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900B1 -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 - Google Patents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900B1
KR100866900B1 KR1020080054732A KR20080054732A KR100866900B1 KR 100866900 B1 KR100866900 B1 KR 100866900B1 KR 1020080054732 A KR1020080054732 A KR 1020080054732A KR 20080054732 A KR20080054732 A KR 20080054732A KR 100866900 B1 KR100866900 B1 KR 10086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ating composition
wax
preventing ad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테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테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테콘
Priority to KR1020080054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3Thicke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성아크릴 수지에 폐타이어 칩, 안료 등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도료를 벽면이나 대로변에 설치된 전신주, 배전판 등의 표면에 도포하여 접착면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불법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여 거리의 미관을 유지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다양한 색상에 의해 쾌적한 시각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재활용함에 따라 환경공해를 방지할 수 있고 그리고 다양한 색상으로 인해 지역의 특성에 따라 거리의 미관을 쾌적하고, 시각적 아름다움을 미화하여 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에 장점이 있다.
부착방지, 폐타이어 칩, 안료, 접착면적, 불법광고물.

Description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A adhering resistant coating composition and adhering resistant coa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고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성아크릴 수지에 폐타이어 칩, 안료 등을 첨가하여 제조된 도료를 벽면, 전신주, 배전판 등의 표면에 도포시 폐타이어 칩을 돌출시켜 접착면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불법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여 거리의 미관을 유지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다양한 색상으로 쾌적한 시각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물은 불특정인에게 홍보를 위하여 제작되어 규정된 게시판 등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으나, 건물의 벽, 울타리, 전신주, 배전판 등에 무분별하게 부착하고 있어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주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인력에 의해 불법광고물을 제거하므로 보행자 등에 불편을 초래하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들을 살펴보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6-11045호 "선전광고지 부착 방지판",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7-17142호"벽보부착 방지 카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0-19188호 "광고 부착방지 보호판", 실용신안공보 제20-0210945호 "광고물 부착방지용 미화보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21862호"불법부착물 부착방지용 보호커버"에 대한 기술들이 알려져 있지만 상기와 같은 부착방지용 기술들은 광고물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고무와 같은 시트의 표면을 침상 또는 구상형태로 돌출시켜 불법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부착물 방지방법은 적용장소의 한계성, 유지관리의 어려움, 온도변화에 따른 풍화작용 등으로 인해 관리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0701호 "전주, 전신주, 가로등 광고물 부착방지용 필름",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805호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테이프"에 관한 기술들이 알려져 있지만 이와 같은 부착 필름은 건물의 벽, 울타리, 전신주, 배전판 등에 간편하게 부착은 할 수 있으나 장기간 부착시 탈색으로 인해 거리의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고 그리고 계절적 온도변화에 따른 풍화작용으로 인해 관리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설치에 따른 관리에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공보 제1991-0004676호 "벽보물 부착 방지용 도료 조성 물"이 알려져 있지만 이와 같은 도료 조성물은 표면이 균일한 벽면, 전신주, 배전판 등에 부착시 접착면적이 제거되지 않아 접착력이 강한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면 접착물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변성아크릴 수지에 환경공해 물질인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칩과 안료 등을 첨가하여 제조된 도료를 벽면이나 대로변에 설치된 전신주, 배전판 등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상기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칩을 돌출시켜 접착면적을 최소화시키므로 불법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면서 다양한 색상에 의해 쾌적한 시각적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성아크릴 수지에 환경공해 물질인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칩 등을 첨가하여 도료용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벽면, 전신주, 배전판 등의 표면에 도포시 고무 칩을 돌출시켜 접착면적을 최소화하므로 불법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고, 그리고 폐타이어를 재활용함에 따라 환경공해를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변성아크릴 수지에 안료를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도료의 다양한 색상으로 인해 지역의 특성에 따라 거리의 미관을 쾌적하고, 시각적 아름다움으로 미화시켜 환경을 개선하므로 미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변성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폐타이어 칩 35~45 중량부, 안료 4~12 중량부, 탄산칼슘 10~15 중량부, 절연체 1~4 중량부, 분산제 0.1~0.3 중량부, 증점제 0.3~0.8 중량부, 슬립왁스 0.5~3 중량부, 물 5~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변성아크릴 수지에 환경공해 물질인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칩, 안료 등과 같은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벽면, 전신주, 배전판 등의 표면에 접착면적을 최소화하여 불법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고, 그리고 폐타이어를 재활용함에 따라 환경공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색상으로 인해 지역의 특성에 따라 거리의 미관을 쾌적하고, 시각적 아름다움으로 미화시켜 미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에 장점이 있다.
상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은 변성아크릴 수지에 폐타이어 칩, 안료, 탄산칼슘 등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변성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폐타이어 칩 35~45 중량부, 탄산칼슘 10~15 중량부, 안료 4~12 중량부, 절연체 1~4 중량부, 분산제 0.1~0.3 중량부, 증점제 0.3~0.8 중량부, 슬립왁스 0.5~3 중량부, 물 5~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은 환경공해 물질인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칩을 첨가하여 도료용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벽면이나 대로변에 설치된 전신주, 배전판 등의 표면에 도포하여 접착면적을 최소화하므로 불법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면서 지역의 특성에 따라 도료의 다양한 색상으로 거리의 미관을 쾌적하고, 시각적 아름다움을 미화하여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폐타이어를 재활용함으로 인해 환경공해를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것에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변성 아크릴 수지는 결합바인더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80,000의 변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변성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미만이 될 경우에는 도막의 경도 및 내후성과 같은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변성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을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의 증가로 첨가제를 혼합시 어려움이 우려된다. 그리고 상기 변성 아크릴 수지는 실리콘변성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변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폐타이어 칩은 벽면이나 대로변에 설치된 전신주, 배전판 등의 표면에 도료를 도포시 접착면적을 최소화시켜 불법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폐타이어 칩의 첨가량은 변성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4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타이어 칩의 첨가량이 3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칩의 첨가량 저하로 도포시 표면의 접착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부착물 방지에 어려움이 우려되고, 폐타이어 칩의 첨가량이 4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칩의 첨가량 과다로 도포시 표면의 접착면적은 최소화시킬 수 있지만 도막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폐타이어 칩은 평균 입경이 0.5~1.0mm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칩의 입경이 0.5mm 미만이 될 경우에는 작은 입경으로 인한 표면적 증가로 접착면적을 최소화하는데 어려움이 우려되고, 칩의 입경이 1.5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료를 도포시 큰 입경으로 인해 도막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탄산칼슘은 도료의 번짐 현상을 방지하고, 도장시 도막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탄산칼슘의 첨가량은 변성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1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칼슘의 첨가량이 10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도막의 두께 저하로 도료의 번짐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탄산칼슘의 첨가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료의 점도가 높아지고,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탄산칼슘은 입경이 0.8~3 ㎛ 크기의 비활성 경질 탄산칼슘 5~8 중량부와 0.03~0.08 ㎛ 크기의 미세한 탄산칼슘 5~7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안료는 도료를 도포시 다양한 색상으로 표출시켜 거리의 미관을 쾌적하고, 시각적 아름다움을 미화하여 환경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안료의 첨가량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12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의 첨가량이 4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착색되는 도막의 색상이 선명성이나 발색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안료의 첨가량이 1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 색상이 지나치게 선명하여 나타내고자 하는 색상이 도리어 변질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안료의 첨가량은 바람직하게 유기안료 2~6 중량부와 무기안료 2~6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유기안료 및 무기안료는 통상적인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착색성이 우수하고 수용액 중에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산제는 안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산제의 첨가량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0.3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의 첨가량이 0.1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안료의 분산 성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분산제의 첨가량이 0.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안료의 분산성은 좋아지지만 그예 따른 효과가 미약하다.
그리고 상기 분산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나트륨염 또는 폴리카르본산 암모늄 수용액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절연체는 전신주, 배전판 등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성된 도막으로부터 전류의 흐름을 방지하는 부도체로서, 절연체의 첨가량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4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체의 첨가량이 1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부도체로서 역할의 한계로 전류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고, 절연체의 첨가량이 4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절연체의 첨가량에 비해 효과가 미약하여 첨가 효율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절연체는 금속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산화물은 실리콘(Si), 티타늄(Ti), 지르코늄(Zr) 및 코발트(Co)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증점제는 도료의 점도를 향상시키고, 흐름성을 방지하며, 안료의 침강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증점제의 첨가량은 0.3~0.8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증제의 첨가량이 0.3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도 료의 점도 조절에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첨가된 안료가 침강할 우려가 있고, 점증제의 첨가량이 0.8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의 향상으로 흐름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증점제는 에틸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실 메틸셀룰로오스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슬립왁스는 도막의 광택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슬립왁스의 첨가량은 0.5~3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립왁스의 첨가량이 0.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도막의 광택성 조절에 어려움이 우려되고, 슬립왁스의 첨가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의 광택성이 지나치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립왁스는 카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미분된(micronized) 에틸렌-아크릴산 왁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왁스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물은 분산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물의 첨가량은 5~1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첨가량이 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각종 첨가제의 분산에 어려움이 우려되고, 물의 첨가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물의 첨가량 과다로 도료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을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의 제조방법은 통상적인 도료의 제조방법에 따라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부착방지용 도료를 사용하여 시설물에 도포시 먼저, 시설물의 피착면에 부착된 이물질, 유분 등의 물질을 깨끗이 제거한 다음 자연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 다음 붓, 롤러 등을 이용하여 피착면에 약 3~4회 도포하여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도포하여 형성된 도막의 두께는 약 200~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시설물은 콘크리트 구조물, 철 구조물, 플라스틱 구조물, 목재 등과 같은 다양한 시설물의 표면에 도포하여 접착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불법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여 거리의 미관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색상으로 인해 쾌적한 시각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에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 가 이들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 져서는 아니된다.
1.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실리콘 변성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경의 크기가 0.5mm인 폐타이어 칩 35 중량부, 무기안료로서 이산화티탄 2 중량부, 유기안료로서 로더민레이크 6 중량부, 탄산칼슘 10 중량부, 지르코늄 0.5 중량부, 폴리아크릴레이트 나트륨염 0.1 중량부,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0.3 중량부, 카르나우바 왁스 0.5 중량부 및 물 5 중량부를 첨가하여 부착방지용 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우레탄 변성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경의 크기가 1.0mm인 폐타이어 칩 45 중량부, 무기안료로서 이산화티탄 6 중량부, 유기안료로서 로더민레이크 2 중량부, 탄산칼슘 15 중량부, 지르코늄 4 중량부, 폴리아크릴레이트 나트륨염 0.3 중량부,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0.8 중량부, 카르나우바 왁스 3 중량부 및 물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부착방지용 도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리콘 변성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경의 크기가 0.3mm인 폐타이어 칩 30 중량부, 무기안료로서 이산화티탄 2 중량부, 유기안료로서 로더민레 이크 8 중량부, 탄산칼슘 5 중량부, 지르코늄 0.3 중량부, 폴리아크릴레이트 나트륨염 0.1 중량부,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0.1 중량부, 카르나우바 왁스 0.5 중량부 및 물 5 중량부를 첨가하여 부착방지용 도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우레탄 변성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경의 크기가 1.5mm인 폐타이어 칩 50 중량부, 무기안료로서 이산화티탄 6 중량부, 유기안료로서 로더민레이크 6 중량부, 탄산칼슘 20 중량부, 지르코늄 5 중량부, 폴리아크릴레이트 나트륨염 0.3 중량부,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1.0 중량부, 카르나우바 왁스 3 중량부 및 물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부착방지용 도료를 제조하였다.
2. 부착방지용 조성물을 사용한 도장 시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부착방지용 도료를 사용하여 200×200mm의 스테인레스 금속판에 3회 도포하여 3일간 자연건조시켜 250±10㎛ 두께의 도막이 형성된 시편을 각각 10개씩 제조하였다.
3. 물성평가 방법 및 그 결과
부착력시험은 KSA 1518에 지정된 1종1호 인쇄용 점착지를 KSA 1107의 180° 당겨벗김 점착력 시험방법에 의거 각각 10개의 시험편에 접착지를 붙인 후 롤러를 약 300mm/min의 속도로 1회 왕복시켜 압착한 후 30±5분 사이에 인장시험기로 300 ±30 mm/min의 속도로 시험편을 당겨 벗겨지는 힘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충격강도시험은 1인치의 볼을 0.5kg의 하중으로 30cm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도막의 박리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박리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우수, 일부 도막이 손상되었을 경우 보통, 도막의 손상이 많을 경우 미흡으로 나타내었다.
경도시험은 시험편을 수평으로 놓고 연필을 45°각도로 고정시킨 후, 1.0±0.5kgf의 힘을 균일하게 가하면서 시험편을 한쪽으로 약 5㎝ 정도 이동시키며, 5회의 선을 그은 후, 지우개로 지워 흠집 발생시 한단계 아래의 연필로 재시험을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2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부착방지용 시편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아래 [표 1]의 내용과 같다.
시험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1 2
부착방지시험(N/cm) 0.18 0.15 1.20 0.14
충격강도시험 우수 우수 보통 미흡
경도시험 H H HB 2H
상기 [표 1]의 내용에 의하면, 부착방지용 도장 시편의 평가에 있어서, 실시예 1, 2가 비교예 1, 2에 비해 부착방지의 항목을 평가한 결과 폐타이어 칩의 입자 굵기가 적당하여 접착면적이 제거되어 부착력이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그리고 충격강도 시험의 경우에도 실시예 1, 2는 적절한 크기의 칩의 입자로 인해 도막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충격강도가 우수한데 반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칩의 입자가 미세하여 도막의 충격력 저하로 도막이 일부 손상되었으며,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칩의 입자가 굵어 도막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칩의 입자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은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의 첨가량이 기준치 보다 적음에 따라 경도시험에서 도막이 약하게 형성되고, 비교예 2의 경우는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의 첨가량이 기준치보다 많음에 따라 도막이 딱딱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와 같은 평가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2의 경우 폐타이어 칩의 입경이 크기가 적절하고,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의 첨가량이 적합함으로 인해 부착물의 접착면적을 최소화시키고, 도막의 강도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물성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8)

  1.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변성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폐타이어 칩 35~45 중량부, 탄산칼슘 10~15 중량부, 안료 4~12 중량부, 절연체 1~4 중량부, 분산제 0.1~0.3 중량부, 증점제 0.3~0.8 중량부, 슬립왁스 0.5~3 중량부, 물 5~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타이어 칩은 평균 입경이 0.5~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 2~6 중량부와 무기안료 2~6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나트륨염 또는 폴리카르본산 암모늄 수용액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실리콘(Si), 티타늄(Ti), 지르코늄(Zr) 및 코발트(Co)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에틸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실 메틸셀룰로오스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왁스는 카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미분된(micronized) 에틸렌-아크릴산 왁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왁스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철 구조물, 플라스틱 구조물 및 벽면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용 도료.
KR1020080054732A 2008-06-11 2008-06-11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 KR10086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732A KR100866900B1 (ko) 2008-06-11 2008-06-11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732A KR100866900B1 (ko) 2008-06-11 2008-06-11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900B1 true KR100866900B1 (ko) 2008-11-04

Family

ID=4028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732A KR100866900B1 (ko) 2008-06-11 2008-06-11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9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480B1 (ko) * 2010-11-09 2011-01-28 (주)에코리엔트 부착방지용 수용성 아크릴수지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0848B1 (ko) * 2022-07-12 2023-05-10 김영래 알루미늄 논슬립 축광 및 대피안내용 표지 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609A (ko) * 2001-05-10 2001-08-04 김동규 조도를 이용한 기능성 도로용 미끄럼방지 도료 및 그제조방법
KR20050068359A (ko) * 2003-12-30 2005-07-05 동부제강주식회사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로 도장된 착색 도장강판
KR200427605Y1 (ko) 2006-07-10 2006-09-28 장기훈 홍보물 부착방지 그림시트층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609A (ko) * 2001-05-10 2001-08-04 김동규 조도를 이용한 기능성 도로용 미끄럼방지 도료 및 그제조방법
KR20050068359A (ko) * 2003-12-30 2005-07-05 동부제강주식회사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로 도장된 착색 도장강판
KR200427605Y1 (ko) 2006-07-10 2006-09-28 장기훈 홍보물 부착방지 그림시트층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480B1 (ko) * 2010-11-09 2011-01-28 (주)에코리엔트 부착방지용 수용성 아크릴수지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0848B1 (ko) * 2022-07-12 2023-05-10 김영래 알루미늄 논슬립 축광 및 대피안내용 표지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15571A (zh) 封闭待涂覆基材上污渍的方法和适用于所述方法的复合材料
CN103717683A (zh) 用于反射太阳辐射的防水涂层体系和用于形成涂层体系中的装饰反射层的水性涂料
CN102675990A (zh) 一种可生物降解的净味乳胶漆及其制备方法
KR101738988B1 (ko) 불법광고물 부착방지 면의 시공방법
CN105542602A (zh) 一种外墙瓷砖翻新的双组分涂料
CN108178957A (zh) 免烧仿釉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868073A (zh) 一种具有自修复功能的改色膜及其制备方法
CN101463219A (zh) 含氟水性裂纹漆的制备及其涂装方法
KR100866900B1 (ko)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부착방지용 도료
JP2019038910A (ja) 水性被覆材
CN105440938B (zh) 防粘贴涂料和防粘贴布
CN103589296A (zh) 一种耐黄变uv木器白底漆
CN104341962A (zh) 一种防uv辐射的玻璃移门水性涂料及其制备方法
CN105273541A (zh) 一种室内装修用的涂料
CN108219578A (zh) 一种吹气玩具用网版水性墨
KR101236778B1 (ko)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친환경도료 및 그 제조방법
CN106811049A (zh) 装饰装修临时保护用易剥离的纤维增强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819192A (zh) 夜光防粘贴用涂料夜光防粘贴城市景观贴布
KR20180017387A (ko) 축광 광고물 부착 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축광 광고물 부착 방지시트
JP6085103B2 (ja) 落書き対策水性塗料および塗膜
JP4350503B2 (ja) 化粧工法
JP5411024B2 (ja) 防水材及び防水層の改修方法
JP5663431B2 (ja) 被覆体
JP2010100713A (ja) 易剥離性塗料、その塗装方法及び塗装表面の更新方法
Richey et al. Applications for decorative and protective coa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