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917B1 -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917B1
KR100866917B1 KR1020060079734A KR20060079734A KR100866917B1 KR 100866917 B1 KR100866917 B1 KR 100866917B1 KR 1020060079734 A KR1020060079734 A KR 1020060079734A KR 20060079734 A KR20060079734 A KR 20060079734A KR 100866917 B1 KR100866917 B1 KR 100866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clination
key input
sensor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7913A (ko
Inventor
강대희
장민식
심규복
Original Assignee
(주)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06007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91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센서를 채용하여 포인팅을 위한 신호의 입력 및 동작 명령에 관련된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입력장치 및 이러한 입력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입력장치는 움직임에 따른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다수의 동작 명령을 키입력하는 키입력수단;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의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장치가 무선 마우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그 입력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즉, 마우스 커서)의 위치가 프리젠테이션 화면(스크린)에서 움직이게 되므로, 보조자 없이도 원활한 발표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Input device and mobile using the in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3차원 센서 모듈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입력장치내의 제어부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입력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신 단말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입력장치가 독립적으로 구현되었을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입력장치가 휴대폰에 장착된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입력장치의 내부 구성 및 휴대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3차원 센서 모듈 12 : 지자기 센서
14 : 경사 센서 16 : 좌표 변환부
18 : 방위각 산출부 20 : 키입력부
30, 60 : 제어부 32 : 입력부
34 : 처리부 36 : 데이터 출력부
40, 50 : 통신부 70 : 데이터베이스
80 : 출력부 100 : 입력장치
200 : 수신 단말 300 : 휴대폰
본 발명은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센서를 채용하여 마우스 및 레이저 빔 포인터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 및 이러한 입력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보드 및 마우스가 컴퓨터의 입력장치로 주로 사용된다. 또한, 타블렛(Tablet), X-Y플로터(X-Y plotter), 터치 패널,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장치 등도 컴퓨터의 입력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학술 회의, 세미나, 강의, 강연 등에서 컴퓨터에 기록된 내용을 대형 화면(스크린)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프로젝터를 이용한다. 이 경우, 프리젠테이션용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컴퓨터와 그 컴퓨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프로젝터를 연결한 후 해당 컴퓨터에서 프리젠테이션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프리젠테이션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프리젠테이션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발표자는 그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지시하기 위해 레이저 빔 포인터와 같은 포인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포인터는 단지 지시장치로서의 역할만 수행할 뿐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프리젠테이션시 보조자가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실행된 이후에는 페이지를 넘겨주는 등의 보조 역할을 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보조자가 컴퓨터를 오조작하거나 발표자와 보조자간의 사인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발표자가 원하는 화면과 전혀 다른 내용의 화면이 출력되어 정상적인 설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보조자가 없는 경우에는 발표자가 직접 컴퓨터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하여 컴퓨터에 연결된 마우스를 평평한 부재의 평면에 대고 사용하거나 프로젝터가 제공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페이지 업/다운을 행해야 한다. 이로 인해, 프리젠테이션 과정에서 발표자는 포인터와 마우스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동작시킨 후에 발표를 계속 진행하게 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흐름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3차원 센서를 채용하여 포인팅을 위한 신호의 입력 및 동작 명령에 관련된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인팅을 위한 신호의 입력 및 동작 명령에 관련된 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 위치의 이동 및 마우스의 버튼 동작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 이동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 력장치는, 움직임에 따른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다수의 동작 명령을 키입력하는 키입력수단;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의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움직임에 따른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움직임에 따른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키입력수단을 갖춘 통신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키입력수단을 갖춘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키입력수단을 갖춘 통신수단이라 함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되는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로 이해하면 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의 상기 센서 모듈은, 지자기를 감지하여 자기벡터를 출력하는 지자기 센서; 해당 센서 모듈의 피치를 감지하여 피치각을 기울기값으로서 출력하는 경사 센서; 상기 지자기 센서로부터의 자기벡터 및 상기 경사 센서로부터의 피치각을 입력받아서 좌표변환을 행하여 수평시의 자기벡터를 산출하 는 좌표 변환부; 및 상기 좌표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수평시의 자기벡터를 근거로 방위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방위각을 방향값으로서 출력하는 방위각 산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키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현재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데이터를 이전에 입력된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입력된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 및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현재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데이터를 이전에 입력된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화량을 산출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다수의 동작 명령을 키입력하는 키입력수단; 움직임에 따른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로부터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의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 작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제어수단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의 키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현재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데이터를 이전에 입력된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입력된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 및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입력장치(100) 및 수신 단말(200)로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입력장치(100)를 컴퓨터의 마우스인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수신 단말(200)을 컴퓨터의 본체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상기 입력장치(100)는 내장된 3차원 센서 모듈에서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로 마우스 포인터(마우스 커서)의 좌표를 입력하고, 다수의 동작 명령을 키입력한다.
상기 입력장치(100)는, 해당 입력장치가 허공에서 움직임에 따라 3차원 방향 측정을 행하여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3차원 센서 모듈(10); 다수의 버튼을 갖추고서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키입력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20); 상기 3차원 센서 모듈(10)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키입력부(20)로부터의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30); 및 상기 제어부(30)로부터의 신호를 정해진 통신방식(예컨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RS232C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 단말(200)에게로 전송하는 통신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키입력부(20)는 컴퓨터 마우스의 왼쪽 버튼에 해당하는 제 1버튼, 컴퓨터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에 해당하는 제 2버튼, 및 현재까지 저장된 데이터(즉, 후술할 수신 단말(200)내의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 데이터)를 초기화하고 마우스 포인터(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컴퓨터 화면(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린)의 중앙으로 위치시키게 하는 제 3버튼을 포함한다. 물론, 그 키입력부(20)에 상기 제 1버튼, 제 2버튼, 및 제 3버튼 이외로 다른 버튼들을 추가로 포함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줌-인/줌-아웃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등이 추가로 포함되어도 된다.
상기 통신부(40)를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또는 USB 인터페이스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를 할 수 있도록 구현시키는 것은 당업자라면 쉽게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수신 단말(200)은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의 데이터 변화량을 컴퓨터의 화면 좌표계의 값으로 변환하여 마우스 포인터(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키입력되는 상기 동작 명령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미 상기 수신 단말(200)을 컴퓨터의 본체인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그 수신 단말(200)은 프리젠테이션용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프로젝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 수신 단말(200)은, 그 입력장치(100)의 통신부(40)로부터의 데이터를 그 통신부(40)와 미리 정해진 통신방식(예컨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RS232C 인터페이스)으로 수신하는 통신부(50); 그 통신부(5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의 변화량을 컴퓨터의 화면좌표로 변환한 다음 저장되어 있는 바로 이전의 컴퓨터의 화면 좌표와 비교하여 좌표의 변환값(x, y)을 산출하여 저장 및 출력시키고, 상기 입력장치(100)내의 키입력부(20)에 의한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 명령의 상태값(eK)을 컴퓨터 수행에 필요한 마우스 버튼 동작값(eK')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60); 그 제어부(60)에 의해 데이터의 저장 및 갱신 또는 초기화가 행해지는 데이터베이스(70); 및 그 제어부(60)로부터의 컴퓨터의 화면 좌표의 변환값(x y)에 근거하여 마우스 포인터(마우스 커서)를 지정된 좌표로 이동시키고 상기 마우스 버튼 동작값(eK')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출력부(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50)는 앞서 설명한 통신부(40)와 같이 당업자라면 쉽게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3차원 센서 모듈(10)의 내부 구성도이다.
그 3차원 센서 모듈(10)은 지자기 센서(12), 경사 센서(14), 좌표 변환부(16), 및 방위각 산출부(18)를 구비한다.
상기 지자기 센서(12)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감지하여 자기벡터(X, Y, Z)를 출력한다.
상기 경사 센서(14)는 해당 3차원 센서 모듈의 기울기값인 피치(pitch)를 감지하여 피치각(α)을 출력한다.
상기 좌표 변환부(16)는 상기 지자기 센서(12)로부터의 자기벡터(X, Y, Z) 및 상기 경사 센서(14)로부터의 피치각(α)을 입력받아서 좌표변환을 행하여 수평시의 자기벡터(Xh, Yh, Zh)를 산출한다.
상기 방위각 산출부(18)는 상기 좌표 변환부(16)로부터의 수평시의 자기벡터(Xh, Yh, Zh)에서 X축 성분 Xh 및 Y축 성분 Yh를 기반으로 하여 방위각(θ)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방위각(θ) 및 상기 좌표 변환부(16)를 통해 입력된 피치각(α; 고도)을 제어부(30)에게로 보낸다.
여기서, 도 2에서는 상기 방위각 산출부(18)에서 방위각(θ) 및 피치각(α)을 제어부(30)에게로 보내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그 방위각 산출부(18)에서 방위각(θ)만을 제어부(30)로 보내고 경사 센서(14)의 피치각(α)이 제어부(30)에게로 별도로 전송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만약, 상기 키입력부(20)에 줌-인/줌-아웃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 튼이 추가로 포함된다면 상기 3차원 센서 모듈(10)에는 가속도 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입력장치(100)내의 제어부(30)의 내부 구성도이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3차원 센서 모듈(10)로부터의 방위각(θ)과 피치각(α) 및 상기 키입력부(20)로부터의 키입력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입력부(32), 그 입력부(32)로부터 방위각(θ)과 피치각(α)이 입력되면 바로 이전의 방위각(θ)과 피치각(α)과 비교하여 변화량(즉, 방위각 변화량(dθ), 피치각 변화량(dα))을 산출함과 더불어 입력된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즉, 키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부(34), 및 그 처리부(34)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dθ, dα) 및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40)에게로 제공하는 데이터 출력부(36)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입력장치(1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일단, 사용자(발표자)가 입력장치(100)를 쥐고 허공에서 움직이게 되면 그 입력장치(100)내의 3차원 센서 모듈(10)에 구비된 지자기 센서(12)가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감지하여 자기벡터(X, Y, Z)를 측정하여 출력하고 그 3차원 센서 모듈(10)에 구비된 경사 센서(14)는 해당 3차원 센서 모듈의 기울기값인 피치(pitch)를 감지하여 피치각(α)을 측정하여 출력한다(S10, S12).
그 출력되는 자기벡터(X, Y, Z)와 피치각(α)은 좌표 변환부(16)에게로 전송된다. 그 좌표 변환부(16)는 입력된 자기벡터(X, Y, Z) 및 피치각(α)을 근거로 좌표변환을 행하여 수평시의 자기벡터(Xh, Yh, Zh)를 산출한 후에 그 산출한 수평시의 자기벡터(Xh, Yh, Zh) 및 피치각(α)을 방위각 산출부(18)에게로 전송한다(S14).
그에 따라, 그 방위각 산출부(18)는 상기 좌표 변환부(16)로부터의 수평시의 자기벡터(Xh, Yh, Zh)에서 X축 성분 Xh 및 Y축 성분 Yh를 기반으로 하여 방위각(θ)를 산출한 후에 그 산출된 방위각(θ) 및 피치각(α)을 제어부(30)에게로 보낸다(S16, S18).
실제적으로, 상술한 3차원 센서 모듈(10)은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를 움직일 때마다 방위각(θ) 및 피치각(α)을 출력시키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30)는 그 산출된 방위각(θ) 및 피치각(α)을 입력받게 되고 이하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30)가 3차원 센서 모듈(10)로부터 방위각(θ) 및 피치각(α)을 입력받게 되면 키입력부(20)에서 제공되는 키입력 상태를 체크한다(S20).
그 후, 그 제어부(30)는 내부 메모리(도시 생략)에 저장된 바로 이전의 방위각(θ) 및 피치각(α)을 읽어옴과 더불어 바로 이전의 키입력 상태값을 읽어온다(S22).
그리고 나서, 그 제어부(30)는 현재 입력된 방위각(θ)과 피치각(α) 및 키입력 상태값을 바로 이전의 값들(즉, 바로 이전의 방위각(θ)과 피치각(α) 및 키 입력 상태값)과 비교하여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4).
그 판단결과, 변화가 발생하였을 경우(S24에서 "Yes") 그 제어부(30)는 그 현재의 값과 바로 이전의 값을 이용하여 방위각 변화량(dθ)과 피치각 변화량(dα)을 산출한다(S26).
그리고, 그 제어부(30)는 그 산출한 방위각 변화량(dθ) 및 피치각 변화량(dα)을 키입력 상태값과 함께 통신부(40)에게로 보낸다. 여기서, 상기 키입력 상태값이 변하지 않은 경우에는 바로 이전의 키입력 상태값(즉, 키입력 데이터)을 통신부(40)에게로 보내고, 그 키입력 상태값이 변하였을 경우에는 그 변화된 키입력 상태값을 통신부(40)에게로 보낸다. 그에 따라, 그 통신부(40)에서는 상기 제어부(30)에서 만들어진 데이터들을 정해진 통신방식(예컨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RS232C 인터페이스)에 따라 수신 단말(200)측으로 전송한다(S28).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신 단말(2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일단, 수신 단말(200)이 입력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그 수신 단말(200)내의 통신부(50)가 입력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S30).
그 통신부(50)에 수신된 데이터는 해당 수신 단말(200)내의 제어부(60)에게로 전달된다. 그에 따라, 그 제어부(60)는 그 통신부(5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의 변화량(즉, 방위각 변화 량(dθ) 및 피치각 변화량(dα))을 컴퓨터의 화면 좌표에 맞게 변환하는데, 상기 방위각 변화량(dθ)을 X좌표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피치각 변화량(dα)을 Y좌표값으로 변환한다(S32).
그리고 나서, 그 제어부(60)는 그 변환한 X좌표값 및 Y좌표값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되어 있는 바로 이전의 X좌표값과 Y좌표값을 읽어와서 상호 비교하여 변하였는지를 판단한다(S34).
그 판단결과, 변하였을 경우(S34에서 "Yes") 그 제어부(60)는 현재 변환된 X,Y좌표값과 바로 이전의 X,Y좌표값을 근거로 컴퓨터의 화면 좌표의 변환값(x, y)을 산출하여 출력부(80)에게로 전송하고, 그 출력부(80)에서는 그 입력된 컴퓨터의 화면 좌표의 변환값(x, y)을 근거로 마우스 포인터(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킨다(S36). 만약, 상기 X,Y좌표값이 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S36의 과정을 생략하고 이하의 S38의 과정으로 진입한다.
즉, 상기 S36 이후 또는 상기 S34에서의 판단결과 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60)는 그 통신부(50)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에서 키입력 상태값(eK)을 바로 이전의 키입력 상태값과 비교한다(S38).
그 비교결과, 변하지 않았으면(S40에서 "No") 그 제어부(60)는 마우스 버튼의 동작을 수행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변하였을 경우(S40에서 "Yes")에는 그 제어부(60)는 변화된 키입력 상태값에 상응하는 마우스 버튼의 해당 동작(eK')을 수행시킨다(S42).
상술한 도 5에서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 이후에 변화된 키입력 상태값에 상응하는 마우스 버튼의 해당 동작(eK')을 수행시키는 과정을 행하였으나, 반대의 수순으로 처리하여도 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입력장치(100)가 독립적으로 구현되었을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독립형태인 입력장치(100)는 도 1에서 설명한 3차원 센서 모듈(10)과 키입력부(20)와 제어부(30) 및 통신부(40)를 갖추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독립형태인 입력장치(100)는 마우스와 같은 형상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 6에서, 참조부호 20a, 20b, 20c는 키입력부(20)를 구성하는 버튼이다. 예를 들어, 그 버튼(20a)은 컴퓨터 마우스의 왼쪽 버튼에 해당하는 버튼이고, 그 버튼(20b)은 컴퓨터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에 해당하는 버튼이며, 그 버튼(20c)은 초기화 버튼으로서 현재까지 저장된 데이터를 초기화하고 마우스 포인터(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컴퓨터 화면(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린)의 중앙으로 위치시키게 하는 버튼이다.
그 독립형태인 입력장치(100)는 도 6의 (a)에 예시한 바와 같이 USB 인터페이스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150)에 의해 수신 단말(200)과 통신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 독립형태인 입력장치(100)는 도 6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해당 입력장치(100)의 통신부(40)에 블루투스 모듈(도시 생략)을 내장하고서 블루투스 수신기(150)를 갖춘 수신 단말(200)과 통신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도 6에서는 입력장치(100)를 독립적으로 구성시켜서 수신 단말(200)과의 통신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입력장치(100)가 휴대폰(300)에 장착된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입력장치(100)의 내부 구성 및 휴대폰(3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에서는 입력장치(100)를 휴대폰(300)에 연결시켜 그 휴대폰(300)을 통해 수신 단말(200)과의 통신을 수행함을 보여준다. 이 경우에는 휴대폰(300)에 구비된 다수의 버튼중 일부를 도 6에서 설명한 버튼(20a 20b, 20c)의 대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도 7과 같이 입력장치(100)를 휴대폰(300)에 부착시켜 연동하게 할 경우에는, 그 입력장치(1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센서 모듈(110)과 제어부(112) 및 출력부(114)를 구비하고, 그 휴대폰(300)은 수신부(312)와 키입력부(310)와 제어부(314) 및 송신부(316)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입력장치(100)의 3차원 센서 모듈(110)은 도 1에서 설명한 3차원 센서 모듈(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제어부(112)는 도 1에서 설명한 제어부(30)와 거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도 1의 제어부(30)는 키입력부로부터의 신호까지 입력받지만 도 8의 제어부(112)는 키입력부로부터의 신호는 입력받지 않는다는 것이 차이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출력부(114)는 그 제어부(112)에서 보내주는 데이터 를 휴대폰(300)측으로 전달한다. 물론, 그 출력부(114)를 제어부(112)에 내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휴대폰(300)에서의 키입력부(310)는 도 1에서 설명한 키입력부(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7의 버튼(20a 20b, 20c)을 갖추게 된다. 그 휴대폰(300)에서의 수신부(312)는 도 8에 도시된 입력장치(100)의 출력부(114)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휴대폰(300)에서의 제어부(314)는 그 수신부(312)를 통해 입력된 입력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예컨대, 방향각 변화량(dθ), 피치각 변화량(dα)) 및 키입력부(310)로부터의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상태값(키입력 데이터)을 출력한다. 그 휴대폰(300)에서의 송신부(316)는 그 제어부(314)로부터의 데이터를 정해진 통신방식(예컨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RS232C 인터페이스)에 따라 수신 단말(200)측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그 송신부(316)가 제어부(314)내에 내장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7에서는 수신 단말(200)에 블루투스 수신기(150)를 설치하여 상기 휴대폰(300)과 블루투스 통신을 하도록 하였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USB 인터페이스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도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과는 다르게, 입력장치(100)가 휴대폰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의 입력장치(100)는 도 1의 입력장치(100)에서 키입력부(20)를 제외시키면 구성할 수 있다. 그 키입력부(20)를 제외시키는 이유는 휴대폰에 설치된 키패드를 키입력부(20)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도 7 및 도 8에서는 입력장치(100)가 3차원 센서 모듈(110)과 제어부(112) 및 출력부(114)를 구비함으로써, 3차원 센서 모듈(100)에서 출력되는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근거로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여 휴대폰(300)에게로 전달해 주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런데, 이는 다음과 같이 변형가능하다. 즉, 3차원 센서 모듈(110)이 입력장치가 되는 것으로 하고 휴대폰(300)내의 제어부에서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입력장치인 3차원 센서 모듈(110)에서 방향 및 기울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면 그 데이터는 휴대폰(300)내의 제어부에게로 전달되고, 그 제어부에서는 이전에 입력된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여 수신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 변형예의 경우에는 휴대폰(300)내의 제어부가 앞서 설명한 도 1에서의 제어부와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보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형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당업자라면 앞서 설명한 내용을 토대로 충분히 이해가능한 내용이다.
그리고, 앞서의 설명에서는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데, 휴대폰이 아닌 셀룰러폰, PDA, 전자수첩 등에 그 입력장치(100)를 내장시키거나 탈부착시켜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장치가 무선 마우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그 입력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즉, 마우스 커서)의 위치가 프리젠테이션 화면(스크린)에서 움직이게 되므로, 보조자 없이도 원활한 발표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포인터와 마우스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함께 조작해야 되었던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하나의 입력장치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게 됨에 따라 발표의 흐름이 끊어질 염려가 없다. 그로 인해, 발표내용의 전달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움직임에 따른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다수의 동작 명령을 키입력하는 키입력수단;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의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키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현재의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이전에 입력된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입력된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 및 상기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 움직임에 따른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현재의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이전에 입력된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화량을 산출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움직임에 따른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키입력수단을 갖춘 통신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키입력수단을 갖춘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현재의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이전에 입력된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화량을 산출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지자기를 감지하여 자기벡터를 출력하는 지자기 센서;
    해당 센서 모듈의 피치를 감지하여 피치각을 기울기값으로서 출력하는 경사 센서;
    상기 지자기 센서로부터의 자기벡터 및 상기 경사 센서로부터의 피치각을 입력받아서 좌표변환을 행하여 수평시의 자기벡터를 산출하는 좌표 변환부; 및
    상기 좌표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수평시의 자기벡터를 근거로 방위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방위각을 방향값으로서 출력하는 방위각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삭제
  6. 삭제
  7. 다수의 동작 명령을 키입력하는 키입력수단;
    움직임에 따른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로부터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의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의 키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현재의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를 이전에 입력된 방향 및 기울기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입력된 키입력신호에 상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한 변화량 및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8. 삭제
KR1020060079734A 2006-08-23 2006-08-23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 KR100866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734A KR100866917B1 (ko) 2006-08-23 2006-08-23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734A KR100866917B1 (ko) 2006-08-23 2006-08-23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913A KR20080017913A (ko) 2008-02-27
KR100866917B1 true KR100866917B1 (ko) 2008-11-04

Family

ID=3938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734A KR100866917B1 (ko) 2006-08-23 2006-08-23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829B1 (ko) 2008-11-10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모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352A (ko) * 1995-12-28 1997-07-29 배순훈 마우스기능을 갖는 레이저포인터
KR200246899Y1 (ko) 2001-06-27 2001-10-17 (주)테레드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3차원 공간상의 입력 장치
KR20040020262A (ko) * 2002-08-30 2004-03-09 윤용상 펜 타입의 다기능 마우스 입력장치
KR20060039144A (ko) * 2004-11-02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352A (ko) * 1995-12-28 1997-07-29 배순훈 마우스기능을 갖는 레이저포인터
KR200246899Y1 (ko) 2001-06-27 2001-10-17 (주)테레드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3차원 공간상의 입력 장치
KR20040020262A (ko) * 2002-08-30 2004-03-09 윤용상 펜 타입의 다기능 마우스 입력장치
KR20060039144A (ko) * 2004-11-02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913A (ko)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930B1 (ko)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EP2161651B1 (en) Control device, input device, control system, hand-held typ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its program
US2013010670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method
KR101561155B1 (ko)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외부 디스플레이의 사용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4035497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EP2144142A2 (en) Input apparatus using motions and user manipulations and input method applied to such input apparatus
WO2010064388A1 (ja) 表示入力装置
US201400960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to select object within image and image input device
US20120249470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US9544524B2 (en)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 system and program
CN108733303B (zh) 便携式终端的触摸输入方法和设备
US200901372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a computer mouse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10063223A1 (en)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virtual keyboard and display method thereof
WO20130116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0658971B (zh) 一种截屏方法及终端设备
KR101609553B1 (ko) 3차원 동작인식 정보입력 장치 및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140138189A (ko) 컴퓨터 단말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90244007A1 (en) Fingerprint Sensing Method Based On Touch Pressure In Black Screen Mode Of Touch Input Device And Touch Input Device For The Same
KR20160143428A (ko) 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66917B1 (ko)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
US20060152482A1 (en) Virtual interface and control device
US20090298538A1 (en) Multifunction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JP2002082773A (ja) 入力装置および方法
CN109901760B (zh) 一种对象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10338692B1 (en) Dual touchpa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