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789B1 - Method for designing ferroconcreted be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hav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signing ferroconcreted be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hav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789B1
KR100872789B1 KR1020070074389A KR20070074389A KR100872789B1 KR 100872789 B1 KR100872789 B1 KR 100872789B1 KR 1020070074389 A KR1020070074389 A KR 1020070074389A KR 20070074389 A KR20070074389 A KR 20070074389A KR 100872789 B1 KR100872789 B1 KR 100872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d concrete
output
window
designing
s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3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화구조
박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화구조, 박종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화구조
Priority to KR102007007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7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7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A computer legible recording medium is presented to design a reinforced concrete beam automatically by storing a program. According to a method for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analysis result data analyzed from an analysis program is brought(S10). A beam element list belonging to the denotation of each member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data is reassembled(S11). A member form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force and construction condition according to the denotation is set(S12). A dorsal root is design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member form according to the denotation(S14). The dorsal roo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utomatic design result(S15).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Method for Designing Ferroconcreted Be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hav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Method for designing ferroconcreted be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hav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해석 프로그램으로부터 가져온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철근콘크리트 보를 편리하고 손쉽게 설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signing reinforced concrete beam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and easily designing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data obtained from an existing analysis program. The invention include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일반적으로 건물용 구조는 보와 기둥으로 구성된 라멘형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라멘형식은 뛰어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예전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ramen type consisting of beams and columns is widely used for building structures. Ramen forms have been widely used for some time because of their excellent structural properties.

이러한 라멘형식에서 보를 설계하거나 도면을 표현하는 방법은 각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특히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배근 방식과 외국에서 사용 하는 배근 방식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보를 설계하기 위해 외국에서 사용되는 설계프로그램을 그대로 도입하더라도 실제 설계에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In such a ramen form, there are various ways of designing beams or representing drawings in different countries. In particula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reinforcement method mainly used in Korea and the reinforcement method used in foreign countries. Therefore, even if the design program used in foreign countries for the design of the beam is introduced as it is, there is a limit in applying it to the actual design.

보의 구조설계는 철근량의 계산방법이 단순한 반면에, 설계자의 판단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의지하기 보다는 테이블에 의한 수작업으로 보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In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beam,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rebar amount is simple, but the design of the beam is done by manual table work rather than relying on the program because much judgment of the designer is required.

하지만, 수작업으로 보의 설계를 할 경우, 설계용 단면력을 산출하는 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많은 데이터 가운데 중에서 최대값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실수 및 오류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when designing a beam by h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calculate the cross-sectional force for design, and many errors and errors occur in this process becaus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maximum value among many data.

또한 배근리스트를 작성하는 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배근리스트를 CAD 도면으로 옮기는 작업 역시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오류가 많이 발생하며, 이 오류를 바로잡기 위한 확인 작업까지 거쳐야 하므로 2중의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있다.In addition, it takes a lot of time to create the reinforcement list, and moving the reinforcement list to the CAD drawing also requires a lot of errors because it requires manual work, and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to correct the error. Effort is taking.

이에 본 발명자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를 종래의 구조해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얻은 해석 결과 데이터 또는 여기에 해석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 수행함으로써, 설계의 속도 및 효율을 높이고, 설계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른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automatically perform the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analysis result data obtained from a convention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 or analysis model data therein, thereby increasing the speed and efficiency of the design and preventing errors occurring in the design process. In order to propos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철근콘크리트 보를 설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signing reinforced concrete bea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철근콘트리트 보의 설계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을 방지하고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철근 콘트리트 보의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that can prevent errors that may occur when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made by hand and increase work efficiency.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은Reinforced concrete beam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해석 프로그램으로부터 해석된 해석 결과 데이터를 가져오는 단계;(A) retrieving the analysis result data analyzed from the analysis program;

(B) 상기 해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부재의 부호에 속하는 보요소 리스트를 재조합하는 단계;(B) recombining the beam element list belonging to the sign of each member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data;

(C) 상기 부호별로 자동 계산된 단면력과 시공 상황에 대응하는 부재형식을 설정하는 단계;(C) setting the member typ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force and construction situation automatically calculated for each sign;

(D) 상기 부호별로 상기 부재형식에 따라 배근을 자동 설계하는 단계; 및(D) automatically designing the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member type for each sign; And

(E) 상기 자동 설계 결과에 따라 배근을 조절하는 단계;(E) adjusting the muscles according to the automatic design result;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본 발명은 상기 단계 (A) 이후에,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A),

임의의 층을 묶어서 층그룹으로 설정하고, 그리고 동일한 층그룹에서 부호명 이 같은 보요소들은 동일한 요소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도 좋다.It may further comprise a step of grouping arbitrary layers into layer groups, and considering beam elements having the same code names in the same layer group as the same element.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보요소 리스트를 재조합하는 경우에 평면도창 또는 단위보 정보창으로부터 선택된 요소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주입력창의 부호 리스트에 올려 놓음으로써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를 제공한다.In the case of recombining the beam element list in step (B), the selected element from the floor plan window or the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can be changed by dragging and dropping it on the code list of the injection force window to be changed. to provide.

상기 보요소 리스트를 재조합하는 단계 전후에, 상기 보요소를 시작단(외단)/끝단(내단)으로 구분하여 설계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요소를 일괄적으로 내외단으로 자동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자동으로 구분하는 경우 부재의 단면력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efore and after recombining the beam element list, the beam element is designed by dividing the beam element into a start end (outer end) / end end (inner end); And automatically classifying the selected elements into inner and outer ends collectively, and in the case of automatic divis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cross-sectional force of the member.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수개의 보요소를 하나의 보요소로 자동을 묶어주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되, 자동으로 묶어주는 경우 상기 보요소의 부재각이 같고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요소만 선별하여 묶어주도록 하며, 상기 묶어준 보요소는 포함되어 있는 각 보요소의 길이와 위치를 분석하여 시점부터 스팬의 1/4 위치까지의 시작단, 스팬의 1/4 위치에서 3/4 위치까지의 중앙부 및 시픈의 3/4 위치에서 끝점까지의 끝단으로 구분하여 단면력을 재조합하여도 좋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tying the selected several beam elements into a single beam element, if the automatic bundle is to bundle only the elements that are the same angle of the beam elements and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he bundled beam elements are analyzed by the length and position of each beam element included in the starting point from the start point to the 1/4 position of the span, from the center of the 1/4 position to the 3/4 position of the span and the syrup. The cross-sectional force may be recombined by dividing the end from the 3/4 position to the end point.

본 발명에서 부재의 입력은, 상기 부재의 전체 단면을 동일하게 배근하는 전단면; 양단부를 동일하게 배근하고 중앙부는 다르게 배근하는 양단면; 및 내단, 중앙부, 외단으로 구분하여 배근하는 내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식으로 선택되고,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of the member, the front end face equally the entire cross section of the member; Both end faces of the same back and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other end; And an inner end divided into an inner end, a middle part, and an outer end, and selected in one for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전단면의 경우 부재당 하나의 입력단면을 두고, 상기 양단면의 경우 양 단면을 입력하는 부분과 중앙부를 입력하는 부분을 두며, 상기 내단의 경우 내단 중앙부, 외단으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부분을 두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end face has one input cross section per member, and the front end face has a part for inputting both cross sections and a part for inputting a central part. It is desirable to.

상기 부재형식은 자동으로 구분하여 주는 기능을 가지며, 자동으로 구분하는 경우에 보요소의 길이와 부재의 춤의 비가 작을 경우에는 전단면으로, 각 위치별 단면력과 소요철근량의 차이가 작을 경우에는 동일하게 묶어 주어도 좋다.The member type ha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dividing, and in the case of automatic division, if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beam element and the dance of the member is small, it is a shear surface,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ross-sectional force and the required reinforcing amount of each position is small, the same. You can also tie it up.

상기 부재형식을 자동으로 구분하는 경우 정모멘트에 의한 검증비는 하부철근 표시부 옆에, 부모멘트에 의한 검증비는 상부철근 옆에, 그리고 전단력에 의한 검증비는 전단력 출력위치 옆에 표시하여 작업의 편의를 제공한다.In the case of automatically classifying the member type, the verification ratio by the positive moment is displayed next to the lower reinforcing bar display portion, the verification ratio by the parent moment is next to the upper reinforcing bar, and the verification ratio by the shear force is displayed next to the shear force output position. Provide convenience.

하나의 부재에서 주근의 치수, 전단철근의 치수 및 스킨철근(복부철근)을 하나의 입력박스만으로 제공하고, 상기 입력박스에 하나의 값이 변경되면 전구간에 동일하게 변경되도록 하며, 상기 각 위치별 입력부분에는 배근 상황을 포함한 단면도를 표시하고, 상부에 최대/최소 모멘트와 적용전단력을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Provide the dimensions of the main bar, the size of the shear bar and skin reinforcement (abdominal reinforcing bar) in one input box with only one input box, and if one value is changed in the input box, the same change is made between the light bulbs. The input section may display a cross section including the reinforcement situation, and output the maximum / minimum moment and the applied shear force to the upper portion.

상기 입력창에는 입력 범위를 지정하여 두고, 사용자가 변경한 값이 지정한 범위 내에 들어오면 자동으로 계산하여 검증비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창의 데이터는 지정된 키의 입력에 의해 자동 복사하여 지정한 위치로 옮겨 주도록 한다.An input range is designated in the input window, and when the value changed by the user falls within the specified range, the calculation ratio is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the verification ratio is output. The data of the input window is automatically copied by the input of the designated key and moved to the designated position. Give it.

상기 단계 (A) 이후의 과정을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 주입력창, 단위보 정보창, 평면도 표시창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여도 좋다.When outputting the process after the step (A) on the screen, the injection force window, the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the plan view display window may be displayed on one screen.

상기 단위보 정보창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조건별로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정한 조건에는 요소번호, 검증비 및 선택부재로 이루어지고,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조건에 따라 실시간으로 자동 계산 및 갱신하도록 한다.The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can be output by sorting by a user-specified condition, and the specified condition includes an element number, a verification ratio, and a selection member, selected from a group, and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upd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ondition. do.

상기 상기 단위보 정보창과 평면도 출력창은 각 층별로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선택한 층그룹을 전부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평면도 출력창에서 층그룹에 속한 전체 층을 출력할 경우, 같은 하나의 보요소 위치에 동일하지 않은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재명이 아닌 특정의 기호로 표시하여 구분되도록 한다.The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and the plan view output window may be output for each floor, and the selected floor group may be output in full. When the entire floor belonging to the floor group is output from the plan view output window, In the case where one beam element is composed of members that are not the same, it is indicated by a specific symbol and not by the member name.

상기 평면도 출력창에 각 위치별 철근량을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부재형식이 내단/중앙부/외단으로 각각 구분되어 있는 경우, 보요소의 내/외단을 형상으로 표시해도 좋다.The rebar amount for each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plan view output window. When the member type is divided into inner end / center part / outer part, the inner / outer end of the beam element may be displayed in shape.

상기 단계 (E) 이후에, 최종 결과를 리스트 형태, 도면 형태 및 계산결과 보고서 출력 형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the step (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final result in at least one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ist form, a figure form and a calculation result report output form.

상기 리스트 형태 또는 도면 형태의 출력시, 기 부호명에 접두사를 붙여서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부재의 치수가 같고 철근량이 같을 경우 하나의 리스트로 묶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outputting the list form or the figure form, a prefix may be output by prefixing an existing code name, and when the dimensions of the members are the same and the amount of reinforcing bars is the sam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bundled into one list.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The invention include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종래의 해석 프로그램의 해석 결과 데이터 또는 이것과 모델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며, 수작업에서의 보설계 과정의 실수 및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 상황에 맞게 내외단의 구분, 인접보와의 철근 연결관계 확인하고 고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내진상세를 설계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data of the conventional analysis program or this and the model data together, it is simpler and faster, and can prevent mistakes and errors in the manual design process in the manual operation, an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ituation It provides the function to identify and consider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relation with the adjacent beams and has the effect of inventing the seismic details to be reflected in the design.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플로우차트이다.1 is an overall flowchart of a method for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은 단계 S10에서와 같이, 기존의 해석 프로그램으로부터 해석된 해석 결과 데이터를 가져오고, 이를 가공하여 사용한다. 이 해석 결과 데이터는 MIDAS, ETABS, neoMAX-3D 등 기존의 잘 알려진 해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생성된 해석 결과 데이터를 사용한다.As shown in FIG. 1, the method for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s an analysis result data analyzed from an existing analysis program, and processes the same as in step S10. This analysis result data uses analysis result data generated from existing well-known analysis programs such as MIDAS, ETABS and neoMAX-3D.

단계 S10에서, 해석 결과 데이터를 층그룹별로 묶어주기 위해 층그룹을 지정해 준다. 즉, 임의의 층을 묶어서 하나의 층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주입력창에는 1층부터 5층까지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아울러, 설계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가로 입력받는 과정을 거친다. 추가로 입력받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철근과 콘크리트의 강도, 철근의 치수 및 피복두께, 내진 규정의 적용유무 등이 있다. 이 과정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는 설계과정에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동일한 층그룹에 속한 부재중 부호명이 동일하면 동일한 부재 로 취급하여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In step S10, a layer group is designated to bundle the analysis result data for each layer group. In other words, an arbitrary layer is bundled and set as one layer group. The injection force window shown in FIG. 2 illustrates the designation of one group from the first floor to the fifth floor. In addition, the process of receiving additional data required for design. Additional input data includes, for example, the strength of reinforcing bars and concrete, the dimensions and covering thickness of reinforcing bar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eismic requirements. Data input in this process can be changed during the design process. On the other hand, if the code names of the members belonging to the same layer group are the same, they can be treated as the same member and designed.

이렇게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요 철근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초기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이후의 설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Based on the input data, the required rebars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set as initial values so that they can be used in future designs.

한편, 단계 S10에서, 해석 결과 데이터를 가져온 이후에 해석 프로그램의 모델 데이터를 함께 가져오거나, 설계 과정 중에서 변경된 단면력을 가져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10, after importing the analysis result data, the model data of the analysis program may be imported together, or the cross-sectional force obtained during the design process may be further included.

다음 단계 S11은, 각 부재의 부호에 속한 보요소들을 재조합하는 단계이다. 해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부호별 보요소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으나, 해석 프로그램에서 부호별 요소리스트를 변경하는 과정은 불편하므로, 직접 재조합 할 수 있도록 한다. 부호별 보요소 리스트의 변경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화면 표시상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평면도 표시창(도 4 참조)에 실시간으로 변경 내용을 적용하여 평면도를 갱신하면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평면도 표시상에서 수직으로 같은 요소라인 중 부재가 다른 것이 있는 경우에는 특정의 기호로 표시함으로써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step S11 is a step of recombining the beam elements belonging to the sign of each member. Although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code element list by code from the analysis program, the process of changing the element list by code in the analysis program is inconvenient, so that it can be directly recombined. In order to conveniently change the list of beam elements by code, it is possible to change by drag and drop on the screen display and update the floor plan by applying the changes in real time to the floor plan display window (see FIG. 4). This allows the user to visually check. At this time, when there are different members among the same element lines perpendicular to the plan view, it is preferable to distinguish them by displaying them with a specific symbol.

이 단계 S11에서, 부호별 보요소 리스트를 재조합하는 단계 전후에 부재 요소별로 내/외단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때, 평면도 표시창(도 4 참조)에 내/외단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를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선택된 요소들을 일괄적으로 내외단을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며, 자동으로 구분하는 경우 부재의 단면력을 이용하여 구분해 준다.In this step S11, before and after the step of recombining the code element list by code, it is possible to designate the inner / outer groups for each element and to make changes possible. In this case, a display for distinguishing the inside / outside may be output together on the plan view display window (see FIG. 4)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ame. The selected elements can be automatically and internally separated in batches, and in the case of automatic classification, they are classified using the cross-sectional force of the member.

통상 해석과정에서는 보요소를 절점단위로 구분하여 사용하나, 설계의 경우 부재(부호)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수의 보요소를 하나의 보요소로 묶을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선택된 보요소 중에서 동일 부재각을 가지는 요소만 같은 요소로 묶어 주도록 한다. 다수의 보요소를 하나의 보요소로 묶어줄 때 묶어주기 전의 보요소의 위치를 분석하여 단면력을 시작단(외단), 중앙부, 끝단(내단)으로 재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nalysis process, beam elements are divided and used in node units, but in the case of design, they are composed of member (sign) units so that multiple beam elements can be grouped into one beam element. At this time, only the elements having the same member angle among the selected beam elements are bundled into the same element. When bundling a plurality of beam elements into a single beam element, it is preferable to analyze the position of the beam element before bundling so that the cross-sectional force is recombined into the start (outer), center, and end (inner end).

이러한 과정을 화면에 표시하는 데 있어서, 층그룹별 부재의 각 변수를 입력할 수 있는 주입력창(도 2 참조)과 단위보 정보창(도 3 참조), 평면도 표시창(도 4 참조)을 하나의 화면에 나타내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화면 좌측에 주입력창을, 우측 상단에 단위보 정보창을, 우측 하단에 평면도 표시창을 표시해 주는 것이다.In displaying such a process on the screen, a single injection force window (see FIG. 2), a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see FIG. 3), and a plan view display window (see FIG. 4) that allow input of each variable of each floor group member are provided. It is desira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by displaying on the screen. For example, the injection force window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the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is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side, and the plan view display window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ide.

본 단계 S11은, 각 데이터가 재조합에 의해 변경될 경우에 그에 따라 다른 데이터가 자동으로 재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계산된 결과의 검증비는 숫자로 표현하되, 검증비가 1.0 이하일 경우에는 푸른색으로, 1.0 을 초과하면 붉은색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This step S11 includes a process of automatically recalculating other data when each data is changed by recombination. Verification ratios of the calculated results are expressed in numbers, but when the verification ratio is less than 1.0, the verification ratio may be visually distinguished, such as blue.

단위보 정보창(도 3 참조)에는 "요소번호", "검증비", "선택된 요소" 등의 항목을 두고, 선택된 항목의 조건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refer to FIG. 3), items such as "element number", "validation ratio", "selected element", and the like are preferably arranged so as to be displayed in alignment with the conditions of the selected item.

상기 평면도 출력창(도 4 참조)에 각 위치별 철근량을 표시함으로써 철근의 연속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재형식이 내단/중앙부/외단으로 각각 구분되어 있는 보요소의 경우에는, 보요소의 내/외단을 형상으로 표시하여 내/외단의 지정 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By displaying the rebar amount for each position in the plan view output window (see FIG. 4),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continuity of the rebar.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eam element is divided into the inner end / the center / the outer end of the member type, the inner / outer end of the beam element is displayed in the shape so that it is easy to check the designation status of the inner / outer ends.

상기 단위보 정보창과 평면도 출력창은 각 층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층그룹을 전부 출력할 수도 있다. 평면도 출력창에서 층그룹에 속한 전체층을 출력할 경우, 같은 하나의 보요소 위치에 동일하지 않은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정의 기호로 표시함으로써 구분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The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and the plan view output window may be output for each floor.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ll selected layer groups. When outputting the entire floor belonging to the floor group from the floor plan output window, if the same beam element is composed of unequal members, i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by displaying with a specific symbol.

다음 단계 S12는 부재형식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부재 형식은 부재의 전체 구간에 걸쳐 동일하게 배근하는 전단면; 양단면을 동일하게 배근하고 중앙부는 다르게 배근하는 양단면; 내단, 중앙부, 외단으로 구분하여 배근하는 내단의 세가지 형식으로 설정한다. 전단면일 경우 부재(부호)당 하나의 입력 단면을 두고, 양단면의 경우에는 양단면을 입력하는 부분과 중앙부를 입력하는 부분을 두며, 각 부분을 분리하여 설계할 경우에는 내단, 중앙부, 외단을 분리하여 입력하는 부분을 두는 것이다.Next step S12 is to set the member type. The member type includes a shear surface that is equally absent throughout the entire section of the member; Both end faces are equally arranged in both sides and the middle part is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The inner end, center part, and outer end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inner end. In case of the shear surface, there is one input cross section per member (sign), and in the case of both end surfaces, there is a part for inputting both end faces and a part for inputting the central part. It is to separate the input sec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위 3가지 형식의 부재형식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때 자동 설정 방법으로는 부재의 춤과 부재의 길이의 비, 부재의 단면력과 소요철근량을 이용하여 자동 계산을 통해 3가지 형식 중 적절한 형식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정모멘트에 의한 검증비는 하부철근 표시부 옆에, 부모멘트에 의한 검증비는 상부철근 옆에, 그리고 전단력에 의한 검증비는 전단력 출력위치 옆에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설계 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et the above three types of member types, in which the automatic setting method using the ratio of the dance of the member and the length of the member, the cross-sectional force of the member and the required reinforcement amount is calculated automatically To set the appropriate one automatically. In addition, when the verification ratio by the positive moment is displayed next to the lower reinforcing bar display portion, the verification ratio by the parent moment is next to the upper reinforcing bar, and the verification ratio by the shear force is next to the shear force output position, it may provide a user's design convenience. Can be.

하나의 부재에서 주근의 치수, 전단철근의 치수 및 스킨철근(복부철근) 하나의 입력박스만으로 제공하여, 이 곳에 하나가 입력되면 전구간에 동일하게 적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각 위치별 입력부분에는 배근 상황을 포함한 단면도를 표시하고 상부에 최대/최소 모멘트와 전단력을 출력하도록 한다.In one member, the dimensions of the main bar, the size of the shear bar, and the skin bar (abdominal reinforcing bar)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input box. In the input part of each position, the cross section including the reinforcement situation is displayed and the maximum / minimum moment and shear force are output on the upper part.

입력창에는 입력 범위를 지정하여 두고, 사용자가 변경한 값이 지정한 범위 내에 들어오면 자동으로 계산하여 검증비를 출력하도록 한다. 입력창의 데이터는 지정 키의 입력에 의해 자동 복사하여 지정한 위치로 옮겨 주도록 하여도 좋다.The input range is designated in the input window, and when the value changed by the user falls within the specified range, it automatically calculates and outputs the verification ratio. Data in the input window may be automatically copied by input of a designated key and moved to the designated position.

다음 단계 S13에서, 지정된 부재형식에 따라 설계할 부재를 선택하고, 그 다음 단계 S14에서 선택된 부재의 배근을 자동 계산함으로써 설계를 수행한다.In the next step S13, the member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member type, and the design is performed by automatically calculating the reinforcement of the member selected in the next step S14.

다음 단계 S15에서, 상기 자동 설계에 따라 배근이 지정되면, 사용자는 이 배근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검증비, 설계제한, 철근량, 외부의 상세 설계기능 내보내기를 이용하여 배근을 조정하고, 해당 부호(부재)에 대한 설계를 완료한다. 그 다음 단계 S13으로 다시 돌아가 다른 부재에 대한 설계를 다시 수행한다. 설계할 모든 부재에 대한 설계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In the next step S15, when the back muscles are designated according to the automatic design, the user can adjust the back muscles. 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is adjusted by using the verification ratio, design restriction, rebar amount, and external detailed design function export, and the design for the corresponding code (member) is completed. The process then returns to step S13 to re-design the other members. The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design for all members to be designed is completed.

설계가 완료되면, 다음 단계 S16에서 최종 출력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출력의 형태는 리스트 출력(S161)(도 5 참조), 도면 출력(S162)(도 6 참조), 계산 결과 보고서 출력(S163)의 형태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 출력은 배근 리스트를 출력하고, 도면 출력은 CAD 형식의 도면을 출력하며, 계산 결과 보고서는 최종 계산 결과를 요약한 요약 계산결과 보고서의 형태로 출력하는 것이다.When the design is complet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final output step in the next step S16. The output may be performed in the form of a list output S161 (see FIG. 5), a drawing output S162 (see FIG. 6), and a calculation result report output S163. For example, the output of the list outputs a list of muscles, the output of a drawing outputs a drawing in CAD format, and the calculation result report is output in the form of a summary calculation result report summarizing the final calculation result.

이 때, 배근 리스트와 도면 출력은 층그룹별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부호 명 앞에 접두어를 붙일 수 있도록 하고, 부재의 치수와 배근이 같을 경우 동일한 리스트로 묶어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output the bar list and the drawing output by layer groups, add a prefix before the code name, and output the result list by grouping the same list when the size of the member and the bar are the same.

아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균등 범위의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Modifications or variations of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may be readily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ll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ar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플로우차트이다.1 is an overall flowchart of a method for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 중 주입력창에 대한 예시도이다.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the injection force window of th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designing the reinforced concre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 중 단위보 정보창에 대한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of a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of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method of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 중 평면도 표시창에 대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of a plan view display window of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method of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 중 리스트 형태의 출력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of a list form output screen in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 중 도면 형태의 출력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of the output screen in the form of a view of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A) 해석 프로그램으로부터 해석된 해석 결과 데이터를 가져오는 단계;(A) retrieving the analysis result data analyzed from the analysis program; (B) 상기 해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부재의 부호에 속하는 보요소 리스트를 재조합하는 단계;(B) recombining the beam element list belonging to the sign of each member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data; (C) 상기 부호별로 단면력과 시공 상황에 대응하는 부재형식을 설정하는 단계;(C) setting the member typ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force and the construction situation for each code; (D) 상기 부호별로 상기 부재형식에 따라 배근을 자동 설계하는 단계; 및(D) automatically designing the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member type for each sign; And (E) 상기 자동 설계 결과에 따라 배근을 조절하는 단계;(E) adjusting the muscles according to the automatic design result;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Reinforced concrete beam desig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후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fter step (A), 임의의 층을 묶어서 층그룹으로 설정하고; 그리고Grouping any layers into layer groups; And 동일한 층그룹에서 부호명이 같은 보요소들은 동일한 부재로 간주하는;Beam elements having the same code name in the same layer group are regarded as the same member;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Reinforced concrete beam desig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보요소 리스트를 재조합하는 경우에 평면도창 또는 단위보 정보창으로부터 선택된 요소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주입력창의 부호 리스트에 올려놓음으로써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recombining the beam element list in the step (B), the element selected from the plan view window or the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can be changed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element onto the code list of the injection force window to be changed. Desig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요소 리스트를 재조합하는 단계 전후에,According to claim 3, Before and after the step of recombining the complement element list, 상기 보요소를 시작단(외단)/끝단(내단)으로 구분하여 설계하고; 그리고Designing the beam element into a start end (outer end) / end end (inner end); And 상기 선택된 요소를 일괄적으로 내외단으로 자동 구분해 주는;Automatically classifying the selected elements into inner and outer ends in a batch;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동으로 구분하는 경우 부재의 단면력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The method of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is made, using the cross-sectional force of the member when automatically distinguish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수개의 보요소를 하나의 보요소로 묶어주도록 하되, 상기 보요소의 부재각이 같고 같은 선상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요소만 선별하여 묶어주도록 하며, 상기 묶어준 보요소는 포함되어 있는 각 보요소의 길이와 위치를 분석하여 시점부터 스팬의 1/4 위치까지의 시작단, 스팬의 1/4 위치에서 3/4 위치까지의 중앙부 및 시픈의 3/4 위치에서 끝점까지의 끝단으로 구분하여 단면력을 재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lected beam elements are bundled into one beam element, and only the elements having the same angle of the beam element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same line are selected and bundled. Analyze the length and position of each included beam element, starting from the start point to the quarter position of the span, from the center of quarter to 3/4 of the span, and the endpoint at the third quarter of the syrup. Reinforced concrete beam design method characterized by recombining the cross-sectional force by dividing by the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C), 상기 부재의 전체 단면을 동일하게 배근하는 전단면; 양단부를 동일하게 배근하고 중앙부는 다르게 배근하는 양단면; 및 내단, 중앙부, 외단으로 구분하여 배근하는 내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식으로 선택되고,A shear surface that reinforces the entire cross section of the member equally; Both end faces of the same back and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other end; And an inner end divided into an inner end, a middle part, and an outer end, and selected in one for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전단면의 경우 부재당 하나의 입력단면을 두고, 상기 양단면의 경우 양단면을 입력하는 부분과 중앙부를 입력하는 부분을 두며, 상기 내단의 경우 내단 중앙부, 외단으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부분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In the case of the front end, one input cross section is provided per member, and in the case of the both end surfaces, a part for inputting both end faces and a center input part is provided. For the inner end, a part for inputting is divided into an inner end center part and an outer end. Reinforced concrete beam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형식은 자동으로 구분하여 주는 기능을 가지며, 자동으로 구분하는 방법은 보요소의 길이와 부재의 춤의 비가 작을 경우에는 전단면으로, 각 위치별 단면력과 소요철근량의 차이가 작을 경우에는 동일하게 묶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ember type ha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distinguishing, and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method is a shear surface when the length of the beam element and the dance of the member is small, and the cross-sectional force of each position and the required rebar amount are If the difference is small, the method of designing reinforced concrete beam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ti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형식을 자동으로 구분하는 경우 정모멘트에 의한 검증비는 하부철근 표시부 옆에, 부모멘트에 의한 검증비는 상부철근 옆에, 그리고 전단력에 의한 검증비는 전단력 출력위치 옆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in the case of automatically classifying the member type, the verification ratio by the positive moment is next to the lower reinforcing bar display portion, the verification ratio by the parent moment is next to the upper reinforcing bar, and the verification ratio by the shear force is the shear force output position. A method of designing reinforced concrete beams, which is displayed next to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하나의 부재에서 주근의 치수, 전단철근의 치수 및 스킨철근(복부철근)을 하나의 입력박스만으로 제공하고, According to claim 6, In one member the dimensions of the main bar, the shear reinforcing bar and skin reinforcement (abdominal reinforcement) is provided in only one input box, 상기 입력박스에 하나의 값이 변경되면 전구간에 동일하게 변경되도록 하며,When one value is changed in the input box, the same is changed between all bulbs. 상기 각 위치별 입력부분에는 배근 상황을 포함한 단면도를 표시하고,In the input portion for each position is shown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the reinforcement situation, 상부에 최대/최소 모멘트와 적용전단력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A method of designing reinforced concrete beam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maximum / minimum moment and applied shear force to an upper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입력창에는 입력 범위를 지정하여 두고, 사용자가 변경한 값이 지정한 범위 내에 들어오면 자동으로 계산하여 검증비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창의 데이터는 지정된 키의 입력에 의해 자동 복사하여 지정한 위치로 옮겨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n input range is designated in the input window, and when the value changed by the user is within the specified range, the calculation ratio is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the verification ratio is output, and the data in the input window is automatically copied by input of the designated key. Reinforced concrete beam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move to a specifie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후의 과정을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 주입력창, 단위보 정보창, 평면도 표시창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The method of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process after the step (A) is output on the screen, the injection force window, the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and the plan view display window are displayed on one scree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보 정보창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조건별로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건에는 요소번호, 검증비 및 선택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건에 따라 실시간으로 자동 계산 및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is arranged so as to be output by sorting by a user-specified condition, wherein the condition includes an element number, a verification ratio and a selection member, and automatically calculates and update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ondition. Reinforced concrete beam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단위보 정보창과 평면도 출력창은 각 층별로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선택한 층그룹을 전부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평면도 출력창에서 층그룹에 속한 전체층을 출력할 경우, 수직으로 같은 위치에 존재하는 보요소들의 부호명이 같을 경우에는 부호명을 출력하고, 부호명이 동일하지 않은 요소로 되어 있는 경우에 특정의 기호로 표시하며, 단일 층이 선택되어 있을 경우에는 부호명과 보요소번호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unit beam information window and the plan view output window can be output for each floor, it is possible to output all of the selected layer group, all floors belonging to the floor group in the floor plan output window If the code names of the beam elements that exist at the same position vertically are the same, the code names are output. If the code names are elements that are not the same, they are displayed with a specific symbol, and a single layer is selected. In the case of designing a reinforced concre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code name and the beam element numb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도 출력창에 각 위치별 철근량을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부재형식이 내단/중앙부/외단으로 각각 구분되어 있는 경우, 보요소의 내/외단을 형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ebar amount of each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plan view output window, and when the member type is divided into inner end / center part / outer part, the inner / outer end of the beam element is displayed in a shape. Desig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be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 이후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fter step (E), 최종 결과를 리스트 형태, 도면 형태 및 계산결과 보고서 출력 형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And outputting the final result by at least one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ist form, a drawing form, and a calculation result report output for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형태 또는 도면 형태의 출력시, 기 부호명에 접두사를 붙여서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부재의 치수가 같고 철근량이 같을 경우 하나의 리스트로 묶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방법.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when outputting the list form or the drawing form, a prefix may be output by prefixing the code name, and when the members have the same dimensions and the same reinforcing bars, the reinforced concrete is bundled into a single list. How to design a beam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KR1020070074389A 2007-07-25 2007-07-25 Method for designing ferroconcreted be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hav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8727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389A KR100872789B1 (en) 2007-07-25 2007-07-25 Method for designing ferroconcreted be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hav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389A KR100872789B1 (en) 2007-07-25 2007-07-25 Method for designing ferroconcreted be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hav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789B1 true KR100872789B1 (en) 2008-12-09

Family

ID=4037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389A KR100872789B1 (en) 2007-07-25 2007-07-25 Method for designing ferroconcreted be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hav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7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992A (en) 2017-12-01 2019-06-11 김승원 Method for performing structural design or review of composite beam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995A (en) * 2000-04-04 2000-07-05 이강준 Internet system for forwarding a solution used for architecture or civil engineering
KR20000064125A (en) * 2000-08-23 2000-11-06 이기웅 System to make virture house with simulation on internet
KR20050063217A (en) * 2003-12-22 2005-06-28 박홍근 Method of designing rc members using direct inelastic strut-tie mod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995A (en) * 2000-04-04 2000-07-05 이강준 Internet system for forwarding a solution used for architecture or civil engineering
KR20000064125A (en) * 2000-08-23 2000-11-06 이기웅 System to make virture house with simulation on internet
KR20050063217A (en) * 2003-12-22 2005-06-28 박홍근 Method of designing rc members using direct inelastic strut-tie mode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992A (en) 2017-12-01 2019-06-11 김승원 Method for performing structural design or review of composite beam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54968B (en) Prestressed concrete continuous beam design method based on BIM technology
KR102170989B1 (en) Reinforcing bar classification code usage system and its application method for effective BIM
EP0814420B1 (en) Interactive cad apparatus for designing packaging of logic circuits
CN110162856B (en) Intelligent beam stirrup generation method based on dynamo
JP6991833B2 (en) Causal relationship model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CN106096138A (en) A kind of reliability Global sensitivity analysis method based on chaos polynomial expansion
KR101274053B1 (en) Method for analyzing drawing file to estimate the amount of material for reinforced concrete frame construction
KR100872789B1 (en) Method for designing ferroconcreted be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hav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103258300A (en) Method for designing cable bridge in cable passage of thermal power plant
Mak et al. A simulat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production lot size and its interaction with operator competence on manufacturing system performance
Edali et al. A mathematical model of the beer game
Huang et al. Discretized cell modeling for optimal facility layout plans of unequal and irregular facilities
JP2010209576A (en) Bridge design program
CN110942239A (en) Automatic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for actual engineering progress
KR100903194B1 (en) Method for Designing and Calculating Wall Structure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hav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1041884B1 (en) Method and system on construction cost data processing using net cost information of detailed construction space and item
KR100400511B1 (en) Method of analysis and control of construction drawing using computer
CN111241644B (en) Reinforcing bar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board drawing and computer storage medium
Sampaio et al. Analysis of BIM implementation in structural projects
Mousavian et al. Automated detailing and stability analysis of under-construction masonry vaults
JP2002332689A (en) Optimum section setting program
KR101002988B1 (en) Method and system on construction cost data processing
Ellwanger Floors number influence on the instability parameter of reinforced concrete wall-or core-braced buildings
Ribeiro et al. Reliability analysis of slender columns using the general method with linear creep theory
JP4247160B2 (en) Support priority decis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existing bri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