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563B1 - 오폐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0563B1 KR100870563B1 KR1020080028535A KR20080028535A KR100870563B1 KR 100870563 B1 KR100870563 B1 KR 100870563B1 KR 1020080028535 A KR1020080028535 A KR 1020080028535A KR 20080028535 A KR20080028535 A KR 20080028535A KR 100870563 B1 KR100870563 B1 KR 1008705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water
- filtered
- waste water
- transfer pipe
- membra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개시된 오폐수 처리 시스템은 오폐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관과, 이송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폐수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샌드 필터와, 샌드 필터에 의하여 필터링된 오폐수를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카트리지 필터와, 카트리지 필터에 의하여 필터링된 오폐수를 3차적으로 필터링하여 처리수 및 농축수로 분리하는 폐수 처리 장치 및 이송관에 복수개가 이격 설치되어 오폐수의 상태를 계측하는 계측기를 포함할 수 있다. 폐수 처리 장치는 이송관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기된 복수의 분기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과, 분기관들 각각에 설치되어 멤브레인 모듈들로의 오폐수 유입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가압 순환 펌프와, 멤브레인 모듈들 각각에 연결되어 오폐수 중 필터링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복수의 처리수 배출관 및 일측이 멤브레인 모듈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측이 이송관에 연결되어 필터링되지 않은 농축수를 이송관으로 되돌려 보내는 복수의 농축수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폐수 처리 장치에서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되, 오폐수의 재순환을 통해 각각의 멤브레인 모듈로 동일한 양의 오폐수가 유입 및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오폐수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오폐수 처리, 멤브레인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폐수 처리 장치로서 멤브레인 모듈을 사용한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질오염 문제는 산업, 경제,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분리막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기술이 수질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막 분리 공정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기술은 유럽, 일본과 미국을 중심으로 최근 30여년간 기초 연구와 상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해왔다.
최근 오폐수 처리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분리막(멤브레인)은 기종 생물학적, 화학적 처리 방법을 대체한 것이다.
이러한 막분리 기술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기술은 우수한 처리 효율과 안정적인 처리를 보증하기 때문에 향후 수처리 분야를 주도적인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서 막분리 공정이 수행되는 오폐수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폐수 처리 장치(10)는 복수개의 멤브레인 모듈(membrane module;12)이 오폐수 유입관(11)에 의하여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멤브레인 모듈(12)에는 상기 오폐수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를 필터링(filtering)하기 위한 멤브레인(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멤브레인에 의하여 필터링된 오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 배출관(13)이 구비된다.
상기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12) 중 마지막에 연결된 멤브레인 모듈(12)에는 필터링되지 않은 오폐수(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관(14)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오폐수 처리 장치(10)에서 오폐수가 처리되는 과정을 보면, 오폐수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는 첫번째 멤브레인 모듈(12)을 통과하면서 일부는 필터링되어 처리수 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되고,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오폐수는 농도가 증가된 상태로 두번째 멤브레인 모듈(12)로 유입된다.
두번째 멤브레인 모듈(12)로 유입된 고농도의 오폐수는 첫번째 멤브레인 모듈(12)에서와 마찬가지로 필터링되어 일부는 처리수 배출관(13)으로, 나머지 일부는 농도가 증가된 상태로 세번째 멤브레인 모듈(12)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멤브레인 모듈(12)의 수만큼 반복 진행되어 처리수(필터링되어 배출된 오폐수)와 농축수(필터링되지 않고 배출된 오폐수)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오폐수 처리 장치(10)에 의하면, 각각의 멤브레인 모듈(12)에서 필터링되어 처리수 배출관(13)으로 배출되는 처리수의 비율이 낮은 문 제점이 있다.
즉, 오폐수 유입관(11)으로 유입된 오폐수는 멤브레인 모듈(12)들을 통과할 때마다 농도가 증가된 상태로 변하므로, 각 멤브레인 모듈(12)들에서 필터링되는 오폐수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따라서 오폐수 처리량을 늘리기 위하여는 그 만큼 멤브레인 모듈(12)의 수를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터링되어 배출되는 처리수의 양을 늘려 오폐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 시스템은 오폐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폐수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샌드 필터와, 상기 샌드 필터에 의하여 필터링된 오폐수를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카트리지 필터와, 상기 카트리지 필터에 의하여 필터링된 오폐수를 3차적으로 필터링하여 처리수 및 농축수로 분리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상기 이송관에 복수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오폐수의 상태를 계측하는 계측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샌드 필터 및 상기 폐수 처리 장치의 유입 측 전방에는 상기 오폐수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샌드 필터에는 블로워가 연결되어 상기 샌드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오폐수 처리 장치는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기된 복수의 분기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과, 상기 분기관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멤브레인 모듈들로의 오폐수 유입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가압 순환 펌프와, 상기 멤브레인 모듈들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오폐수 중 필터링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복 수의 처리수 배출관 및 일측이 상기 멤브레인 모듈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링되지 않은 농축수를 상기 이송관으로 되돌려 보내는 복수의 농축수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압 순환 펌프는 동일한 용량의 오폐수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 각각으로 유입되도록 동일한 가압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 중 상기 가압 순환 펌프의 가압 용량보다 적은 양의 오폐수가 유입되는 상기 멤브레인 모듈로는 상기 멤브레인 모듈에서 배출된 농축수 중 상기 부족분이 상기 멤브레인 모듈로 재순환될 수 있다.
상기 재순환은 상기 재순환되는 농축수의 양 및 이전에 배치된 상기 멤브레인 모듈 측으로부터 계속해서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의 합이 상기 가압 순환 펌프의 가압 용량을 충족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처리수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수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처리수를 재차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이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로 유입된 상기 처리수는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에 의하여 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되, 오폐수의 재순환을 통해 각각의 멤 브레인 모듈로 동일한 양의 오폐수가 유입 및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오폐수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폐수 처리 시스템(100)은 이송관(120)과, 샌드 필터(sand filter;132)와, 카트리지 필터(cartridge filter;141)와, 폐수 처리 장치(110) 및 계측기(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120)은 오폐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샌드 필터(132)는 상기 이송관(120)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오폐수에 함유된 이물질 중 입자가 큰 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샌드 필터(132) 유입 측 전방에는 제1 압력 펌프(131)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관(120)으로 유입된 오폐수를 상기 샌드 필터(132)로 압송할 수 있다.
상기 오폐수 처리 시스템(100)을 일정 시간 가동하면 입자가 큰 이물질이 모여서 오폐수의 흐름을 저해하는데, 이때 샌드 필터(132)의 유입 측과 토출 측의 압력 차이가 커지면 오폐수의 흐름을 막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유로를 뚫어주기 위해 샌드 필터(132)에는 블로워(blower;133)가 연결되어 상기 샌드 필터(132)를 역세척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필터(141)는 샌드 필터(132)에 의하여 필터링된 오폐수를 2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10㎛ 이상의 비교적 작은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필터(141)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오폐수 처리 시스템(100)의 운전 중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 필터(141)가 막히는 경우에도 나머지 카트리지 필터(141)를 사용하여 오폐수 처리 시스템(100)의 운전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필터(141)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 필터(141)의 유입 측 및 토출 측에는 밸브(valve;14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필터(141)에서 필터링된 오폐수는 상기 폐수 처리 장치(110)의 유입 측 전방에 설치된 제2 압력 펌프(160)에 의하여 상기 폐수 처리 장치(110)로 압송될 수 있다.
상기 오폐수 처리 장치(110)는 상기 카트리지 필터(141)에서 필터링된 오폐수를 3차적으로 필터링하여 처리수 및 농축수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오폐수 처리 장치(110)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101)과, 복수의 가압 순환 펌프(161)와, 복수의 처리수 배출관(180) 및 복수의 농축수 배출관(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폐수 처리 장치(110)로 연결되는 이송관(120)에는 복수의 분기관(150)이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기관(150) 각각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101)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120)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를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101) 로 이송하도록 이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기관(150)의 수는 상기 멤브레인 모듈(101)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101)은 하우징(미도시) 내에 복수개의 멤브레인(미도시)이 적층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멤브레인 모듈(101) 내로 유입된 오폐수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각각의 멤브레인을 경유하면서 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101)로는 상기 가압 순환 펌프(161)의 압송에 의하여 오폐수가 유입될 수 있는데, 상기 가압 순환 펌프(161)의 압력이 클수록 상기 멤브레인들에서 오폐수의 필터링 효과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력에 대하여 저항력이 좋은 유리 강화 플라스틱(glass reinforced plastics;GRP)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압 순환 펌프(161) 각각은 상기 복수의 분기관(150)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101) 각각에 동일한 양의 오폐수가 공급되도록 동일한 가압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처리수 배출관(180) 각각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101)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101)에 의하여 필터링된 오폐수(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농축수 배출관(170) 각각은 일측이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101) 각각에 연결되고, 타측이 이송관(1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상기 이송관(120)을 통해 오폐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의 멤브레인 모듈(101)에 연결된 분기관(150) 뒤쪽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농축수 배출관(170)은 상기 멤브레인 모듈(101)에 의하여 필터링되지 않은 오폐수(농축수)가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오폐수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관(120)으로 유입된 오폐수 중 일부는 제1 가압 순환 펌프(161a)에 의하여 제1 분기관(150a)을 통해 제1 멤브레인 모듈(101a)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 멤브레인 모듈(101a)로 공급되는 오폐수의 양은 상기 제1 가압 순환 펌프(161a)의 가압 용량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가압 순환 펌프(161a)의 가압 용량이 80 리터(liter)고, 이송관(120)을 통해 순간적으로 100 리터의 오폐수가 유입된다면, 상기 제1 멤브레인 모듈(101a)로는 80 리터의 오폐수만이 유입되고, 나머지 20 리터는 이송관(120)을 통해 제2 멤브레인 모듈(101b) 쪽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멤브레인 모듈(101a)로 유입된 오폐수는 멤브레인에 의하여 필터링되어 일부는 제1 처리수 배출관(180a)으로 배출되고, 필터링되지 않은 오폐수는 농도가 증가한 상태로 제1 농축수 배출관(170a)을 통해 이송관(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농축수 배출관(170a)으로 배출된 고농도의 오폐수와 제1 분기관(150a)으로 유입되지 않고 제2 멤브레인 모듈(101b) 쪽으로 진행된 오폐수는 제2 가압 순환 펌프(161b)에 의하여 제2 분기관(150b)을 통해 제2 멤브레인 모듈(101b)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농축수 배출관(170a)으로 배출된 고농도의 오폐수와 제1 분기관(150a)으로 유입되지 않은 오폐수의 합량이 제2 가압 순환 펌프(161b)의 가압 용량을 초과한 경우, 초과분은 이송관(120)을 통해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 농축수 배출관(170a)으로 배출된 고농도의 오폐수와 제1 분기관(150a)으로 유입되지 않은 오폐수의 합량이 제2 가압 순환 펌프(161b)의 가압 용량보다 부족한 경우에는 제2 농축수 배출관(170b)을 통해 배출된 오폐수 중 상기 부족분만큼이 제2 분기관(150b)으로 재유입되어 제2 멤브레인 모듈(101b)에서 재차 필터링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즉, 제2 가압 순환 펌프(161b)의 가압 용량보다 부족한 양의 오폐수가 제2 멤브레인 모듈(101b)로 유입되면, 멤브레인에 의하여 일부는 필터링되어 제2 처리수 배출관(180b)을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 필터링되지 않은 오폐수는 제2 농축수 배출관(170b)을 통해 이송관(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이송관(120)으로 배출된 오폐수는 분기되어 일부는 제2 분기관(150b)으로 재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이송관(120)을 통해 제3 멤브레인 모듈(101c)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기관(150b)으로 재차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은 상기 제2 가압 순환 펌프(161b)의 가압 용량과 실제 제2 멤브레인 모듈(101b)로 유입된 양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양일 수 있다.
즉, 제1 멤브레인 모듈(101a) 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양은 이전에 유입된 양과 동일한 양으로 상기 제2 가압 순환 펌프(161b)의 가압 용량을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양에 상기 제2 분기관(150b)으로 재유입되는 양이 더해져 제2 가압 순환 펌프(161b)의 가용 용량을 충족시킬 때까지 재유입은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안정화 단계라고 할 수 있는데, 상기 안정화 단계가 이루어지면 제2 농축수 배출관(170b)으로 배출된 오폐수는 일부는 상기와 같이 재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3 멤브레인 모듈(101c)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3 멤브레인 모듈(101c) 및 도시되지 않은 그 외의 멤브레인 모듈(101)에서도 상기 제2 멤브레인 모듈(101b)에서와 동일한 필터링 과정 및 재필터링 과정이 이루어져 오폐수가 처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멤브레인 모듈(101)들은 오폐수의 재순환 과정을 통해 각 오폐수의 농도는 다를지라도 평균적으로 동일한 양의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어 각 멤브레인 모듈(101)에서의 오폐수 처리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계측기(121)는 제1,2 압력 펌프(131,160)의 전후, 샌드 필터(132)의 전후, 카트리지 필터(141)의 전후, 오폐수 처리 장치(110)의 전후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송관(120)을 흐르는 오폐수의 각 영역에서의 상태를 계측할 수 있다.
상기 상태는 온도, 압력, 유량, PH, 전기 전도도 등일 수 있다.
상기 오폐수 처리 시스템(100)에는 크리닝 탱크(cleaning tank;111)와, 린스 탱크(rinse tank;191a)와, 처리수 탱크(191b) 및 가성 소다 탱크(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리닝 탱크(111)는 분기된 처리수 배출관(180)과 연결되며, 상기 처리수를 공급받아 크리너와 혼합되어 상기 샌드 필터(132) 유입 측 이송관(120)으로 재차 상기 처리수를 공급하여 재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린스 탱크(191a)는 상기 처리수 배출관(180)과 연결되어 처리수를 헹구어 배출하거나 상기 샌드 필터(132) 유입 측 이송관으로 재차 상기 처리수를 공급하여 재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처리수 탱크(191b)는 상기 린스 탱크(191a)와 연결되어 상기 처리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가성 소다 탱크(192)는 상기 처리수 탱크(191b)로부터 배출된 처리수에 가성 소다를 공급함으로써, 폐수 처리 장치(110)를 통과하면서 저하된 PH를 적정 PH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폐수 처리 시스템(100)에는 도 2의 오폐수 처리 시스템(100)에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210)는 처리수 배출관(180)에 연결되어 오폐수 처리 장치(110)에 의하여 필터링된 처리수를 재차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210)를 상기 오폐수 처리 장치(110)와 달리 재순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1)들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필 터링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210)에는 오폐수 처리 장치(110)와 달리 가압 순환 펌프(161)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210)에 의하여 필터링된 처리수는 재차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210)로 유입되어 재필터링이 될 수 있다.
그 외 설명하지 않은 구성 요소 및 동작은 도 2의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 및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처리수와 농축수를 분리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종래보다 오폐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경우, 한번 멤브레인 모듈을 통과한 오폐수는 처리수가 배출된 만큼 그 농도가 증가된 상태로 다음에 연결된 멤브레인 모듈로 유입되기 때문에, 각각의 멤브레인 모듈을 통과하게 되는 오폐수의 양이 적어지고, 따라서 멤브레인 모듈에서 필터링되는 오폐수의 양도 멤브레인 모듈의 필터링 능력에 비해 적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경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을지라도, 각각의 멤브레인 모듈로는 오폐수의 재순환 과정을 통해 평균적으로 동일한 양의 오폐수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각 멤브레인 모듈들에서 처리되는 오폐수의 양은 종래보다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수의 멤브레인 모듈들을 가지고도 오폐수의 재순환 과정을 통 해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오폐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폐수 처리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의 오폐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오폐수 처리 시스템 101... 멤브레인 모듈
110... 오폐수 처리 장치 120... 이송관
121... 계측기 132... 샌드 필터
133... 블로워 141... 카트리지 필터
150... 분기관 161... 가압 순환 펌프
170... 농축수 배출관 180... 처리수 배출관
Claims (10)
- 오폐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관;상기 이송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폐수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샌드 필터;상기 샌드 필터에 의하여 필터링된 오폐수를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카트리지 필터;상기 카트리지 필터에 의하여 필터링된 오폐수를 3차적으로 필터링하여 처리수 및 농축수로 분리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및상기 이송관에 복수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오폐수의 상태를 계측하는 계측기;를 포함하며,상기 오폐수 처리 장치는: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기된 복수의 분기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상기 분기관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멤브레인 모듈들로의 오폐수 유입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가압 순환 펌프;상기 멤브레인 모듈들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오폐수 중 필터링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복수의 처리수 배출관; 및일측이 상기 멤브레인 모듈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어 상기 오폐수 중 필터링되지 않은 농축수를 상기 이송관으로 되돌려 보내는 복수의 농축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샌드 필터 및 상기 오폐수 처리 장치의 유입 측 전방에는 상기 오폐수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 펌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샌드 필터에는 블로워가 연결되어 상기 샌드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
- 삭제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가압 순환 펌프는 동일한 용량의 오폐수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 각각으로 유입되도록 동일한 가압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 중 상기 가압 순환 펌프의 가압 용량보다 적은 양의 오폐수가 유입되는 상기 멤브레인 모듈로는, 상기 멤브레인 모듈에서 배출된 농축수 중에서 부족한 양만큼 상기 멤브레인 모듈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재순환은 상기 재순환되는 농축수의 양 및 이전에 배치된 상기 멤브레인 측으로부터 계속해서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의 합이 상기 가압 순환 펌프의 가압 용량을 충족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처리수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수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처리수를 재차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로 유입된 상기 처리수는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에 의하여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에 의하여 필터링된 상기 처리수는 재차 상기 서브 오폐수 처리 장치로 유입되어 재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 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8535A KR100870563B1 (ko) | 2008-03-27 | 2008-03-27 | 오폐수 처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8535A KR100870563B1 (ko) | 2008-03-27 | 2008-03-27 | 오폐수 처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0563B1 true KR100870563B1 (ko) | 2008-11-27 |
Family
ID=4028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8535A KR100870563B1 (ko) | 2008-03-27 | 2008-03-27 | 오폐수 처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056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8634U (ja) * | 1991-08-28 | 1993-03-09 |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 回転式平膜分離装置 |
KR19980051175A (ko) * | 1996-12-23 | 1998-09-15 | 김종진 | 역삼투막 시스템을 이용한 제철소 냉연폐수 처리방법 |
KR200379769Y1 (ko) * | 2004-12-29 | 2005-03-24 | 한국중부발전(주) | 활성탄소천전극을 이용한 폐수정화장치 |
-
2008
- 2008-03-27 KR KR1020080028535A patent/KR100870563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8634U (ja) * | 1991-08-28 | 1993-03-09 |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 回転式平膜分離装置 |
KR19980051175A (ko) * | 1996-12-23 | 1998-09-15 | 김종진 | 역삼투막 시스템을 이용한 제철소 냉연폐수 처리방법 |
KR200379769Y1 (ko) * | 2004-12-29 | 2005-03-24 | 한국중부발전(주) | 활성탄소천전극을 이용한 폐수정화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92617B2 (en) | System for treatment of contaminated liquid | |
CN101094813B (zh) | 带有过滤组件的edi浓缩物循环回路 | |
US9833743B2 (en) | Reverse osmosis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reverse osmosis treatment device | |
US10189727B2 (en) | Fluid purificatio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 |
CN105967416A (zh) | 一种镀件漂洗废水在线资源化的方法 | |
CN107746097A (zh) | 一种反渗透膜法与电容法海水淡化组合系统 | |
US6080317A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waste water | |
KR100843656B1 (ko) | 2단 침지형 막여과조를 이용한 고도정수처리장치 | |
JP7366527B2 (ja) | 水処理装置 | |
KR20110068726A (ko) | 역삼투 방식의 해수담수화 공정에서의 순환형 농축침전조와 분리막 여과조 일체식 전처리 장치 및 전처리 방법 | |
CN108285221B (zh) | 一种废水深度浓缩处理方法 | |
KR101578470B1 (ko) | 통상의 역삼투 시스템들의 향상된 성능을 위한 폐회로 탈염 개량 유닛 | |
KR100870563B1 (ko) | 오폐수 처리 시스템 | |
KR102254010B1 (ko) | 미세 플라스틱 필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터링 방법 | |
CN115461133B (zh) | 液体处理装置、纯水制造系统以及液体处理方法 | |
CN106746049A (zh) | 一种超纯水生产系统及其生产方法 | |
JP6344114B2 (ja) |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設備の洗浄方法 | |
KR101893790B1 (ko) | 역삼투 여과공정용 전처리 장치 및 방법 | |
CN106007040A (zh) | 重金属废水处理系统及方法 | |
KR20130123879A (ko) | 최종 농축수 저감을 위한 고회수율 중공사막 여과장치 및 운전방법 | |
KR100870562B1 (ko) |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오폐수 처리 방법 | |
JP4111579B2 (ja) | 有機性汚水処理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 |
CN206751571U (zh) | 一种超纯水生产装置 | |
KR20100072903A (ko) | 여과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04787822B (zh) | 一种污水分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8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J121 |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