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777B1 - 터빈 재킹오일 펌프 - Google Patents

터빈 재킹오일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777B1
KR100869777B1 KR1020080079852A KR20080079852A KR100869777B1 KR 100869777 B1 KR100869777 B1 KR 100869777B1 KR 1020080079852 A KR1020080079852 A KR 1020080079852A KR 20080079852 A KR20080079852 A KR 20080079852A KR 100869777 B1 KR100869777 B1 KR 100869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oil
main body
ring
rolle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성
Original Assignee
황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성 filed Critical 황창성
Priority to KR102008007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 F04B53/143Sealing provided on the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8Lubric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8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 재킹오일 펌프에 관한 것으로, 본체(1); 상기 본체(1)의 중앙에 축결합되는 샤프트(28); 상기 샤프트의 편심부(28a) 둘레에 접속된 상태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피스톤(13); 상기 피스톤(13)을 상기 편심롤러베어링(42)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12); 오일유입구(1a)를 통해 상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된 오일을 1차 체크밸브(20)를 통과시키며 상기 피스톤(13)이 수용된 실린더(1e)측으로 공급하는 오일유입체(26); 상기 실린더(1e)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13)의 이동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된 오일을 상기 2차 체크밸브(18)를 통과시키며 오일토출구(1d)를 통해 상기 본체(1) 외부로 배출하는 오일유출체(16); 상기 본체(1)에 고정설치되는 플레이트(30)에 내향돌출되게 설치되는 스냅링(44a); 상기 샤프트(28)에 내면부가 접속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스냅링(44a)에 접속되어 상기 샤프트(28)의 일단부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는 머케니컬링(44b); 상기 머케니컬링(44b)의 함몰부에 일단부가 삽입되게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샤프트(28)의 외면에 접속되게 설치되는 카본링(44c); 상기 머케니컬링(44b)과 카본링(44c)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스프링(44d); 상기 카본링(44c)과 샤프트(28)간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제1오링(44e); 및 상기 머케니컬링(44b)과 플레이트(30)간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제2오링(44f);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오일의 압축에 의해 보다 고효율로 고압을 생성시킬 수 있으면서도, 보다 견고한 기밀구조와, 안정된 오일공급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터빈 재킹오일 펌프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터빈, 베어링, 재킹 오일 펌프, 실린더, 씰

Description

터빈 재킹오일 펌프{turbine jacking oil pump}
본 발명은 터빈 재킹오일 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소 터빈의 축계를 지지하는 베어링에 고압의 오일을 공급하는 터빈 재킹오일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 터빈에 사용되는 재킹오일 펌프는 터빈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내측 하부로 고압의 오일을 공급하여 터빈축을 미세하게 부상시킴으로써 베어링과 터빈축 사이에서 유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발전기 터빈에는 통상 8개정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재킹오일 펌프는 발전기가 가동되는 한 연속으로 장기간 운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마모나 접속구조의 부실 등으로 인하여 고압을 제대로 생성해내지 못하거나, 정격보다 적은 유량을 공급하게 될 경우 발전기 가동을 중지시킬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재킹오일 펌프는 오일의 압축에 의한 효율적인 고압생성구조, 고압의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밀구조, 안정된 오일공급구조를 전반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나, 종래에는 이러한 고압생성구조, 기밀구조, 오일공급구조 를 효율적으로 복합되게 구현하지 못하여 오일의 압축에 의해 고압을 생성시키는 효율이 낮으며, 오일의 누설상태나 오일공급과정에서의 압력유실을 확인하기 위해 단기간마다 검사,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오일의 압축에 의해 보다 고효율로 고압을 생성시킬 수 있으면서도, 보다 견고한 기밀구조와, 안정된 오일공급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터빈 재킹오일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본체(1); 편심부(28a)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의 중앙에 축결합되는 샤프트(28); 상기 샤프트의 편심부(28a) 둘레에 결합되는 편심롤러베어링(42); 상기 편심롤러베어링(42)에 접속된 상태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피스톤(13); 상기 피스톤(13)을 상기 편심롤러베어링(42)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12); 오일유입구(1a)를 통해 상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된 오일을 1차 체크밸브(20)를 통과시키며 상기 피스톤(13)이 수용된 실린더(1e)측으로 공급하는 오일유입체(26); 상기 실린더(1e)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13)의 이동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된 오일을 상기 2차 체크밸브(18)를 통과시키며 오일토출구(1d)를 통해 상기 본체(1) 외부로 배출하는 오일유출체(16);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상기 샤프트(28)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샤프트(28)와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본체(1)에 고정되는 플레이트(30); 상기 플레이트(30)에 내향돌출되게 설치되는 스냅링(44a); 상기 샤프트(28)에 내면부가 접속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스냅링(44a)에 접속되어 상기 샤프트(28)의 일단부측으로의 이동이 구속 되고, 타단부에 축방향으로 함몰부가 형성된 머케니컬링(44b); 상기 머케니컬링(44b)의 함몰부에 일단부가 삽입되게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샤프트(28)의 외면에 접속되게 설치되는 카본링(44c); 상기 머케니컬링(44b)의 함몰부 내부에서 상기 머케니컬링(44b)과 카본링(44c) 사이에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스프링(44d); 상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에 의한 오일누출을 1차로 방지하도록 상기 카본링(44c)과 샤프트(28)간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제1오링(44e); 및 상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에 의한 오일누출을 2차로 방지하도록 상기 머케니컬링(44b)과 플레이트(30)간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제2오링(44f);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빈 재킹오일 펌프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는, 다수의 상기 오일유입체(26)를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는 환형의 오일유입갤러리(1b); 및 상기 오일토출구(1d)와 다수의 상기 오일유출체(16)를 연결하는 환형의 오일유출갤러리(1c);를 포함하여 일체로 주물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의 편심부(28a)를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28)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제1롤러베어링(43); 상기 샤프트의 편심부(28a)를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28)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제2롤러베어링(40); 상기 샤프트(28)의 타단부에서 상기 샤프트(28)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트러스트베어링(41); 상기 제2롤러베어링(40) 및 트러스트베어링(41)을 내면에 설치한 상태로 상기 본체(1)의 타단부에 삽입결합되는 하우징(39); 및 상기 트러스트베어링(41)을 상기 샤프트(28)의 일단부측으로 구속하며, 상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에 의한 오일누출을 방지하 도록 상기 하우징(39)의 타단부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커버(2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2)의 외측단부를 정위치에 구속시키며 상기 본체(1)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13)과 스프링(12)이 수용되는 실린더(1e)를 외측으로 관통하는 배기홀(10a)이 형성된 캡(10); 상기 배기홀(10a) 내부에 삽입되는 밀착볼(10b); 및 상기 밀착볼(10b)을 상기 캡(10)의 배기홀(10a)의 내면에 밀착조정시키며 상기 본체(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조정하는 벤트스크류(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는, 상기 샤프트(28)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상기 다수의 피스톤(13)을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구속하는 피스톤결합부(1f); 및 상기 캡(10)이 나사체결에 의해 기밀하게 조립가능하도록 상기 캡(10)의 나사체결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피스톤결합부(1f)에 연통형성된 캡결합부(1g);를 포함하여 일체로 주물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다수의 피스톤을 동시에 왕복이동시키면서 오일을 압축하여 보다 고효율로 고압을 생성하며, 스냅링, 머케니컬링, 카본링, 완충스프링, 제1오링, 제2오링을 구비한 오일씰링수단을 구비하여 고압의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기밀하게 방지하고, 오일유입구에서 오일유입체, 실린더, 오일유출체를 통과하여 오일토출구측까지 연장되는 안정된 오일공급경로를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일의 압축에 의한 효율적인 고압생성구조, 고압의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밀구조, 안정된 오일공급구조를 전반적으로 확보함으로써, 재킹오일 펌프의 작동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으며, 재킹 오일 펌프의 검사 및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재킹오일 펌프를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재킹오일 펌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의 상세도이며, 도 5는 본체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재킹오일 펌프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 샤프트(28), 편심롤러베어링(42), 다수의 피스톤(13), 스프링(12), 오일유입체(26), 오일유출체(16), 오일씰링수단(44)으로 이루어지다.
상기 다수의 피스톤(13)이 상기 편심롤러베어링(42)과 스프링(12)에 의해 상기 본체(1)를 관통하여 결합된 상기 샤프트(28) 둘레에 편심되게 탄성가압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오일유입체(26)측으로 공급된 오일을, 상기 샤프트(28)의 회전에 의해 상기 다수의 피스톤(13)을 왕복이동시킴으로 써, 압축시키면서 상기 오일유출체(16)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오일씰링수단(44)이 상기 샤프트(20)와 본체(10) 사이에 기밀하게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체(1)는,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재킹오일 펌프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설치 및 작동변위의 기준이 되는 기본 골조와,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하우징을 제공함과 동시에,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유입구(1a), 오일유입갤러리(1b), 오일유출갤러리(1c), 오일토출구(1d), 실린더(1e), 피스톤결합부(1f), 캡결합부(1g)로 이루어지는 연통된 오일공급유로(이하 설명)를 구비하여 일체로 주물제작됨으로써 연속적이면서도 견고한 오일공급성능 및 기밀성능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28)는, 상기 샤프트(28)에 방사형으로 접속설치된 상기 피스톤(13)을 상기 샤프트(28)의 회전에 의해 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13)과의 접속부에 편심부(28a)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의 중앙에 축결합된다.
상기 편심롤러베어링(42)은, 상기 샤프트(28)측으로 탄성가압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상기 피스톤(13)과 샤프트(28)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28)의 회전에 의해 과도하게 마찰되어 마모되거나 과열되어 오일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의 편심부(28a) 둘레에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의 편심부(28a)를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28)의 일측부 둘레에는 제1롤러베어링(43)이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편심부(28a)를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28)의 타측부 둘레에는 제2롤러베어링(40)이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28)의 타단부에는 트러스트베어링(41)이 상기 샤프트(28)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롤러베어링(40)과 트러스트베어링(41)은, 상기 본체(1)의 타단부에 축방향으로 삽입가능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타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형성되어 상기 본체(1)의 타단면에 접속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하우징(39)의 내면에 연속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39)을 상기 샤프트(28)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1)의 타단부에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이 상기 샤프트(28)의 타측부 및 타단부를 지지하도록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롤러베어링(40), 트러스트베어링(41)과 상기 샤프트(28), 하우징(39)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기밀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39)의 플랜지부를 커버링가능한 단면적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39)의 플랜지부를 상기 샤프트(28)의 일단부측으로 구속하며 상기 본체(1)의 타단부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커버(29)에 의해, 상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에 의한 오일누출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피스톤(13)은, 상기 편심롤러베어링(42)에 접속된 상태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28)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28)의 중심에 인접되거나 이격되는 방향에 해당되는 직선경로로 왕복이동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12)은, 상기 피스톤(13)을 상기 편심롤러베어링(42)측으로 탄성가압하도록 상기 피스톤(13)의 외측단부에 상기 피스톤(13)의 이동방향으로의 신축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12)을 상기 본체(1)의 정위치에 구속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스프링(12)의 외측단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함몰부 또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 기 본체(1)에 고정설치되는 캡(10)을 구비하여, 상기 스프링(12)이 상기 피스톤(13)과 캡(10)에 내측단부와 외측단부가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신축변형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캡(10)에는 상기 피스톤(13)과 스프링(12)이 수용되는 실린더(1e)를 외측으로 관통하는 배기홀(10a)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홀(10a)은 외측부가 내측부에 비해 보다 확장형성된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배기홀(10a)의 외측단부에 결합된 벤트스크류(14)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상기 배기홀(10a) 내부에 삽입된 밀착볼(10b)을 상기 캡(10)의 배기홀(10a)의 내면에 밀착조정시키며 본 발명의 초기 구동 시 상기 본체(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다시 기밀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에는 상기 샤프트(28)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상기 다수의 피스톤(13)을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구속하는 피스톤결합부(1f)와, 상기 캡(10)이 나사체결에 의해 기밀하게 조립가능하도록 상기 캡(10)의 나사체결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피스톤결합부(1f)에 연통형성된 캡결합부(1g)를 구비하여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구현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오일유입체(26)는, 오일유입구(1a)를 통해 상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된 오일을 1차 체크밸브(20)를 통과시키며 상기 피스톤(13)이 수용된 실린더(1e)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오일유출체(16)는, 상기 실린더(1e)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13)의 이동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된 오일을 상기 2차 체크밸브(18)를 통과시키며 오일토출구(1d)를 통해 상기 본체(1) 외부로 배출한다.
체크 밸브(check valve)는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오일이 유동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밸브로, 상기 1차 체크밸브(20)는 상기 오일유입체(26) 내부에서 상기 실린더(1e)측으로 유동된 오일이 상기 오일유입체(126)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2차 체크밸브(18)는 상기 실린더(1e) 내부에서 상기 오일유출체(16)측으로 유동된 오일이 상기 실린더(1e)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본체(1) 외부의 오일은 상기 오일유입구(1a)를 통해 상기 샤프트의 편심부(28a)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샤프트(28)의 편심회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오일유입체(26)측으로 공급되고, 다수의 상기 오일유입체(26)를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는 환형의 오일유입갤러리(1b)를 통해 고르게 압력분배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1e)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실린더(1e)측으로 유동된 오일은 상기 피스톤(13)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1e)의 내부용적이 축소되면서 고압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오일유출체(16)측으로 공급되며, 고압의 오일을 상기 오일토출구(1d)와 다수의 상기 오일유출체(16)를 연결하는 환형의 오일유출갤러리(1c)를 통해 최종적으로 상기 오일토출구(1d)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본체(1) 외부로 유출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1) 및 샤프트(28)의 타단부는 상기와 같이 상기 하우징(39)과 커버(29)에 의해 상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에 의한 오일누출을 방지하도록 기밀하게 밀폐되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부분인 상기 본체(1) 및 샤프트(28)의 일단부는 상기 오일씰링수단(44)에 의해 상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에 의한 오일누출을 방지가능한 기밀한 밀폐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 오일씰링수단(4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스냅링(44a), 머 케니컬링(44b), 카본링(44c), 완충스프링(44d), 제1오링(44e), 제2오링(44f)으로 이루어져 상기 샤프트(28)와 상기 본체(1)에 고정설치된 플레이트(3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30)는, 내면부가 상기 샤프트(28)와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도록 상기 본체(1)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본체(1)와의 접속부에 씰링부재를 내삽한 상태로 상기 본체(1)의 일측단면상에 기밀하게 밀착설치되며, 상기 스냅링(44a)은 상기 플레이트(30)의 내면부에 내향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머케니컬링(44a)은, 상기 샤프트(28)와 플레이트(30)간의 이격거리에 해당되는 폭을 가지고 상기 샤프트(28)의 외주면에 내면부가 접속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스냅링(44a)에 접속되어 상기 샤프트(28)의 일단부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스냅링(44a)보다 타측에 설치되고, 타단부에 축방향으로 함몰부가 형성된다.
상기 카본링(44c)은, 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카본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머케니컬링(44a) 보다 타측에서 상기 샤프트(28)의 외주면에 내면부가 접속되게 설치되고, 상기 머케니컬링(44b)의 함몰부에 일단부가 삽입되게 설치되며, 상기 완충스프링(44d)은 상기 머케니컬링(44b)의 함몰부 내부에서 상기 머케니컬링(44b)과 카본링(44c) 사이에 상기 샤프트(28)의 축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오링(44e)은 상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에 의한 오일누출을 1차로 방지하도록 상기 카본링(44c)과 샤프트(28)간의 접속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오링(44f)은 상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에 의한 오일누출을 2차로 방지하 도록 상기 머케니컬링(44b)과 플레이트(30)간의 접속부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1) 내부에 생성된 고압에 의해 오일이 상기 샤프트(28) 및 본체(1)의 일단부측으로 유동압력을 받게 되면 상기 제1오일(44e)에 의해 상기 샤프트(28)에 기밀하게 밀착된 상기 카본링(44c)이 고압의 압력을 1차적으로 전달받게 되며, 상기 스프링(44d)에 의해 완충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30)와 샤프트(28)에 내, 외면부가 밀착접속된 상태의 상기 머케니컬링(44b)측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본체(1) 내부에서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고압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면서 기밀한 밀폐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재킹오일 펌프는, 상기 다수의 피스톤(13)을 동시에 왕복이동시키면서 오일을 압축하여 보다 고효율로 고압을 생성하면서도, 상기 스냅링(44a), 머케니컬링(44b), 카본링(44c), 완충스프링(44d), 제1오링(44e), 제2오링(44f)을 구비한 오일씰링수단(44)을 구비하여 고압의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기밀하게 방지하고, 상기 오일유입구(1a)에서 상기 오일유입체(1b), 실린더(1e), 오일유출체(1c)를 통과하여 상기 오일토출구(1d)측까지 연장되는 안정된 오일공급경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오일의 압축에 의한 효율적인 고압생성구조, 고압의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밀구조, 안정된 오일공급구조를 전반적으로 확보함으로써, 재킹오일 펌프의 작동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으며, 재킹 오일 펌프의 검사 및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 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재킹오일 펌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 2 - 도 1의 우측면도
도 3 - 도 1의 요부사시도
도 4 - 도 1의 "A"의 상세도
도 5 - 본체의 요부단면도
도 6 - 도 5의 좌측면도
도 7 - 도 5의 우측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본체 1a : 오일유입구
1b : 오일유입갤러리 1c : 오일유출갤러리
1d : 오일토출구 1e : 실린더
1f : 피스톤결합부 1g : 캡결합부
10 : 캡 10a : 배기홀
10b : 밀착볼 12 : 스프링
13 : 피스톤 14 : 벤트스크류
16 : 오일유출체 18 : 2차 체크밸브
20 : 1차 체크밸브 26 : 오일유입체
28 : 샤프트 28a : 편심부
29 : 커버 30 : 플레이트
39 : 하우징 40 : 제2롤러베어링
41 : 트러스트베어링 42 : 편심롤러베어링
43 : 제1롤러베어링 44 : 오일씰링수단
44a : 스냅링 44b : 머케니컬링
44c : 카본링 44d : 완충스프링
44e : 제1오링 44f : 제2오링

Claims (5)

  1. 본체(1);
    편심부(28a)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의 중앙에 축결합되는 샤프트(28);
    상기 샤프트의 편심부(28a) 둘레에 결합되는 편심롤러베어링(42);
    상기 편심롤러베어링(42)에 접속된 상태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피스톤(13);
    상기 피스톤(13)을 상기 편심롤러베어링(42)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12);
    오일유입구(1a)를 통해 상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된 오일을 1차 체크밸브(20)를 통과시키며 상기 피스톤(13)이 수용된 실린더(1e)측으로 공급하는 오일유입체(26);
    상기 실린더(1e)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13)의 이동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된 오일을 상기 2차 체크밸브(18)를 통과시키며 오일토출구(1d)를 통해 상기 본체(1) 외부로 배출하는 오일유출체(16);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상기 샤프트(28)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샤프트(28)와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본체(1)에 고정되는 플레이트(30);
    상기 플레이트(30)에 내향돌출되게 설치되는 스냅링(44a);
    상기 샤프트(28)에 내면부가 접속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스냅링(44a)에 접속되어 상기 샤프트(28)의 일단부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타단부에 축방향 으로 함몰부가 형성된 머케니컬링(44b);
    상기 머케니컬링(44b)의 함몰부에 일단부가 삽입되게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샤프트(28)의 외면에 접속되게 설치되는 카본링(44c);
    상기 머케니컬링(44b)의 함몰부 내부에서 상기 머케니컬링(44b)과 카본링(44c) 사이에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스프링(44d);
    상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에 의한 오일누출을 1차로 방지하도록 상기 카본링(44c)과 샤프트(28)간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제1오링(44e); 및
    상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에 의한 오일누출을 2차로 방지하도록 상기 머케니컬링(44b)과 플레이트(30)간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제2오링(44f);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재킹오일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다수의 상기 오일유입체(26)를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는 환형의 오일유입갤러리(1b); 및
    상기 오일토출구(1d)와 다수의 상기 오일유출체(16)를 연결하는 환형의 오일유출갤러리(1c);
    를 포함하여 일체로 주물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재킹오일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편심부(28a)를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28)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제1롤러베어링(43);
    상기 샤프트의 편심부(28a)를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28)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제2롤러베어링(40);
    상기 샤프트(28)의 타단부에서 상기 샤프트(28)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트러스트베어링(41);
    상기 제2롤러베어링(40) 및 트러스트베어링(41)을 내면에 설치한 상태로 상기 본체(1)의 타단부에 삽입결합되는 하우징(39); 및
    상기 트러스트베어링(41)을 상기 샤프트(28)의 일단부측으로 구속하며, 상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에 의한 오일누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39)의 타단부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커버(29);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재킹오일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2)의 외측단부를 정위치에 구속시키며 상기 본체(1)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13)과 스프링(12)이 수용되는 실린더(1e)를 외측으로 관통하는 배기홀(10a)이 형성된 캡(10);
    상기 배기홀(10a) 내부에 삽입되는 밀착볼(10b); 및
    상기 밀착볼(10b)을 상기 캡(10)의 배기홀(10a)의 내면에 밀착조정시키며 상기 본체(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조정하는 벤트스크류(1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재킹오일 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상기 샤프트(28)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상기 다수의 피스톤(13)을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구속하는 피스톤결합부(1f); 및
    상기 캡(10)이 나사체결에 의해 기밀하게 조립가능하도록 상기 캡(10)의 나사체결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피스톤결합부(1f)에 연통형성된 캡결합부(1g);
    를 포함하여 일체로 주물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재킹오일 펌프.
KR1020080079852A 2008-08-14 2008-08-14 터빈 재킹오일 펌프 KR100869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52A KR100869777B1 (ko) 2008-08-14 2008-08-14 터빈 재킹오일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52A KR100869777B1 (ko) 2008-08-14 2008-08-14 터빈 재킹오일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777B1 true KR100869777B1 (ko) 2008-11-21

Family

ID=4028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852A KR100869777B1 (ko) 2008-08-14 2008-08-14 터빈 재킹오일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7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657A (ja) * 1995-02-22 1996-09-10 Toyota Motor Corp メカニカルシール
JPH11324901A (ja) 1998-03-26 1999-11-26 Robert Bosch Gmbh ピストンポンプもしくはピストンポンプを配備したブレ―キ装置
KR20010067881A (ko) * 2001-04-04 2001-07-13 정원진 원심펌프의 내산용 축봉장치
KR20050099624A (ko) * 2003-02-12 2005-10-14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피스톤 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657A (ja) * 1995-02-22 1996-09-10 Toyota Motor Corp メカニカルシール
JPH11324901A (ja) 1998-03-26 1999-11-26 Robert Bosch Gmbh ピストンポンプもしくはピストンポンプを配備したブレ―キ装置
KR20010067881A (ko) * 2001-04-04 2001-07-13 정원진 원심펌프의 내산용 축봉장치
KR20050099624A (ko) * 2003-02-12 2005-10-14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피스톤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1650B1 (en) Liquid ring pumps with rotating liners
RU2107192C1 (ru) Ротационный винтовой компрессор
CN102762866A (zh) 包括阀组件的压缩机
US6142060A (en) High pressure fuel pump having a bellows sealing arrangement
CN106337800B (zh) 用于安静的气动泵送的倾斜离轴式驱动器
US6929455B2 (en) Horizontal two stage rotary compressor
US20220349401A1 (en) Gerotor Pump
US20140202325A1 (en) Compact Radial Piston Hydraulic Machine Having a Cylinder Block with Deforming Regions
CN104358664A (zh) 一种端面配油的无轴向力双列径向柱塞泵
US7140851B2 (en) Axial compliance mechanism of scroll compressor
US6622612B2 (en) Pump, particularly plunger pump
US7516612B2 (en) Transmission pump seal
KR100869777B1 (ko) 터빈 재킹오일 펌프
JP2009250195A (ja) スクリュ流体機械
EP2770203B1 (en) Radial piston fluid machine a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of renewable energy type
CN103492702A (zh) 具有在凸轮轴上的推力轴承的燃料高压泵
EP2770204A1 (en) Hydraulic motor, method for starting hyraulic motor a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of renewable energy type
KR100842301B1 (ko) 일체형 스크롤 팽창기-압축기
CN113309681A (zh) 星型高压径向柱塞泵
KR20050114736A (ko) 레이디얼 피스톤 펌프
US20180045048A1 (en) Pump device
CN210118235U (zh) 车用无油空气压缩机
CN107795483B (zh) 一种无泄漏平衡型滚摆泵
EP2770201B1 (en) Valve cylinder interface, assembling method for valve cylinder interface a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of renewable energy type
GB2438702A (en) Efficiency maintenance apparatus for a mechanica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