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557B1 -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557B1
KR100867557B1 KR1020070097728A KR20070097728A KR100867557B1 KR 100867557 B1 KR100867557 B1 KR 100867557B1 KR 1020070097728 A KR1020070097728 A KR 1020070097728A KR 20070097728 A KR20070097728 A KR 20070097728A KR 100867557 B1 KR100867557 B1 KR 10086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ing
value
standard
adjustment targ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중섭
최우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70097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이 제고된다. 본 발명은, 배관 도면, 배관에 설치된 장치의 설계도면 및 운영 기준을 제공하는 장치 정보 모듈과, 장치의 배관의 설치된 장치의 실제 동작 환경과 상기 운영 기준을 비교하는 데이터 분석모듈과, 상기 데이터 분석모듈에서 비교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실제 동작 환경이 상기 운영기준 대비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장치를 검색하여 조정대상 장치로 분류하는 장치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MANAGEMENT SYSTEM FOR PIPELINE EQUIPMENT AND METHOD OF MANEMENT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배관설비의 운전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가동되고 있는 발전소와 화학플랜트 등 산업설비들은 보일러에서 고온고압의 증기를 만들어 터빈 등으로 증기를 운송하기 위한 고온 고압용 배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배관에는 배관의 자중과 열팽창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각종 지지장치 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장치들은 각종 행거(hanger)가 설치되어 있어서 배관의 자중과 온도에 따라 발생되는 열팽창 변위를 흡수하여 배관이 허용응력이내에서 운전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행거들은 설치시 오류 또는 장기운전에 따른 비정상 작동 등으로 운전시 내부 스프링의 절손, 운전범위 초과 등이 발생될 경우 배관의 정상적인 변위를 구속하여 인근 구조물과의 간섭 등으로 배관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되어 균열로 인한 증기누설을 초래하여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유발시키게 된다.
현재까지 국내,외적으로 이러한 행거들은 각 배관에 많은 수량이 설치되어 있으나, 지지장치의 점검 및 관리 소홀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배관에 부착된 각 행거의 설치위치, 설치형태, 운전방식, 지침기록, 평가 등 전체적으로 행거 등 배관지지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각종 배관에 설치된 행거들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평가하며, 이를 통해 예방정비 및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산업용 고온배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운전되고 있는 행거 등 배관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하고 정지 및 운전시 지침의 기록을 입력하여 변위분석을 통해 오동작 행거를 선별하여 효율적으로 정비가 가능토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배관 및 지지장치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장기적으로 수명연장에 기여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관 도면, 배관에 설치된 장치의 설계도면 및 운영 기준을 제공하는 장치 정보 모듈과, 장치의 배관의 설치된 장치의 실제 동작 환경과 상기 운영 기준을 비교하는 데이터 분석모듈과, 상기 데이터 분석모듈에서 비교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실제 동작 환경이 상기 운영기준 대비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장치를 검색하여 조정대상 장치로 분류하는 장치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관도면과, 배관구조물의 설계 변위 및 설계 응력을 포함하는 운영기준과, 배관에 사용된 지지장치의 사진과, 상기 지지장치의 세부정보와, 상기 지지장치의 구조도를 제공하는 장치 정보 모듈과, 배관 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리스트 및 운영기준값을 표시하는 표준시트 모드와, 배관 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변위 측정값을 기록하고, 상기 운영기준값과 상기 측정값의 비교값 및 측정된 배관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외관 상태등급을 표시하는 점검 모드와, 상기 측정 값과 상기 운영기준값의 비교 그래프가 출력되는 그래프 분석 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과,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조정 대상 장치를 선정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장치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관설비의 실제 동작 환경이 운영기준값 대비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장치를 검색하여 조정대상 장치로 분류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의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배관구존물 및 지지장치의 외관 및 정지상태와 운전상태의 변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배관구조물 및 지지장치에서 측정된 변위차가 상기 운영기준값 대비 50%보다 큰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배관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외관상태에 따라 조정 대상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변위차가 운영기준값 대비 50%보다 큰 장치 전 후의 장치를 검색하여 변위차가 최대인 장치를 조정 대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차기 정비시 조정 대상 장치의 수 및 조정 방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소 등 산업체의 고온고압 배관에 설치되어 운전중인 각종 배관지지장치를 육안점검하고 데이터를 기록하여 자동으로 오동작 되고 있는 지지장치를 선정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 각종 지지장치의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여 점검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점검데이터를 손쉽게 입력하여 그래프 분석을 통해 전체 배 관의 변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차기 정비시 조정되어야 하는 지지장치를 선정할 수 있어 현장 점검자들의 점검 및 정비작업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 결과, 궁극적으로 배관지지장치의 건전성을 평가하며 배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설비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은 장치 정보 모듈(10), 데이터 분석 모듈(20) 및 장치 평가 모듈(30)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 정보 모듈(10)은 배관도면을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장치의 사진, 설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20)은 지지장치들의 정지 및 운전시 지침을 기록하고 실제 운전변위와 설계변위와의 그래프 분석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 평가 모듈(30)은 입력된 데이터와 그래프 분석을 통해 자동적으로 오동작되고 있는 각종 배관구조물 및 지지장치를 평가할 수 있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 정보 모듈(10)은 배관설비의 도면(11), 설계기준 및 응력기준 등의 운영 기준(12), 지지장치의 상세한 정보(13), 지지장치의 사진(14) 및 지지장치의 구조도(15)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20)은 배관 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리스트 및 운영기준값을 표시하는 표준시트 모드(21)와, 배관 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변위 측정값을 기록하고, 상기 운영기준값과 상기 측정값의 비교값 및 측정된 배관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외관 상태등급을 표시하는 점검 모드(22)와, 상기 측정값과 상기 운영기준값의 비교 그래프가 출력되는 그래프 분석 모드(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프 분석 모드(23)에서 스케일 보기 기능(24)을 지원하여 운영기준값 대비 측정값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정보 모듈의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배관설비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소 등 산업용 고온배관의 여러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대략 그 수량은 발전소를 예를 들면 1개호기에 약 400개 이상의 행거(Hanger)들이 설치되어 운전되고 있다.
산업용 배관은 보일러에서 발생된 고온의 증기를 터빈 등 타 설비로 증기를 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배관의 길이와 방향이 보일러에서 타 구조물까지 기하학 적인 3차원으로 설치되어 고온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배관변위의 크기정도에 따라 다양한 배관지지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배관구조물 및 구조물의 지지장치 중 2mm 이상의 변위차가 발생되는 곳에는 배관 하중을 지지하며, 배관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고정 스프링 행거(Constant Spring Hanger)와 변동 스프링 행거(Variable Spring Hanger)가 주로 사용된다.
고정 스프링 행거는 50mm이상의 열팽창변위가 발생하는 곳에 설치되며, 정지 및 운전시 하중이 일정하면서 운전시 내부 스프링 동작에 의해 열팽창 변위를 흡수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고정 스프링 행거의 기록방식의 경우, A형태는 지침범위가 총 10등분되어 있어 정지시 지침(position indicator)이 설계지침인“0”또는 “1”위치에 있다가(행거마다 조금씩 다름) 배관이 열팽창되어 하부로 팽창시 배관과 연결된 로드를 잡아당기고 로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지침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운전시 설계위치인 “7” 또는 “8”로 이동하여 열팽창 변위를 흡수하게 된다.
이때 행거의 변위는 총 10등분이 이동할 경우가 최대이동량이며, 운전시 지침에서 정지시 지침을 뺀값에 최대이동량을 10으로 나눈 값을 곱하면 이 행거의 변위값이 된다. 이 A형태의 경우 배관이 운전시 상부로 팽창할 경우는 반대로 된다.
B형태는 A형태와 같이 눈금이 10등분이 되어 있지 않고 가운데 위치한 지침이 배관열팽창과 함께 상, 하부로 이동하며, 지침의 가운데를 그대로 읽어주고 운전시 지침에서 정지시 지침을 뺀 값이 행거의 변위값이 된다. 변동 스프링 행거(Variable Spring Hanger)의 경우 그 외관이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 1개의 스프링과 스프링의 압축 또는 팽창량을 나타내는 스프링 플레이트가 있어 이 플레이트의 하부를 그대로 읽어준다. 이 변위 역시 운전시 지침에서 정지시 지침을 뺀값이 행거의 변위가 된다.
상기 행거들 외에 정지 및 운전시 배관의 변위가 없는 지점에 설치하는 리지드 행거(Rigid Hanger), 배관을 하부에서만 지지하는 슬라이딩 스포트(Sliding Support), 운전시 배관이 0.1~0.2g(g:중력가속도)범위의 큰 진동 또는 외력이 작용할 경우 유압 또는 기계식으로 방진하는 스누버(Snubber) 등이 있다. 이렇게 고온배관에는 다양한 배관지지장치들이 설치되어 운전시 배관의 변위를 흡수하여 배관 응력이 허용 응력 이내에서 작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배관구조물의 구조가 복잡하고 지지장치의 수량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의 지지장치의 상태를 정확하게 찾기가 어려우며, 관리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모듈은 각 배관에 설치된 들을 배관 도면을 이용하여 각 배관구조물 및 지지장치들의 위치정보를 찾는 모듈로서 장치 정보 모듈을 가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 정보 모듈은 배관의 모델링 화면에서 배관의 식별정보, 예컨대 “호기”와 “배관명”을 선택하면 실제 배관도면(210)이 표시되고, 설계 변위 및 설계 응력 등의 운영기준을 선택하면, 배관전용 해석프로그램을 통해 미리 해석된 변위와 응력 등을 운영기준 정보(220)가 구분값(222)과 함께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배관도면(210)에서 특정 장치를 클릭하면 그 장치에 대한 사진을 포함 하는 상세 정보(23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상세 정보(230)에서는 장치의 로트 넘버, 하중, 길이 응력, 운영기준 등의 정보가 표시되고, 선택된 배관 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설계도면도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모듈의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은 표준시트 모드, 점검모드 및 그래프 분석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모듈의 표시화면(300)에서, 상기 표준 시트 모드는 발전소 호기와 배관명을 선택하고(추가 기능 포함) 각 배관라인 별로 기본적으로 각 지지장치별로 이름, 형태, 종류, 총 이동량, 설계하중, 설계변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워크시트(320)가 표시된다.
여기서 각 지지장치 이름은 입력후 저장이 완료되면 활성화가 되어 지지장치 이름을 누르면 배관지지장치 정보모듈과 연계되어 각 선택된 지지장치의 사진(330), 설계자료(310)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점검 모드에서는 상기 표준 시트 모드에서 기록된 정보와 운영기준값이 상기 워크시트(320)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지침값 기록, 변위계산, 외관모습으로 구분된 기록 정보가 기록되고, 외관의 모습은 다음과 같은 기호로 외관 상태 등급이 기록될 수 있다.
L : 정지 및 운전중 설계 지침범위를 초과하여 지침이 상부 또는 하부에 완전히 터치(Touch) 되어 있는 경우
D : 지지장치의 외관모습이 내부 스프링 절손, 탈락 등으로 손상되어 전혀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
P : 지지장치의 외관모습이 행거 로드(Hanger rod) 휨, 외관 및 접촉면의 과도한 부식 및 녹 발생 등으로 현재 하중은 지지하고 있으나, 작동상태가 원활하지 못한 상태
상기 그래프 분석 모드에서 상기 표시화면(300)에 실제 측정된 변위값과 운영기준값을 도시한 그래프(340)와, 운영기준값을 100% 하였을 때, 측정된 변위값이 운영기준값 대비 몇% 인지를 표시하는 스케일 보기 그래프(35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배관구조물 또는 지지장치이고, 세로축은 변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관설비의 데이터 분석 모듈을 통해 평가된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다수의 장치 중 오동작 되고 있는 장치를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스케일 보기 그래프에서 변위차가 기준대비 50%이상인 장치를 검색한다(S1 단계).
다음으로 상기 외관 상태 등급을 검색한다(S2 단계).
상기 검색된 외관 상태 등급에서 L" 또는 ”D"인 장치를 검색하고, 등급이 “D"인 장치는 제기능을 하지 못하므로 차기 정비시 교체를 하여야 하고, 등급이 "L"로 검색된 것은 지침이 상부 또는 하부에 완전 터치(Touch)되어 열팽창을 제한하고 있는 장치이므로 조정 대상으로 분류하여 차기 정지시 조정대상을 선정한다(S3 단계).
외관 모습이 "L" 또는 "D"가 아닌 장치들은 상기 변위차가 기준대비 50% 이상인 장치를 기준으로 전, 후의 장치들을 검색하여 변위차가 최대차이인 장치를 조정대상 장치로 분류한다(S4 단계). 이 때, 상기 기준 장치 전, 후 각각 4개씩 지지 장치를 검색하여 조정대상 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최대차이가 발생된 지지장치는 그것을 기준으로 전,후 약 3-4개 정도 지지장치의 변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상기 S3 단계 및 S4 단계에서 선정된 차기정비시 조정대상 장치의 수 및 조정방법을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평가 모듈의 표시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평가 모듈의 표시화면(500)은 데이터 분석 모듈의 워크시트(510)와, 그래프(520), 조정대상 장치의 목록 및 조정 방법(530)을 평가 방법(540)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설비의 장치 정보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각종 배관지지장치의 위치, 설계자료 등 각종 정보를 얻어 점검 및 정비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고, "배관설비의 데이터 분석 모듈”을 통해 점검 시트가 없거나 점검시트가 확실한 산업체에 표준 시트를 제공하며, 점검방법을 구체화하고 사용자가 점검결과 데이터를 입력하고 그래프 분석을 통해 배관지지장치 및 전체 배관의 변위 등 상태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관설비의 장치 평가 모듈”을 통해 육안점검결과, 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배관지지장치중 오동작 되고 있는 지지장치를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계산, 분류하고 정비방법을 얻을 수 있어 지지장치의 파손을 조기에 예방하고 배관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3개의 모듈은 상호 연계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됨으로써 정확한 평가결과에 따라 지지장치를 예측 정비함으로써 배관의 고장 등 설비의 정지시간을 감소시키고 운전시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5. 설비운용자에게 지지장치의 각종 정보, 육안점검방법, 설비검사 및 교체시기를 정확히 제시하여 정비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설비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정보 모듈의 표시화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모듈의 표시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평가 모듈의 표시화면이다.

Claims (12)

  1. 삭제
  2. 배관 도면, 배관에 설치된 장치의 설계도면 및 운영 기준을 제공하는 장치 정보 모듈;
    장치의 배관의 설치된 장치의 실제 동작 환경과 상기 운영 기준을 비교하는 데이터 분석모듈; 및
    상기 데이터 분석모듈에서 비교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실제 동작 환경이 상기 운영기준 대비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장치를 검색하여 조정대상 장치로 분류하는 장치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정보 모듈은:
    배관도면;
    배관구조물의 설계 변위 및 설계 응력을 포함하는 운영기준;
    배관에 사용된 지지장치의 사진;
    상기 지지장치의 세부정보; 및
    상기 지지장치의 구조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3. 배관 도면, 배관에 설치된 장치의 설계도면 및 운영 기준을 제공하는 장치 정보 모듈;
    장치의 배관의 설치된 장치의 실제 동작 환경과 상기 운영 기준을 비교하는 데이터 분석모듈; 및
    상기 데이터 분석모듈에서 비교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실제 동작 환경이 상기 운영기준 대비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장치를 검색하여 조정대상 장치로 분류하는 장치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은:
    배관 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리스트 및 운영기준값을 표시하는 표준시트 모드;
    배관 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변위 측정값을 기록하고, 상기 운영기준값과 상기 측정값의 비교값 및 측정된 배관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외관상태 등급을 표시하는 점검 모드; 및
    상기 측정값과 상기 운영기준값의 비교 그래프가 출력되는 그래프 분석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4. 배관 도면, 배관에 설치된 장치의 설계도면 및 운영 기준을 제공하는 장치 정보 모듈;
    장치의 배관의 설치된 장치의 실제 동작 환경과 상기 운영 기준을 비교하는 데이터 분석모듈; 및
    상기 데이터 분석모듈에서 비교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실제 동작 환경이 상기 운영기준 대비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장치를 검색하여 조정대상 장치로 분류하는 장치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치 평가 모듈은: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조정 대상 장치를 선정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측정된 장치의 변위차가 상기 운영기준값 대비 50%보다 큰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분석모드 등급의 상태 등급을 검색하여 조정 대상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변위차가 운영기준값 대비 50%보다 큰 장치 전 후의 장치를 검색하여 변위차가 최대인 장치를 조정 대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차기 정비시 조정 대상 장치의 수 및 조정 방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6. 배관도면과, 배관구조물의 설계 변위 및 설계 응력을 포함하는 운영기준과, 배관에 사용된 지지장치의 사진과, 상기 지지장치의 세부정보와, 상기 지지장치의 구조도를 제공하는 장치 정보 모듈;
    배관 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리스트 및 운영기준값을 표시하는 표준시트 모드와, 배관 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변위 측정값을 기록하고, 상기 운영기준값과 상기 측정값의 비교값 및 측정된 배관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외관 상태등급을 표시하는 점검 모드와, 상기 측정값과 상기 운영기준값의 비교 그래프가 출력되는 그래프 분석 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 및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조정 대상 장치를 선정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장치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준시트 모드는:
    배관 라인의 식별정보 입력란;
    상기 식별정보 입력란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배관 라인 및 지지장치의 운영 기준값을 표시하는 운영기준 표시란;
    배관 라인 및 지지장치의 실측값 기입란; 및
    상기 실측값 및 상기 운영기준값의 비교값을 표시하는 비교값 표시란을 포함하는 표준 시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모드는:
    상기 운영기준값 및 상기 변위 측정값을 표시하는 실측 보기 모드; 및
    상기 운영기준값 대비 변위 측정값을 표시하는 스케일 보기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관구조물 및 상기 지지장치의 변위는 운전중 점검값과 정지중 점검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측정된 장치의 변위차가 상기 운영기준값 대비 50%보다 큰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분석모드 등급의 상태 등급을 검색하여 조정 대상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변위차가 운영기준값 대비 50%보다 큰 장치 전 후의 장치를 검색하여 변위차가 최대인 장치를 조정 대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차기 정비시 조정 대상 장치의 수 및 조정 방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11. 배관구조물의 배관설비의 실제 동작 환경이 운영기준값 대비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장치를 검색하여 조정대상 장치로 분류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의 평가 방법으로서,
    1) 배관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외관 및 정지상태와 운전상태의 변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2) 배관구조물 및 지지장치에서 측정된 변위차가 상기 운영기준값 대비 50%보다 큰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3) 상기 검색된 배관구조물 및 지지장치의 외관상태에 따라 조정 대상을 판단하는 단계;
    4) 상기 변위차가 운영기준값 대비 50%보다 큰 장치 전 후의 장치를 검색하여 변위차가 최대인 장치를 조정 대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5) 차기 정비시 조정 대상 장치의 수 및 조정 방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의 평가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조정 대상으로 판단된 배관 구조물 및 지지장치와, 상기 4) 단계에서 조정 대상으로 판단된 배관 구조물 및 지지장치를 분류하여 5) 단계에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 관리시스템의 평가방법.
KR1020070097728A 2007-09-28 2007-09-28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086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728A KR100867557B1 (ko) 2007-09-28 2007-09-28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728A KR100867557B1 (ko) 2007-09-28 2007-09-28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557B1 true KR100867557B1 (ko) 2008-11-06

Family

ID=4028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728A KR100867557B1 (ko) 2007-09-28 2007-09-28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469B1 (ko) 2010-09-30 2012-08-16 한국전력공사 배관 수명 평가 방법
KR101939975B1 (ko) 2018-08-24 2019-01-18 유니슨이테크(주) 발전소 배관 안정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602A (ja) * 1992-05-21 1993-12-07 Hitachi Ltd プラント運転管理システム
KR20050008969A (ko) * 2003-07-14 2005-01-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 햄머링을 고려한 증기 배관 선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602A (ja) * 1992-05-21 1993-12-07 Hitachi Ltd プラント運転管理システム
KR20050008969A (ko) * 2003-07-14 2005-01-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 햄머링을 고려한 증기 배관 선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469B1 (ko) 2010-09-30 2012-08-16 한국전력공사 배관 수명 평가 방법
KR101939975B1 (ko) 2018-08-24 2019-01-18 유니슨이테크(주) 발전소 배관 안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inez-Luengo et 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offshore wind turbines: A review through the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Paradigm
JP6037954B2 (ja) ボイラチューブリーク検出装置、ボイラチューブリーク検出方法、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データ監視センタ、情報提供サービス、ボイラプラント。
Hashemian State-of-the-art predictive maintenance techniques
US8442853B2 (en) Targeted equip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equipment reliability
BRPI0206863B1 (pt) Sistema e método para gerenciar dados do sistema de transporte de gás
JPH0658425B2 (ja) 原子力発電所の液体流通系の監視方法
US20150046099A1 (en) Pipeline management supporting server and pipeline management supporting system
GB2491045A (en) Determining damage to, or remaining useful life of, rotating machinery eg drive trains, gearboxes and generators of wind and water turbines
CA2989566C (en) Piping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CN112728416B (zh) 一种高温高压动力管道状态监测系统
CN108105208B (zh) 漏油检测装置
US10663162B2 (en) Fluid utilization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fluid utiliza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10641668B2 (en) Measuring deformation of a compression spring to monitor performance of a safety valve
JP6523815B2 (ja) プラント診断装置及びプラント診断方法
KR100867557B1 (ko) 배관설비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JP2015045942A (ja) 品質管理装置、品質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50748B2 (ja) 水圧計配置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Rainieri et al. A study on the concurrent influence of liquid content and damage on the dynamic properties of a tank for the development of a modal-based SHM system
JP5355710B2 (ja) プロセス信号の抽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RU2767263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оценки показателей, определяющих техническое состоя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ных систем, и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20160015694A (ko) 3차원 변위측정장치에 연계된 배관 수명관리시스템
CN210088474U (zh) 火力发电厂蒸汽管道实时状态信息采集及风险预测系统
JP2020119393A (ja) 監視装置
KR101913732B1 (ko) 무선통신 기반의 고압가스 안전밸브 원격검사시스템
JP2008293106A (ja) メンテナンス計画立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