처리수 내에는 소량의 침강성 불순물이 주로 남아 있다. 상기 침강성 불순물은, 폐수처리반응조(20)의 전해반응으로 인한 와류의 형성 및 폐수의 상하 유동에 의한 자연 교반효과로 인하여 상기 반응조 내에서 침강되지 않고 폐수 내에 부유하고 있던 것으로서, 상기 침전지(14)에서 비로소 서서히 침강되어 침전슬러지로 침전지 (14) 하부에 모여지게 된다.
침전슬러지는 침전지(14) 하부와 연결된 침전슬러지 배출구(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그 배출량은 침전슬러지 배출구(13)와 침전지(14)와의 사이에 설치된 밸브(13a)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침전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는 상등수로서 상기 외통본체(10)의 상부로 차오르고, 상단까지 차오른 상등수는 외통본체(10) 상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월류통(12)으로 월류된다. 상기 월류통(12)의 벽은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등수 의 수위가 상기 톱니의 오목한 부분까지 차면 상등수가 월류통(12)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월류된 상기 상등수는 상기 월류통(12)의 일측에 형성된 상등수 배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되어, 적합한 용도에 바로 사용되거나, 후속의 처리공정으로 이송된다.
펌프를 통한 폐수의 유입, 반응조의 가동(반응조내 극판으로의 전류의 도통에 의한 폐수의 처리), 반응조 내 수위조절, 설정수위에 이르렀을 때의 부상슬러지 제거수단의 작동은 모두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반응조에 설치된 양극판의 재질을 처리수에 포함된 불순물의 종류, 불순물의 농도 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반응조(20-1) 및 제2반응조(20-2) 내에 설치된 양극판(26a)의 재질을 스텐레스판이나 철판 또는 알루미늄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구성하고, 제3반응조 (20-3)내의 양극판(26a)을 알루미늄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제1반응조 내지 제3반응조(20-1,20-2,20-3)의 양극판의 재질을 모두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각종 산업폐수나 생활오수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종류는 다종다양하고, 그 농도도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양극판을 동일한 재질로 하는 것에 비하여 상기와 같이 양극판의 재질을 달리하면, 각 재질 및 농도에 따라 반응성이 좋은 양극이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처리반응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 반응조의 극판의 재질을 달리하면, 하나의 반응조에서 미처 처리되지 않은 불순물이 후속 반응조에서 처리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불순물의 제거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양극판의 배치에 의하여, 오염물질의 응집이 극대화되어 적은 체류시간으로 최대의 응집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폐수처리장치에 의하면, 폐수처리반응의 효율이 뛰어나기 때문에, 폐수처리장치로부터 정화되어 나온 상등수의 BOD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자의 측정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폐수처리장치에 의한 상등수의 BOD는 종래 폐수처리장치에 의한 상등수의 BOD보다 거의 2~4배 이상 낮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폐수처리장치에 비하여 작은 설치면적과 간소한 구성으로 뛰어난 정화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수처리장치에 의하면, 간이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장치 설치면적을 종래보다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종래보다 현저히 뛰어난 폐수정화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반응조 내에 배치된 극판의 교체시기를 연장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반응조 내에 배치된 극판의 교체시기를 거의 비슷하게 맞출 수 있다.

Claims (13)

  1. 각종 산업폐수나 생활오수 등을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통해 처리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폐수처리장치로서,
    상단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며 일측에 상등수 배출구가 형성된 월류통을 구비하고, 내부는 침전슬러지 배출구와 연결되는 침전지를 구성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의 외통본체와;
    일측에 폐수유입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침전지와 연결된 처리수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폐수유입구와 처리수배출구 사이에 폐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순차 배치되고 내부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각각 소정 비율로 교대로 배치된 복수개의 반응조를 구비하여 상기 외통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폐수처리반응조와;
    상기 폐수처리반응조의 중앙에 위치한 부상슬러지 저류조 본체와, 상기 부상슬러지 저류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폐수처리반응조에서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간격 사이가 상기 복수개의 반응조가 되도록 폐수처리반응조를 구획하며 상부가 개방된 복수개의 부상슬러지 포집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부상슬러지 저류조와;
    상기 폐수처리반응조 및 부상슬러지 저류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여 폐수처리반응조에서 발생하는 부상슬러지를 상기 부상슬러지 저류조로 포집하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부상슬러지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반응조에 배치된 양극판 및 음극판의 수는, 폐수유동방향을 따라 후순위에 배치된 반응조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처리반응조는 중공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그 중공부에 상기 부상슬러지 저류조 본체가 배치되고, 상기 부상슬러지 포집통은 상기 원통의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각 반응조 내에 격벽이 배치되며, 상기 반응조는 격벽에 의하여 폐수가 상향으로 흐르는 상향유동 반응조와 격벽을 월류한 폐수가 하향으로 흐르는 하향유동 반응조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및 부상슬러지 포집통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 반 응조에 배치된 양극판 및 음극판의 비율은, n+1: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슬러지 포집통과 폐수처리반응조의 하부면 사이에 유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본체는 그 하부에 테이퍼 형상의 경사부가 구비된 호퍼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슬러지 포집통과 부상슬러지 저류조 본체의 하부는, 부상슬러지 저류조 하부 중심을 향하여 연이어 경사진 경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슬러지 제거수단은, 구동수단인 모터와, 감속기를 개재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축과, 이 축의 선단부에 장착된 회전체와, 이 회전체의 양단에 장착된 스크레이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산화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반응조는, 제1반응조, 제2반응조 및 제3반응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1반응조 및 제2반응조에 배치된 양극판은 스테인레스, 철,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반응조에 배치된 양극판은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조 내지 제3반응조의 양극의 재질이 모두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산화 및 응집 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20070045925A 2007-05-11 2007-05-11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0875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925A KR100875505B1 (ko) 2007-05-11 2007-05-11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925A KR100875505B1 (ko) 2007-05-11 2007-05-11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970A KR20080099970A (ko) 2008-11-14
KR100875505B1 true KR100875505B1 (ko) 2008-12-22

Family

ID=4028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925A KR100875505B1 (ko) 2007-05-11 2007-05-11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335B1 (ko) * 2016-06-02 2016-11-15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
CN115893593A (zh) * 2022-11-09 2023-04-04 浙江卓锦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重金属废水资源化利用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970A (ko) 200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49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брабо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02936072B (zh) 一种纳米催化电解絮凝气浮装置
EP2035335B1 (en) Moving electrode electroflocculation process and corresponding device
US5049252A (en) Water cleaning system
CN212864481U (zh) 一种移动智能型实验室综合废水处理装备
CN202519115U (zh) 一种纳米催化电解絮凝气浮装置
KR100519192B1 (ko) 폐광산 갱내수 정화처리설비 및 그 제어공법
CN109485205B (zh) 一种移动式有机废水处理设备
CN108358394A (zh) 一种新型除磷污水处理工艺
KR100875505B1 (ko)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CN110357319B (zh) 一种电化学污水处理装置及处理工艺
KR20080037761A (ko) 전기응집을 이용한 축산폐수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0435002B1 (ko) 전해부상방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0875506B1 (ko)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CN104743702A (zh) 一种生活污水处理用调节装置
CN211972032U (zh) 电解污水处理器
CN211896437U (zh) 一种电絮凝油水分离器
KR100862324B1 (ko) 전기 산화 및 응집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RU139630U1 (ru) Установка электрофлотации
WO1991013029A1 (en) Water cleaning system
KR101071113B1 (ko) 전기분해 장치
CN113443758A (zh) 垃圾渗滤液全量化预处理装置、处理系统以及处理方法
CN110734173A (zh) 一种电絮凝油水分离器
KR20090003855A (ko) 폐수 처리용 전기 반응조
KR200194158Y1 (ko) 폐수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