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845B1 - A mov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hosphorescent st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mov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hosphorescent st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845B1
KR100868845B1 KR1020070025568A KR20070025568A KR100868845B1 KR 100868845 B1 KR100868845 B1 KR 100868845B1 KR 1020070025568 A KR1020070025568 A KR 1020070025568A KR 20070025568 A KR20070025568 A KR 20070025568A KR 100868845 B1 KR100868845 B1 KR 100868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ocessing
stone
luminescent
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84204A (en
Inventor
이경상
김경시
Original Assignee
맹경육
김경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경육, 김경시 filed Critical 맹경육
Priority to KR102007002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845B1/en
Publication of KR20080084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2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8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이 완료된 시설에 축광석을 가공할 수 있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luminescent ore processing apparatus and 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process the luminescent ore in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현장에 이동 설치되어 축광석을 가공하는 장치로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pparatus for moving the installation site to process the phosphorescent stone,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가공할 축광석과 접하는 하부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작업 투입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축광석 가공작업공구가 투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작업공구 투입부; 및 작업자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시창;을 포함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가 개시된다.A case in which 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lower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hosphorescent stone to be processed is opened; A work input part in which a hole is formed to allow a worker's hand to enter one side of the case; A work tool input part in which at least one hole into which the luminescent ore processing tool is inserted into the case is formed; And a viewing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ed in the case so that an operator can observe the inside thereof.

축광석, 가공장치, 투입구, 투시창 Phosphorus ore, Processing equipment, Slot, Viewing window

Description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가공 방법{A mov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hosphorescent st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ing the same}A mov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hosphorescent st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ter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mobi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mobi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mobi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를 이용한 바닥면 가공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dure of the bottom surface processing method using a mobile photoluminesc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케이스 120 : 작업 투입부110: case 120: operation input unit

130 : 작업공구 투입부 132 : 컴프레셔 투입구130: work tool inlet 132: compressor inlet

134 : 집진기 투입구 140 : 투시창134: dust collector slot 140: see-through window

본 발명은 축광유도석 제조 및 가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 시공이 완료된 시설에 축광석을 가공할 수 있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uminescent induction stone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luminescent ore processing apparatus and 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process the luminescent stone in a facility already completed construction.

종래에는 비상시의 길안내나 유도표지를 하기 위해서 축광판, 축광 테이프, 축광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바닥, 벽면, 계단 등에 부착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쉽게 부서지거나 훼손되기 쉽고, 화재시나 침수시에는 축광효과를 상실하는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attaching to a floor, a wall, a staircase, or the like using a photoluminescent plate, a photoluminescent tape, a photoluminescent paint, or the like has been used in order to guide or guide an emergency road. However, this method is easily broken or damaged, and there is a weak problem of losing the photoluminescent effect in case of fire or flooding.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여 대리석과 같은 바닥재에 축광석을 직접 가공하여 이를 바닥면이나 외장재 시공에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종래의 이와 같은 방법은 바닥재 제조시에 공장에서 대량으로 축광석 가공을 해야 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나 문자 또는 기호를 표현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지하철이나 공공시설 등의 이미 시공이 완료된 곳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닥재를 뜯어내고 재시공하거나 아예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한번 대량생산된 축광석 바닥재를 시공한 다음에는 유도표지의 내용이나 시공된 위치를 변경하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a method of directly processing phosphorescent ore on a flooring material such as marble and using it for flooring or exterior construction was used. This conventional method had to be processed in large quantities in the factory for the manufacture of floor coverings. Therefore, it was inconvenient to express various patterns, letters, or symbols. Furthermore, in order to install in places where construction has already been completed, such as subways and public facilities, the problem arises that the flooring is removed and rebuilt or that this method cannot be used at all. In addition, once the mass-produced photoluminescent flooring material is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to change the contents or the location of the guide cover.

이러한 문제로 현장에서 직접 바닥재나 외장재에 축광석을 가공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그러나 이렇게 현장에서 직접 축광석을 가공할 때에는 인근의 영업중인 상점과 통행중인 행인들에게 돌가루 피해가 발생하며, 야간에 축광석을 가공할 경우에도 미세한 돌가루가 상점 가판대 및 주변 시설물들에 침투하여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닐포장을 덮고 가공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 이용되나 이 역시 시설 설치가 번거롭고 워낙 광범위 지역에 시공하기 때문에 완벽한 오염물질의 차단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Due to this problem, the need to process the ore on the floor or exterior material directly on the site, but when processing the ore directly on the site, it causes crushing damage to nearby shops and passers-by, Even when processing the ore on the fine stone powder penetrates the shop stall and surrounding facilities there is a problem that pollut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of covering a plastic wrap and performing a processing operation is used, but it is also difficult to completely block the pollutants because it is cumbersome to install the facility and constructs it in a wide are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현장에서 직접 축광석 가공 작업을 진행할 때에 발생하는 돌가루 및 먼지 등을 차단할 수 있고 집진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축광석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obile luminescent ore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block the dust and dust generated when the luminescent ore processing work in the field directly, and can perform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at the same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cessing luminescent ore using this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는, 작업현장에 이동 설치되어 축광석을 가공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가공할 축광석과 접하는 하부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작업 투입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축광 석 가공작업공구가 투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작업공구 투입부; 및 작업자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시창;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type of luminescent or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which is installed at a work site and processes a luminescent stone. ; A work input part in which a hole is formed to allow a worker's hand to enter one side of the case; A work tool input part having at least one hole into which the phosphorescent stone processing tool is inserted into the case; And a viewing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ed in the case so that an operator can observe the inside thereof.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공구 투입부는, 축광석 가공용 분말이 분사되는 컴프레셔의 노즐이 투입되는 컴프레셔 투입구; 및 축광석 가공시에 분사된 가공용 분말과 석재에서 발생하는 석재 분말을 흡입하는 집진기의 노즐이 투입되는 집진기 투입구;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working tool inlet, the compressor inlet for the nozzle of the compressor is injected to the powder for processing luminescent minerals; And a dust collector inlet through which a nozzle of a dust collector for sucking the processing powder sprayed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phosphorescent stone and the stone powder generated in the stone is input.

또한, 상기 작업투입부 및 작업공구 투입부에는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공구가 투입되어 축광석 가공시에 내부의 분말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orking input part and the working tool input part further include a sealing means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powder inside the case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ore by inputting the worker's hand or the working tool.

나아가, 상기 케이스는 철제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case is preferably made of iron or plastic material.

아울러, 상기 케이스는 육면체 또는 사면체 형상이며 개방된 하부면 외의 일 측면이 분리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투시창의 재질은 유리, 유리섬유 또는 투명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is preferably a hexahedron or tetrahedral shape and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is separated one side other than the open lower surface, the material of the viewing window is any one of glass, glass fiber or transparent plastic Is preferably.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전기조명장치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case further comprises an electric lighting device inside the cas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작업현장에 이동 설치되어 축광석을 가공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가공할 축광석과 접하는 하부면 중 일부가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 중 개방되지 않은 면에 구비되어 하부면과 이격된 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작업 투입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축광석 가공작업공구가 투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작업공구 투입부; 및 작업자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시창;을 포함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device is moved to the installation site for processing the luminescent ore, the space is formed in the inner part of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uminescent stone to be processed open; A support part provided on an unopened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to support a bottom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A work input part in which a hole is formed to allow a worker's hand to enter one side of the case; A work tool input part in which at least one hole into which the luminescent ore processing tool is inserted into the case is formed; And a viewing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ed in the case so that an operator can observe the inside thereof.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는, 계단구조와 같은 바닥면이 불규칙한 구조에 대응되도록 접이식 또는 고정식 다리형태이다.Preferably, the support portion is a folding or fixed leg shape to correspond to the irregular structure of the bottom surface, such as a staircase structure.

나아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이격된 바닥면과의 간격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ortion can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spaced apart.

또한, 상기 케이스 하부면의 개방된 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개방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pen surfac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open sp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가공하는 방법으로서, (a) 가공할 현장의 바닥면에 개방면이 접하도록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b)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 내부로 가공작업공구를 투입하여 상기 바닥면에 문자, 기호 및 도안에 따라 음각 가공을 실시하는 단계; (c)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음각부위에 축광물질을 삽입하고 응고시키는 단계; 및 (d) 축광물질이 응고되어 상기 바닥면에 결합한 표면을 평탄 및 광택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를 이용한 바닥면 가공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cessing the bottom surface using a mobile luminescent or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installing a mobile luminescent ore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e open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ite to be processed; (b) injecting a processing tool into the movab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to perform intaglio processing according to letters, symbols and drawings on the bottom surface; (c) inserting and solidifying a photoluminescent material in the intaglio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d) flattening and polishing the surface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by coagulation of the photoluminescent material.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b)는, (1) 상기 바닥면에 미리 도안된 목적물을 부착하는 단계; (2) 가공작업공구를 통해 상기 바닥면에 축광석 가공용 분말을 고압 으로 분사하여 상기 목적물의 도안에 대응되도록 음각을 형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분사된 축광석 가공용 분말과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분말을 흡입하여 가공장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집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step (b) comprises: (1) attaching a previously designed object to the bottom surface; (2) forming the intaglio so as to correspond to the design of the object by spraying the phosphate ore processing powder on the bottom surface at a high pressure through a processing tool; And (3) collecting the injected luminescent ore powder and the powder gene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so as not to flow ou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mobi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100)는 하부면(112)이 개방된 케이스(110)와 이 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작업자의 손이 투입될 작업 투입부(120), 작업공구가 투입될 작업공구 투입부(13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시창(140)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movable luminescent or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ase 110 and the case 110, the lower surface 112 is open, the work input unit to be put the operator's hand 120, a work tool input unit 130 into which the work tool is to be inserted, and a viewing window 140 for observing the inside thereof.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에 축광석 가공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 되고 외부를 둘러싼 면들 중 일 면(112)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 개방된 면(112)은 가공할 바닥면 또는 외장재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에서 직접 접촉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면(112)은 상기 가공할 바닥면 또는 외장재면이 중앙에 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에서 축광석 가공시에 발생되는 분쇄 물질이나 돌가루 등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철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외형은 하부면(112)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육면체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면(112)이 개방되고 그 외의 외부면은 모두 밀폐된 사면체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이 채택될 수 있다.The case 110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proceeding the photoluminescent processing therein, and one side 112 of the surfaces surrounding the outside is open. The open surface 112 is a par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r the exterior surface to be processed is a structure that can be in direct contact in the space inside the case 110. Therefore, the open surface 112 of the case 110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r the exterior surface to be processed is in the center. In addition, the case 11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impacts such as crushed material or stone powder generated during processing of luminescent stone therein, for example, preferably made of iron or plastic. In addition, the outer shape of the case 110 is a hexahedral shape in which the lower surface 112 is open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hexahedron shape, and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tetrahedral shape in which a space is formed inside and one surface 112 is opened and all other outer surfaces are closed may be adopted.

상기 작업 투입부(120)는, 상기 케이스(110)의 일면 또는 일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작업 투입부(120)는 작업자의 손이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작업 투입부(120)의 면적은 작업자의 손이 드나들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ork input unit 120 is formed on one side or one side of the case 110, and is a hole penetrating the inner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e work input unit 120 serves to allow a worker's hand to be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work input unit 120 has a size that the hand of a worker can enter.

상기 작업공구 투입부(130)는 축광석 가공작업에 이용되는 축광석 가공작업공구가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투입되는 구멍으로 상기 케이스(110)의 일면 또는 일 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작업공구 투입부(130)는 컴프레셔 투입구(132) 및 집진기 투입구(13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셔 투입구(132)는 축광석 가공용 분말이 분사되는 컴프레셔의 노즐이 투입되는 구멍이다. 또한, 집진 기 투입구(134)는 축광석 가공시에 분사된 가공용 분말과 바닥재와 외장재 등의 석재에서 발생하는 돌가루를 흡입하는 집진기의 노즐이 투입되는 구멍이다. 상기 축광석 가공용 분말로는 금강석 분말 등이 이용된다. 특히, 상기 컴프레셔 투입구(132)는 가공될 바닥면에 대응되는 상부면에 위치하고, 집진기 투입구(134)는 가공될 바닥면에 근접한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컴프레셔 투입구(132)를 통해서 투입된 컴프레셔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말이 바닥면(112)에 직각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바닥면(112)으로 분사된 분말과 바닥재에서 발생되는 돌가루 등의 파편은 바닥면 부근에 위치한 집진기 투입구(134)를 통해서 바로바로 흡입하기 위함이다.The working tool input unit 130 is a hole into which the luminescent ore processing tool used for the luminescent ore processing work is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and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r one side of the case 110. The work tool inlet 130 may include a compressor inlet 132 and a dust collector inlet 134. The compressor inlet 132 is a hole into which the nozzle of the compressor into which the phosphorescent processing powder is injected is injected. 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inlet 134 is a hole into which the nozzle of the dust collector for injecting the processing powder sprayed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photoluminescent stone and the stone powder generated from the stone, such as flooring and exterior materials. Diamond powder or the like is used as the phosphorescent stone processing powder. In particular, the compressor inlet 132 is located on the top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to be processed, the dust collector inlet 134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side of the case 110 close to the bottom surface to be processed. This is for the powder injected from the compressor nozzle introduced through the compressor inlet 132 to be directed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surface 112. In addition, debris, such as powder injected into the bottom surface 112 and stone powder generated from the flooring material is to directly suck through the dust collector inlet 134 located near the bottom surface.

상기 투시창(140)은 작업자가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작업 상황을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에 구비된 투명한 창이다. 상기 투시창(140)은 상기 작업 투입부(120)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작업자가 상기 작업 투입부(120)를 통해 작업을 진행하면서 상기 케이스(110) 내부를 관찰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투시창(140)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와 외부를 차폐하면서도 안을 들여다 볼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예로 유리, 유리섬유 및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창(140)은 내부에서 발생된 파편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교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e-through window 140 is a transparent window provided in the case 110 so that an operator can observe the working situation inside the case 110. The viewing window 140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work input unit 120,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rator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case 110 while working through the work input unit 120. to be. In addition, the viewing window 14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look inside while shield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se 110, such as glass, glass fiber and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may be used. In addition, the viewing window 140 may be damaged by debris generated therein, it is preferable to have a replaceable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mobi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200)는, 하부면(212)이 개방된 케이스(210)와 이 케이스(210)에 형성되는, 작업자의 손이 투입될 작업 투입부(220), 작업공구가 투입될 작업공구 투입부(232,234,236),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시창(240), 상기 케이스(210)의 일면을 개폐시키지 위한 개폐수단(250),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조명장치(260) 및 상기 각 투입부에 구비되는 밀봉수단(270)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2, the movable luminescent ore process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210 having an open lower surface 212 and an operator's hand formed on the case 210. The work input unit 220 to be input, the work tool input unit 232, 234, 236 to which the work tool is to be inserted, the viewing window 240 for observing the insid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50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urface of the case 210, An electric lighting device 260 provided in the case 210 and sealing means 270 provided in each of the input parts are included.

여기서, 상기 케이스(210), 작업 투입부(220), 투시창(240)의 상세한 설명은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로 상술한 바 있고, 이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ase 210, the work input unit 220, the see-through window 240 has been described abov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FIG. 1, and thus will be omitted.

상기 작업공구 투입부(232,234,236) 중 컴프레셔 투입구(232)와 집진기 투입구(234)는 상술한 바와 같고, 그 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케이스(210)의 일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작업공구가 투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투입구(236)가 상기 케이스(210)의 일면에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 투입구(236)는 축광석 가공에 이용되는 다양한 공구들이 필요에 따라 상기 케이스(2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로, 상기 케이스(210) 내부의 상부 공간에 떠다니는 먼지나 가루 등을 흡입하는 보조 집진기가 투입되거나, 집진기의 흡입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케이스(210) 내부의 압력차를 줄이기 위한 통풍구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Compressor inlet 232 and the dust collector inlet 234 of the work tool inlet 232, 234, 236 is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210 can be added to the work tool.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inlet 236 is furth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210. The auxiliary inlet 236 serves to allow a variety of tools used in the processing of the luminescent ore is introduced into the case 210 as needed. For example, an auxiliary dust collector for sucking dust or powder floating in the upper space inside the case 210 is introduced, or serves as a vent for reducing a pressure difference in the case 210 generated by suction of the dust collector. Can be performed.

상기 밀봉수단(270)은 상기 케이스(210)에 구비되는 각 투입구에 보조적으로 구비되는 수단으로써,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공구가 투입되어 축광석 가공시에 내부 의 분말이 상기 각 투입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2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밀봉수단(270)으로는 고무 패킹이나 비닐 패킹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ealing means 270 is a means provided auxiliary to each inlet provided in the case 210, the operator's hand or a work tool is injected into the powder through the inlet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phosphorescent stone 210 serves to prevent leakage to the outside. As the sealing means 270, a rubber packing or a vinyl packing may be used.

상기 개폐수단(250)은 상기 케이스(210)의 개방면 이외의 일 측면에 분리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개폐수단(250)은 상기 케이스(210)의 분리된 일 측면 판넬의 일 단부에 설치되는 경첩 등과 같은 여닫이 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250)은 축광석 가공 작업도중 내부의 상황을 상세히 살피거나 내부의 다양한 세팅 등과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50 is separated from one side other than the open surface of the case 210 serves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50 may be a hinge means such as a hing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eparated side panel of the case 210.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50 is installed in order to examine the details of the inside of the phosphorescent stone processing operation or work such as various settings therein.

상기 전기조명장치(260)는 상기 케이스(210) 내부를 조명하여 축광석 가공작업을 보다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electric lighting device 260 serves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case 210 so that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phosphorescent stone more smoothly.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mobi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300)는, 하부면(314) 중 일부가 개방된 케이스(310)와 이 케이스(310)에 형성되는, 작업자의 손이 투입될 작업 투입부(320), 작업공구가 투입될 작업공구 투입부(332,334),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시창(340), 하부면과 이격된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8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3, the movable luminescent ore process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310 in which a part of the lower surface 314 is opened, and the worker 310. The work input unit 320 to be inserted into the hand, the work tool input unit 332,334 into which the work tool is to be inserted, the viewing window 340 for observing the inside, and the support unit 380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Included.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300)는 바닥면이 불규칙한 구조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계단구조에서 안정된 사용이 가능하다.The mobi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apable of working in a structure having an irregular bottom surface, and in particular, a stable use in a staircase structure is possible.

즉,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고 다만 상기 케이 스(310)의 하부면(314)이 모두 개방되지 않고 일 부분만 개방(312)이 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310)의 하부면 중 개방되지 않은 면(314)에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된 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80)가 더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That is, all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lower surface 314 of the casing 310 is not all open, only a part of the open structure 312. In addition, the support 380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n the surface 314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310 is further provided.

상기 지지부(380)는 계단 구조와 같은 바닥면이 불규칙한 구조에 대응되도록 접이식 또는 고정식 다리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부(380)는 이격된 바닥면과의 거리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ortion 380 is made of a foldable or fixed leg shape to correspond to the irregular structure of the bottom surface, such as a staircase structure. In addition, the support 38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spaced.

또한, 상기 케이스(310)의 하부면은 개방된 면(312)과 개방되지 않은 면(314)의 영역은 변형이 가능하다. 즉, 계단구조의 바닥면에 축광석 가공작업을 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계단구조의 한칸면적에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310)의 하부 개방면을 조절하여 내부의 이물질이 하부면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개방면의 면적을 조절하는 구조는 개방되지 않은 하부면(314)의 패널을 이중 패널로 구비하여 이 이중패널을 미닫이 식으로 이동하고 고정하여 개방면(312)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310 may be modified in the areas of the open surface 312 and the non-open surface 314.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luminescent ore proc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ircase structure, the foreign material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surface by adjusting the lower opening surface of the case 310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staircase structure. Prevent it. The structure for adjusting the area of the open surfac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panel of the lower surface 314, which is not open, is provided as a double panel so that the double panel can be moved and fixed in a sliding manner to adjust the area of the open surface 312. .

그러면,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를 이용한 축광석 가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n, a method of processing a luminescent ore using a mobile luminescent or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를 이용한 바닥면 가공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dure of the bottom surface processing method using a mobile photoluminesc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축광석 가공을 할 바닥면에 세척작업을 진행한다. 이 과정은 도안을 접착하기 용이하게 하고, 가공하고자 하는 부분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행된다.(S 10)First, the clean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be processed phosphorescent stone. This process is carried out to facilitate the adhesion of the drawing and to remove the contaminants of the part to be processed (S 10).

다음으로, 가공할 바닥면에 음각 또는 양각 가공을 하기 위하여 바닥면의 해당 부위에 미리 도안된 목적물을 접착한다.(S 20)Next, in order to engraved or embossed the bottom surface to be processed to adhere the target object previously design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S 20).

가공할 바닥면에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를 설치한다. 이때에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의 개방된 하부면과 가공할 바닥면이 접촉하도록 설치하고, 개방면의 중앙에 가공할 부위가 오도록 위치를 조정한다.(S 30)Install a mobile photoluminescent processing device on the floor to be processed.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to be process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luminescent ore processing apparatus are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osition to be processed is adjusted so that the center of the open surface is processed.

설치된 가공장치로 바닥면에 부착된 도안에 따라 음각 또는 양각 가공을 수행한다. 이때에는 가공장치의 작업공구 투입부로 투입된 컴프레셔 노즐로 가공할 바닥면에 축광석 가공 분말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목적물의 도안에 대응되도록 음각 또는 양각을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분사와 동시에 분사된 분말과 바닥면에서 떨어져 나온 분말을 작업공구 투입부로 투입된 집진기 노즐을 통해서 흡입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가공장치의 케이스 외부로 이물질이 유출되지 않고 축광석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 40)The installed processing equipment performs intaglio or embossing according to the design attached to the floor. At this time, the phosphorescent ore processing powder is sprayed at a high pressure on the bottom surface to be processed by the compressor nozzle inserted into the working tool input uni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thereby forming an intaglio or embossing to correspond to the design of the target object. In addition, at the same time as the injection and the powder sprayed off from the bottom surface is sucked through the dust collector nozzle introduced into the work tool input uni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processing of the ore minerals without spilling foreign substances to the outside of the case of the processing apparatus.

바닥면이 음각 또는 양각으로 가공되었으면, 해당 부위에 축광물질을 삽입하고 시간이 경과하여 응고되도록 한다.(S 50)If the bottom is intaglio or embossed, insert a phosphorescent material into the area and allow it to solidify over time (S 50).

바닥면에 축광물질이 응고되어 결합하면, 해당 표면의 평탄작업과 광택작업 처리를 하는 표면처리를 진행한다.(S 60)When the photoluminescent material solidifies and binds to the bottom surface, the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to process the surface flatness and gloss. (S 60)

표면처리 공정 뒤에는 기포 발생 또는 홈이 패인 부분 등을 재 시공하여 보완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축광석 가공은 완료된다.(S 70)After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the work is completed by reconstructing the bubble generation or the grooved part, and then the processing of the phosphorescent stone is completed. (S 70)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 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will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축광석 가공 장치는 현장에서 직접 축광석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이미 시공된 시설물에도 축광석을 가공할 수 있고, 현장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문양이나 문자를 축광석으로 가공하거나 가공된 축광석의 변경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luminescent ore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luminescent ore processing directly on site, and can process the luminescent stone even in the already installed facilities, and various patterns or letter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site. Processed or processed luminescent ore can be easily changed.

또한, 현장의 바닥면에 축광석을 가공할 경우에 발생하는 돌가루 및 먼지를 일정한 케이스 외부로 유출 시키지 않고 축광석을 가공할 수 있어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luminescent stone without spilling the dust and stone generated when processing the luminescent stone on the floor of the site to the outside of the case to provid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urrounding pollution.

Claims (12)

작업현장에 이동 설치되어 축광석을 가공하는 장치로서,It is a device installed in the workplace to process the phosphorescent stone,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가공할 축광석과 접하는 하부면이 개방된 케이스;A case in which 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lower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hosphorescent stone to be processed is opened;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작업 투입부;A work input part in which a hole is formed to allow a worker's hand to enter one side of the case; 상기 케이스 내부로 축광석 가공작업공구가 투입되도록 축광석 가공용 분말이 분사되는 컴프레셔의 노즐이 투입되는 컴프레셔 투입구와, 축광석 가공시에 분사된 가공용 분말과 석재에서 발생하는 석재 분말을 흡입하는 집진기의 노즐이 투입되는 집진기 투입구가 형성된 작업공구 투입부; 및Compressor inlet through which the nozzle of the compressor is injected into the case of the luminescent ore processing work powder is injected into the case, and the dust collector to suck the processing powder and stone powder generated in the stone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ore A work tool input part in which a dust collector input hole into which the nozzle is inserted is formed; And 작업자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시창;을 포함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And a viewing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ed in the case so that an operator can observe the inside thereof.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작업투입부 및 작업공구 투입부에는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공구가 투입되어 축광석 가공시에 내부의 분말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The work input part and the work tool input part further include a sealing means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powder inside the case during processing of the ore by inputting a worker's hand or work tool. Ore processing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는 철제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The case is a movable type phosphorescent stone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iron or plastic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는 육면체 또는 사면체 형상이며 개방된 하부면 외의 일 측면이 분리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The case is a hexahedron or tetrahedral shape, the movab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is separated one side other than the open lower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시창의 재질은 유리, 유리섬유 또는 투명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The viewing window is made of any one of glass, glass fiber or transparent plastic mobi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전기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The mobi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electric lighting device inside the case. 작업현장에 이동 설치되어 축광석을 가공하는 장치로서,It is a device installed in the workplace to process the phosphorescent stone,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가공할 축광석과 접하는 하부면 중 일부가 개방된 케이스;A case in which a space is formed inside and a part of the lower surface contacting the phosphorescent stone to be processed is opened;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 중 개방되지 않은 면에 구비되어 하부면과 이격된 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A support part provided on an unopened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to support a bottom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작업 투입부;A work input part in which a hole is formed to allow a worker's hand to enter one side of the case; 상기 케이스 내부로 축광석 가공작업공구가 투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작업공구 투입부; 및A work tool input part in which at least one hole into which the luminescent ore processing tool is inserted into the case is formed; And 작업자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시창;을 포함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And a viewing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ed in the case so that an operator can observe the inside thereof.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지지부는,The support portion, 계단구조와 같은 바닥면이 불규칙한 구조에 대응되도록 접이식 또는 고정식 다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Mobi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or fixed leg shape to correspond to the irregular structure of the bottom surface, such as stairs.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이격된 바닥면과의 간격에 따라 길이 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Wherein the support portion mobi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spaced apart.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가공하는 방법으로서,As a method of processing the bottom surface by using a mobile photoluminescent processing device, (a) 가공할 현장의 바닥면에 개방면이 접하도록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를 설치하는 단계;(a) installing a mobile photoluminescent processing device such that the open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ite to be processed; (b1) 상기 설치된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 내부의 바닥면에 미리 도안된 목적물을 부착하는 단계;(b1) attaching a previously designed object to a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ed movab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b2) 상기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 내부로 투입된 가공작업공구를 통하여 상기 바닥면에 축광석 가공용 분말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목적물의 도안에 대응되도록 음각을 형성하는 단계;(b2) forming the intaglio to correspond to the design of the object by spraying the phosphorescent ore processing powder at a high pressure on the bottom surface through a processing tool inserted into the mobile luminescent ore processing apparatus; (b3) 상기 분사된 축광석 가공용 분말과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분말을 흡입하여 가공장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집진하는 단계(b3) collecting the injected luminescent ore powder and powder gene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collecting the powder so as not to flow ou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c)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음각부위에 축광물질을 삽입하고 응고시키는 단계; 및(c) inserting and solidifying a photoluminescent material in the intaglio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d) 축광물질이 응고되어 상기 바닥면에 결합한 표면을 평탄 및 광택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를 이용한 바닥면 가공 방법.(d) flattening and polishing the surface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by solidification of the photoluminescent material; and a bottom surface processing method using a mobile luminescent ston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삭제delete
KR1020070025568A 2007-03-15 2007-03-15 A mov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hosphorescent st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KR1008688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568A KR100868845B1 (en) 2007-03-15 2007-03-15 A mov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hosphorescent st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568A KR100868845B1 (en) 2007-03-15 2007-03-15 A mov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hosphorescent st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204A KR20080084204A (en) 2008-09-19
KR100868845B1 true KR100868845B1 (en) 2008-11-14

Family

ID=4002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568A KR100868845B1 (en) 2007-03-15 2007-03-15 A mov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hosphorescent st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84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5702A (en) * 1989-04-06 1990-10-30 Isao Shirayanagi Surface processing method for bamboo cylinder
JPH02295039A (en) * 1989-05-10 1990-12-05 Hitachi Ltd Method and device for washing ion source
KR970008353U (en) * 1995-08-31 1997-03-27 Work piece processing device with see-through window
KR20070034339A (en) * 2005-09-23 2007-03-28 맹경육 How to manufacture o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5702A (en) * 1989-04-06 1990-10-30 Isao Shirayanagi Surface processing method for bamboo cylinder
JPH02295039A (en) * 1989-05-10 1990-12-05 Hitachi Ltd Method and device for washing ion source
KR970008353U (en) * 1995-08-31 1997-03-27 Work piece processing device with see-through window
KR20070034339A (en) * 2005-09-23 2007-03-28 맹경육 How to manufacture 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204A (en) 200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74621A8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solating a sand screen assembly and testing the seal within a wellbore
CA2635981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consolidation strength of proppant in subterranean fractures
ATE468060T1 (en) ARRANGEMENT FOR DISPOSAL OF DIRT USING A MOVABLE DIRT CLEANER
EP0950548A3 (en) High impact logo structure for tire sidewall
KR100868845B1 (en) A mov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hosphorescent st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EP1143390A3 (en) Vending machine with quick-release door
CN206108835U (en) Aerial working platform with protection casing
CN205818765U (en) A kind of door-plate engraving machine with dust-absorbing function
JP2007500641A5 (en)
US20130295822A1 (en) Removable high velocity blast cabinet vestibule
FR2602989A1 (en) SAND STRIPPING DEVICE
JP3164455U (en) Water jet chiseling equipment
CN206083369U (en) PCB board dust cleaning device
EP1382769A3 (en) Apparatus for illuminating the interior of a building
CN206154120U (en) High -accuracy combined type sandblast mould
KR101002024B1 (en) asbestos fiber removal apparatus
ATE482810T1 (en) METHOD FOR PRODUCING AN EQUIPMENT PART FOR A MOTOR VEHICLE HAVING AT LEAST TWO SURFACE ZONES AND MOLDING TOOL
KR20040006204A (en) asbestos-removing method for building materials containing asbestos
CN206319239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municipal road maintenance of equipment
CN206480824U (en) A kind of installation fixed structure of ceramic socket
CN206357025U (en) A kind of belt polished edges of stones device
AU2003240840A8 (en) A method for reclaiming parts of a screen assembly and a method for making a screen assembly using the reclaimed parts
KR20100088358A (en) Asbestos fiber removal apparatus
CN217071798U (en) Marble panel edging device with angle regulatory function
KR102239975B1 (en) A glove bag manufacturing method for safety 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