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549B1 -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549B1
KR100870549B1 KR1020070084039A KR20070084039A KR100870549B1 KR 100870549 B1 KR100870549 B1 KR 100870549B1 KR 1020070084039 A KR1020070084039 A KR 1020070084039A KR 20070084039 A KR20070084039 A KR 20070084039A KR 100870549 B1 KR100870549 B1 KR 10087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voltage
transformer
powe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용
송치영
오용택
성창우
조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Priority to KR1020070084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는 전원 필터부(110), DC 전압 발생부(120), 변압기 1-1차측 회로부(130),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 변압기 조절부(150), 변압기 1-2차측 회로부(160) 및 전원 체크부(170)를 포함하여 IH 밥솥의 구동회로에 SMPS를 적용함으로써, 대기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출력되는 전압을 안정화하여 외부의 전압 변동에도 균일한 출력을 내도록 유도하여 회로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기존대비 무게 및 크기를 축소하여 제품의 외곽 디자인을 컴팩트 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70084039
전기압력밥솥, 구동회로, SMPS, 변압기(Trans), 포토커플러, 소비전력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DRIVING CIRCUIT OF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IH 밥솥의 구동회로에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적용하여 대기소비전력을 줄이고 회로의 동작을 안정화시키고 기존대비 무게 및 크기(Size)를 축소하여 제품의 외곽 디자인을 컴팩트 하게 한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전기를 이용하여 열원을 얻고 이 열원을 이용하여 내솥 내부를 고온의 압력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취사를 행하고 취사가 이루어진 밥을 보온하는 기기로서, 이러한 전기압력밥솥에는 통상적으로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내솥이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하면서 조리물을 가열시키는 유도가열방식이 적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원을 필터링하는 필터 회로부(11)와, 상기 필터 회로부(11)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IGBT 구동전압(예를 들어, DC300V)을 출력하는 IGBT 구동전원부(12)와, 상기 필터 회로부(11)로부터 입력된 1차측 전원을 유기하여 2차측 전원(DC18V 및 DC12V)을 발생하는 변압기(13)와, 상기 변압기(13)로부터 2차측 전원(DC12V)을 입력받아 부하(14)를 제어하거나 IGBT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콘트롤러 제어부(17)와, 상기 콘트롤러 제어부(17)로부터 IGBT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변압기로부터 IGBT 구동전원(DC18V)을 입력하고 또한 상기 IGBT 구동전원부(12)로부터 IGBT 구동전압(DC300V)을 입력하여 IGBT(19)를 구동하는 IGBT 구동회로부(18)와, 상기 IGBT 구동회로부(18)로부터 입력된 IGBT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IGBT 구동전압(DC300V)을 워킹코일(20)로 공급하는 IGBT(1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변압기(Trans)를 이용한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는 입력 전원을 필터링하고 IGBT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DC300V)과, 상기 변압기(13)를 통한 IGBT 구동 회로부(18)의 전원(DC18V)과, 콘트롤러 전원(12V)을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IGBT 구동 회로부(18)의 전원(DC18V)은 상기 IGBT(19)를 제어하기 위하여 IGBT 동작 전원(DC300V)과 일치(common)되어야 하므로 1차측에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 전원(12V)은 1차측과 절연된 구조로 상기 콘트롤러 제어부(17)의 전원으로 인가되고 있다. 상기 콘트롤러 제어부(17)에서 상기 IGBT 구동 회로부(18)를 조작하여 상기 IGBT(19)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는, 권선비로 입력대비 출력전압을 인출함에 따라 입력전압이 변동하면 출력전압도 변동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저전압에서 출력전압이 부하제어에 충분해야되기 때문에 저전압에 서 설정된 전압은 과전압에서 많은 손실이 따르게 된다. 아울러, 대기상태에서 소비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도 있었다(예를 들어, 최소한 5W 이상 소모됨).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IH 밥솥의 구동회로에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적용하여 대기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IH 밥솥의 구동회로에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적용하여 출력되는 전압을 안정화하여 외부의 전압변동에도 균일한 출력을 내도록 유도하여 회로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IH 밥솥의 구동회로에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적용하여 기존대비 무게 및 크기를 축소하여 제품의 외곽 디자인을 컴팩트 하게 할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는, 입력 전원을 필터링하여 안전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필터부(110)와, 상기 전원 필터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전파정류하여 DC 전압을 출력하는 DC 전압 발생부(120)와, 상기 DC 전압 발생부부터 입력된 전압을 변압기 1-1차측 권선으로 공급하는 변압기 1-1차측 회로부(130)와, 상기 변압기 1-1차측 및 1-2차측 권선으로부터 2차측 권선으로 유도된 전압에 의해 부하를 제어하는 제 1 전압과 콘트롤러를 제어하는 제 2 전압을 발생하며, 상기 제 1 전압의 소비전력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하는 제 1 포토커플러를 구비한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와, 상기 제 1 포토커플러의 동작에 따라 SMPS IC의 스위칭 범위를 조절하여 변압기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변압기 조절부(150)와, 상기 변압기 조절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상기 변압기 1-1차측 권선과 일정 비율로 감은 또 하나의 1-2차측 권선으로 공급하는 변압기 1-2차측 회로부(160)와, 상기 전원 필터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 2 포토커플러를 이용하여 전원 주파수를 체크하는 전원 체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는 상기 제 1 전압의 소비전력이 많으면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가 스위칭을 많이 하고, 상기 제 1 전압의 소비전력이 적으면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가 스위칭을 적게 하여 변압기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의 SMPS IC는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가 쇼트(short)나 오픈(open)되었을 때 상기 변압기 1-1차측 및 1-2차측 회로부의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것을 막고 자체적으로 검증하는 오토리스타트(Autorestart)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전압은 12V이고, 상기 제 2 전압은 6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C 전압 발생부(120)는 교류(AC) 220V 입력시 직류(DC) ±300V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에 의하면, IH 밥솥의 구동회로에 SMPS를 적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대기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2) 출력되는 전압을 안정화하여 외부의 전압변동에도 균일한 출력을 내도록 유도하여 회로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3) 기존대비 무게 및 크기를 축소하여 제품의 외곽 디자인을 컴팩트 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기압력밥솥의 구동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필터부(110), DC 전압 발생부(120), 변압기 1-1차측 회로부(130),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 변압기 조절부(150), 변압기 1-2차측 회로부(160), 전원 체크부(17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원 필터부(110)는 입력 전원(AC)을 필터링하여 안전한 전원을 SMPS 회로로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교류(AC) 전원을 입력하는 노드 Nd1 및 노드 Nd2와, 상기 노드 Nd1 및 노드 Nd3 사이에 접속된 퓨즈(F1)와, 상기 노드 Nd3 및 상기 노드 Nd2 사이에 서로 마주보며 접속된 제너다이오드 ZD1 및 ZD2와, 상기 노드 Nd3 및 상기 노드 Nd2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C1과, 상기 노드 Nd3 및 상기 노드 Nd4 사이에 접속된 코일 L1과, 상기 노드 Nd2 및 상기 노드 Nd5 사이에 접속된 코일 L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DC 전압 발생부(120)는 상기 전원 필터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전파정류하여 DC 전압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입력된 전원이 교류(AC) 220V일 경우 약 직류(DC) 311V를 출력한다.
상기 DC 전압 발생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드 Nd2 및 노드 Nd5의 전압을 입력하여 전파 정류한 직류 전압을 노드 Nd6로 출력하며 노드 Nd7를 통해 접지된 전파정류 회로(D1∼D4)와, 상기 노드 Nd6 및 노드 Nd8 사이에 직렬 접속된 퓨즈 F2와 저항 R1과, 상기 노드 Nd8 및 노드 Nd7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C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변압기 1-1차측 회로부(130)는 상기 DC 전압 발생부(120)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변압기 1-1차측 권선(L3)으로 공급하기 위한 회로로서, 상기 변압기 1-1차측 권선(L3)으로 직류(DC) 300V를 스위칭하여 2차 출력으로 전원을 전달한다.
상기 변압기 1-1차측 회로부(130)는 상기 노드 Nd8 및 노드 Nd9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저항 R2 및 커패시터 C3와, 상기 노드 Nd9 및 노드 Nd10 사이에 직렬 접속 된 저항 R3 및 다이오드 D5와, 상기 노드 Nd8 및 노드 Nd10 사이에 접속된 1-1차 권선 L3과, 상기 노드 Nd8 및 노드 Nd11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는 상기 변압기 1-1차측(L3) 및 1-2차측(L5) 권선으로부터 2차측 권선(L4)으로 유도된 전압에 의해 12V를 사용하는 부하를 제어하는 제 1 전압(12V)을 발생하고 또한 제 2 전압(6V)을 발생하며, 상기 제 1 전압의 소비전력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하는 제 1 포토커플러의 입력단(PC1a)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전압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콘트롤러에 공급되어 제어한다.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드 Nd11 및 노드 Nd12 사이에 접속된 2차 권선 L4와, 상기 노드 Nd12 및 상기 제 1 전압을 출력하는 노드 Nd13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D6와, 상기 노드 Nd13 및 노드 Nd11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전압을 노드 Nd14로 출력하는 레큘레이터 141과, 상기 노드 Nd13 및 노드 Nd15 사이에 접속된 저항 R4와, 상기 노드 Nd15 및 노드 Nd16 사이에 접속된 제 1 포토커플러 PC1a의 다이오드와, 상기 노드 Nd15 및 노드 Nd16 사이에 접속된 저항 R5과, 상기 노드 Nd16 및 노드 Nd11 사이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 ZD3와, 상기 노드 Nd13 및 노드 Nd11 사이에 병렬 접속된 커패시터 C4 및 C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에서의 2차측 전압은 상기 제 1 포토커플러 PC1a의 다이오드(입력단)에 의하여 전압이 형성되며, 여기서는 12V로 예를 들어 표기하였다.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는 2차측 직류(DC) 전압 및 전원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포토커플러 PC1a의 다이오드(입력단)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12V단의 소비 전력에 따라 상기 제 1 포토커플러 PC1a의 다이오드의 온(ON)/오프(OFF)가 각각 다르게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전원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는 상기 제 1 포토커플러 PC1a의 동작에 따라 SMPS IC(151)의 스위칭 범위를 조절하여 변압기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조절한다. 즉,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의 출력측 소비전력이 많으면 스위칭을 많이 하고,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의 출력측 소비전력이 적으면 스위칭을 적게 하여 변압기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조절한다.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포토커플러의 다이오드의 온(ON)/오프(OFF)에 의해 노드 Nd17와 노드 Nd18를 스위칭하는 제 1 포토커플러의 트랜지스터와, 상기 노드 Nd17의 전압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노드 Nd1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노드 Nd19로 전송하며 상기 노드 Nd18를 통해 접지된 SMPS IC와, 상기 노드 Nd19 및 노드 Nd18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C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의 SMPS IC는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가 쇼트(short)나 오픈(open)되었을 때 상기 변압기 1-1차측 및 1-2차측 회로부의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것을 막고 자체적으로 검증하는 오토리스타트(Autorestart) 기능을 갖는다.
상기 변압기 1-2차측 회로부(160)는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상기 변압기 1-1차측 권선(L3)과 일정 비율로 감은 또 하나의 1-2차측 권 선(L5)으로 공급하여,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의 출력 전압에 의해 변압기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변압기 1-2차측 회로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드 Nd18 및 노드 Nd20 사이에 접속된 저항 R7과, 상기 노드 Nd18 및 노드 Nd22 사이에 접속된 1-2차 권선 L5와, 상기 노드 Nd22 및 노드 Nd21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D7와, 상기 노드 Nd21 및 노드 Nd18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C8과, 상기 노드 Nd18 및 노드 Nd23 사이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 ZD4와, 상기 노드 Nd23 및 노드 Nd21 사이에 접속된 저항 R8과, 상기 노드 Nd23의 전압에 의해 상기 노드 Nd21의 전압을 상기 노드 Nd20로 전송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상기 노드 Nd20 및 노드 Nd18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C7과, 상기 노드 Nd20 및 노드 Nd24 사이에 접속된 레큘레이터 161과, 상기 노드 Nd24 및 접지에 연결된 노드 Nd25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 커패시터 C9 및 C1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변압기 1-2차측 회로부(160)의 1-2차측 권선(L5)은 1차측 권선(L3)과 일정 비율로 감은 것으로, 피드백(Feedback)하는 기능이 없고,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에서 스위칭되는 비율에 따라 출력전압이 나온다.
상기 변압기 1-2차측 회로부(160)는 상기 제너다이오드 ZD4를 이용하여 일정한 전압을 형성하고 있으며, IGBT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1차측과 공통 그라운드(Ground)를 갖는 DC 전원 회로이다. 상기 변압기 1-2차측 회로부(160)는 상기 노드 Nd20으로부터 IGBT 게이트를 드라이브하기 위한 전압(18V)을 출력하고, 상기 노드 Nd24로부터 IGBT 제어회로를 드라이브하기 위한 전압(12V)을 출력하고 있다.
상기 전원 체크부(170)는 상기 전원 필터부(110)로부터 입력된 전원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 2 포토커플러 PC2를 이용하여 전원 주파수를 체크한다.
상기 전원 체크부(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드 Nd5 및 노드 Nd26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 R9 및 R10과, 상기 노드 Nd26 및 접지에 연결된 노드 Nd27 사이에 접속된 제 2 포토커플러 PC2의 다이오드와, 상기 노드 Nd27 및 노드 Nd26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D8와, 상기 제 2 포토커플러 PC2의 다이오드에 의해 온/오프되어 노드 Nd28의 전압을 접지에 연결된 노드 Nd30로 바이패스 하는 제 2 포토커플러 PC2의 트랜지스터와, 상기 노드 Nd28 및 노드 Nd29 사이에 접속된 저항 R11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는, 상기 전원 필터부(110)를 통해 입력 전원을 필터링하여 안전된 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전원 필터부(110)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상기 DC 전압 발생부(120)에서 전파정류한 DC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변압기 1-1차측 회로부(130)는 상기 DC 전압 발생부(120)에서 출력된 전압을 변압기 1-1차측 권선(L3)으로 공급하여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의 2차측 권선(L4)으로 유기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에서는 상기 변압기 1-1차측(L3) 및 1-2차측(L5) 권선으로부터 2차측 권선(L4)으로 유도된 전압에 의해 부하를 제어하는 제 1 전압(12V)과 콘트롤러를 제어하는 제 2 전압(6V)을 각각 발생한다. 또한,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에는 상기 제 1 전압(12V)의 소비전력에 따라 온/오프되 어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하는 제 1 포토커플러 PC1a의 입력단(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는 상기 제 1 포토커플러 PC1a의 입력단(다이오드)의 동작에 따라 상기 SMPS IC(151)의 스위칭 범위를 조절하여 변압기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변압기 1-2차측 회로부(160)에서는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상기 변압기 1-1차측 권선(L3)과 일정 비율로 감은 또 하나의 1-2차측 권선(L5)으로 공급하게 되며, 상기 제 1 포토커플러 PC1a의 입력단(다이오드)의 동작에 따라 상기 SMPS IC(151)의 스위칭 범위를 조절하여 변압기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 체크부(170)에서는 상기 전원 필터부(110)로부터 입력된 전원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 2 포토커플러 PC2를 이용하여 전원 주파수를 체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가 쇼트(short)나 오픈(open)되었을 때에는 상기 SMPS IC(151)에서 상기 변압기 1-1차측 및 1-2차측 회로부의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것을 막고 자체적으로 검증하는 오토리스타트(Autorestart) 기능을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기압력밥솥의 구동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 전원 필터부 120 : DC 전압 발생부
130 : 변압기 1-1차측 회로부 140 : 변압기 2차측 회로부
150 : 변압기 조절부 160 : 변압기 1-2차측 회로부
170 : 전원 체크부

Claims (13)

  1.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에 있어서,
    입력 전원을 필터링하여 안전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필터부(110)와;
    상기 전원 필터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전파정류하여 DC 전압을 출력하는 DC 전압 발생부(120)와;
    상기 DC 전압 발생부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변압기 1-1차측 권선으로 공급하는 변압기 1-1차측 회로부(130)와;
    상기 변압기 1-1차측 및 1-2차측 권선으로부터 2차측 권선으로 유도된 전압에 의해 부하를 제어하는 제 1 전압과 콘트롤러를 제어하는 제 2 전압을 발생하며, 상기 제 1 전압의 소비전력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하는 제 1 포토커플러를 구비한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와;
    상기 제 1 포토커플러의 동작에 따라 SMPS IC의 스위칭 범위를 조절하여 변압기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변압기 조절부(150)와;
    상기 변압기 조절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상기 변압기 1-1차측 권선과 일정 비율로 감은 또 하나의 1-2차측 권선으로 공급하는 변압기 1-2차측 회로부(160); 및
    상기 전원 필터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 2 포토커플러를 이용하여 전원 주파수를 체크하는 전원 체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는:
    상기 제 1 전압의 소비전력이 많으면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가 스위칭을 많이 하고, 상기 제 1 전압의 소비전력이 적으면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가 스위칭을 적게 하여 변압기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의 SMPS IC는: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가 쇼트(short)나 오픈(open)되었을 때 상기 변압기 1-1차측 및 1-2차측 회로부의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것을 막고 자체적으로 검증하는 오토리스타트(Autorestart)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은 12V이고, 상기 제 2 전압은 6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 전압 발생부(120)는:
    교류(AC) 220V 입력시 직류(DC) ±300V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필터부(110)는:
    교류(AC) 전원을 입력하는 노드 Nd1 및 노드 Nd2와;
    상기 노드 Nd1 및 노드 Nd3 사이에 접속된 퓨즈(F1)와;
    상기 노드 Nd3 및 상기 노드 Nd2 사이에 서로 마주보며 접속된 제너다이오드 ZD1 및 ZD2와;
    상기 노드 Nd3 및 상기 노드 Nd2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C1과;
    상기 노드 Nd3 및 상기 노드 Nd4 사이에 접속된 코일 L1; 및
    상기 노드 Nd2 및 상기 노드 Nd5 사이에 접속된 코일 L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C 전압 발생부(120)는:
    상기 노드 Nd2 및 노드 Nd5의 전압을 입력하여 전파 정류한 직류 전압을 노드 Nd6로 출력하며 노드 Nd7를 통해 접지된 전파정류 회로(D1∼D4)와;
    상기 노드 Nd6 및 노드 Nd8 사이에 직렬 접속된 퓨즈 F2와 저항 R1; 및
    상기 노드 Nd8 및 노드 Nd7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C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1-1차측 회로부(130)는:
    상기 노드 Nd8 및 노드 Nd9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저항 R2 및 커패시터 C3와;
    상기 노드 Nd9 및 노드 Nd10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 R3 및 다이오드 D5와;
    상기 노드 Nd8 및 노드 Nd10 사이에 접속된 1-1차 권선 L3; 및
    상기 노드 Nd8 및 노드 Nd11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2차측 회로부(140)는:
    상기 노드 Nd11 및 노드 Nd12 사이에 접속된 2차 권선 L4와;
    상기 노드 Nd12 및 상기 제 1 전압을 출력하는 노드 Nd13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D6와;
    상기 노드 Nd13 및 노드 Nd11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전압을 노드 Nd14로 출력하는 레큘레이터 141과;
    상기 노드 Nd13 및 노드 Nd15 사이에 접속된 저항 R4와;
    상기 노드 Nd15 및 노드 Nd16 사이에 접속된 제 1 포토커플러의 다이오드와;
    상기 노드 Nd15 및 노드 Nd16 사이에 접속된 저항 R5과;
    상기 노드 Nd16 및 노드 Nd11 사이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 ZD3; 및
    상기 노드 Nd13 및 노드 Nd11 사이에 병렬 접속된 커패시터 C4 및 C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조절부(150)는:
    상기 제 1 포토커플러의 다이오드의 온(ON)/오프(OFF)에 의해 노드 Nd17와 노드 Nd18를 스위칭하는 제 1 포토커플러의 트랜지스터와;
    상기 노드 Nd17의 전압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노드 Nd1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노드 Nd19로 전송하며 상기 노드 Nd18를 통해 접지된 SMPS IC; 및
    상기 노드 Nd19 및 노드 Nd18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C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1-2차측 회로부(160)는:
    상기 노드 Nd18 및 노드 Nd20 사이에 접속된 저항 R7과;
    상기 노드 Nd18 및 노드 Nd22 사이에 접속된 1-2차 권선 L5와;
    상기 노드 Nd22 및 노드 Nd21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D7와;
    상기 노드 Nd21 및 노드 Nd18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C8과;
    상기 노드 Nd18 및 노드 Nd23 사이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 ZD4와;
    상기 노드 Nd23 및 노드 Nd21 사이에 접속된 저항 R8과;
    상기 노드 Nd23의 전압에 의해 상기 노드 Nd21의 전압을 상기 노드 Nd20로 전송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상기 노드 Nd20 및 노드 Nd18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C7과;
    상기 노드 Nd20 및 노드 Nd24 사이에 접속된 레큘레이터 161과;
    상기 노드 Nd24 및 접지에 연결된 노드 Nd25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 커패시터 C9 및 C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1-2차측 회로부(160)는:
    상기 노드 Nd20으로부터 IGBT 게이트를 드라이브하기 위한 전압(18V)을 출력하고, 상기 노드 Nd24로부터 IGBT 제어회로를 드라이브하기 위한 전압(12V)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체크부(170)는:
    상기 노드 Nd5 및 노드 Nd26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 R9 및 R10과;
    상기 노드 Nd26 및 접지에 연결된 노드 Nd27 사이에 접속된 제 2 포토커플러 PC2의 다이오드와;
    상기 노드 Nd27 및 노드 Nd26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D8와;
    상기 제 2 포토커플러 PC2의 다이오드에 의해 온/오프되어 노드 Nd28의 전압을 접지에 연결된 노드 Nd30로 바이패스 하는 제 2 포토커플러 PC2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노드 Nd28 및 노드 Nd29 사이에 접속된 저항 R11;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KR1020070084039A 2007-08-21 2007-08-21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KR10087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039A KR100870549B1 (ko) 2007-08-21 2007-08-21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039A KR100870549B1 (ko) 2007-08-21 2007-08-21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549B1 true KR100870549B1 (ko) 2008-11-26

Family

ID=4028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039A KR100870549B1 (ko) 2007-08-21 2007-08-21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5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033Y1 (ko) * 1990-05-23 199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씨알티(crt) 예비 가열회로
KR20000024247A (ko) * 2000-02-01 2000-05-06 성관 초고주파 가열장치
KR200354513Y1 (ko) 2004-04-01 2004-07-01 (주) 솔텍 스위칭회로방식을 적용한 인덕션렌지의 전원공급장치
KR20050087044A (ko) * 2004-02-24 2005-08-31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조리기기의 전압강하 보상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033Y1 (ko) * 1990-05-23 199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씨알티(crt) 예비 가열회로
KR20000024247A (ko) * 2000-02-01 2000-05-06 성관 초고주파 가열장치
KR20050087044A (ko) * 2004-02-24 2005-08-31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조리기기의 전압강하 보상회로
KR200354513Y1 (ko) 2004-04-01 2004-07-01 (주) 솔텍 스위칭회로방식을 적용한 인덕션렌지의 전원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9474B2 (en) Constant current regulator using IGBT's with simplified timing
TWI458247B (zh) 返馳式控制器、返馳式轉換器及使用返馳式轉換器的調光器可控led電路
KR100692567B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절전모드 구현방법
CN107241823B (zh) 光源驱动系统以及光源驱动方法
JP6193029B2 (ja) スイッチング素子駆動電源回路
TW201121224A (en) Low energy transfer mode for auxiliary power supply operation in a cascaded switching power converter
US20190115837A1 (en) Voltage Converter Controller, Voltage Controller and Corresponding Methods
US9306461B2 (en) LED driver with small output ripple without requiring a high-voltage primary-side electrolytic capacitor
US808556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CN107113932B (zh) 可控驱动器和驱动方法
JPS59224100A (ja) インバ−タ回路
KR20010111004A (ko) 주전원의 주파수 동기 버스트 모드 전원 장치
US9306468B2 (en) Synchronized isolated AC-AC converter with variable regulated output voltage
JP2003079144A (ja) 交流電圧から低電力整流低電圧を発生させる電気回路装置
KR101184252B1 (ko) 대기전력 절감 smps
KR100870549B1 (ko) 전기압력밥솥의 구동회로
JPH01231289A (ja) マイクロ波エネルギ発生装置
KR940007474B1 (ko) 마그네트론 구동용 전원장치
US10073423B2 (en) Low voltage environment controlle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flyback power supply
KR20150008205A (ko) 전원 공급 장치
EP0479196A1 (en) Power supply circuit
KR20120115089A (ko) 대기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플라이백 방식의 교류-직류 컨버터를 이용한 전원장치
CN215378777U (zh) 开关电源电路及应用该电路的开关电源系统
US4916590A (en) Series resonant magnetic amplifier power supply
KR100840638B1 (ko) 대기전력 저감용 다출력 스위칭 전원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