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133B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133B1
KR100873133B1 KR1020060007710A KR20060007710A KR100873133B1 KR 100873133 B1 KR100873133 B1 KR 100873133B1 KR 1020060007710 A KR1020060007710 A KR 1020060007710A KR 20060007710 A KR20060007710 A KR 20060007710A KR 100873133 B1 KR100873133 B1 KR 100873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rigerator
irradiation
kimchi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77887A (en
Inventor
민들레
김은정
임석민
황연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133B1/en
Publication of KR20070077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8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1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키고, 내구성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 내에 구비되며, 각종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 상기 보관실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조사장치; 그리고 상기 조사장치를 반복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maintaining food freshness for a long time and improving durability and energy efficiency.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body; A storage room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body and storing various foods; An irradiation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in a visible light region to the storage room; And it provide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ontrol device for repeatedly turning on and off the irradiation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고, 냉장고의 내구성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shness of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and the durability and energy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can be improved.

냉장고, 조사장치, 발광 다이오드(LED) Refrigerator, Irradiation Device, Light Emitting Diode (LED)

Description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frigerato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야채실을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getable chamber of FIG. 2;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도 5는 도 2의 야채실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ar side of the vegetable chamber of FIG. 2;

도 6은 시간에 따라 조사장치에 입력되는 전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6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power input to the irradiation apparatus with time;

도 7은 도 3의 선택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the selection device of FIG. 3;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frigerator of FIG. 8;

도 10은 도 8의 조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10 is a plan view of the irradiation apparatus of FIG. 8;

도 11은 도 8의 선택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election device of FIG. 8;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0: 냉장고 본체 200: 야채실100: refrigerator body 200: vegetable room

210a, 210b, 210c: 보관실 230a, 230b, 230c: 조사장치210a, 210b, 210c: Storage compartments 230a, 230b, 230c: Irradiation device

231a, 231b, 231c: 발광소자 231G: 녹색 발광 다이오드231a, 231b, and 231c: light emitting element 231G: green light emitting diode

231W: 백색 발광 다이오드 231R: 적색 발광 다이오드231W: White light emitting diode 231R: Red light emitting diode

231B: 남색 발광 다이오드 233a, 233b, 233c: 기판231B: blue light emitting diodes 233a, 233b, and 233c: substrate

237a, 237b, 237c: 보호커버 250: 선택장치237a, 237b, 237c: Protective cover 250: Selector

270a, 270b, 270c: 상부 패널 300: 김치 냉장고270a, 270b, 270c: upper panel 300: kimchi refrigerator

310: 상부 김치 보관실 311,313,315,317: 김치보관용기310: Kimchi Storage Room 311,313,315,317: Kimchi Storage Container

330: 전방 조사장치 331: 발광소자330: front irradiator 331: light emitting element

333: 기판 335: 보호커버333: substrate 335: protective cover

350: 후방 조사장치 370: 상부 도어350: rear irradiator 370: upper door

410: 하부 김치 보관실 411: 김치보관용기410: Lower Kimchi Storage Room 411: Kimchi Storage Container

470: 하부 도어 500: 컨트럴 패널470: lower door 500: control panel

510: 선택장치 600: 압축기510: selector 600: compress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키고, 내구성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the structure is improved to maintain food freshness for a long time, and durability and energy efficiency are improved.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냉장실의 어느 일측에는 야채류와 과실류(이하 총칭하여 "야채류"이라고 한다.)를 보다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습도를 맞추어 주는 야채실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Generally, a refrigerator includes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either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separately provided with a vegetable compartment for adjusting humidity to store fresher vegetables and fruit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vegetables"). .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야채실이 구비된 냉장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vegetable room will be described.

도 1은 여러 가지 종류의 냉장고 중 냉동실이 상부에 위치하고, 냉장실이 상기 냉동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탑마운트 방식의 냉장고를 도시하고 있다.FIG. 1 illustrates a top mount type refrigerator in which a freezer compartment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eezer compartment among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야채류의 신선도 저하의 영향인자는 온도, 습도, 환경 가스, 미생물, 빛 등으로 알려져 있다. 야채류는 계속해서 호흡과 증산 작용이 행해지기 때문에, 야채류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호흡과 증산적용의 억제가 필수적이다. 구체적으로, 저온에서 장애를 일으키는 일부의 야채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야채류는 저온에서 호흡이 억제되고, 높은 습도에서 증산이 방지될 수 있다.Factors affecting the freshness of vegetables are known as temperature, humidity, environmental gases, microorganisms, light, and the like. Since vegetables continue to breathe and transpire, it is essential to suppress breathing and transpir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vegetables. Specifically, most vegetables except for some of the vegetables that cause the disturbance at low temperatures can be suppressed breathing at low temperatures, can be prevented from evaporating at high humidity.

이러한 이유에 의해, 일반적인 가정용 냉장고는 야채류를 오랫동안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냉장실과는 독립적인 공간으로서 야채류를 보관하는 전용공간인 야채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야채실은 야채류를 적정한 저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과 함께, 야채류로부터 증산되는 수분에 의해 습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야채실에 의해 야채류는 오랫동안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For this reason, in order to keep vegetables fresh for a long time, a general household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 vegetable room which is a space for storing vegetables as an independent space from the refrigerator's refrigeration room. The vegetable chamber controls the vegetables to maintain an appropriate low temperature state and to maintain humidity by moisture that is evaporated from the vegetables. Therefore, such a vegetable room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freshness of vegetables for a long time.

한편, 상기와 같이 온도와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야채류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킴과 함께, 최근에는 신선도의 또 다른 영향인자인 빛을 이용하여 야채류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vegetables for a long time by properl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s described above, in recent years, methods for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vegetables by using light, which is another influence factor of freshness, have been proposed.

강한 빛은 식품의 색 변화와 증산작용을 촉진하는 악영향을 미치는 반면, 상대적으로 약한 빛은 야채류의 신선도 유지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약광(弱光)은 특히 녹색 엽채류에 있어서 엽록소(chlorophyll)의 분해가 억제되고, 비타민C의 유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While strong light has a negative effect on promoting food color change and transpiration, relatively weak light is known to improve the freshness of vegetables. In addition, such weak light is known to inhibit the decomposition of chlorophyll (chlorophyll), especially in green leafy vegetables, and is known to be effective in the maintenance of vitamin C.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는 특개평9-28363호에 개시된 바에 따른 것으로서, 상기 냉장고(10)의 하측에 구비된 야채실(20)에 약광을 조사하는 조사장치(23)를 구비하여, 특히 녹색 엽채류의 엽록소(chlorophyll)의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엽채류의 품질저하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is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8363, and includes an irradiation device 23 for irradiating weak light to the vegetable chamber 20 provided below the refrigerator 10, in particular, green leafy vegetables.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of the lowering, and consequently to prevent the degradation of the leaf vegetable.

특히,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서랍식 야채실이 열려있을 때에서는 보관실(21) 내부의 물체를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램프(29)가 작동하고, 상기 서랍식 야채실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조사장치(23)을 작동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빛에 의한 녹색 엽채류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In particular, the refrigerator 10 operates the lighting lamp 29 for allowing a user to visually recognize an object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21 when the drawer type vegetable chamber is open, and the irradiation device when the drawer type vegetable chamber is closed. Operation (23) was configure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green leafy vegetables by light as described above.

한편, 특개평11-159953호는 상기 조사장치(23)를 가시광선 영역에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사장치(23)에 의한 발열을 최소화하여, 상기 보관실(21) 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조사장치에 비해 높은 효율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159953 configures the irradiation apparatus 23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in the visible light region, thereby minimiz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irradiation apparatus 23, thereby reducing 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chamber 21. Is prevented from rising and can be driven with higher efficiency than other irradiation devices.

또한, 특개2005-49093호는 녹색 엽채류에 약 660 nm의 파장을 갖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적용한 형태를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49093 discloses a form in which a red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wavelength of about 660 nm is applied to green leafy vegetables.

그리고 특개2005-65622호는 야채실을 복수 개의 보관실로 구분하여, 야채류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조사장치를 제안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적색, 청색, 녹색의 3색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사용하여 야채류의 종류에 따라 발광색을 조합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65622 proposes an irradiation apparatus for dividing a vegetable compartment into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and irradiating light of an appropriate wavelength according to the kind of vegetables. More specifically, the light emitting diode device was configured to be selected by combining the light emitting color according to the type of vegetables using the red, blue, green three-color light emitting diode devic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야채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vegetable room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d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야채가 보관되는 동안 계속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작동시키면 발광 다이오드의 수명이 단축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발광 다이오드로 인한 전력소모로 인하여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if the light emitting diode is continuously operated while the vegetables are sto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span of the light emitting diode is shortened and durability is lower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energy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light emitting diode.

둘째, 종래의 조사장치는 3색의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색을 조합하여 선택할 수 있지만, 적색, 청색,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식품에 효과적인지가 명확하지 않아, 보관되는 식품의 신선도 유지나 엽록소 감소 방지에 있어 조사장치의 효과가 미미하였다.Second, the conventional irradiation apparatus can be selected by combining the light emitting color of the three color light emitting diodes, but it is not clear which foods are effective specifically for the red, blue, and green light emitting diodes, thereby preventing the freshness of the stored food or preventing chlorophyll reduc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irradiation device was negligible i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의 신선도와 영양성분을 오랫동안 유지시키면서, 내구성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durability and energy efficiency while maintaining the freshness and nutritional content of foo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 내에 구비되며, 각종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 상기 보관실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조사장치; 그리고 상기 조사장치를 반복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body; A storage room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body and storing various foods; An irradiation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in a visible light region to the storage room; And it provide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ontrol device for repeatedly turning on and off the irradiation device.

그리고 상기 조사장치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사장치를 주기적으로 온-오프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irradiation apparatus preferably compris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trol device turns the irradiation device on and off periodically.

한편, 상기 조사장치는, 상기 보관실에 복수 개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사장치는, 상기 보관실에 보관되는 식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실에 서로 다른 조합에 의한 빛을 조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irradiation apparatus irradiates a combination of several light to the said storage chamber.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aid irradiation apparatus irradiates the said storage chamber with the light by a different combination corresponding to the kind of food stored in the said storage chamber.

그리고 상기 보관실에는 김치가 보관되며, 상기 조사장치에 의해 상기 보관실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김치의 발효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kimchi is stored in the storage room,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degree of fermentation of kimchi by irradiating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to the storage room by the irradiation apparatu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각종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단계; 그리고 상기 보관실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반복적으로 조사하는 조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tep of storing a variety of food; And irradiating the storage room repeatedly with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1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to 4,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의 냉장고 중에서 냉장실과 냉동실이 우측과 좌측으로 구분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의 냉장고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냉장실과 냉동실이 냉장고 본체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는 야채실(200)가 구비된다.This embodiment illustrates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in which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are divided into right and left sides among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Accordingly,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re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efrigerator body, respectively, and the vegetable compartment 200 is provided below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그리고 상기 야채실(200)는 복수 개의 보관실(210a,b,c), 조사장치(230a,b,c), 선택장치(250), 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egetable chamb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torage chambers 210a, b, and c, irradiation devices 230a, b, and c, a selection device 250, and a control device (not shown).

상기 복수 개의 보관실(210a,b,c)은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으로서, 바닥면과 좌우 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관실(210a,b,c)은 사용자가 식품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storage chambers 210a, b, and c are storage spaces for storing food, and are formed by a bottom surface and left and right side wall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rage compartments 210a, b, and c ar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t or take out food.

하지만, 상기 보관실(210a,b,c)의 개폐방식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관실(210a,b,c)의 상부에 힌지(hinge) 구조로 이루어진 도어를 구비하여 상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However,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storage compartments 210a, b, and c are not limited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nd the doors having a hinge structure may be opened and closed at the top of the storage compartments 210a, b, and c. It can be configured to be,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그리고 상기 보관실(210a,b,c)은 습도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되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관실(210a,b,c)을 밀폐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식품에서 증산되는 수분에 의해 보관실(210a,b,c) 내의 습도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The storage chambers 210a, b, and c are preferably designed to be sealed to prevent humidity from leaking out. By configuring the storage compartments 210a, b, and c in a sealed structure, humidity in the storage compartments 210a, b, and c may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due to moisture evaporated from food.

한편, 상기 보관실(210a,b,c)은 서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야채실(200)가 상하 방향으로 구획된 총 3개의 보관실(210a,b,c)로 이루어진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chamber (210a, b, c)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artments.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4, the vegetable chamber 200 is a form consisting of a total of three storage compartments (210a, b, c) part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조사장치(230a,b,c)는 복수 개로 구획된 보관실(210a,b,c) 각각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irradiation apparatuses 230a, b, and c serve to irradiate light in a visible light region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artments 210a, b, and c which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참고로, 가시광선은 사람의 눈에 보이는 범위의 파장을 가지고 있는 광선을 말하며, 사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파장의 범위는 380∼770 ㎚이다. 가시광선 내에서는 파장에 따른 성질의 변화가 각각의 색깔로 나타나며 빨간색으로부터 보라색으로 갈수록 파장이 짧아진다. 예를 들어, 단색광인 경우 700∼610 ㎚는 빨간색, 610∼590 ㎚는 주황색, 590∼570 ㎚는 노란색, 570∼500 ㎚는 녹색, 500∼450 ㎚는 파란색, 450∼400 ㎚는 보라색으로 나타난다.For reference, the visible light refers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the visible range of the human eye, and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human, but the wavelength range is generally 380 to 770 nm. In visible light, the change of properties according to the wavelength appears in each color, and the wavelength becomes shorter from red to purp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monochromatic light, 700 to 610 nm is red, 610 to 590 nm is orange, 590 to 570 nm is yellow, 570 to 500 nm is green, 500 to 450 nm is blue, and 450 to 400 nm is purple. .

파장이 770 nm보다 긴 적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보관실(210a,b,c)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과 함께, 보관되는 식품의 표면 온도를 상승시키고 식품 표면을 변색시켜 식품의 신선도 유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조사장치(230a,b,c)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irradiating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with a wavelength longer than 770 nm, 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chambers 210a, b, and c is raised,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ood being stored is increased and the food surface is discolored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food. Adversely affect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rradiation apparatus 230a, b, c irradiate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다만, 빨간색 계열의 가시광선 영역과 적외선 영역 및 보라색 계열의 가시광선 영역과 자외선 영역은 정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시광선 영역은 가시광선 영역과 인접한 파장 범위에 있는 일부 적외선 영역과 자외선 영역도 포함한다.However, since the visible light region and the infrared region of the red series and the visible region and the ultraviolet region of the purple series are not precisely distinguished, the visible light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 of the infrared region and the ultraviolet region in the wavelength range adjacent to the visible region. Also includes.

상기 발광소자(231a,b,c)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다른 발광소자(231a,b,c)에 비해 발열이 적고,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상기 야채실(200)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kind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231a, b, and c, bu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Since the light emitting diodes generate less heat and have relatively higher efficiency than other light emitting devices 231a, b, and c, the light emitting diodes are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vegetable chamber 200.

본 실시예는 상기 발광소자(231a,b,c)를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함으로써, 조 사장치(230a,b,c)에 의한 발열을 최소화하여 상기 발광소자(231a,b,c)에 의한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고, 다른 조사장치(230a,b,c)에 비해 저전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s 231a, b, and c are formed of light emitting diodes, thereby minimizing hea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s 230a, b, and c.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rease and to drive at a lower power than other irradiation apparatuses 230a, b, and c.

한편, 상기 보관실(210a,b,c)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보관실(210c)에 빛을 조사하는 조사장치(230c)는 소정의 색을 가지는 단색광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보관실(210c)에 보관되는 식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실(210c)에 서로 다른 조합에 의한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rradiation apparatus 230c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storage chamber 210c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hambers 210a, b, and c may be formed of monochromatic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food to be sto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chamber 210c is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by different combinations.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식품에 따라 신선도와 영양성분 유지에 효과적인 색이 정해져 있으며, 구체적으로 야채류에는 녹색과 백색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는 것이 신선도와 영양성분 유지에 효과적이며, 육류에는 적색과 남색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는 것이 신선도와 영양성분 유지에 효과적이었다.According to the experiments of the present inventors, the color effective for maintaining freshness and nutritional ingredient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od. Specifically, the irradiation of a combination of green and white light for vegetables is effective for maintaining freshness and nutritional ingredients. The combination of indigo light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freshness and nutrition.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실시예는 보관실(210a,b,c) 중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제1보관실(210a)과, 중간에 위치하는 제2보관실(210b)은 일반적으로 야채류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일률적으로 녹색과 백색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도록 설정하였고,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제3보관실(210c)에는 보관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보관실에 서로 다른 조합의 빛을 조사하도록 설정하였다.With this in mi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torage chamber 210a located at the top of the storage chambers 210a, b, and c,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210b located in the middle are generally spaces in which vegetables are stored. As a uniformly set to irradiate a combination of green and white light, the lowermost third storage room (210c) was set to irradiate different combinations of light in the storage room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stored.

구체적으로, 상기 제3보관실(210c)은 육류 또는 야채류가 선택적으로 보관되며, 야채류가 보관될 때에는 녹색과 백색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고, 육류가 보관될 때에는 적색과 남색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4는 제1보관실 과 제2보관실에 야채류가 보관되고, 제3보관실에는 육류가 보관된 사용상태를 예시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storage chamber (210c) is selectively stored meat or vegetables, and when the vegetables are stored in combination of light of green and white, when the meat is stored in combination of red and indigo light It was configured to.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vegetables are stored in the first storage room and the second storage room, and meat is stored in the third storage room.

한편, 야채류와 육류가 선택적으로 보관되는 제3보관실(210c)은, 상기 조사장치(230c)가 조사하는 빛의 조합을 전환하는 동작과 함께, 식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야채류를 보관할 때에는 제3보관실(210c) 내부의 온도를 약 3 ℃, 육류를 보관할 때에는 제3보관실(210c) 내부의 온도를 약 -2 ℃로 설정하여, 야채류에 비해 육류를 보관할 때 상대적으로 저온 보관하도록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storage chamber 210c in which the vegetables and the meat are selectively stored controls the internal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food, with the operation of switching the combination of light irradiated by the irradiation device 230c. Do. For example, when storing vegetabl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third storage room 210c is set to about 3 ° C., and when the meat is stored, the temperature inside the third storage room 210c is set to about −2 ° C. When set to relatively low temperature storage.

한편, 상기 조사장치(230a,b,c)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즉, 상기 보관실(210a,b,c)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사장치(230a,b,c)가 상기 보관실(210a,b,c)의 외측 후방 상부에 위치하며, 냉장고 본체(100)에 구비된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irradiation apparatus (230a, b, c) is not limited. That is, it may be provided above or below the storage chambers 210a, b, and c.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4, the irradiation apparatus (230a, b, c) is located on the outer rear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ompartment (210a, b, c), the shap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main body 100 It is illustrated.

그리고 상기 조사장치(230a,b,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33a,b,c), 상기 기판(233a,b,c) 상에 설치되는 발광소자(231a,b,c), 상기 발광소자(231a,b,c)에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여 발광소자(231a,b,c)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커버(237a,b,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호커버(237a,b,c)는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과하는 빛이 산란하여 조사하는 빛의 조사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표면을 부식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rradiation apparatuses 230a, b, and c are light emitting devices 231a, b, and c installed on the substrates 233a, b, and c, and the substrates 233a, b, and c, as shown in FIG. And a protective cover 237a, b, c for preventing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s 231a, b, and c to prevent damage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s 231a, b, and c. The protective cover (237a, b, c)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it is preferable to corrode the surface so that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light to be transmitted by scattering the light is widened.

상기 선택장치(250)은 상기 제3보관실(210c)에 보관되는 식품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식품의 색에 대응하여 상기 조사장치(230c)가 조사하는 빛을 전환하 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선택장치(250)의 상세한 구성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selection device 250 selects the type of food stored in the third storage chamber 210c and switches the light irradiated by the irradiation device 230c in response to the color of the selected food.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lection device 25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상기 제어장치(미도시)는 상기 조사장치(230a,b,c)를 반복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control device (not shown) serves to repeatedly turn on / off the irradiation devices 230a, b, and c.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야채실(200)는 상기 보관실(210a,b,c)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보관실(210a,b,c)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보관실이 닫혀있는 경우에는 조사장치(230a,b,c)에 의해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vegetable chamber 200 preferably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storage chamber (210a, b, c) opening and closing.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whether the storage chambers 210a, b, c are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and when the storage chamber is closed, the light is irradiated by the irradiation devices 230a, b, c.

도 5를 참조하여, 조사장치에서 발광소자의 배치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5,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irradia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상기 발광소자(231a,b,c)의 위치와 배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보관되는 식품에 골고루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231a, b, and c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but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light emitting devices 231a, b, and c so that light is evenly applied to the food.

도 5는 발광소자(231a,b,c)의 위치와 배치에 대한 일예로서, 발광소자들이 보관실(210a,b,c)의 외측 후방 상부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일렬 배치된다.FIG. 5 is an example of the 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231a, b, and c. The light emitting devices are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ositioned above the outer rear of the storage chambers 210a, b, and c.

제1보관실(210a)과 제2보관실(210b)는 조사장치는 야채류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이들에 빛을 조사하는 조사장치(230a,b)는 야채류에 적합한 녹색 발광 다이오드(231G)와 백색 발광 다이오드(231W)가 교대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storage room 210a and the second storage room 210b are spaces in which irradiation devices are stored, and irradiation devices 230a and b for irradiating light include green light emitting diodes 231G and white light emission suitable for vegetables. Diodes 231W are alternate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한편, 제3보관실(210c)은 야채류와 육류가 선택적으로 보관되며, 야채류에 적합한 녹색 발광 다이오드(231G)와 백색 발광 다이오드(231W)와 함께, 육류에 적합한 적색 발광 다이오드(231R)과 남색 발광 다이오드(231B)가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과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231G,231W) 및 적색과 남색 발광 다이오드(231R,231B)는 식품의 종류에 맞추어 함께 조사되므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third storage room 210c, vegetables and meat are selectively stored, together with the green light emitting diode 231G and the white light emitting diode 231W suitable for vegetables, the red light emitting diode 231R and indigo light emitting diode suitable for meat. 231B are sequential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5, the green and white light emitting diodes 231G and 231W and the red and indigo light emitting diodes 231R and 231B are irradiated together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and thus are preferabl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그리고 빛의 고른 조사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는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원의 장축은 발광소자들의 배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s shown in Figure 5 for the even irradiation of light,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oval, the long axis of the ellipse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6, the func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제어장치(미도시)는 상기 조사장치(230a,b,c)가 계속적으로 빛을 조사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trol device (not shown) serves to control the irradiation devices 230a, b, and c to be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without continuously radiating light.

본 발명자는 조사장치(230a,b,c)가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면서 보관실(210a,b,c)에 빛을 조사하는 경우, 조사장치(230a,b,c)가 보관실(210a,b,c)에 계속하여 빛을 조사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오히려 신선도 유지 효과가 더 뛰어나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특히, 상기 조사장치(230a,b,c)에 입력되는 전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신선도 유지에 더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rradiation apparatus (230a, b, c) is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while irradiating light to the storage chamber (210a, b, c), the irradiation apparatus (230a, b, c) is a storage chamber (210a, b,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freshness retention effect is better compared to the case of continuous light irradiation in c). In particular, periodically changing the power input to the irradiation device (230a, b, c) showed a more advantageous effect on maintaining freshness.

도 6은 시간에 따라 조사장치에 입력되는 전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주기의 1/3은 조사장치에 전력(Pset)을 공급하고, 주기의 2/3는 조사장치(230a,b,c)에 공급하는 전력(Pset)을 차단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6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power input to the irradiation apparatus with time, one-third of the periods supply power P set to the irradiation apparatus, and two-thirds of the periods are the irradiation apparatuses 230a, b, The embodiment which cuts off the power P set supplied to c) is shown.

특히, 이러한 온-오프의 주기는 나노 세컨드(10-6 second: micro-second)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조사장치(230a,b,c)의 온-오프 주기가 3 μs이며, 1 μs 동안 조사장치에 전력(Pset)이 공급되어 조사장치(230a,b,c)가 온(on)되고, 2 μs 동안은 조사장치(230a,b,c)에 공급하는 전력(Pset)을 차단하여 조사장치(230a,b,c)가 오프(off)되는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나노 세컨드 단위로 조사장치(230a,b,c)를 온-오프시키게 되면, 육안으로는 발광 다이오드가 계속 온(on)의 상태로 보여지게 된다.In particular, the period of the on-off is preferably in nanoseconds (10 -6 second: micro-second) units. FIG. 6 shows that the irradiation apparatuses 230a, b and c have an on-off period of 3 µs, and the power P set is supplied to the irradiation apparatus for 1 µs so that the irradiation apparatuses 230a, b and c are turned on. On, and 2 μs is cut off the power (P set ) to supply the irradiation apparatus (230a, b, c) is an example that the irradiation apparatus (230a, b, c) is off (off).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rradiation apparatuses 230a, b, and c are turned on and off in units of nanoseconds, the light emitting diode continues to be viewed as on.

그리고 이러한 조사장치(230a,b,c)의 온-오프에 따른 신선도 향상의 효과는, 복수 개의 빛을 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빛을 온-오프 하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녹색과 백색의 빛을 같은 주기로 온-오프시키도록 구성하는 경우가 신선도 향상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In additio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reshness according to the on-off of the irradiation apparatuses 230a, b, and c is high when the respective lights are turned on and off in the case of combining a plurality of lights. When the white light was turned on and off at the same cycle, the freshness improvement effect was the highest.

하지만, 이러한 효과는 복수 개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는 경우에만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조사장치(230a,b,c)에 의해 식품에 소정의 색을 가지는 단색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However, this effect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irradiating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ghts. That is, it is also applicable when irradiating monochromatic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to food by the irradiation apparatuses 230a, b, and c.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조사장치(230a,b,c)를 온-오프시키게 되면, 계속하여 조사장치(230a,b,c)를 점등하는 경우에 비해 발광 다이오드의 수명이 연장되는 이점을 가지며,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을 위해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냉장고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도 가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rradiation apparatus (230a, b, c) is turned on and off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fespan of the light emitting diode is extended compared to the case of continuously lighting the irradiation apparatus (230a, b, c), Since the power consumed for the lighting of the light emitting diode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7, the configuration of the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장치(250)는 상기 제3보관실(210c)의 상부 패널(270c) 의 전방에 구비된다. 도 7은 상기 선택장치(25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lection device 25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panel 270c of the third storage chamber 210c. 7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election device 250.

상기 선택장치(250)는, 제1선택부(251), 제2선택부(253), 제3선택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선택된 식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조사장치가 조사하는 빛을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은 상기 선택부들이 버튼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The selection device 250 includes a first selection unit 251, a second selection unit 253, and a third selection unit 255, which the irradiation apparatus irradiates in response to the selected food type. It serves to switch the light. 7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selectors are buttons.

상기 제1선택부(251)는 상기 조사장치를 오프(off)하는 동작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조사장치에 작동을 중지시킬 때 선택하게 된다.The first selector 251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ng an operation of turning off the irradiating device, and is selected when the operation of the irradiating device is stopped.

상기 제2선택부(253)는 보관실에 보관되는 식품이 야채류일 때 선택한다. 상기 제2선택부(253)를 선택하게 되면, 야채류에 적합한 녹색과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가 조합된 빛이 제3보관실(210c)에 조사되도록 한다.The second selection unit 253 selects when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room is vegetables. When the second selection unit 253 is selected, the combination of green and white light emitting diodes suitable for vegetables is irradiated to the third storage chamber 210c.

상기 제3선택부(255)는 보관실에 보관되는 식품이 육류일 때 선택한다. 상기 제3선택부(255)를 선택하게 되면, 육류에 적합한 적색과 남색의 발광 다이오드가 조합된 빛이 제3보관실(210c)에 조사되도록 한다.The third selector 255 selects when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room is meat. When the third selector 255 is selected, the combination of red and indigo light emitting diodes suitable for meat is irradiated to the third storage chamber 210c.

그리고 상기 제2선택부(253)과 제3선택부(255)는 사용자의 식별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형상의 선택부들(253,255)에 야채류나 육류의 도안이 새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selector 253 and the third selector 255 have a pattern of vegetables or meat inscribed on the button-shaped selectors 253 and 255,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한편, 상술한 선택장치(250)는, 선택 레버(351)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selection device 250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such as the form made by the rotation of the selection lever 35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선택장치(250,35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관되는 식품이 야채류인지 육류인지 여부를 버튼이나 레버 등을 통해 선택하고, 선택된 식품의 색에 대응하여 조사장치가 조사하는 빛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selection device (250, 35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selects whether the food is stored vegetables or meat through a button or a lever, and the light irradiated by the irradiation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selected food You can switch.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 and 9, a secon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냉장고는 김치를 보관하기 위한 김치 냉장고(300)로서, 기본적으로 김치를 보관하는 김치 보관실(310,410)과, 상기 김치 보관실(310,410)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조사장치(330,350), 상기 조사장치(330,350)의 동작을 선택하는 선택장치(510), 상기 조사장치(330,350)을 반복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rigerator is a kimchi refrigerator 300 for storing kimchi, and basically, kimchi storage rooms 310 and 410 for storing kimchi and irradiation devices 330 and 350 for irradiating light in the visible region to the kimchi storage rooms 310 and 410. ), A selection device 510 for selecting an operation of the irradiation devices 330 and 350, and a control device for repeatedly turning on and off the irradiation devices 330 and 350.

상기 김치 보관실(310,410)은 김치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으로서, 본체벽과 바닥면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김치 보관실(310,410)은 상부 김치 보관실(310)와 하부 김치 보관실(410)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부에 구비된 김치 보관실(310,410)은 다시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어 총 4개로 이루어진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하부 김치 보관실이 없이, 김치 보관실이 좌측과 우측으로만 구획된 형태도 가능하다.The kimchi storage room (310, 410) i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kimchi, is formed by the body wall and the bottom surface. And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8, the kimchi storage room (310,410) is provided in the upper kimchi storage room 310 and the lower kimchi storage room 410, respectively, the kimchi storage room (310,410)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again It is divided into the right and the right side, and the form consists of a total of four. However, if necessary, the kimchi storage compartment may be partitioned only to the left and right side without the lower kimchi storage compartme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김치 보관실(310)은 상부에 힌지에 의해 본체에 설치된 상부 도어(37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김치 보관실(41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kimchi storage room 310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n upper door 370 installed in the main body by a hinge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kimchi storage room 410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부 도어(370)와 하부 도어(470)의 가장 자리에는 가스켓(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김치 보관실(310,410)과 외부대기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출입을 막아줌으로써 상기 김치 보관실(310,410)이 밀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not shown, gaskets (not shown) are installed at edges of the upper door 370 and the lower door 470 to prevent inflow and outflow of air generated between the kimchi storage chambers 310 and 410 and the outside air.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kimchi storage room (310,410) to be sealed by zooming.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는 이를 보관하는 김치보관용기(311,313,315,317,411)에 수납된 형태로 상기 김치 보관실(310,410)에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shown in FIGS. 8 and 9, kimchi is generally stored in the kimchi storage rooms 310 and 410 in a form stored in the kimchi storage containers 311, 313, 315, 317, and 411.

한편, 상기 김치보관용기(311,313,315,317,411)는 후술하는 조사장치(330,350)의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정량의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kimchi storage container (311, 313, 315, 317, 411)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light of the irradiation device (330, 350) to be described later, or at least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that can transmit.

그리고 상기 김치보관용기(311,313,315,317,411)는 전체적으로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사장치(330,350)에 의한 빛이 투과하도록 일부분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The kimchi storage containers 311, 313, 315, 317, and 411 are made of an opaque material as a whole,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nly partially to transmit light by the irradiation devices 330 and 350.

상기 조사장치(330,350)는 상기 김치 보관실(310,410)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irradiation apparatuses 330 and 350 serve to irradiate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to the kimchi storage rooms 310 and 410.

상기 조사장치(330,350)가 상부와 하부 각각에 구비되어 상부와 하부 김치 보관실(310,410)에 모두 빛을 조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사장치(330,350)가 상부에만 구비되어 김치 보관실(310,410) 중 상부 김치 보관실(310)에만 빛을 조사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The irradiation apparatuses 330 and 350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and lower kimchi storage chambers 310 and 410 can irradiate light.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rradiation apparatuses 330 and 350 are shown in FIG. 3. ) Is provided only in the upper portion of the kimchi storage room (310,410) exemplifies a form of irradiating light only to the upper kimchi storage room (310).

한편, 상기 조사장치(330,350)는 기판(333,353), 상기 기판(333,353) 상에 설치되는 발광소자(331,351), 상기 발광소자(331,351)에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여 발광소자(331,351)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커버(335,3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irradiation apparatuses 330 and 350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substrates 333 and 353, the light emitting devices 331 and 351 installed on the substrates 333 and 353,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s 331 and 351 to damage the light emitting devices 331 and 351. It comprises a protective cover (335,355) to prevent.

상기 발광소자(331,351)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yp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331 and 351 is not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s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as in the first embodim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사장치(330,350)는 김치의 발효 정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조사장치(330,350)에 의해 김치의 발효 정도를 제어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irradiation apparatus (330,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control the fermentation degree of kimchi. The principle of controlling the fermentation degree of kimchi by the irradiation device (330, 350) is as follows.

김치는 숙성의 과정을 거치는 젖산 발효식품으로서, 젖산균이 증가하면서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하고, 채소류에 들어있는 당분을 젖산으로 바꾸어 김치맛을 산뜻하게 한다.Kimchi is a fermented lactic acid food that undergoes the aging process. As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 sterilize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replace sugars in vegetables with lactic acid to refresh the taste of kimchi.

초기에는 류코노스톡 메센토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이하 "류코노스톡"이라고 약칭한다.)라는 균이 작용해서 김치를 숙성시키고, 그 다음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이하 "락토바실러스"라고 약칭한다.)이라는 균이 작용해서 해로운 균을 사멸시키지만 산을 너무 많이 만들어서 김치를 시게하는 원인이 된다. 류코노스톡은 덱스트란이라는 식이섬유를 만들어서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소화와 변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Initially, a bacterium called Leuconostoc Mesenteroides (abbreviated as "Luconostok") acts to ripen kimchi, follow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ctobacillus"). Bacterial, which acts to kill harmful bacteria, but makes too much acid to cause kimchi to sour. Leukonostok is known to be effective in digestion and constipation by making dietary fiber called dextran to promote metabolism.

한편, 류코노스톡은 사용자가 맛있다고 느끼는 김치의 톡쏘는 맛을 주며, 발효하는 동안 산이 많아지면 그 양이 급격히 감소한다. 그리고 락토바실러스는 김치를 담근 직후에는 없다고 맛이 들 때부터 끝까지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leukonostock gives the tok-to taste of kimchi that the user feels delicious, and the amount is sharply reduced as the acid increases during fermentation. And lactobacillus is present from the moment it tastes that it is not immediately after soaking kimchi.

따라서, 김치의 발효는, 초기에 김치를 맛있게 숙성시키기 위하여 류코노스 톡을 조기에 증가시키고, 김치가 맛이 든 후에는 오랫동안 맛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를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fermentation of kimchi, it is preferable to initially increase the leukonostok in order to ripen the kimchi in the early stage, and to suppress the lactobacillus as much as possible to maintain the taste for a long time after the kimchi is flavo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금까지는 상부 김치 보관실에 김치가 보관된 경우를 가정하여 기술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김치 보관실(310)의 일부를 야채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Up to now, it has been described assuming that kimchi is stored in the upper kimchi storage room, it is also possible to utilize a portion of the kimchi storage room 310 as a space for storing vegetables as needed.

한편, 상기 조사장치(330,350)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즉, 상기 김치 보관실(3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irradiation device (330, 350) is not limited. That is, it may be provided above or below the kimchi storage room (310).

본 실시예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사장치(330,350)는 좌측과 우측에 구비되어, 좌측과 우측 김치 보관실(310) 각각에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는 조사장치는, 상부 김치 보관실(310)의 상측의 상부 도어(370) 상에 구비되며, 김치 보관실(310) 내부에 보관되는 전방과 후방의 김치보관용기(311,313)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부 도어(37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에 구비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irradiation devices 330 and 350 are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and are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kimchi storage rooms 310. And the irradiation devic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is provided on the upper door 370 of the upper side of the kimchi storage chamber 310, the kimchi storage containers (311, 313) of the front and rear are stored in the kimchi storage room 310. In order to irradiate light, the front door 370 is provid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보관용기(311,313,315,317) 중 상부 김치 보관실(3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김치보관용기(311,313)에만 가시광선 영역의 빛이 조사되는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하부 김치보관용기(315,317)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별도의 조사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only the kimchi storage containers 311 and 313 positioned above the upper kimchi storage room 310 among the kimchi storage containers 311, 313, 315 and 317 are irradiated with visible light. However, the lower kimchi storage containers (315,317)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irradiation device to irradiate light in various ways.

상기 선택장치(510)는 상기 조사장치(330,350)의 동작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여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을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선 택장치(5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selection device 510 selects the operations of the irradiation devices 330 and 350 and changes the emission color of the light to be irradiated in response to the selected operation.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lection device 5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1.

상기 제어장치(미도시)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조사장치가 계속적으로 빛을 조사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trol device (not shown) serves to control the irradiation device to be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without continuously irradiating light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김치 냉장고(300)에 조사장치(330,350)를 적용하여, 김치의 발효정도를 조절함에 있어서도 상기 조사장치(330,350)가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면서 김치 보관실(310)에 빛을 조사하는 경우, 조사장치(330,350)가 보관실(310)에 계속하여 빛을 조사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김치의 조기숙성이나 장기보관에 더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When the irradiation apparatus (330, 350) is applied to the kimchi refrigerator 300, the irradiation apparatus (330, 350) is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even when adjusting the fermentation degree of kimchi, the irradiation apparatus when irradiating light to the kimchi storage room 310, Compared to the case where (330, 350) continuously irradiates light to the storage room 310, the kimchi showed a more favorable effect on premature ripening or long-term storage of kimchi.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도 6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사장치(330,350)를 온-오프시킴으로써 김치의 발효정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발광소자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the degree of fermentation of kimchi can be more efficiently controlled by turning on and off the irradiation devices 330 and 350, extending the lif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한편, 미설명된 도면부호 600은 압축기를 나타낸다.Meanwhile, reference numeral 600, which is not described, denotes a compressor.

도 10을 참조하여, 발광소자의 상부 도어 상의 배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10, the arrangement on the upper doo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as follows.

도 10은 발광소자의 위치와 배치에 대한 일예로서, 상부 도어(370)에 구비된 상부 조사장치(330)를 상부 김치 보관실(310)의 내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김치 보관실(310)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 도어(370) 상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조사장치가 구비된다.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when the upper irradiation device 330 provided in the upper door 370 is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kimchi storage chamber 310. As shown in Figure 8, the irradiation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on the upper door 37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kimchi storage chamber 310, respectively.

그리고 전방에 위치하는 조사장치(330)는 녹색, 백색 및 황색의 발광소자 (331G,331W,331Y)들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총 9개의 발광소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후방에 위치하는 조사장치(350)도 녹색, 백색 및 황색의 발광소자(351G,351W,351Y)들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irradiation apparatus 330 positioned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apparatus 330 includes nine light emitting devices in which green, white, and yellow light emitting devices 331G, 331W, and 331Y are arranged in a line at equal intervals. In addition, the irradiation apparatus 350 positioned at the rear sid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351G, 351W, and 351Y of green, white, and yellow are arranged in a line at equal intervals.

상술한 바와 같이 김치의 장기보관에는, 황색과 백색의 조합 또는 남색과 백색의 조합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 중에서 황색과 백색의 조합의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for long-term storage of kimchi, a combination of yellow and white or a combination of indigo and white is preferabl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of the combination of yellow and white is illustrated.

한편, 발광소자들의 배치에 있어서, 백색의 발광소자(331W,351W))들은 녹색과 황색의 발광소자(331G,351G,331Y,351Y)들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백색의 발광소자(331W.351W)는 김치의 조기숙성 모드나 장기보관 모드에서 공통으로 점등되는 소자로서, 녹색이나 황색의 발광소자(331G,351G,331Y,351Y)들과 조합하여 조사되기 때문에 이들과 서로 인접되는 것이 김치에 조합된 빛을 조사하기 유리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the white light emitting elements 331W and 351W are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green and yellow light emitting elements 331G, 351G, 331Y and 351Y. This is because the white light emitting devices 331W.351W are commonly lit in the early ripening mode or long-term storage mode of kimchi, and are irradiated in combination with the green or yellow light emitting devices 331G, 351G, 331Y, and 351Y. This is because adjacent to each other is advantageous to irradiate the light combined with kimchi.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331)는 보관되는 식품에 빛으로 골고루 조사할 수 있도록 빛의 조사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빛의 고른 조사를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331)는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원의 장축은 발광소자들의 배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331 preferably increases the irradiation angle of light so as to evenly irradiate the stored food with ligh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for even irradiation of light, the light emitting device 331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nd the long axis of the ellipse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11, the configuration of the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장치(510)는 전반적인 김치 냉장고의 동작을 입력하는 컨트럴 패널(500) 내에 위치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lection device 510 is located in the control panel 500 for inputting the operation of the overall kimchi refrigerator.

상기 선택장치(510)는 총 3개의 선택부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오프 선택부(511), 조기숙성 선택부(513), 장기보관 선택부(5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11은 상기 선택부들(511,513,515)이 버튼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The selection device 510 includes a total of three selection units, and specifically includes an off selection unit 511, an early ripening selection unit 513, and a long term storage selection unit 515. Meanwhile, FIG. 11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selection units 511, 513, and 515 are buttons.

상기 오프 선택부(511)는 상기 조사장치(330,350)를 오프하는 동작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조사장치(330,350)에 작동을 중지시킬 때 선택하게 된다.The off selector 511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ng an operation of turning off the irradiation apparatuses 330 and 350 and is selected when the operation of the irradiation apparatuses 330 and 350 is stopped.

상기 조기숙성 선택부(513)는, 김치의 조기숙성을 위한 조사장치의 동작을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선택부(513)의 선택에 따라 상기 조사장치(330,350)는 초기에 류코노스톡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관된 김치에 녹색과 백색을 포함하는 빛을 조합하여 조사한다.The early ripening selection unit 513 serves to select the operation of the irradiation device for the early ripening of kimchi, the irradiation device (330, 350) initially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the selection unit 513, Ryukonostock To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the stored kimchi is irradiated with a combination of green and white light.

상기 장기보관 선택부(515)는, 김치의 장기 보관을 위한 조사장치(330,350)의 동작을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선택부(515)의 선택에 따라 상기 조사장치는 발효 중반에 락토바실러스의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보관된 김치에 황색과 백색을 포함하는 빛을 조합하여 조사한다.The long-term storage selection unit 515 serves to select the operation of the irradiation device (330, 350) for long-term storage of kimchi, the irradi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lection unit 515 Lactobacillus in the middle of the fermentation In order to suppress maximally, irradiate a combination of light containing yellow and white to the stored kimchi.

한편,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며, 황색과 백색을 포함하는 빛의 조합에 의한 빛을 조사하여 락토바실러스를 최대한 억제함과 함께, 조기숙성 모드에 적용되는 녹색과 백색의 조합에 의한 빛을 황색과 백색 조합에 의한 조사시간의 약 1/7 정도의 시간 동안 조사하면 류코노스톡의 보호에 효과적이다는 것을 밝혀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inventors, by irradiating the light by the combination of light containing yellow and white to suppress the Lactobacillus to the maximum, the light by the combination of green and white applied to the early ripening mode and yellow and Irradiation for about 1/7 of the irradiation time by the white combina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protection of leukonostock.

이에 따라, 장기보관 모드에서 황색과 백색의 조합에 의한 빛, 황색과 백색 의 조합에 의한 빛을 주기적으로 전환하며 김치에 조사하는 것이 락토바실러스의 억제와 함께 류코노스톡의 보호에 바람직하다.Accordingly, in the long-term storage mode, it is preferable to protect the leuconosstock with the inhibition of Lactobacillus and to irradiate kimchi periodically by switching the light by the combination of yellow and white and the light by the combination of yellow and white.

도 11은 선택장치(510)가 버튼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선택레버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11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selection device 510 is formed of a button, it is also possible to be made by the rotation of the selection lever, and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조사장치(210,230)에 의한 김치의 발효 정도의 조절은, 기존 김치 냉장고의 고내 온도 제어와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adjustment of the fermentation degree of kimchi by the irradiation apparatus (210, 230) is preferably made in connection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existing kimchi refrigera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선택장치(51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발효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발광색의 빛을 조사하도록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에 대응하여 조사장치(330,350)가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lection device 51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selects to irradiate the light of different emission color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to switch the emission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by the irradiation device (330, 350) You can do i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사용자는 야채류나 육류 또는 김치를 보관하는 보관하고, 보관되는 식품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 조사장치는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면서 보관되는 식품에 단속적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First, the user stores vegetables, meat or kimchi, and irradiates light in the visible region to the stored food. At this time, the irradiation device is irradiated light intermittently to the food is stored while repeatedly on-off.

특히, 야채류나 육류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선택장치에 의해 보관되는 식품의 종류가 야채류인지 육류인지를 선택할 수 있어, 선택된 식품의 종류에 적합한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관되는 식품이 야채류인 경우에는 녹색과 백색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고, 보관되는 식품이 육류인 경우에는 적색과 남색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toring vegetables and meat,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the kind of food stored in the sele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vegetables or meat, so that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suitable for the type of food selected can be irradiated. . Specifically, when the stored food is vegetables, the combination of green and white light is irradiated, and when the stored food is meat, the combination of red and indigo blue is irradiated.

그리고 상기 조사장치의 전환동작과 연계하여, 보관실에 저장된 식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온도를 제어한다.And in connection with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rradiation device, the temperature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food stored in the storage room.

한편, 김치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백색의 빛을 포함한 복수 개의 빛을 조합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김치의 발효 정도를 조절한다.On the other hand, when storing kimchi, the degree of fermentation of kimchi is adjusted by irradiating light in the visible ray region by combining a plurality of lights including white light.

구체적으로, 발효의 과정에 따라 발효 초기에는 류코노스톡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는 녹색과 백색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고, 발효의 중반에는 락토바실러스의 증가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황색과 남색 중 어느 하나의 색과 백색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여, 김치의 발효 정도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발광색의 전환은 사용자가 조기숙성 또는 장기보관의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Specifically, depending on the process of ferment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fermentation is irradiated with a combination of green and white light that can increase the leuconosstock as much as possible, and in the middle of the fermentation any of the yellow and indigo blue that can suppress the increase of Lactobacillus as much as possible By irradiating a combination of one color and white light, the degree of fermentation of kimchi is controlled. The switching of the emission color is performed by the user selecting either early ripening or long term storage.

지금까지는 주로 보관실에 야채류와 육류 또는 김치가 보관되는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식품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류, 주류 등 다양한 종류의 식품이 적용될 수 있다.Up to now, the case where the vegetables and meat or kimchi is mainly stored in the storage room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es of food, various kinds of foods such as cereals, liquor can be applied.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조사장치를 반복적으로 온-오프시킴으로써, 식품의 신선도를 보다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김치의 발효 정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by repeatedly on-off the irradia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food for a longer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moothly control the degree of fermentation of kimchi.

둘째, 조사장치를 계속적으로 점등시키지 않고 반복적으로 온-오프시킴으로써, 발광소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저감하여 결과적으로 냉장고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Second, by repeatedly turning on and off without continuously turning on the irradiation device, the lifespa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extended, and the power consum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reduced, resulting in improved energy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셋째, 식품의 종류에 따라 해당 식품에 가장 적합한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조사장치에 의한 식품의 신선도 유지와 엽록소 농도저하 방지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Third, by irradiating the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most suitable for the foo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here is an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the food by the irradiation device and preventing the decrease in chlorophyll concentration.

넷째, 김치에 백색의 빛을 포함한 복수 개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함으로써, 김치의 발효 정도를 조절하여 김치를 조기에 맛있게 숙성시키고 오랫동안 맛을 유지시키는 이점이 있다.Fourth, by irradiating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ghts including white light to kimchi,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fermentation of kimchi has the advantage of ripening delicious kimchi early and maintain the taste for a long time.

Claims (11)

냉장고 본체;Refrigerator body; 상기 냉장고 본체 내에 구비되며, 각종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A storage room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body and storing various foods; 상기 보관실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조사장치;An irradiation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in a visible light region to the storage room; 상기 보관실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센서; 그리고An opening / clos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storage room is opened or closed; And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보관실이 폐쇄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조사장치를 반복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And a control device to repeatedly turn on / off the irradiation apparatus when the sensor senses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사장치는,The irradiation device,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Refrigerator comprising a light emitting diode (L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장치는,The control device, 상기 조사장치를 주기적으로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periodically turning the irradiation device on and off.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사장치는,The irradiation device, 상기 보관실에 복수 개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plurality of lights irradiat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조사장치는,The irradiation device, 상기 보관실에 보관되는 식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실에 서로 다른 조합에 의한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to irradiate the light to the storage compartment by a different combin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사장치는 상기 보관실 내에 야채류가 보관되는 경우에 녹색과 백색의 빛을 조합해서 조사하고, 상기 보관실 내에 육류가 보관되는 경우에 적색과 남색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irradiator is irradiated with a combination of green and white light when the vegetables are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rradiated with a combination of red and indigo light when the meat is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복수 개의 빛을 같은 주기로 각각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on-off at the same cy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007710A 2006-01-25 2006-01-25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8731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710A KR100873133B1 (en) 2006-01-25 2006-01-25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710A KR100873133B1 (en) 2006-01-25 2006-01-25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887A KR20070077887A (en) 2007-07-30
KR100873133B1 true KR100873133B1 (en) 2008-12-09

Family

ID=3850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710A KR100873133B1 (en) 2006-01-25 2006-01-25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1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8092B (en) * 2016-05-10 2018-03-23 吴杰阳 A kind of multifunctional refrig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51A (en) * 1992-06-25 1994-01-21 Matsushita Refrig Co Ltd Refrigerator
KR19980014162U (en) * 1996-08-31 1998-06-05 배순훈 Vegetable room of the refrigerator
JP2005065622A (en) * 2003-08-26 2005-03-17 Mbr:Kk Irradiation device for preserving veget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51A (en) * 1992-06-25 1994-01-21 Matsushita Refrig Co Ltd Refrigerator
KR19980014162U (en) * 1996-08-31 1998-06-05 배순훈 Vegetable room of the refrigerator
JP2005065622A (en) * 2003-08-26 2005-03-17 Mbr:Kk Irradiation device for preserving vege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887A (en) 2007-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5482A (en) Refrigerato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keeping food
KR100826202B1 (en) Kimchi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1949010B1 (en) Refrigerator
TWI299395B (en)
JP5082395B2 (en) refrigerator
EP1887297B1 (en) Refrigerator
JP4903485B2 (en) refrigerator
CN102782427A (en) Refrigerator
CN101487620B (en) Refrigerator
KR100821748B1 (en) A door for kimchi refrigerator
CN101085651A (en) Foodstuff preserving container, refrigerator with the same and foodstuff preserving method
KR100820817B1 (en) Kimchi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873133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820833B1 (en) Refrigerator
KR20070044943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keeping food using the same
CN1987311B (en) Freezer and method for storing food by using freezer
JP2008164219A (en) Refrigerator
KR100889114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298982B2 (en) refrigerator
JP2018054281A (en) Refrigerator,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and program
CN101085652A (en) Foodstuff preserving container, refrigerator with the same and foodstuff preserving method
KR100735694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70045483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keeping food
KR20070044945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keeping food using the same
KR20070044944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keeping fo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