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087B1 - 오폐수처리용 접촉여재 유닛 - Google Patents

오폐수처리용 접촉여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087B1
KR100872087B1 KR20080034083A KR20080034083A KR100872087B1 KR 100872087 B1 KR100872087 B1 KR 100872087B1 KR 20080034083 A KR20080034083 A KR 20080034083A KR 20080034083 A KR20080034083 A KR 20080034083A KR 100872087 B1 KR100872087 B1 KR 100872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medium
installation frame
connecting means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3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3719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7208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이앤씨
Priority to KR20080034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1Arranged-type packing, e.g. stacks, arr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시설의 내부에 설치되고 미생물이 붙어 번식하면서 오폐수를 정화토록 된 접촉여재에 관한 것으로, 로프형의 접촉여재를 미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여러 개를 준비하고 이러한 접촉여재의 양단을 각각 연결용 부재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상하 두 개의 연결용 부재의 사이에 접촉여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형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시공을 할 때 설치용 틀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용 부재의 끝을 고정시켜 주는 동작만으로 시공이 완료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정화조, 오폐수 정화, 접촉여재, 접촉여재 유닛, 연결끈

Description

오폐수처리용 접촉여재 유닛{Contact filteration means unit for treating sewage}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시설의 내부에 설치되고 미생물이 붙어 번식하면서 오폐수를 정화토록 된 접촉여재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접촉여재를 시공하기 매우 편리하게 유닛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오폐수처리시설에는 미생물이 번식하도록 하여 오폐수를 산화 분해하여 처리하고 있는데, 이러한 미생물은 접촉여재에 부착되어 서식하게 된다.
접촉여재는 그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여재는 길이가 긴 로프형의 심재에 많은 접촉실이 연속으로 반복형성된 형태의 것이다.
이러한 로프형의 접촉여재를 시공하는 종래의 과정을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먼저 금속재질의 파이프나 앵글 등을 이용하여 접촉여재를 설치할 틀(22)을 만들어 주는데, 상기 설치용 틀(22)의 상하부에 여러 개의 설치봉(23)을 연속으로 구성한 후 이러한 설치봉(23)을 이용하여 접촉여재(30)를 상하로 반복하여 걸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접촉여재 설치방법에 의하면 매우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는데, 매우 길이가 긴 접촉여재를 준비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설치봉의 상하부에 걸쳐주는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힘든 작업이 될 수밖에 없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 접촉여재가 설치봉의 일정한 위치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봉에는 접촉여재를 걸어줄 걸고리(24)가 연속으로 형성하여야 했는데, 이 또한 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것이고 특히 시공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중대한 문제점으로 인식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접촉여재를 오폐수처리시설의 내부에 시공하는 과정에 있어서, 설치용 틀에 설치봉이나 설치용 고리를 형성할 필요 없이도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가 가능토록 하고, 종래에 비하여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접촉여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에 따르는 시간을 절감하고 시공에 따르는 비용도 절감토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로프형의 접촉여재를 미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여러 개를 준비하고 이러한 접촉여재의 양단을 각각 연결용 부재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상하 두 개의 연결용 부재의 사이에 접촉여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형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시공을 할 때 설치용 틀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용 부재의 끝을 고정시켜 주는 동작만으로 시공이 완료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연결용 부재를 설치용 틀에 고정시키는 동작만으로 시공이 완료되므로 시공에 필요한 시간이 매우 단축되고 인력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설치용 틀을 구성시에도 종래 설치방법에 의해 필요하였던 설치봉과 설치봉의 고리가 필요 없이 구성되므로 그러한 설치용 틀의 제조에 따른 비용과 시간도 절감할 수 있는 등 결국 시공업체들에게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뛰어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촉여재 유닛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접촉여재 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접촉여재 유닛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접촉여재 유닛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접촉여재 유닛(1)은 오폐수처리시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접촉여재 설치용 틀(2)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설치용 틀(2)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끝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부와 하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연결수단(10)(10')과, 상기 연결수단(10)(1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접촉여재(11)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10)(10')은 직물이나 필름 등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면서 연결되는 접촉여재(11)들의 중량을 버틸 수 있는 인장력을 갖는 것으로 선택하고, 접촉여재(11)를 연결수단(10)(10')에 고정하는 수단으로는 박음질이나 핀, 고리 등 공지된 수단을 이용하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연결수단(10)(10')의 폭을 절반으로 접으면서 접촉여재(11)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한 뒤 박음질로서 일체화 되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수단(10)(10')의 양 끝단에는 설치용 틀(2)에 연결수단을 직접 묶을수 있도록 접촉여재(11)를 연결하지 않은 고정부(12)를 구성하였다.
도면 중 미설명된 부호 11a는 접촉여재의 심재, 13은 박음질 선 100은 오폐수처리시설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여 오폐수처리시설(100)에 접촉여재 유닛(1)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설치용 틀(2)을 구성시 상단부를 가로지르는 다수 개의 설치봉을 구성할 필요 없고 설치봉의 걸고리를 구성할 필요도 없으므로 설치용 틀(2)을 구성하는 것 자체가 매우 간단해지고 설치용 틀(2) 구성에 따르는 재료 및 인력 및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접촉여재 유닛(1)을 설치용 틀(2)에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설치용 틀(2)의 상단에 연결수단(10)(10')의 양단 고정부(12)를 이용하여 감아 묶거나 클립 등으로 고정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에 따르면 설치용 틀(2)의 상단에 연결수단(10)이 수평으로 고정되고 설치용 틀(2)의 하단에도 연결수단(10')이 수평으로 고정되며, 이러한 상하부의 연결수단(10)(10') 사이에 접촉여재(11)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수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어 미생물이 착상되고 분해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수단(12) 설치용 틀(2)에 고정하는 과정만으로 접촉여재(11)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접촉여재를 설치용 틀에 시공하는 과정에 시간이 크게 절감되는 것이고, 이러한 시간 단축에 의해 전체적인 시공기간이 크게 단축되어 시공에 따르는 비용과 인력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촉여재 유닛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접촉여재 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접촉여재 유닛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접촉여재 유닛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접촉여재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접촉여재 유닛
2: 설치용 틀
10, 10': 연결수단
11: 접촉여재
12: 고정부

Claims (1)

  1. 설치용 틀(2)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끝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부와 하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연결수단(10)(10')과, 상기 연결수단(10)(1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수단(10)(10')에 고정되는 접촉여재(11)로 구성되고,
    연결수단(10)(10')은 직물이나 필름 등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면서 연결되는 접촉여재(11)들의 중량을 버틸 수 있는 인장력을 갖는 것으로 선택하고,
    접촉여재(11)를 연결수단(10)(10')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연결수단(10)(10')의 폭을 절반으로 접으면서 접촉여재(11)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한 뒤 박음질로서 일체화 되도록 하며,
    연결수단(10)(10')의 양 끝단에는 설치용 틀(2)에 연결수단을 직접 묶을 수 있도록 접촉여재(11)를 연결하지 않은 고정부(12)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접촉여재 유닛.
KR20080034083A 2008-04-14 2008-04-14 오폐수처리용 접촉여재 유닛 KR100872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4083A KR100872087B1 (ko) 2008-04-14 2008-04-14 오폐수처리용 접촉여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4083A KR100872087B1 (ko) 2008-04-14 2008-04-14 오폐수처리용 접촉여재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087B1 true KR100872087B1 (ko) 2008-12-05

Family

ID=4037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34083A KR100872087B1 (ko) 2008-04-14 2008-04-14 오폐수처리용 접촉여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0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0591U (ja) 1983-03-29 1984-10-08 株式会社クボタ 浄化槽の曝気接触材補強構造
JPS6063496U (ja) 1983-09-30 1985-05-04 鹿島建設株式会社 接触濾材の保持装置
JPH07108293A (ja) * 1993-10-12 1995-04-25 D Bii S Kk 水処理槽における接触濾材の保持装置
KR200211752Y1 (ko) * 1997-11-05 2001-02-01 이광석 미생물 서식대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media)
KR100791863B1 (ko) * 2006-05-26 2008-01-07 신성메디아 주식회사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용 정화여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0591U (ja) 1983-03-29 1984-10-08 株式会社クボタ 浄化槽の曝気接触材補強構造
JPS6063496U (ja) 1983-09-30 1985-05-04 鹿島建設株式会社 接触濾材の保持装置
JPH07108293A (ja) * 1993-10-12 1995-04-25 D Bii S Kk 水処理槽における接触濾材の保持装置
KR200211752Y1 (ko) * 1997-11-05 2001-02-01 이광석 미생물 서식대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media)
KR100791863B1 (ko) * 2006-05-26 2008-01-07 신성메디아 주식회사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용 정화여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68334A3 (ko) 가로봉 지지식 공극제어형 섬유여재 필터 및 가로봉 지지식 섬유여과장치
BRPI0620774A2 (pt) aparelho de meio biológico, e, método
DE50000849D1 (de) Filterelement mit geprägtem schweissverbindungsclip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desselben
US2981513A (en) Tube supporting clip
KR200474388Y1 (ko) 조립식 해먹 스탠드장치
KR100872087B1 (ko) 오폐수처리용 접촉여재 유닛
KR101394558B1 (ko) 오폐수처리장치용 미생물 접촉여재 고정유닛
KR100879804B1 (ko) 수처리장 간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201815169U (zh) 污水处理用杂物拦截栅板
KR100698886B1 (ko) 연약지반의 하수관 지지구조물
JP738544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コンクリート打継ぎ工法
KR200286502Y1 (ko) 오·폐수처리조의 접촉여재 설치구조
JP2013052323A (ja) フィルタプレスにおける濾布下端の接続構造
CN208032330U (zh) 一种ehbr膜组件保护装置
CN205391876U (zh) 一种污水处理过滤筒
CN105815797A (zh) 一种用于蔬菜清洗的夹紧结构
CN108187496B (zh) 一种ehbr膜组件保护装置
RU2007112564A (ru) Ограждение огородной грядки
KR101429162B1 (ko) 오폐수처리용 미생물 서식부재
CN106517540A (zh) 一种水质原位修复装置
CN203284244U (zh) 用于净化污水的平面填料
JP3121805U7 (ko)
ATE505258T1 (de) Membran-stützvorrichtung und membranfilter
KR100906022B1 (ko) 접촉여재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용 정화필터
ATE513493T1 (de) Struktur zum leichteren hinlegen von deck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812

Effective date: 2013122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016

Effective date: 20131220

EXTG Extinguish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108

Effective date: 2014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