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128B1 - 세탁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128B1
KR100873128B1 KR1020050033501A KR20050033501A KR100873128B1 KR 100873128 B1 KR100873128 B1 KR 100873128B1 KR 1020050033501 A KR1020050033501 A KR 1020050033501A KR 20050033501 A KR20050033501 A KR 20050033501A KR 100873128 B1 KR100873128 B1 KR 100873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fresh
washing
laundr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1257A (ko
Inventor
조흥명
안병환
최성봉
김혁덕
이득희
정성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12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1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5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phases,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06F2105/40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일반적인 의류의 세탁 및 상기 의류의 리프레쉬가 가능하며, 그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세탁물의 세탁 및/혹은, 건조가 수행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의 저부를 받치면서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되어 의류의 리프레쉬 운전이 수행되고, 그 조작에 의해 소정의 리프레쉬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리프레쉬부; 상기 세탁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세탁용 조작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탁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세탁용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리프레쉬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프레쉬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리프레쉬용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50033501
세탁 장치, 세탁부, 리프레쉬부, 세탁용 컨트롤러, 리프레쉬용 컨트롤러

Description

세탁 장치{laundry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 중 리프레쉬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리프레쉬부의 정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 중 리프레쉬부가 받침부의 외부로 취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 중 리프레쉬부의 사용을 위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 은 도 5의 Ⅰ-Ⅰ선 단면도
도 7 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310. 세탁부 120,220,320. 받침부
130,230,330. 리프레쉬부 131,231,331. 베이스
132,232. 스팀 생성기 133,233. 커버
134,234,334. 바디 140,240. 세탁용 컨트롤러
141,242. 세탁용 조작 패널 150,250. 리프레쉬용 컨트롤러
151,252.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 260. 수납부
261. 조작부 370. 컨트롤러부
371. 조작용 컨트롤 패널
본 발명은 의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등의 주름을 제거함과 더불어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리프레쉬부를 가지는 세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용 장치라 함은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기기로 써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등 많은 기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한 각종 의류용 장치 중 건조기는 세탁물이 일괄적으로 투입된 상태로 건조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엉켜진 부위에 대한 원활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건조기는 그 내부에서 장시간 보존될 경우 주름이 심화되어 반드시 다림질이 필요시되었던 불편함을 가지며, 의류 등의 보관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건조 용량을 확대하고, 장시간의 보관도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건조 장치에 대한 요구가 이루어졌으며, 미국특허출원공개 US2004/0194339 A1 및 US2004/0154194 A1과 같이 드럼식 건조기에 별도의 건조 캐비넷을 더 구비된 혼합식 건조기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혼합식 건조기는 회전되는 드럼을 가지는 일반적인 드럼식 건조기의 상측에 각종 세탁물의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열풍을 공급받는 건조 캐비넷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건조 기기이다.
이 때, 상기 건조 캐비넷은 상기 드럼식 건조기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그 내부에 수납되는 의류 등을 건조시키거나 장시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전술한 혼합식 건조기의 건조 캐비넷은 드럼식 건조기의 상측에 장착되기 때문에 그 높이의 한정이 필요시 되었으며, 이에 따라 옷을 걸어서 수납하기가 곤란하여 선반식으로 수납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물론, 전술한 혼합식 건조기에서는 긴 옷의 수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간은 드럼식 건조기의 내부 일측편 공간으로 요입되게 장착되어야만 하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드럼식 건조기의 좌우 폭이 커질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드럼식 세탁 장치(예컨대, 드럼식 세탁기 및 드럼식 의류 건조기 등)는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되지 않은 관계로 상기 세탁 장치의 저부에 별도의 받침대를 받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의 경우 상기 받침대의 높이만큼에 대한 공간의 낭비가 발생되었다.
물론, 기존에는 상기 받침대의 내부 공간을 수납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수납 공간에 대한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에 실효성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에 대한 단시간의 보관이 가능함과 더불어 그 보관시 해당 의류의 주름 제거와 살균 등의 리프레쉬가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리프레쉬부를 가지는 세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리프레쉬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구조가 상기 세탁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 환경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세탁물의 세탁 및/혹은, 건조가 수행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의 저부를 받치면서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되어 의류의 리프레쉬 운전이 수행되고, 그 조작에 의해 소정의 리프레쉬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리프레쉬부; 상기 세탁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세탁용 조작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탁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세탁용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리프레쉬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프레쉬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리프레쉬용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세탁물의 세탁 및/혹은, 건조가 수행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의 저부를 받치면서 내부가 빈 상태로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의 받침부; 상기 받침부 내에 서랍식으로 수납 및 취출되면서 상면이 개구된 상태로 그 내부에는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 내의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되어 의류의 리프레쉬 운전이 수행되고, 그 조작에 의해 소정의 리프레쉬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리프레쉬부; 상기 세탁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세탁용 조작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탁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세탁용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리프레쉬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프레쉬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리프레쉬용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세탁물의 세탁 및/혹은, 건조가 수행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의 저부를 받치면서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되어 의류의 리프레쉬 운전이 수행되고, 그 조작에 의해 소정의 리프레쉬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리프레쉬부; 그리고, 상기 세탁부 및 상기 리프레쉬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용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작용 컨트롤 패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세탁부 및 상기 리프레쉬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세탁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크게 세탁부(110)와, 받침부(120)와, 리프레쉬부(130)와, 세탁용 컨트롤러(140) 및 리프레쉬용 컨트롤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부(110)는 세탁물에 대한 세탁 및/혹은, 세탁된 세탁물의 건조가 수행되는 기기로써, 일반 세탁기와 건조겸용 세탁기 및 의류 건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탁부(110)가 드럼식 세탁기임을 그 예로 한 다. 물론, 상기 세탁부(110)는 건조겸용 세탁기 혹은, 의류 건조기일 수도 있다.
그리고, 세탁 장치를 구성하는 받침부(120)는 상기 세탁부(110)의 저부를 받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내부에는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세탁 장치를 구성하는 리프레쉬부(130)는 상기 받침부(120)의 수납 공간 내에 선택적으로 수납 혹은, 취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의류의 리프레쉬 운전이 수행되고, 그 조작에 의해 소정의 리프레쉬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첨부된 도 3은 상기 리프레쉬부(13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리프레쉬부(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상기 리프레쉬부(130)는 크게 베이스(131)와, 스팀 생성기(132)와, 커버(133)와, 바디(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프레쉬부(130)를 구성하는 베이스(131)는 세탁 장치를 이루는 받침부(120) 내에 서랍식으로 수납 및 취출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31)의 내부에는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저장부(131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31)의 둘레면에는 상기 물이 저장되는 공간 내부로 물의 투입을 수행하기 위한 투입구(131b)가 더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31b)와 상기 물저장부(131a) 사이에는 투입 유로(131c)가 더 형성되며, 또한, 상기 투입구(131b)에는 그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개폐 도어(131d)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투입구(131b)의 형성 위치는 대략 물저장부(131a)의 상면에 비해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저장된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레프레쉬부(130)를 구성하는 스팀 생성기(132)는 상기 베이스(131) 내부에 구비되어 리프레쉬 운전(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의류의 주름 제거와 살균 및 탈취 등을 수행하는 운전)에 사용될 스팀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스팀 생성기(132)는 상기 물저장부(131a) 내에 설치되어서 상기 물저장부(131a)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발열히터(13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열히터(132a)는 그 일단이 상기 베이스(131)의 물이 저장된 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그 타단인 단자가 형성된 측은 상기 물저장부(131a)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발열히터(132a)의 단자가 설치되는 부위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132b)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레쉬부(130)를 구성하는 커버(133)는 상기 베이스(131)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내부 역시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커버(133) 내의 공간 상에는 옷걸이를 걸기위한 홀더바(133a)가 더 구비되며, 상기 홀더바(133a)는 그 양단이 상기 커버(133)의 서로 대향되는 두 단변측 면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리프레쉬부(130)를 구성하는 바디(134)는 상기 베이스(131)와 상기 커버(133) 사이에 연결되고, 접힘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바디(134)는 그 펼쳐짐이 이루어질 경우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의류가 수납되는 소정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그 면상에는 상기 수납 공간의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134)의 수납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구조는 지퍼(Zipper)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탁 장치를 구성하는 세탁용 컨트롤러(140)는 상기 세탁부(11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세탁용 컨트롤러(140)는 상기 세탁부(1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세탁용 조작 패널(14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세탁용 조작 패널(141)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판독하여 그에 대응하는 각 구동부(예컨대, 모터나 각종 밸브 및 팬 등)(도시는 생략됨)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세탁용 조작 패널(141)은 상기 세탁부(110)의 외부면(바람직하게는 전면 상단)에 구비되며, 다수의 선택용 버튼(141a) 및/혹은, 조작 다이얼(141b)을 포함한다.
그리고, 세탁 장치를 구성하는 리프레쉬용 컨트롤러(150)는 상기 리프레쉬부(13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리프레쉬용 컨트롤러(150)는 상기 리프레쉬부(1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15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리프 레쉬용 조작 패널(151)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판독하여 그에 대응하는 발열히터(321)의 발열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151)은 상기 리프레쉬부(130)를 구성하는 베이스(131)의 전면에 구비되며, 다수의 선택용 버튼(151a) 및/혹은, 조작 다이얼(151b)을 포함한다.
이하, 전술한 일련의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최초 상태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리프레쉬부(130)가 받침부(120) 내에 수납된 상태이다.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을 수행하고자 한다면 세탁부(110)에 구비된 세탁용 조작 패널(141)을 통해 수행하고자 하는 세탁 운전이 선택되도록 조작한다.
이때, 세탁용 컨트롤러(140)는 상기 세탁용 조작 패널(141)의 조작시 발생된 조작 신호를 토대로 상기 세탁부(110)의 각 구동부 예컨대, 드럼을 회전키는 모터나 세탁수의 급수를 위한 급수밸브 등의 제어를 수행하면서 세탁 운전을 수행한다.
만일, 전술한 도 1 및 도 2와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간단한 의류 등의 리프레쉬 운전을 수행하고자 한다면, 먼저 받침부(120)로부터 상기 리프레쉬부(130)를 취출한다.
이는, 상기 리프레쉬부(130)를 구성하는 베이스(131)를 상기 받침부(120)의 전방으로 취출하면 된다. 이의 상태는 첨부된 도 4와 같다.
이때, 상기 취출된 리프레쉬부는 커버(133)가 베이스(131)의 상면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고, 바디(134)는 상기 커버(133)와 상기 베이스(131) 내에 접혀진 상태로 숨겨진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133)를 상기 베이스(131)로부터 개방시키면, 상기 바디(134)는 상기 커버(133)와 상기 베이스(131) 사이로부터 외부로 노출됨과 더불어 점차 펼쳐지게 된다.
이때,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바디(134)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바디(134)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지퍼를 조작하여 그 내부 공간을 개방한다.
이와 함께, 사용자는 리프레쉬하고자 하는 의류를 옷걸이에 건 후 상기 옷걸이를 커버(133) 내의 홀더바(133a)에 걸고 다시 지퍼를 조작하여 그 내부 공간을 폐쇄한다.
따라서, 상기 의류는 바디(134) 내에 수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의 상태에서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151)을 통해 리프레쉬부(130)의 운전을 위한 조작이 발생된다면 리프레쉬용 컨트롤러(150)는 상기 조작에 의해 발생된 조작 신호를 토대로 발열히터(132a)의 발열 제어를 수행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발열히터(132a)의 발열이 이루어지면서 베이스(131)의 물저장부(131a) 내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어 증발되고, 이러한 증발로 인해 스팀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생성된 스팀은 상기 베이스(13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하면서 바디(134) 내로 제공되고, 계속해서 상기 바디(134) 내에 위치된 의류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의류는 상기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주름 등이 제거되면서 결과적으로 리프레쉬가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의류가 수납되는 공간인 바디(134) 내의 공간은 협소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해당 의류의 리프레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단시간 보관하더라도 원활한 의류의 리프레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구조 중 리프레쉬부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부(130)의 구조와 같이 받침부(120)에 항상 장착된 상태로만 사용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리프레쉬부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부(120) 내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어야 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리프레쉬부만 별도로 분리하여 원하는 환경하(예컨대, 원하는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받침부(120)의 내부 공간을 별도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리프레쉬부는 별도의 사용이 가능하여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서는 리프레쉬부를 세탁부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받침부 내에 안정적으로 장 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리프레쉬부의 운전을 위한 조작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리프레쉬부를 세탁부와는 별도로 분리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 내의 공간이 수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리프레쉬부의 운전을 위한 조작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시하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우선, 상기한 장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첨부된 도 8 및 도 9와 같이 크게 세탁부(210)와, 받침부(220)와, 수납부(260)와, 리프레쉬부(230)와, 세탁용 컨트롤러(240) 및 리프레쉬용 컨트롤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세탁부(210) 및 받침부(220)의 구조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부(110)의 구조 및 받침부(120)의 구조와 동일하다.
즉, 상기 받침부(220)는 그 전면이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부(260)는 상기 받침부(220) 내의 공간상에 서랍식으로 수납 혹은, 취출되면서 그 내부에는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는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260)는 그 상면만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부(230)는 상기 수납부(260) 내의 수납 공간 내에 선택적으로 수납 혹은, 취출되도록 구비되며, 의류의 리프레 쉬 운전이 수행되고, 그 조작에 의해 소정의 리프레쉬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리프레쉬부(230) 역시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부(130)와 전반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부(230) 역시, 베이스(231)와, 스팀 생성기(232)와, 커버(233)와 바디(2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부(230)의 베이스(231)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부(130)의 베이스(131)와는 달리 수납부(260)와 별개의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 상태로써 상기 수납부(260) 내에 수납되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상기 리프레쉬부(230)를 세탁부(210)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260)에 수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리프레쉬부(230)를 별도로 분리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260)로부터 취출하여 그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용 컨트롤러(240)는 상기 세탁부(21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세탁용 컨트롤러(240)는 상기 세탁부(2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세탁용 조작 패널(24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세탁용 조작 패널(241)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판독하여 그에 대응하는 각 구동부(도시는 생략됨)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세탁용 조작 패널(241)은 상기 세탁부(210)의 외부면(바람직하게는 전면 상단)에 구비되며, 다수의 선택용 버튼(241a) 및/혹은, 조작 다이얼(241b)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용 컨트롤러(250)는 상기 리프레쉬부(23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리프레쉬용 컨트롤러(250)는 상기 리프레쉬부(2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25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251)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판독하여 그에 대응하는 발열히터(232a)의 발열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251)은 상기 리프레쉬부(230)를 구성하는 베이스(231)의 전면에 구비되며, 다수의 선택용 버튼(251a) 및/혹은, 조작 다이얼(251b)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구조는 리프레쉬부(230)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세탁부(210)와 일체화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세탁부(210)와는 별도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조 중 리프레쉬용 컨트롤러(250)의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251)은 베이스(231)의 외부면에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리프레쉬부(230)가 세탁부(210)와 일체화된 상태로 사용될 경우 즉, 수납부(260) 내에 수납되어 사용될 경우에는 그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야기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부(260)의 외부면 상에 상기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251)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261)가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261)는 상기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251)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다수의 선택용 버튼(261a) 및/혹은, 조작 다이얼(261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특히, 상기 조작부(261)의 각 선택용 버튼(261a) 및/혹은, 조작 다이얼(261b)의 위치는 수납부(260) 내로 리프레쉬부(230)가 장착될 때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251)의 각 선택용 버튼(251a) 및/혹은, 조작 다이얼(251b)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61)의 각 선택용 버튼(261a) 및/혹은, 조작 다이얼(261b)의 조작할 경우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치된 상기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251)의 선택용 버튼(251a) 및/혹은, 조작 다이얼(251b)이 동일하게 조작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부(230)가 세탁부(210)와 일체화된 상태로 사용될 경우 즉, 수납부(260) 내에 수납되더라도 상기 리프레쉬부(230)의 조작은 상기 조작부(261)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세탁부 (110,2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세탁용 컨트롤러(140,240)와, 리프레쉬부(130,2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리프레쉬용 컨트롤러(150,250)가 세탁부(110,210) 및 리프레쉬부(130,230)에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그 사용을 위한 조작상의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조 중 세탁용 컨트롤러와 리프레쉬용 컨트롤러를 제거하는 대신 상기 각 컨트롤러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여 구성한 별도의 컨트롤러부가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세탁부(310)와, 받침부(320)와, 리프레쉬부(330)와, 컨트롤러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부(310)와, 받침부(320)와, 리프레쉬부(330)의 구조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세탁부(110), 받침부(120) 및 리프레쉬부(130)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부(370)는 상기 세탁부(310) 및 상기 리프레쉬부(3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용 컨트롤 패널(37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작용 컨트롤 패널(371)의 조작에 따라 세탁부(310) 및 리프레쉬부(330)의 선택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조작용 컨트롤 패널(371)에는 세탁부(310)의 각 운전 조작을 위한 다수의 선택용 버튼(371a) 및/혹은, 조작 다이얼(371b)이 포함됨과 더불어 리프레쉬부(330)의 운전 조작을 위한 다수의 선택용 버튼(371c) 및/혹은, 조작 다이얼(371d)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특히, 상기 조작용 컨트롤 패널(371)은 상기 세탁부(310)의 외부면과 상기 리프레쉬부(330)를 구성하는 베이스(331)의 전면 중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용 컨트롤 패널(371)이 상기 세탁부(310)의 외부면에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때, 리프레쉬부(330)를 구성하는 스팀 생성기의 발열히터(332a)는 상기 컨트롤러부(370)의 직접적인 제어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조에 의해 조작용 컨트롤 패널(371)만을 조작하여 세탁부(310)와 리프레쉬부(330)를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부(37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컨트롤러부(370)가 조작용 컨트롤 패널(371)에 구비된 리프레쉬부(330)의 조작을 위한 각 선택용 버튼(371c)이나 조작 다이얼(371d)의 조작이 발생되었을 경우 조작부(261)의 각 선택용 버튼(261a) 및/혹은, 조작 다이얼(261b)이 조작되도록 제어하면 된다.
즉, 상기 조작부(261)의 각 선택용 버튼(261a) 및/혹은, 조작 다이얼(261b)이 조작될 경우 그에 일치되게 장착된 리프레쉬부(230)의 리프레쉬용 조작 패널(251)을 구성하는 각 선택용 버튼(251a) 및/혹은, 조작 다이얼(251b)이 조작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구성 중 리프레쉬부(130,230,330)를 구성하는 스팀 생성기(132,232)는 상기 리프레쉬부(130,230,330)에만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팀 생성기(132,232)는 세탁부(110,210,310)에 구비된 상태로 리프레쉬 운전에 사용될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리프레쉬부(130,230,330)의 바디(134,234,334) 내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세탁부(110,210,310) 및 상기 리프레쉬부(130,230,330) 모두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장치는 의류에 대한 단시간의 보관이 가능함과 더불어 그 보관시 해당 의류의 주름 제거와 살균 등의 리프레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세탁 장치는 세탁기 등을 받치는 받침부 내에 리프레쉬부가 일체로 혹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 장치는 리프레쉬부의 동작 제어 및 세탁부의 동작 제 어를 위한 조작 환경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상의 불편함이 해소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구조로 인해 단일의 조작용 컨트롤 패널로 세탁부 및 리프레쉬부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3)

  1. 세탁물의 세탁 또는 건조가 수행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의 저부를 받치면서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한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는 수납부가 구비된 받침부;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받침부에 일체로 장착되고, 선택적으로 펼쳐지면서 의류를 수용하여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리프레쉬부;
    상기 세탁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세탁용 조작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탁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세탁용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수납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레쉬부의 동작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쉬부는 상기 받침부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리프레쉬부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리프레쉬외면에 별도의 리프레쉬용조작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리프레쉬용조작패널은 상기 리프레쉬부가 상기 받침대 내부에 수납될 때 상기 수납부의 외면에 구비되는 조작부의 위치와 일치되면서 상기 리프레쉬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쉬부는 상기 받침부의 수납 공간 내에 일체로 장착되고,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커버,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연결됨과 더불어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그 펼쳐짐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프레쉬용조작패널은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세탁물의 세탁 또는 건조가 수행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의 저부를 받치면서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한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는 받침부;
    상기 수납 공간 수납되어 상기 받침부에 일체로 장착되고, 전방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펼쳐지면서 의류를 수용하여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리프레쉬부; 그리고,
    상기 세탁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탁부 및 상기 리프레쉬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용 컨트롤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용 컨트롤 패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세탁부 및 상기 리프레쉬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쉬부는 상기 받침부의 수납 공간 내에 일체로 장착되고,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커버,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연결됨과 더불어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그 펼쳐짐이 이루어질 경우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부에는
    리프레쉬 운전에 사용될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부에는
    리프레쉬 운전에 사용될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리프레쉬부의 바디 내로 제공하는 스팀 생성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KR1020050033501A 2005-04-22 2005-04-22 세탁 장치 KR100873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501A KR100873128B1 (ko) 2005-04-22 2005-04-22 세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501A KR100873128B1 (ko) 2005-04-22 2005-04-22 세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257A KR20060111257A (ko) 2006-10-26
KR100873128B1 true KR100873128B1 (ko) 2008-12-09

Family

ID=3762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501A KR100873128B1 (ko) 2005-04-22 2005-04-22 세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661B1 (ko) * 2005-04-22 2009-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734A (ko) * 2001-12-20 2004-08-12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천 용품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40086059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734A (ko) * 2001-12-20 2004-08-12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천 용품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40086059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257A (ko)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39037A1 (en) Laundr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134895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265602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841308B1 (ko) 세탁 장치
RU2432424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KR10160865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710221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13048B1 (ko) 리프레쉬 장치
KR20120022364A (ko) 세탁장치
KR100845843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73128B1 (ko) 세탁 장치
KR100808177B1 (ko) 리프레쉬 장치
KR20190137440A (ko) 의류처리장치
KR100813050B1 (ko) 리프레쉬 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 방법
KR100813049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41307B1 (ko) 세탁 장치
KR100808172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45844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80633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73129B1 (ko) 세탁 장치
KR100808173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755846B1 (ko) 리프레쉬 장치
KR20060095406A (ko) 세탁 장치
KR100891659B1 (ko) 리프레쉬 장치
KR20060095403A (ko) 세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