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594B1 -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594B1
KR100867594B1 KR1020070029045A KR20070029045A KR100867594B1 KR 100867594 B1 KR100867594 B1 KR 100867594B1 KR 1020070029045 A KR1020070029045 A KR 1020070029045A KR 20070029045 A KR20070029045 A KR 20070029045A KR 100867594 B1 KR100867594 B1 KR 100867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formation
broadcast
delet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213A (ko
Inventor
곽수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594B1/ko
Publication of KR2008008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방송채널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가 삭제했던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채널의 삭제를 지원하는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서 채널 스캔 동작이 수행될 때, 사용자가 삭제했던 채널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방송 채널의 스캔 동작이 재수행될 때, 상기 사용자가 삭제한 채널정보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만으로 채널 리스트가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채널 방송 수신 장치에서 동일 방송신호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삭제하는 동작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기기 자체적으로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채널을 쉽게 삭제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방송 수신기, 채널 삭제

Description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Channel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초 오토 스캔 과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불필요한 채널을 삭제하고, 원하는 채널만으로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수행을 재수행했을 때, 도 2의 과정에서 저장된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만으로 이루어진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송채널 관리를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수행을 재수행했을 때, 도 2의 과정에서 저장된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만으로 이루어진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송채널 관리를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청 중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방송 채널이 표시될 때,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채널을 자동으로 삭제하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청 중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방송 채널이 표시될 때,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채널을 자동으로 삭제하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튜너 11 : 방송신호처리부
13 : 기록/재생처리부 14 : 저장장치
15 : 마이컴 16 : 오에스디 발생부
18 : 메모리
본 발명은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방송채널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가 삭제했던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채널의 삭제를 지원하는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정보의 신호를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디지털 형태로 텔레비전 신호를 압축하여 내보내는 텔레비전 방송을 말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은 하나의 전파에는 하나의 영상 밖에 실을 수 없고, 음성은 다른 전파로 보내야 하는 등 방송신호의 전송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방송채널이 제한되 었다. 그러나 디지털 방송은 하나의 전파에 복수(複數)의 영상이나 음성 등을 실을 수 있는 것 외에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정보를 압축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1채널의 주파수대에 4∼8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에는 텔레비젼 방송신호 외에도 각종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최근 디지털 방송이 개시되면서 방송 정보가 다양화되고 있고 결과적으로 다채널 방송시대가 도래되었다.
한편, 다채널 방송시대가 시작되면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많은 방송 채널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만으로 구성된 채널 리스트를 구성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삭제한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만으로 채널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는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채널 관리방법은, 채널 스캔 과정에서 사용자가 삭제한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채널 스캔을 재수행할 때, 검색된 채널 정보와 상기 삭제채널정보를 비교하는 제 2 단계; 상기 삭제채널 정보에 포함되는 방송신호가 재수신되었을 때, 해당채널을 삭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 단계의 채널 스캔 재수행은, 오토스캔을 재수행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에서 재수신된 삭제 방송신호를 삭제하고 구성된 채널 리스트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4 단계에서 저장된 채널 리스트를 이용하여 방송시청이 이루어지는 중, 수신되는 방송정보와 상기 삭제방송정보를 비교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삭제방송정보에 포함된 방송신호가 재수신되었을 때, 해당채널을 삭제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단계는, 동일방송신호가 여러개의 채널에서 송출될 때, 삭제방송정보에 포함된 방송신호가 재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단계는, 동일프로그램정보가 여러개의 채널에서 송출될 때, 삭제방송정보에 포함된 방송신호가 재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저장된 채널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시청이 이루어지는 중, 채널의 추가 삭제를 원할 때, 해당하는 방송신호의 채널정보를 삭제채널정보에 추가 저장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삭제채널정보는, 주파수 정보, 사용자가 편집하여 입력한 해당 채널의 고유 문자열 정보, 방송신호에 실려서 전달되는 방송채널에 대한 고유의 ID 정보, 방송신호에 실려서 전달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고유의 ID 정보, 가상 채널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3 단계는 자동 삭제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삭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6 단계는 자동 삭제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삭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채널 관리장치는, 채널 스캔 과정에서 사용자가 삭제한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표준 방송 주파수 테이블에 기초하여 채널 스캔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채널 스캔 동작 과정에서 검색된 방송신호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삭제채널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삭제채널정보에 포함되는 방송신호가 재수신되었을 때, 해당채널을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저장할 삭제채널정보를 생성하고, 채널 삭제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오에스디발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수단은, 오토 스캔의 재수행과정 또는 동일방송신호가 여러개의 채널에서 송출되는 경우 또는 동일프로그램정보가 여러개의 채널에서 송출되는 경우에 상기 삭제채널정보에 포함되는 방송신호의 재수신여부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삭제채널정보는, 주파수 정보, 가상 채널 번호, 사용자가 편집하여 입력한 해당 채널의 고유 문자열정보, 방송신호에 실려서 전달되는 방송채 널에 대한 고유의 ID 정보, 방송신호에 실려서 전달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고유의 ID 정보 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삭제채널정보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삭제채널정보에 포함되는 방송신호의 재수신여부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채널의 관리를 위한 제어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셋탑 박스(STB: Set Top Box)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그리고 개인용 디지털 녹화기(Personal Video Recorder), 차량용 및 휴대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과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현재까지 대부분의 나라에서 아날로그방송신호와 디지털방송신호를 같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방송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이 되어진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10 : Tuner), 상기 튜너(10)를 통해서 수신된 방송 프로 그램의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출력하는 방송신호처리부(11 : BS-Signal Processor), 상기 방송신호처리부(11)에서 신호처리된 방송신호 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신호를 저장장치(14)에 기록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장치(14)에 저장된 비디오/오디오데이터를 읽어와서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후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기록/재생처리부(13 : Record & Play System)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상기 저장장치(14)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가 이용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오에스디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에스디생성부(16), 상기 튜너(10)의 방송채널 선국을 제어하고, 상기 기록/재생처리부(13)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며, 상기 오에스디생성부(15)를 통해서 각종 오에스디 정보 생성을 제어하는 마이컴(15),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필요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에스디생성부(16)는, 불필요한 채널의 삭제를 위한 관련정보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다수개의 채널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만으로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채널들을 삭제하고, 이후 삭제된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리스트의 구성을 제어하는데, 이 동작 과정에 대해서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처음에 사용자가 직접 불필요한 채널을 삭제하고, 원하는 채널만으로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처음에 방송 수신기를 이용하여 채널 리스트를 구성할 때, 원하는 방송 채널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오토 스캔(Auto Scan)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게 된다.
즉, 마이컴(15)은 상기 메모리(18)에 저장되고 있는 해당 국가에 해당하는 표준 방송 주파수 테이블에 저장된 다수개의 방송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그 중에서 각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고 있는 아날로그 방송신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튜너(10)의 튜닝 동작이 제어되는 오토 스캔이 수행되면(S10), 자동으로 검색된 채널이 자동설정된 채널번호와 함께 연계되어 오에스디생성부(16)를 통해서 채널 리스트가 생성되어진다(S11).
이렇게 하여 구성된 채널 리스트는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상기 채널 리스트 중에서 원하지 않는 채널에 대한 삭제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만으로 채널리스트를 구성한다(S12). 상기 S12 단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만으로 구성된 채널리스트는, 메모리(18) 또는 저장장치(14)의 지정된 영역에 저장되어진다.
그리고 마이컴(15)은, 상기 사용자가 삭제한 채널정보를 저장장치(14)의 결정된 일정영역에 저장한다(S13). 상기 S13 단계는, 사용자가 삭제한 불필요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임의의 채널의 삭제가 이루어질 때, 삭제되는 채널의 방송정보가 오에스디생성부(16)를 통해서 생성되어져서 저장장치(14)의 일정영역에 삭제채널정보로서 저장되어진다.
상기 삭제채널정보는, 아날로그방송의 경우에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첫째, 물리적(Physical) 주파수 정보에 의존한 채널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번호와 해당하는 주파수가 연계되어져서 저장되어진다. 둘째, 사용자가 편집하여 입력한 해당채널의 고유 문자열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KBS'와 같은 고유 문자열이 저장되어져서 삭제채널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셋째, 방송신호에 실려서 전달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고유의 아이디(ID)값이 저장될 수 있다. 즉, 방송신호에 방송 채널이 포함되어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방송채널이 저장되어져서 삭제채널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NTSC 북미방송인 경우에 XDS(eXtended Data Service) 정보의 네트워크 이름(Network Name), 네트워크 콜 레터(Network Call Letters) 등이 삭제채널정보로 이용될 수 있고, PAL 방송인 경우에 PDC(Programme Delivery Control system) 포맷1의 NI(Network Identification) 정보, 포맷2의 CNI(Country Network Identification) 정보, VPS(Video Programming System)의 CNI 정보 등이 삭제채널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넷째, 방송신호에 실려서 전달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고유의 ID값이 삭제채널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NTSC 방송의 경우에 XDS정보의 프로그램 이름, PAL 방송의 경우에 PDC 포맷2의 PID(Programme Identification Data)정보, VPS의 PIL(Program Identification Label) 정보 등이 삭제채널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삭제채널정보는, 디지털방송의 경우에 다음과 같이 저장될 수 있다. 첫째, 물리적(Physical) 주파수 정보에 의존한 채널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번호와 해당하는 주파수가 연계되어져서 저장되어진다. 둘째, 사용자가 편집하여 입력한 해당채널의 고유 문자열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KBS'와 같은 고유 문자열이 저장되어져서 삭제채널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셋째, 방송신호에 실려서 전달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고유의 아이디(ID)값이 저장될 수 있다.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송의 경우 TVCT(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 CVCT(Cable Virtual Channel Table)에 포함된 숏트_네임(short_name)정보가 삭제채널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KBS D_2가 저장되어 삭제채널정보로 이용 가능하게 된다. 넷째 방송신호에 실려서 전달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고유의 ID값이 삭제채널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즉 ATSC 방송의 경우 EIT(Event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된 타이틀_텍스트(title_text)정보로서 예를 들어 NBC News가 삭제채널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다섯째, 가상 채널 번호(Virtual Channel nember)가 삭제채널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즉 ATSC 방송의 경우에 TVCT, CVCT에 포함되고 있는 major_channel_nember, minor_channel_nember을 이용한 표시 채널 넘버로 예를 들어서 KBS는 CADTV7-1 등이 삭제채널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삭제채널정보는, 다양한 정보들로 구성되므로, 상기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동일 방송임을 확인할 때, 상기 다양한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이용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든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두가지 이상의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동일방송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비교의 정도를 설정 가능하도록 오에스디 생성데이터를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임의의 채널의 삭제가 이루어질 때, 삭제되는 채널의 방송정보가 오에스디생성부(16)를 통해서 생성되어져서 저장장치(14)의 일정영역에 삭제채널정보로서 저장되어진다.
삭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오토 스캔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오토 스캔 과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만으로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채널 리스트의 구성시에 삭제된 삭제채널정보를 저장장치(14)의 일정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후 다시 오토 스캔을 수행하거나 동일방송신호가 여러개의 채널에서 송출되거나 동일 프로그램 정보가 여러개의 채널에서 송출되는 경우에서 상기 저장되고 있는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다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만으로 채널 리스트가 구성될 수 있도록 방송채널의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송채널의 관리 동작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오토 수행을 재수행했을 때, 도 2의 과정에서 저장된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만으로 이루어진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송채널 관리를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오토 스캔 동작을 마이컴(15)에 지시하면, 마이컴(15)은 메모리(18)에 저장되고 있는 방송 주파수를 이용하여 튜너(10)의 수신주파수를 제어하고, 방송신호가 잡히는지를 감시하여, 방송신호가 잡힐 때현재의 주파수 정보를 기설정되고 있는 채널번호와 연계하면서 저장하여 채널리스트의 구성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오토 스캔 동작이 수행되면서 상기 메모리(18)에 저장되고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디지털 방송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되는 방송 채널에 대해서는 채널번호와 연계하여 채널리스트를 구성하여 오토 스캔 동작을 완료한다(S20). 상기 S20 단계에서 오토 스캔 동작이 완료되면, 새로이 수행된 오토 스캔 동작에 의하여 새로운 채널 리스트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새로운 채널 리스트 정보는 오에스디생성부(16)를 통해서 오에스디 데이터로 생성되어 표시장치에 표시되어진다.
마이컴(15)은 상기 저장장치(14)의 일정영역에 저장되고 있는 삭제채널정보를 읽어온다(S21).
그리고 마이컴(15)은 상기 읽어온 삭제채널정보와 상기 S20 단계에서 새로이 구성된 채널 리스트를 비교한다(S22).
또한 상기 S22 단계에서는 도 2의 S13 단계에서 저장되고 있는 삭제채널정보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비교의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단순히 주파수 정보에 의존하여 신규방송정보와 삭제방송정보를 비교하거나, 방송신호에 실려서 전달되는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고유의 ID값과 주파수 정보를 같이 이용하여 신규방송정보와 삭제방송정보를 비교하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비교의 정도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22 단계에서 채널 리스트를 비교해보면, 상기 삭제채널정보에 포함되고 있는 채널이 상기 새로이 구성된 채널 리스트에 포함되어 재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컴(15)은 신규 채널 리스트와 상기 삭제채널정보를 비교하고(S23), 삭제채널정보에 포함되고 있는 채널을 신규채널리스트에서 자동으로 삭제한다(S24).
상기 S24 단계에서 상기 삭제채널정보에 포함되고 있는 채널이 신규채널리스트에서 자동으로 삭제되면, 다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만으로 구성된 채널 리스트가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재구성된 채널 리스트는 저장장치(14)의 일정영역에 저장되어져서 이후, 사용자가 채널 선택을 할 때 이용되어진다(S25).
다음 도 4 역시 오토 스캔 재수행시에 기저장된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채널을 삭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만으로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단지 도 4와 도 3의 차이점은, 상기 오토스캔을 재수행하고, 삭제방송채널을 재수신했을 때, 상기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새로 스캔에서 해당채널 을 사용자 선택에 의해서 삭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흐름도이다.
따라서 도 4는 S34 단계에서 사용자 선택에 의해 해당 채널을 삭제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진다. 상기 S34 단계에서는 마이컴(15)의 제어하에 오에스디생성부(16)를 통해서 해당 채널의 삭제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가 표시장치에 표시되어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삭제를 선택하면, 해당 채널의 삭제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되어진다.
한편, 상기 오토 스캔 과정에서는, 각 방송채널에 포함되고 있는 모든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에서 방송채널 스캔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방송 채널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검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어진다. 예를 들어서 주파수 정보 등에 의존한 채널번호로 오토 스캔을 수행할 때, 동일방송임에도 불구하고 주파수 정보가 다른 채널은 검색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오토 스캔 과정에서 검색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널에 대해서, 다른 시점에서 검색하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방송채널일 때, 이를 삭제하는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방송 시청과정에서는 각 채널에 따른 모든 방송신호가 수신되어지므로, 도 2에서 S13 단계에서 저장되는 각종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채널을 검색하고 삭제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만 채널 리스트가 구성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다음은 방송 시청과정에서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채널을 자동으로 삭제하여 방송채널을 관리하는 동작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방송 시청 중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방송 채널이 표시될 때,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채널을 자동으로 삭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마이컴(15)의 제어하에 튜너(10)의 수신채널을 제어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는 방송신호처리부(11)에서 신호처리가 이루어진 후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되어진다(S40).
이러한 방송 시청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마이컴(15)은 저장장치(14)에서 삭제채널정보를 읽어와서 삭제채널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제어한다(S41).
그리고 튜너(10)의 수신정보로부터 상기 삭제채널정보에 포함되고 있는 정보가 있는지를 감시한다(S42). 상기 S42 단계는, 방송시청 중에 부분적으로 튜너의 수신정보에서 상기 삭제채널정보에 포함되고 있는 삭제된 채널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감시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방송 채널의 변경을 수행할 때,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42 단계에서는 도 2의 S13 단계에서 저장되고 있는 삭제채널정보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비교의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단순히 주파수 정보에 의존하여 신규방송정보와 삭제방송정보를 비교하거나, 방송신호에 실려서 전달되는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고유의 ID값과 주파수 정보를 같이 이용하여 신규방송정보와 삭제방송정보를 비교하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비교의 정도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42 단계에서 튜너(10)의 수신정보로부터 상기 삭제채널정보에 포함되고 있는 채널정보가 존재할 때, 마이컴(15)은 삭제방송신호의 재수신을 확인하게 된다(S43). 예를 들어서 동일방송신호가 여러개의 채널에서 송출되는 경우 또는 동일 프로그램 정보가 여러개의 채널에서 송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순히 하나의 주파수 정보에 의존한 채널정보로서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방송채널의 검색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주파수 정보, 방송시청 중에 수신되는 방송정보, 방송신호에 실려서 전달되는 방송채널에 대한 고유의 ID값, 해당 채널의 고유 문자열, 가상 채널 번호 등을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검색하고, 이를 삭제방송정보와 비교해서 불필요한 채널을 검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게임 채널을 불필요한 채널로 설정했을 경우, 게임 채널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고유의 ID 값에 근거한 정보를 확인해봐야만 한다. 따라서 삭제채널정보에 상기 게임채널을 불필요한 채널로 설정하였을 때, 비교과정에서는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하여 게임채널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S44 단계에서 해당채널의 삭제여부를 사용자에게 다시 확인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삭제를 원할 경우 삭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S43 단계에서 삭제방송정보에 포함되고 있는 삭제된 채널에 대한 방송신호의 재수신이 이루어지 않고, 계속해서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사용자가 추가로 채널의 삭제를 원할 때(S46), 해당하는 채널에 대한 각종 정보가 삭제채널정보에 추가로 저장되어진다(S47). 상기 S47 단계에서도 도 2의 S13 단계 에서 저장되고 있는 것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해당채널의 삭제채널정보로서 저장되어진다.
다음, 도 6 역시 방송 시청 중에 기저장된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채널을 삭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만으로 채널 리스트를 구성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단지 도 5와 도 6의 차이점은, 삭제방송채널을 재수신했을 때, 상기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이 스캔된 채널 리스트에서 해당채널을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이 다르다. 따라서 도 6은 S54 단계에서 자동으로 해당 채널을 삭제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진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채널 스캔을 제어할 때, 사용자가 삭제했던 채널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채널 스캔을 수행할 때 상기 삭제채널정보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채널을 쉽게 삭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은 여러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서 채널 스캔 동작이 수행될 때, 사용자가 삭제했던 채널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방송 채널의 스캔 동작이 재수행될 때, 상기 사용자가 삭제한 채널정보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만으로 채널 리스트가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채널 방송 수신 장치에서 동일 방송신호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삭제하는 동작과정을 수행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기기 자체적으로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채널을 쉽게 삭제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0)

  1. 사용자가 삭제 요청한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내에서, 방송 프로그램 고유 아이디 정보를 검출하여 삭제 채널 정보로서 저장하는 1단계; 및
    상기 삭제 채널 정보가 저장된 이후, 사용자가 선국한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내에서, 상기 삭제 채널 정보로서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 고유 아이디 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선국한 방송 채널을 삭제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관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채널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가 삭제 요청한 방송 채널의 주파수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삭제 요청한 방송 채널의 고유 아이디 정보와, 가상 채널 번호 정보, 그리고 사용자가 편집하여 입력하는 방송 채널의 고유 문자열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관리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사용자가 삭제 요청한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내에서 검출된 방송 프로그램 고유 아이디 정보를 삭제 채널 정보로서 저장하는 저장수단; 및
    상기 삭제 채널 정보가 저장된 이후, 사용자가 선국한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내에서, 상기 삭제 채널 정보로서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 고유 아이디 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선국한 방송 채널을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관리장치.
  18. 삭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채널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가 삭제 요청한 방송 채널의 주파수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삭제 요청한 방송 채널의 고유 아이디 정보와, 가상 채널 번호 정보, 그리고 사용자가 편집하여 입력하는 방송 채널의 고유 문자열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관리장치.
  20. 삭제
KR1020070029045A 2007-03-26 2007-03-26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 KR100867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045A KR100867594B1 (ko) 2007-03-26 2007-03-26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045A KR100867594B1 (ko) 2007-03-26 2007-03-26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213A KR20080087213A (ko) 2008-10-01
KR100867594B1 true KR100867594B1 (ko) 2008-11-10

Family

ID=4014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045A KR100867594B1 (ko) 2007-03-26 2007-03-26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5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088A3 (en) * 2008-09-10 201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chann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536A (ko) * 1998-04-06 1999-11-05 구자홍 중복채널 검출/삭제방법
KR20040052074A (ko) * 2002-12-13 2004-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채널 시스템의 자동 채널 설정 방법
KR20050120065A (ko) * 2004-06-18 2005-12-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채널 설정 방법
KR20060068671A (ko) * 2004-12-16 2006-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536A (ko) * 1998-04-06 1999-11-05 구자홍 중복채널 검출/삭제방법
KR20040052074A (ko) * 2002-12-13 2004-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채널 시스템의 자동 채널 설정 방법
KR20050120065A (ko) * 2004-06-18 2005-12-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채널 설정 방법
KR20060068671A (ko) * 2004-12-16 2006-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설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088A3 (en) * 2008-09-10 201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channel
US8284326B2 (en) 2008-09-10 2012-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213A (ko)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31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programs having desirable recording attributes
US71947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tuning to channels of a variety of different broadcast types
US812733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list of channel information in video display device
JP4124110B2 (ja) コンテンツ視聴支援装置及びコンテンツ視聴支援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80101765A1 (en) Method for playback of broadcast data in receiver
JP4540701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予約録画方法
JP2010050965A (ja) 番組対象物および予約パディングの自動検出
JP2005051493A (ja)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再生方法
JP5355729B2 (ja) 電子機器、サーバ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0867594B1 (ko)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
KR20100054048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스캔 방법 및 장치
KR20040029468A (ko)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적응적으로 저장하는 방법 및장치
JP5432570B2 (ja) 番組情報検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101102392B1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튜닝 시스템 및 방법
JP2011130111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311460B1 (ko) 방송채널 관리방법 및 장치
KR10084484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스캔방법 및 장치
KR20060079910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dmb 방송 프로그램 예약 녹화방법
JP2007068042A (ja) 受信装置および方法
KR20010010017A (ko) 프로그램 녹화방법
KR101125455B1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녹화 제어방법과 장치
KR10087623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상태 표시 제어장치 및방법
KR20080017514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로그파일 관리방법
KR20080002133A (ko)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이피지 정보 제공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097585A (ko) 방송수신기의 프로그램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