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101B1 - Shadow Masks for Color Cathode Ray Tubes - Google Patents

Shadow Masks for Color Cathode Ray Tub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101B1
KR100869101B1 KR1020030004246A KR20030004246A KR100869101B1 KR 100869101 B1 KR100869101 B1 KR 100869101B1 KR 1020030004246 A KR1020030004246 A KR 1020030004246A KR 20030004246 A KR20030004246 A KR 20030004246A KR 100869101 B1 KR100869101 B1 KR 100869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hadow mask
electron beam
cathode ray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67230A (en
Inventor
이준종
허영수
이종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101B1/en
Publication of KR20040067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2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1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2All layers being foa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85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melamin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전자빔이 출사되는 측에 형성되는 대공과 전자빔이 입사되는 측에 형성되는 소공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들이 배열되는 유공부와, 유공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는 무공부를 구비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에 있어서, 대공은 에칭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진원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그 장축이 유공부의 대각 방향과 상호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소공은 전자빔 투과율을 소정 크기로 유지하는 동시에 방향별 타색 여유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적어도 유공부의 도밍 최대영역에서 타원 형상을 가지며, 그 장축이 유공부의 대각 방향과 상호 수직하게 형성된다.

Figure R1020030004246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holes and holes formed on the side from which the electron beam is emitted and the small holes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electron beam is incident, the hole is arranged, and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hole to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shadow mask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provided with no holes, the holes have an ellipse shape having an area smaller than a circle so as to minimize the amount of etching, and the major axis thereof is formed to coincide with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hole. In order to maintain the electron beam transmittance at a predetermined size and to ensure the margin of rudder color in each direction, the elliptical shape is formed at least in the dominant region of the perforated part, and its major axis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art.

Figure R1020030004246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도 1은 종래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lor cathode ray tube.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adow mask of FIG. 1. FIG.

도 3은 시간에 따른 도밍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dominant phenomenon over time.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섀도우 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공에 대한 단면도.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 beam through hole of the shadow mask of FIG. 1. FIG.

도 5는 타색 여유도에 대한 설명도. 5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a punching color margi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dow mask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유공부의 도밍 최대영역에서 소공의 형상 및 배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pores in the dominant maximum region of the hole.

도 8은 유공부의 중앙 영역에서 소공의 형상 및 배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pores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hole.

도 9는 유공부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소공의 형상 및 배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pores in the edge region of the hole.

도 10은 유공부에서 소공 및 대공의 형상 및 배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small holes and large holes in the hole.

도 11은 도 10의 소공 및 대공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FIG.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hapes of the small holes and the large holes of FIG. 10; FIG.

도 12는 유공부의 중심으로부터 거리에 대한 대공의 장방향 크기와 단방향 크기의 차이값을 나타낸 그래프. 12 is a graph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and unidirectional sizes of the large hole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hole.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61..섀도우 마스크 62..유공부61..shadow mask 62..holes

63..전자빔 통과공 63a..대공63..electron beam passing through

63b..소공 64..무공부63b .. 64 .. No study

65..스커트부 L1..소공의 장축 방향65. Skirt L1. Long axis direction of pore

L2..대공의 장축 방향 D..유공부의 대각 방향 L2..Long axis direction of large hole D..Diagonal direction of hole par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내부에 형광막과 근접되게 설치되어 색선별 기능을 수행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cathode ray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installed in proximity to a fluorescent film inside a panel of a color cathode ray tube to perform a color discrimination function.

도 1에는 종래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lored cathode ray tube.

도면을 참조하면, 칼라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11)이 형성된 패널(10)과, 상기 패널(10)과 봉착되며 네크부(21)의 내부에 전자총(22)이 설치된 펀넬(20)과, 상기 펀넬(20)의 콘부에 설치된 편향 요오크(23)와, 상기 패널(10)의 내부에 형광막(11)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자총(22)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의 색선별 기능을 가지는 섀도우 마스크(31)와 상기 섀도우 마스크(31)를 지지하는 프레임(39)으로 이루어진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lor cathode ray tube is a panel 10 having a fluorescent film 11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 funnel 20 encapsulated with the panel 10 and having an electron gun 22 installed inside the neck portion 21. And a deflection yoke 23 provided in the cone portion of the funnel 20 and an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22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luorescent film 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panel 10. The shadow mask frame assembly 30 includes a shadow mask 31 having a color discrimination function and a frame 39 supporting the shadow mask 31.

여기서, 상기 섀도우 마스크(31)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33)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유공부(32)와, 상기 유공부(32)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무공부(34)와, 상기 무공부(34)의 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스커트부(35)를 구비한다. Here, as shown in FIG. 2, the shadow mask 31 includes a hole 32 form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n beam through holes 33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edge of the hole 32. And a skirt portion 35 which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edge of the hollow portion 34.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총(22)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편향 요오크(23)에 의해 편향된 후, 상기 섀도우 마스크(31)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33)을 통과하여 패널(10)의 내면 즉, 스크린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막(11)의 적,녹,청색의 형광체(R,G,B)에 랜딩됨으로써 상기 형광체를 여기시켜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In the color cathode ray tu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22 is deflected by the deflection yoke 23, the color cathode ray tube passes through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33 formed in the shadow mask 31, and thus, of the panel 10. Landing on the red, green, and blue phosphors R, G, and B of the phosphor film 1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at is, the screen surface, excites the phosphor to form an image.

한편, 상기와 같이 전자총(22)으로부터 방출되어 형광막(11)에 랜딩됨으로써 이를 여기시키는 전자빔 즉, 열전자는 상기 유공부(32)의 전자빔 통과공(33)을 모두 통과하지 못하고 15% 내지 20% 정도만 통과하게 된다. 통과하지 못한 약 80%의 전자빔은 섀도우 마스크(31)의 유공부(32)에 충돌됨으로써 가지고 있던 운동에너지가 대부분 열에너지로 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섀도우 마스크(31)가 열팽창하여 스크린 방향으로 열변형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열변형에 의하여 섀도우 마스크(31)의 전자빔 통과공(33)과 형광체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 즉, 전자빔 통과공(33)의 드리프트(drift) 현상이 발생하여 전자빔의 미스-랜딩(mis-landing)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전체 화질의 색순도를 떨어뜨리는 도밍(Doming) 현상이 유발된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 beam that is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22 and landed on the fluorescent film 11 to excite it, that is, the hot electrons do not pass all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33 of the hole 32, 15% to 20 Only about% will pass. About 80% of the electron beams that do not pass impinge on the hole 32 of the shadow mask 31 so that most of the kinetic energy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As a result, the shadow mask 31 thermally expands and thermal deformation occurs in the screen direction. The thermal deformation causes the shadow mask 31 to shift relative to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33 and the phosphor of the shadow mask 31, that is,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 33), a drift phenomenon occurs, causing mis-landing of the electron beam. Thus, a doming phenomenon that degrades the color purity of the overall image quality is caused.

이러한 도밍 현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대략 3단계로 구분되는데, 초기의 도밍 구간은 섀도우 마스크(31)의 열팽창으로 인해 주로 발생되 어 도밍 현상이 최고치에 도달하게 되며, 중기의 도밍 보정구간은 프레임(39)으로의 열전도에 기인하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칼라 음극선관내의 열평형에 도달하여 안정상태에 이르게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dominant phenomenon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ime, and the initial dominant interval is mainly generated due to thermal expansion of the shadow mask 31 so that the dominant phenomenon reaches a maximum value. The domming correction interval is caused by the heat conduction to the frame 39, and finally reaches the thermal equilibrium in the color cathode ray tube to reach a stable state.

초기 도밍은 돔 형태의 곡률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31)의 유공부(32)에 있어서, 그 중심에서부터 가장자리까지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1/2∼2/3되는 영역에서 가장 크게 발생되며, 섀도우 마스크(31)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진행하는 방향성을 가진다. Initial doming is most prominent in the area of the hole 32 of the shadow mask 31 having a dome-shaped curvature in a region 1/2 to 2/3 of the entire length from the center to the edge, and the shadow mask It has a directionality to proceed radially outward of (31).

이러한 초기 도밍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저열팽창계수를 갖는 재질의 섀도우 마스크를 사용하거나, 섀도우 마스크에 충돌하는 전자빔에 의한 열 에너지의 흡수량을 줄이기 위한 무기질 코팅법 등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비록 만족할만한 도밍 특성을 나타내었지만 재료비나 공정비 상승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보다 저비용의 소재로 된 섀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도밍 특성을 향상시켜 색순도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깨끗한 화질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A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itial domming characteristics, a shadow mask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r an inorganic coating method for reducing the absorption of thermal energy by an electron beam impinging on the shadow mask has been applied. However, these methods have a problem of increasing material costs and process costs, although they show satisfactory domming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clear image quality that does not cause a decrease in color purity by using a shadow mask made of a lower cost material to improve the doming characteristic.

한편, 섀도우 마스크(31)의 유공부(32)에 있어서, 전자빔 통과공(33)은 여러 가지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4에는 전자빔 통과공(33)의 일예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hole 32 of the shadow mask 31,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33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the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33 is shown in FIG. .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빔 통과공(33)은 패널(10)에 대향되도록 섀도우 마스크(31)의 외측에 형성되는 대공(大孔, 33a)과, 그 내측에 형성되는 소공(小孔, 33b)으로 이루어져 있다. As shown,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33 is a large hole 33a formed outside the shadow mask 31 so as to face the panel 10, and a small hole 33b formed inside thereof. Consists of                         

상기 소공(33b)은 전자빔 투과율과 형광체 도트 형상 및 투과하는 전자빔경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타색 여유도(CM, 도5참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소공(33b)의 크기를 작게 설계하면 되지만 전자빔 투과율이 감소하게 되어 휘도 특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적절한 전자빔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타색 여유도(CM)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small hole 33b affects the electron beam transmittance, the shape of the phosphor dot, and the transmitting electron beam diameter. In order to improve the other color margin (CM, see FIG. 5), the small hole 33b may be designed to have a small size, but the electron beam transmittance This decreases the luminance characteristics, so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other color margin (CM)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electron beam transmittance.

여기서, 타색 여유도(CM)라 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형광체 도트(R)를 치는 전자빔에 있어서 전자빔 경계(BB)와 인접한 다른 형광체 도트, 예컨대 녹색 형광체 도트(R)를 치지 않는 범위까지를 말하는데, 이러한 타색 여유도(CM)를 크게 확보하게 되면 초기 도밍이 발생되더라도 색순도가 열화되지 않은 깨끗한 화질을 얻게 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5, the other color margin CM refers to another phosphor dot adjacent to the electron beam boundary BB, such as a green phosphor dot R, in the electron beam striking the red phosphor dot R. As shown in FIG. To this extent, if the secured color margin (CM) is largely secured, even if the initial doming occurs, the color purity may not be deteriorated and a clean image quality may be obtained.

또한, 섀도우 마스크(31)의 전자빔 통과공(33)은, 통상적으로 에칭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데, 필요이상으로 에칭을 하게 되면 마스크 원판의 무게가 감소되어, 성형 후에 곡면 지지강도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전자빔의 입사 방향으로의 빔 클리핑(Clipping) 현상, 즉 섀도우 마스크(31)의 전자빔 통과공(33) 면에 전자빔이 충돌하여 색순도가 열화되는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에서 최적의 크기를 갖는 대공을 에칭하는 것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33 of the shadow mask 31 is typically formed by an etching method. If the etching is performed more than necessary, the weight of the mask disc is reduced, which adversely affects the curved support strength after molding. do. Therefore, a hole having an optimal size 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beam clipping i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electron beam, that is, the electron beam collides with the electron beam passing hole 33 surface of the shadow mask 31 to deteriorate color purity. It will be required to etch it.

상기와 관련된 기술로는, 일본 특개평11-238474호, 일본 특개평11-54062호에 개시된 것들이 있다. As related technologies, there are thos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11-238474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11-5406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빔 통과공을 이루 는 소공 및 대공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도밍 특성이 향상되는 한편 지지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small holes and large holes constituting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to provide a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that can improve the dominant characteristics and the support strength There is a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는, The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각각 전자빔이 출사되는 측에 형성되는 대공과 전자빔이 입사되는 측에 형성되는 소공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들이 배열되는 유공부와, 상기 유공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는 무공부를 구비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에 있어서, A hole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n beam through holes formed of a large hole formed on the side from which the electron beam is emitted and a small hole formed on the side from which the electron beam is incident, and a non-hol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width from an edge of the hole. In the shadow mask for colored cathode ray tube,

상기 대공은 에칭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진원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그 장축이 유공부의 대각 방향과 상호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The large hole has an elliptic shape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e round so as to minimize the amount of etching, the long axis is form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hole,

상기 소공은 전자빔 투과율을 소정 크기로 유지하는 동시에 방향별 타색 여유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적어도 유공부의 도밍 최대영역에서 타원 형상을 가지며, 그 장축이 유공부의 대각 방향과 상호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ll pores have an elliptic shape at least in the dominant region of the perforated part so that the electron beam transmittance can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other color margins can be secured in each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유공부의 최종단 영역에서, 상기 대공의 장방향 크기/단방향 크기의 비는 0.70 ∼ 0.85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inal end region of the hol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longitudinal size / unidirectional size of the large hole is 0.70 to 0.85.

상기 유공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대공의 장방향 크기/단방향 크기의 비는 0.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ore portion, the ratio of the longitudinal size / unidirectional size of the large hole is preferably 0.85 or more.

상기 대공의 장방향 크기를 a, 상기 대공의 단방향 크기를 b, 상기 유공부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r이라 할 때에,

Figure 112008047161562-pat00015

를 만족하고, 여기서 A와 B는 설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상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rge hole is a, the unidirectional size of the large hole b is b,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hole is r.
Figure 112008047161562-pat00015

, Where A and B are constants tha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design.

상기 유공부의 도밍 최대영역을 제외한 중앙 영역 및 가장자리 영역에 배열되는 소공들은, 각각 타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소공의 장축이 유공부의 대각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Small pores arranged in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except the dominant maximum region of the perforated portion have an elliptic shape, and the long axes of the small pores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ortion.

상기 유공부의 도밍 최대영역을 제외한 중앙 영역 및 가장자리 영역에 배열되는 소공들은, 각각 진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Small pores arranged in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except the maximum dominant region of the hole are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내면에 형성된 형광막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의 색선별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다.The shadow mask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lor discrimination function of an electron beam emitted from an electron gun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from a fluorescent film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panel of a color cathode ray tube. It is.

도면을 참조하면, 섀도우 마스크(61)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63)이 형성된 유공부(62)와, 상기 유공부(62)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무공부(64)와, 상기 무공부(64)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는 스커트부(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hadow mask 61 includes a hole 62 form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n beam through holes 63, a hole 64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dge of the hole 62, and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kirt part 65 bent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non-hole part 64. As shown in FIG.

상기 유공부(62)의 전자빔 통과공(63)들은 색선별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패널에 대향되도록 섀도우 마스크(61)의 외측인 전자빔이 출사되는 측에 형성되는 대공(大孔, 63a)과, 그 내측인 전자빔이 입사되는 측에 형성되는 소공(小孔, 63b)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electron beam passing holes 63 of the hole 62 have a color discriminating function, and are formed with a large hole 63a formed at a side from which the electron beam, which is outside the shadow mask 61, is emitted so as to face the panel. It consists of a small hole (63b) formed in the side which the electron beam which is inside is incident.

상기 전자빔 통과공(63)의 소공(63b) 및 대공(63a)은 에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소공(63b) 및 대공(63a)의 크기 및 형상은 전자빔의 편향 각도와, 마스크 의 두께에 따른 에칭 특성, 및 전자빔 투과율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mall holes 63b and the large holes 63a of the electron beam passing hole 63 may be formed by etching,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small holes 63b and the large holes 63a may depend on the deflection angle of the electron beam and the thickness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etching characteristics, electron beam transmittance and the like can be variously made.

통상적으로, 전자빔 투과율(Tm)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다. 이 식에서 알 수 있듯이, 전자빔 투과율(Tm)은 소공의 수평크기(SW) 및 수직크기(SL)와, 통과공 수평 피치(Ph) 및 수직 피치(Pv)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Typically, the electron beam transmittance Tm is calculated as in Equation 1 below. As can be seen from this equ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n beam transmittance Tm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size SW and the vertical size SL of the small holes, and the horizontal pitch Ph and the vertical pitch Pv of the through holes.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03002234929-pat00001
Figure 112003002234929-pat00001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전자빔 투과율(Tm)을 높이기 위하여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공(63b)들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이 배열되어진다.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s. 7 to 9 to increase the electron beam transmittance Tm, the small holes 63b are formed and arranged, respectively.

도 7 내지 도 9에는 유공부의 후술할 각 영역마다 형성된 소공들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대공들은 생략되어 있다. 7 to 9 illustrate small holes formed in respective regions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holes are omitted.

섀도우 마스크(61)의 유공부(62)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유공부(62)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1/2∼2/3되는 영역(이하, 도밍 최대영역이라 함, B)과, 유공부(62)의 중심으로부터 도밍 최대영역(B)의 내측 경계까지의 영역(이하 중앙 영역이라 함, A), 및 도밍 최대영역(B)의 외측 경계로부터 가장자리까지의 영역(이하 가장자리 영역이라 함, C)으로 구획한다면, 섀도우 마스크(61)의 도밍 현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의 섀도우 마스크(61)의 변형시에 돔형인 섀도우 마스크(61)의 곡률 특성상, 도밍 최대영역(B)에서 가장 크게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색순도 열화, 즉 랜딩 이동은 섀 도우 마스크(61)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진행되는 방향성을 가진다. In the perforation part 62 of the shadow mask 6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area of 1/2 to 2/3 with respect to the entire length from the center to the edge of the perforation part 6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ominant area) And B) and the area from the center of the perforation portion 62 to the inner boundary of the dominant maximum area B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entral area, A), and the outer boundary to the edge of the dominant maximum area B. If the area is divided into an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dge area C), the dominant phenomenon of the shadow mask 61 is, as described above, the curvature of the shadow mask 61 which is domed in the deformation of the initial shadow mask 61.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the largest occurrence occurs in the dominant maximum region B. Accordingly, deterioration of color purity, i.e., landing movement, has a directionality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shadow mask 61.

따라서, 소공(63b)의 수평크기(SW) 및 수직크기(SL)는 특히, 유공부(62)의 도밍 최대영역(B)에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공(63b)의 수평크기(SW) 및 수직크기(SL)가 조정됨에 따라 소공(63b)은 진원 형상이 아닌 타원 형상을 가진다. Therefore, the horizontal size SW and the vertical size SL of the small holes 63b are particularly preferably adjusted in the dominant area B of the perforations 62. That is, as the horizontal size SW and the vertical size SL of the small holes 63b are adjusted, the small holes 63b have an elliptical shape rather than a round shape.

또한, 상기 소공(63b)은 소정의 회전 각도(θ)를 가진다. 상기 소공(63b)의 회전 각도(θ)는 소공(63b)의 장축 방향(L1)과 유공부(62)의 대각 방향(D) 사이가 이루는 각도로서 0°내지 90°의 범위를 가지는 예각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유공부(62)의 대각 방향(D)은 유공부(62)의 중심에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의 방향으로 정의된다. In addition, the small hole 63b has a predetermined rotational angle θ. The rotation angle θ of the small holes 63b is an angle formed between the major axis direction L1 of the small holes 63b and the diagonal direction D of the hole part 62, and has an acute angle having a range of 0 ° to 90 °. Is defined. In addition, the diagonal direction D of the pore 62 is defined as the direction of an imaginary line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pore 62.

상기 소공(63b)의 회전 각도(θ)는 상기 유공부(62)의 도밍 최대영역(B)에서, 소공(63b)의 장축 방향(L1)이 유공부(62)의 대각 방향(D)과 상호 수직이 되는 최대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tation angle θ of the small hole 63b is the maximum axis B of the small hole 63b in the long axis direction L1 of the small hole 63b and the diagonal direction D of the small hole 63. It is desirable to have a maximum angl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유공부(62)의 도밍 최대영역(B)을 제외한 영역에서는 소공(63b)의 형상이 여러 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밍 최대영역(B)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유공부(62)의 중앙 영역(A)과, 가장자리 영역(C)에서도 소공(63b)들이 각각 타원 형상을 가지며, 각 소공(63b)의 장축 방향(L1)이 유공부(622)의 대각 방향(D)과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dominant region B of the hole 62, the small hole 63b may have various shapes. As shown in the drawing, as in the dominant region B, Small holes 63b each have an ellipse shape in the center area A and the edge area C of the hole part 62, and the major axis direction L1 of each hole hole 63b is diagonal to the hole part 622. It may b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D).

다른 예로서, 상기 유공부의 중앙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소공들이 각각 진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small pores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edge region of the perforation portion.                     

또 다른 예로서는, 상기 유공부의 중앙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에서도 소공들이 각각 타원 형상을 가지며, 소정 각도로 회전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유공부의 중앙 영역에서는 각 소공이 도밍 최대영역의 내측 경계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회전 각도가 증가하여 도밍 최대영역의 내측 경계에서는 최대치, 즉 90°에 도달하도록 형성되며, 유공부의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각 소공이 도밍 최대영역의 외측 경계로부터 가장자리 끝으로 갈수록 그 회전 각도가 최대치에서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가장자리 끝에서 0°에 도달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ores may have an elliptic shape in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of the perforated portion,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cas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erforated portion, each of the pores gradually increases as the rotation angle increases toward the inner boundary of the dominant maximum region, and reaches a maximum value, that is, 90 °, at the inner boundary of the dominant maximum region. In the edge region of, each pore may be formed such that its rotation angl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maximum to reach 0 ° from the outer boundary of the dominant maximum region to the edge end.

적어도 도밍 최대영역(B)에서의 각 소공(63b)은 그 장축 방향(L1)이 섀도우 마스크(61)의 대각 방향(D)과 상호 수직이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섀도우 마스크(61)에 있어서, X,Y축상을 제외한 영역에서 방사상으로 진행하는 방향성을 가지는 도밍 현상에 대응하여 적절한 전자빔 투과율(Tm)을 유지하면서 방향별 타색 여유도(CM, 도 5참조)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색순도 열화에 대한 여유가 증가될 수 있다. At least each of the small holes 63b in the dominant maximum region B is formed such that its major axis direction L1 is perpendicular to the diagonal direction D of the shadow mask 61, so that in the shadow mask 61, X Corresponding to the doming phenomenon having a radial direction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Y-axis, the other color margin (CM, see FIG. 5) for each direction can be secured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electron beam transmittance (Tm). Therefore, the margin for color purity deterioration can be increased.

상술한 바와 같이, 섀도우 마스크(61)의 유공부(62)에 있어서, 소공(63b)의 형상, 즉 수평크기(SW) 및 수직크기(SL)를 변경하는 한편, 소공(63b)의 장축 방향(L1)이 섀도우 마스크(61)의 대각 방향(D)에 수직하도록 소공(63b)을 회전시켜 형성함으로써, 색순도 열화에 대한 여유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전자빔 투과율(Tm)은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전자빔이 다른 형광체를 발광하지 않도록 방향별 타색 여유도(CM)가 확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erforations 62 of the shadow mask 61, the shape of the small holes 63b, that is, the horizontal size SW and the vertical size SL, is changed while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small holes 63b is changed. By forming the small holes 63b so that L1 is perpendicular to the diagonal direction D of the shadow mask 6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argin for deterioration of color purity, and thus the overall electron beam transmittance Tm. While maintaining the uniformity, the rudder color margin CM in each direction may be enlarged so that the electron beam does not emit other phosphors.

또한, 종래의 저열팽창 특성을 가지는 고비용의 Co를 함유하는 울트라 인바(Ultra Invar)재나 Nb를 함유하는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진 섀도우 마스크를 일반 인바(Invar)재로 이루어진 섀도우 마스크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칼라 음극선관의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shadow mask made of ordinary Invar material with the shadow mask made of ultra-Invar material containing high cost Co or Nb-containing aluminum material having low thermal expansion characteristic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athode ray tube can be reduced.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소공(63b)과 더불어, 도 10에는 대공(63a)들의 각 형상과 이들이 배열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소공 및 대공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to the small holes 63b formed as described above, each shape of the large holes 63a and the state in which they are arranged are shown in FIG. 10, and the shapes of the small holes and the large holes are shown in FIG. 1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섀도우 마스크(61)의 유공부(62)의 중심에 위치한 대공(63a)은 진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이외의 영역에 배열된 대공(63a)들은 각각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10 and 11,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rge hole 63a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perforation portion 62 of the shadow mask 61 has a circular shape and is arranged in other regions. The large holes 63a each have an elliptic shape.

즉, 상기 대공(63a)의 장축 방향(L2)은 섀도우 마스크(61)의 유공부(62)의 대각 방향(D)과 일치하도록 위치되며, 이와 같이 대공(63a)들이 각각 에칭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공(63b)의 장축 방향(L1)과 대공(63a)의 장축 방향(L2)은 상호 수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소공의 형상은 각 영역마다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That is, the long axis direction L2 of the hole 63a is positioned to coincide with the diagonal direction D of the hole portion 62 of the shadow mask 61, and the holes 63a are etched in this manner. Further, the major axis direction L1 of the small hole 63b and the major axis direction L2 of the large hole 63a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ape of the por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in each area,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상기 대공(63a)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원 형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타원 형상을 가짐으로써, 전자빔의 클리핑 현상을 최소한의 수준으로 방지하면서, 동시에 불필요한 섀도우 마스크(61) 원판의 에칭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섀도우 마스크(61) 원판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섀도우 마스크(61)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the large hole 63a has an elliptic shape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e round shape, as shown in FIG. 11, the etching of the original shadow mask 61 disc is prevented while preventing clipping of the electron beam to a minimum level. It becomes possible to suppress it. Therefore, the supporting strength of the shadow mask 61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shadow mask 61 disc.

상기 섀도우 마스크(61)의 유공부(62)에 배열되는 대공(63a)의 형상에 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The shape of the large hole 63a arranged in the hole 62 of the shadow mask 61 will now be described.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대공(63a)의 장방향 크기를 a, 단방향 크기를 b라고 할 경우, 각 대공(63a)에 있어서 그 크기비인 b/a는 유공부(62)의 최종단 영역에서 0.70∼0.85인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11,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rge hole 63a is a and the unidirectional size is b, the size ratio b / a in each of the large holes 63a is determined in the final end region of the hole 62.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0.70-0.85.

한편, 상기 유공부(62)의 중앙 영역(A)에서는 각 대공(63a)에 있어서 그 크기비인 b/a가 0.85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b/a가 클 경우 섀도우 마스크(61)의 얼룩 등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entral region A of the hole portion 62,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b / a of each of the large holes 63a is 0.85 or more,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the shadow mask 61 when b / a is large. This is because staining may occur.

상기와 같이 대공(63a)들이 배열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공(63a)의 장방향 크기(a)에서 단방향 크기(b)를 뺀 값인 a-b가 유공부(62)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인 r에 대하여 수학식 2와 같이, 3차식 이상의 포물선(parabolic) 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arrange the large holes 63a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2, ab,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unidirectional size b from the long direction size a of the large hole 63 a, is the center of the hole 62. For r, which is a distance from, it is preferable to form a parabolic equation of three or more equations as in Equation 2.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112003002234929-pat00002
Figure 112003002234929-pat00002

여기서, A, B는 설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상수를 나타낸다. Here, A and B represent constants tha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desig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61)와, 종래의 섀도우 마스크를 비교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Table 1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shadow mask 61 and the conventional shadow mas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표 1]TABLE 1

종래의 섀도우 마스크Conventional shadow mas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Shadow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최종단 영역에서의 b/a비B / a ratio in the final stage 0.860.86 0.720.72 마스크의 무게Weight of mask 53.7g53.7 g 58.3g58.3 g 지지강도Support strength 37.1G37.1G 42.6G42.6G 얼룩stain 발생 안함Does not occur 발생 안함Does not occur

실험 조건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61)에 있어서, 대공(63a)의 크기비인 b/a를 중심에서 1로 시작하여 도 12에 도시된 그래프에 따라 유공부(62)의 대각 방향(D)의 최종단 영역에서의 b/a가 0.72가 되도록 대공(63a)들을 배열하여 형성한 것이며, 이에 대비되는 종래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는 대공의 크기비인 b/a를 중심에서 1로 시작하여 선형적으로 감소시켜 대각 방향의 최종단에서의 b/a가 0.86이 되도록 대공들을 배열하여 형성을 형성한 것이다. Experimental conditions, respectively, in the shadow mask 6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e ratio 62 in accordance with the graph shown in Figure 12 starting from 1 at the center of the ratio b / a of the large hole (63a) Formed by arranging the pores 63a such that b / a in the final end region of the diagonal direction D of becomes 0.72. In contrast, a shadow mask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center of 1 at a size of b / a. Starting with, linearly reduced to form the formation by arranging the pores so that b / a at the end of the diagonal direction is 0.86.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61)는 종래와 같이 얼룩 등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종래에 비하여 섀도우 마스크의 무게가 약 10% 증가되며, 지지강도가 14.8%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the shadow mask 6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weight of the shadow mask by about 10% compared to the related art, without causing problems such as staining as in the prior art, and supporting strength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of 14.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도밍 최대영역에서의 각 소공을 타원 형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그 장축 방향이 유공부의 대각 방향과 상호 직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적절한 전자빔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방향별 타색 여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색순도 열화에 대한 여유가 증가됨으로써 도밍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small holes in the dominant maximum region ar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while the major axis direction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ortion, thereby maintaining the appropriate electron beam transmittance. Star margin can be secured. Therefore, the domming characteristic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margin for color purity deterioration.

또한, 유공부의 대공의 형상을 그 장축 방향이 유공부의 대각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에칭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섀도우 마스크의 무게를 증가시켜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hole shape of the hole portion so that its major axis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hole portion, the etching amount can be minimized, and the weight of the shadow mask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supporting strength.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전자빔 통과공의 소공 및 대공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저열팽창 특성을 가지는 고비용의 Co를 함유하는 울트라 인바 재나 Nb를 함유하는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진 섀도우 마스크를 일반 인바재로 이루어진 섀도우 마스크로 대체함으로써 칼라 음극선관의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small hole and the large hole of the electron beam through-hole as described above, the shadow mask made of ultra-invar material containing high cost Co or Nb-containing aluminum material having low thermal expansion characteristics currently used as a general Invar material Substituting the shadow mask mad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ould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7)

각각 전자빔이 출사되는 측에 형성되는 대공과 전자빔이 입사되는 측에 형성되는 소공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들이 배열되는 유공부와, 상기 유공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는 무공부를 구비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에 있어서, A hole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n beam through holes formed of a large hole formed on the side from which the electron beam is emitted and a small hole formed on the side from which the electron beam is incident, and a non-hol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width from an edge of the hole. In the shadow mask for colored cathode ray tube, 상기 대공은 에칭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진원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그 장축이 유공부의 대각 방향과 상호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The large hole has an elliptic shape having an area smaller than a circle so as to minimize the amount of etching, the long axis is form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hole, 상기 소공은 전자빔 투과율을 소정 크기로 유지하는 동시에 방향별 타색 여유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적어도 유공부의 도밍 최대영역에서 타원 형상을 가지며, 그 장축이 유공부의 대각 방향과 상호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The small pores have an elliptic shape at least in the dominant region of the perforated part so that the electron beam transmittance can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other color margins can be secured in each directio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공부의 최종단 영역에서, 상기 대공의 장방향 크기/단방향 크기의 비는 0.70 ∼ 0.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The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 unidirectional size of the large hole in the final end region of the hol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공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대공의 장방향 크기/단방향 크기의 비는 0.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The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 unidirectional size of the large hol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ho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공의 장방향 크기를 a, 상기 대공의 단방향 크기를 b, 상기 유공부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r이라 할 때에,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e is a, the unidirectional size of the hole is b,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hole is r,
Figure 112008047161562-pat00016
Figure 112008047161562-pat00016
를 만족하고, 여기서 A와 B는 설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Where A and B are constants tha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공부의 도밍 최대영역을 제외한 중앙 영역 및 가장자리 영역에 배열되는 소공들은, 각각 타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소공의 장축이 유공부의 대각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The small holes arranged in the center area and the edge area of the hole except the maximum dominant area of the hole have an elliptic shape, and the long axis of the hol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hole. Mask.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유공부의 도밍 최대영역을 제외한 중앙 영역 및 가장자리 영역에 배열되는 소공들에 있어서, 각 소공의 장축은 유공부의 대각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In the pores arranged in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except the dominant maximum region of the hole portion, the long axis of each hole is perpendicular to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hole portion, the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공부의 도밍 최대영역을 제외한 중앙 영역 및 가장자리 영역에 배열되는 소공들은, 각각 진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Small pores arranged in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except the dominant maximum region of the perforated portion, each of the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r shape.
KR1020030004246A 2003-01-22 2003-01-22 Shadow Masks for Color Cathode Ray Tubes KR1008691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246A KR100869101B1 (en) 2003-01-22 2003-01-22 Shadow Masks for Color Cathode Ray Tub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246A KR100869101B1 (en) 2003-01-22 2003-01-22 Shadow Masks for Color Cathode Ray Tub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230A KR20040067230A (en) 2004-07-30
KR100869101B1 true KR100869101B1 (en) 2008-11-17

Family

ID=3735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246A KR100869101B1 (en) 2003-01-22 2003-01-22 Shadow Masks for Color Cathode Ray Tub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10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2644A (en) * 1993-11-16 1995-07-28 Toshiba Corp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ray tube and manufacture thereof
US5990607A (en) * 1998-07-14 1999-11-23 Chunghwa Picture Tubes, Ltd. Shadow mask for color CRT and method for forming same
KR20020014724A (en) 2000-08-16 2002-02-25 기타지마 요시토시 Shadow mask
US6597092B1 (en) * 2000-01-11 2003-07-22 Hitachi, Ltd. Shadow mask having particular design of upper and lower holes for improved strength and halation characteristic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2644A (en) * 1993-11-16 1995-07-28 Toshiba Corp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ray tube and manufacture thereof
US5990607A (en) * 1998-07-14 1999-11-23 Chunghwa Picture Tubes, Ltd. Shadow mask for color CRT and method for forming same
US6597092B1 (en) * 2000-01-11 2003-07-22 Hitachi, Ltd. Shadow mask having particular design of upper and lower holes for improved strength and halation characteristics
KR20020014724A (en) 2000-08-16 2002-02-25 기타지마 요시토시 Shadow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230A (en)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0229B2 (en) Color picture tube with shadow mask with improved aperture spacing
KR100418169B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950005109B1 (en) Cathode ray tube
JPH0148607B2 (en)
KR100869101B1 (en) Shadow Masks for Color Cathode Ray Tubes
KR100428968B1 (en) Shadow mask frame assembly for color cathode ray tube, including frame having support portion, flange portion and skirt portion
JP2001060443A (en) Color cathode ray tube
US5834886A (en) Shadow mask frame with a curved flange
KR200159884Y1 (en) Shadow mask of cathode ray tube
KR930009359B1 (en) Shadow Mask Frame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s
KR100213773B1 (en) Shadow mask of cathode-ray tube
KR100545712B1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100477733B1 (en) Shadow Mask Frame Assembly
KR100318386B1 (en) Mask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
KR200171940Y1 (en) Shadow mask for cathode ray tube
KR100303836B1 (en) Shadow mask for CRT, and CRT using thereof
KR100395810B1 (en) Shadow mask frame assembly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200254835Y1 (en) Shadow Caterpillar Shadow Mask
KR100395806B1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20000034073A (en) Shadow Mask Frame Assembly for Color Cathode Ray Tube
JPH01120739A (en) Color display tube with boardered color selecting electrode
KR19980030971A (en) Shadow Mask Frame Assembly of Color Cathode Ray Tube
KR20000054917A (en) Mask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
KR19990008933A (en) Cathode ray tube
KR20000010583U (en) Shadow Mask of Cathode R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0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1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