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860B1 -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860B1
KR100867860B1 KR1020020042195A KR20020042195A KR100867860B1 KR 100867860 B1 KR100867860 B1 KR 100867860B1 KR 1020020042195 A KR1020020042195 A KR 1020020042195A KR 20020042195 A KR20020042195 A KR 20020042195A KR 100867860 B1 KR100867860 B1 KR 100867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ize
viewer
broadcas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8555A (ko
Inventor
김익주
좌덕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86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8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마크업 랭기지와 관련된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 시청자가 설정한 표시 방식에 따라 전송되어온 컨텐츠 중 데이터 방송 용 TV 화면을 시청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단순히 방송국 측에서 보내온 컨텐츠를 수동적으로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재가공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새로운 서비스로 재창출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프로그램과 데이터 방송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으로 구성되는 티브이의 디지털 데이터 방송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 크기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데이터 방송을 표시하는 화면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티브이 화면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 방송, 화면조정, 화면크기조정

Description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표시 방법 {ON SCREEN DISPLAY METHOD OF DIGITAL DATA BROADCASTING}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방송 화면의 표시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화면의 표시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 도 2 에 따른 표시방법의 예시도.
도 4 는 도 3 에 나타낸 표시예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5 은 도 2 에 따른 표시방법의 또 다른 예시도.
도 6 는 도 5 에 따른 화면조정의 설명도.
도 7 은 도 5 에 따른 화면조정의 설명도.
본 발명은 디지털 TV 데이터 방송의 화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방송 컨텐츠별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한 조합으로 TV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방송을 대비해서 많은 업체들이 디지털 방송과 데이터 방송을 수신 할 수 있는 디지털 TV나 STB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차후 Digital TV 가 보편화 되었을 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가 데이터 방송과 관련된 사항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 방송을 위한 수신 방식에 대한 스팩이 정의되어 있으며, 또한 지속적으로 보완 발전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데이터 방송 규약 중에 HTML, XDML, XML 등 과 같은 마크업 랭기지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전송측면에서의 방송국과 수신측면에서의 STB(Set Top Box)의 관점에서 보면, 방송국에서는 마크업 랭기지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하며, 이 컨텐츠를 STB 에서 수신하여 TV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에 시청자는 방송국에서 제작된 컨텐츠의 표시 형식에 따라 수동적인 입장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게 된다. 이것은 시청자의 의지 등을 반영 할 수 없는 시청자에 대한 일종의 제약 사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크업 랭기지와 관련된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 시청자가 설정한 표시 방식에 따라 전송되어온 컨텐츠 중 데이터 방송 용 TV 화면을 시청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단순히 방송국 측에서 보내온 컨텐츠를 수동적으로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재가공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새로운 서비스로 재창출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송된 데이터 방송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재할 당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 표시방법은, 방송 프로그램과 데이터 방송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으로 구성되는 티브이의 디지털 데이터 방송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 크기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데이터 방송을 표시하는 화면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티브이 화면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 및 데이터 방송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의 위치는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면 재구성은 소정 크기 및 위치에 방송 프로그램과 데이터 방송이 표시되도록 미리 구성된 복수개의 화면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존방식에 따른 화면구성 변환예와 본 발명에 따른 화면구성 변환예를 함께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표시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표시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에 나타낸 기존의 화면표시방법은 전송시에 정해진 화면구성을 그대로 표시해 주고 있다. 통상, 이 화면구성을 결정하는 마크업 랭기지로 구성된 컨텐츠의 정보는 크게 이미지와 텍스트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컨텐츠 상에서는 비디오 사이즈를 보통 1/2 내지 1/4 크기로 축소해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시청중인 TV 화면이 25% 가까이 작아지는 것을 꺼려하는 시청자는 데이터 화면 자체를 보는 것을 꺼려할 것이다. 만일 자신이 원하는 크기 정도의 TV 화면이 보장된다면 시청자는 부담없이 데이터 방송을 청취할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 에 나타낸 화면표시방법을 제안한다.
도 2 에 나타낸 화면표시방법에 따르면, 비디오 화면은 컨텐츠에서 정의된 사이즈와는 상관 없이 시청자가 원하는 크기의 사이즈로 고정 시킬 수 있으며, 크기의 선택을 시청자가 정의 할 수 있다. 이는 시청자가 데이터 방송도 중요하지만 중요한 비디오 화면을 임의로 크게 보기를 원하는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반대로 비디오를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변환 이미지 창은 컨텐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들에 대한 정보로서, 모든 이미지를 작게 표시하거나 이미지 대신 TAG 정보에 있는 이미지의 이름으로 표시하는 식으로 여러 가지 형태로 지원이 된다.
또한, 변환 텍스트 창은 마크업 랭기지내에 있는 텍스트들을 변환 텍스트 창의 크기에 맞도록 재정렬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를 설정하는 방법은 두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시스템에서 미리 일정한 수의 화면 형태를 정의하여 사용자는 정의된 화면 형태에서 선택을 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로는, 사용자가 임의의 크 기로 직접 조절할 수 있게끔 하는 방식이다.
첫번째 방식은 복수의 미리보기 화면으로부터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도 3 에 나타낸 복수개의 기설정 화면구성 중에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선택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두번째 방식은 사용자가 각 화면의 크기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조정은 예컨대 시스템 정의 화면에서 선택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도 5 는 사용자가 화면의 구성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메뉴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사용자가 임의의 크기를 설정하는 방식은 사용자에게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크기로 화면을 설정 할 수 있도록 UI(User Interface)를 구성한 예시이다.
도 5 에서는, 기능버튼으로서 Video, 변환 이미지 창, 변환 텍스트 창에 대한 위치/크기 조정에 관한 버튼을 예시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버튼을 선택한 후에 방향키를 사용하여 위치/크기 조정을 하게 된다.
각각의 버튼에 대한 동작 시나리오는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은 사용자가 비디오 화면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 변환이미지창 및 변환 텍스트창의 크기 및 위치가 자동으로 전체 화면구성에 따라서 조정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비디오 화면의 크기 및 위치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면,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이미지창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면서 소정의 표시한계상태에 임하게 되는 시점에는, 변환이미지창과 비디오 화면의 위치가 바뀌게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변환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창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의 크기로 비디오 화면을 설정하는 것이 주된 관심사항이므로 비디오 화면 설정을 기준으로 변환 이미지 화면과 변환 텍스트 화면은 비디오 화면에 종속적으로 위치 및 크기가 변하게 구성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시청자가 원하는 형태로 데이터 방송 중 TV 화면을 표시 해 줄 수가 있으며, 데이터 방송 전송 규약에 추가적인 변경 없이 쉽게 구현 할 수 있으므로,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화면구성을 달리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청자의 스타일에 맞는 화면 구성을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와 비디오를 효율적으로 시청자에게 제공 할 수 있으며, 능동적인 방송정보의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방송 프로그램과 데이터 방송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으로 구성되는 티브이의 디지털 데이터 방송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 크기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데이터 방송을 표시하는 화면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티브이 화면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 및 데이터 방송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의 위치는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재구성은 소정 크기 및 위치에 방송 프로그램과 데이터 방송이 표시되도록 미리 구성된 복수개의 화면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 표시 방법.
KR1020020042195A 2002-07-18 2002-07-18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표시 방법 KR100867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195A KR100867860B1 (ko) 2002-07-18 2002-07-18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195A KR100867860B1 (ko) 2002-07-18 2002-07-18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555A KR20040008555A (ko) 2004-01-31
KR100867860B1 true KR100867860B1 (ko) 2008-11-07

Family

ID=3731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195A KR100867860B1 (ko) 2002-07-18 2002-07-18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296B1 (ko) * 2006-01-16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텍스트 스트림 재생 방법
KR100736095B1 (ko) * 2006-02-24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동영상 스트림의 화면 크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KR100808877B1 (ko) * 2007-01-17 2008-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부가애플리케이션 유아이를 화면에 위치시키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340A (ko) * 1994-05-12 1995-12-30 곽희수 텔레비젼 프로그램 정보 방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KR20000047063A (ko) * 1998-12-31 2000-07-25 윤종용 오에스디 표시 설정장치 및 그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340A (ko) * 1994-05-12 1995-12-30 곽희수 텔레비젼 프로그램 정보 방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KR20000047063A (ko) * 1998-12-31 2000-07-25 윤종용 오에스디 표시 설정장치 및 그 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555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7969B2 (en) Forming overlays at user's premises and utilizing them for selective combinations of TV broadcast channel format material and IP-format material
US71174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tructure for an interactiv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4711675B2 (ja) ウェブブラウザ及びビデオディスプレイ用のビデオ解像度制御
EP2043086A1 (en) Image data providing device,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for image data provid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image display devic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U2388168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эпп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эпп
CN111432256A (zh) 显示设备和电子节目指南的呈现方法
US20080278628A1 (en) Content display device, content display method, content display system, content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020163592A1 (en) Portable terminal, overlay output method, and program therefor
CN111246309A (zh) 在显示设备中显示频道列表的方法及显示设备
CN112055256A (zh) 一种全景图像的图像处理方法及显示设备
US8826334B2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17372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background of auxiliary information of television program
KR100867860B1 (ko)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화면표시 방법
EP2204987A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 service thereof
WO2021109489A1 (zh) 显示设备和电子节目指南的呈现方法
EP2001150B1 (en) URL access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of
CN111405329B (zh) 显示设备及epg用户界面显示的控制方法
US20120218472A1 (en) Display device
JP2007124080A (ja) 映像配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443388B2 (ja) データ放送受信装置
CN111405332B (zh) 显示设备及epg用户界面显示的控制方法
Series Technical realisation of signing in digital television
KR20040040671A (ko) 이피지(EPG,Electronic ProgramGuide) 표시 방법 및 장치
JP4712437B2 (ja) 情報処理端末
KR20140136132A (ko) 주요 시점에서 다른 인물의 시각으로 변환/표시하는 음성을 포함하는 영상물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