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561B1 -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변환구 - Google Patents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변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561B1
KR100873561B1 KR1020070033862A KR20070033862A KR100873561B1 KR 100873561 B1 KR100873561 B1 KR 100873561B1 KR 1020070033862 A KR1020070033862 A KR 1020070033862A KR 20070033862 A KR20070033862 A KR 20070033862A KR 100873561 B1 KR100873561 B1 KR 10087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rc
convex
acrylic
acrylic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705A (ko
Inventor
신석균
Original Assignee
신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균 filed Critical 신석균
Priority to KR1020070033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56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2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 G02B17/06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mirrors only, i.e. having only one curved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mirror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9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변환구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면을 구부려서 적당한 곡률을 갖도록 하면 오목거울로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거울면을 구부려서 볼록거울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판형 아크릴평거울(2)의 거울면을 안으로 구부리게 잡아주어 일정한 곡률의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한 호요홈(12)과, 이 호요홈(12)을 갖고 있는 원호형 호본체(11)로 이뤄져 있는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변환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간단한 기구로 식당,사무실,병원,가정,휴게실,대합실 등에 붙박이식으로 비치되어 있는 티브이영상을 투시하여 시청자가 아무위치에서 볼 수 있는 투시창을 평판상 주어진 영상 크기 보다 오목거울로 크게하거나 또는 자동차의 백미러, 감시용 볼록거울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을 하나의 원호를 이루는 본체에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면을 끼워서 구부릴 수 있는 호요홈이 형성되어 아크릴평거울을 오목거을 또는 볼록거울로 사용할 수 있고,
간단하여 그 기구의 가격 또한 저렴한 거울변환구의 이용을 기대할 수 있다.
아크릴평거울,투시경,오목거울, 볼록거울

Description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변환구{Converting mirror device with convex or concave mirror}
도1은 본 발명을 오목거울로 사용할 때의 일 실시 예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을 볼록거울로 사용할 때의 참고도
도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변환구
11. 호본체
12. 호요홈
2. 아크릴평거울
3. 볼록거울
e. 투시경방향 f. 티브이방향
g. 정방향
5. 투시경관자
6. 정방향관자
본 발명은 아크릴거울의 거울변환구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면을 원호로 구부려서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한 간단한 기구로 오목거울 또는 볼록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크릴평거울은 플라스틱 이므로 구부리기 용이할 뿐더러 그 투명도가 일반 유리거울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되어 있다.
종래에는 거울을 오목거울 또는 볼록거울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형의 유리체로 이들을 제각기 성형 제작하기 때문에 이들을 제작하는데 따른 비용 부담이 증가 되고 하나의 독립된 거울로 단지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크릴평거울을 원호로 구부려서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한 간단한 기구로 오목거울로 사용할 수 있는 아크릴거울의 변환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평판형 아크릴평거울 거울면을 안으로 구부리게 잡아주어 일정한 곡률의 원호를 이루도록 한 호요홈과, 이 호요홈을 갖고 있는 원호형의 호본체로 이뤄져 있는 아크릴거울의 거울변환구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봄으로써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아크릴평거울(2)의 거울면 일변에서 아크릴평거울(2)을 구부려서 일정한 곡률의 오목거울을 형성하는 변환구(1)를 나타내었다.
삭제
상기 변환구(1)는 일정한 원호형의 수지재 호본체(11)와, 이 호본체(11)에는 아크릴평거울(2)을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호에 맞추어 끼워서 잡아주기 위한 호요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변환구(1)의 호본체(11)를 사용할 때는 아크릴평거울(2) 거울면 일변을 호요홈(12)에 끼워 맞추면 호본체(11)는 수지재이므로 아크릴평거울(2) 일변을 탄력적으로 잡아준다.
또, 상기 아크릴평거울(2)은 일정한 곡률의 호본체(11)에 의해 구부려지고, 일정한 초점을 갖는 오목거울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2와 같이 아크릴평거울(2)의 거울면을 호본체(11)에 역으로 끼워 사용하면 아크릴평거울(2)은 거울면이 볼록화하여 볼록거울(3)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1과같은 오목거울은 일례로, 본인의 2007년 선출원 특허인 출원번호 제10-2007-30583호 '티브이영상 다각도조절 투시경'에 사용할 때는 티브이영상을 투시할 때 큰 배율의 티브이영상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도 3과 같이 티브이창(4)이 보이는 곳에 티브이방향 f로 일정거리 마주하여 아크릴평거울(2)이 오목거울로 구부러진 호본체(11)를 티브이창(4)이 잘 보일 수 있도록 고정한다.
삭제
그러므로, 티브이창(4)을 g방향인 정방향에서 보는 정방향관자(6)는 그대로 정방향에 앉아서 티브이를 시청할 수 있고, 다른 각도에 있는 투시경관자(5)는 투시창방향 e를 통해 티브이영상이 티브이방향 f에서 반사되는 것을 큰 영상으로 볼 수 있다.
또, 도 2와 같이 아크릴평거울(2)의 거울 면을 반대로 구부리면 볼록거울(3)이 되고 이는 자동차 백미러, 주차장의 볼록거울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식당,사무실,병원,가정,휴게실,대합실 등에 붙박이식으로 비치되어 있는 티브이의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티브이가 비치된 곳으로 위치를 잡아 보아야지 시청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아크릴거울의 거울변환구를 이용하면 아무 위치에서나 큰 영상의 티브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특히, 방에서 티브이를 돌리지 않아도 좋은 자리에서 또는 누워서 간접적인 티브이 시청을 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 필요에 따라 간단한 변환구로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면을 반대로 하여 오목거울 또는 볼록거울로 호환적이게 이용할 수 있어 상당한 이용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통상의 평판형 아크릴평거울(2)의 거울면을 안으로 구부리게 잡아주어 일정한 곡률의 원호를 이루도록 한 호요홈(12)과, 이 호요홈(12)을 갖고 있는 원호형 호본체(11)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변환구
KR1020070033862A 2007-04-05 2007-04-05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변환구 KR10087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862A KR100873561B1 (ko) 2007-04-05 2007-04-05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변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862A KR100873561B1 (ko) 2007-04-05 2007-04-05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변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705A KR20080090705A (ko) 2008-10-09
KR100873561B1 true KR100873561B1 (ko) 2008-12-12

Family

ID=4015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862A KR100873561B1 (ko) 2007-04-05 2007-04-05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변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5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9446A (en) 1979-11-05 1981-11-10 Atari, Inc. Compound anamorphic mirror and frame for off-axis reflected image modification
JPH05196855A (ja) * 1992-01-20 1993-08-06 Ricoh Co Ltd 光走査装置の反射ミラーの防振構造
JPH07281077A (ja) * 1994-04-06 1995-10-27 Topcon Corp 曲率ミラー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9446A (en) 1979-11-05 1981-11-10 Atari, Inc. Compound anamorphic mirror and frame for off-axis reflected image modification
JPH05196855A (ja) * 1992-01-20 1993-08-06 Ricoh Co Ltd 光走査装置の反射ミラーの防振構造
JPH07281077A (ja) * 1994-04-06 1995-10-27 Topcon Corp 曲率ミラー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705A (ko)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8930B2 (en) Optical adapters for mobile devices with a camera
JP5978121B2 (ja) 表示装置、および光学系
CA3005079C (en) Image projection device
CN113448101A (zh) 光学模组和头戴显示设备
US10295898B2 (en) Image projection device
WO2001009869A1 (fr) Reseau de microlentilles et afficheur comprenant ledit reseau
WO2008036931A3 (en) 3-d displays and telepresence systems and methods therefore
KR100873561B1 (ko) 아크릴평거울의 거울변환구
US20170139314A1 (en) Projector and image module therefor
KR20190087061A (ko)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CN112379571B (zh) 投影镜头及激光投影装置
US7161559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presenting device
CN2840105Y (zh) 一种光学取景器
KR101427287B1 (ko) 잠망경식 외시경장치
JP5616121B2 (ja) 表示装置付きドアの把手
KR200180550Y1 (ko) 도어용 카메라 구조
JP2007313151A (ja) 合わせ鏡式展示物底面鑑賞具
KR2017001664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4636A (ko) 광학장치 연결용 스마트폰 어댑터
JP2006172361A (ja) 電子機器取り付け具
CN102404544A (zh) 远程呈现会议的实现方法及系统
TW201038993A (en) Focus lens module
US20080291264A1 (en) Digital camera for tv conference
SG177802A1 (en) Image shaping opt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