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780B1 - 조명거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조명벽체,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및 조명벽체의 조명방법 - Google Patents

조명거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조명벽체,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및 조명벽체의 조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780B1
KR100866780B1 KR1020070066946A KR20070066946A KR100866780B1 KR 100866780 B1 KR100866780 B1 KR 100866780B1 KR 1020070066946 A KR1020070066946 A KR 1020070066946A KR 20070066946 A KR20070066946 A KR 20070066946A KR 100866780 B1 KR100866780 B1 KR 10086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ight
illumination
reflective layer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디자인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디자인시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디자인시공사
Priority to KR102007006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2001/167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having illumin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거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조명벽체,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및 조명벽체의 조명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명거울은 제1 유리;제2 유리;상기 제2 유리의 일면에 도포되고, 상기 제2 유리 측으로 제공되는 빛이 상기 제2 유리를 투과하여 상기 제1 유리 측으로 제공되도록 투과부가 형성되는 반사층;및 상기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가 상기 투과부에 정렬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발광소자의 동작제어를 위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을 구비함으로써, 적은 설치비용으로 최대의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거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조명벽체,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및 조명벽체의 조명방법{Illumination mirror, method for manufacturing of illumination mirror, method for illuminating of Illumination mirror, illumination wall, method for manufacturing of illumination wall and method for illuminating of illumination wall}
본 발명은 조명거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조명벽체,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및 조명벽체의 조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층유리에서 반복 반사되는 빛을 이용한 조명거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조명벽체,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및 조명벽체의 조명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도심지의 건축물들의 벽체는 조망창과 일체를 이루는 유리로 된 벽체가 건축물 외관의 미관을 위하여 시공되고 있고, 도심의 다양한 장소, 예를 든다면 쇼핑몰, 전시관 등에는 벽체 또는 바닥에도 유리에 다양한 색깔의 막층을 도포한 불투명 유리가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유리는 단순히 유리에 다양한 색깔을 띄도록 하는 것은, 건물을 지나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시각적 효과가 부족하여 아쉬운 점이 있다.
따라서, 쇼핑몰, 전시관, 지역행사 및 회사의 홍보를 위하여, 건물의 벽체 등에 다양한 형태의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해당 건물을 지나는 사람들의 관심을 주목시키고, 시각적 효과를 거두려는 목적으로 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의 내/외부로 비추도록 하는 조명은 조도가 조명의 설치장소에서 건물 내벽 또는 외벽까지 도달하는 용량에 맞춰져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되며, 설치장소의 한정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제한이 따른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은 제1 유리;제2 유리;상기 제2 유리의 일면에 도포되고, 상기 제2 유리 측으로 제공되는 빛이 상기 제2 유리를 투과하여 상기 제1 유리 측으로 제공되도록 투과부가 형성되는 반사층;및 상기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가 상기 투과부에 정렬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발광소자의 동작제어를 위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이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전반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반투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은 제1 유리 및 제2 유리를 마련하는 마련 단계;상기 제2 유리의 일면에 반사층을 도포하는 반사층 도포 단계;상기 제2 유리의 일측에서 제공되는 빛이 상기 제2 유리를 투과하여 상기 제1 유리 측으로 제공되도록 상기 반사층에 투과부를 형성하는 투과부 형성 단계;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결합시키는 유리 결합 단계;상기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의 동작제어를 위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에 상기 발광소자를 결합시키는 발광소자 결합 단계;및 상기 투과부에 상기 발광소자가 정렬되도록 상기 제2 유리에 상기 기판을 결합시키는 기판 결합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리 결합 단계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가 이격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 결합 단계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상기 제2 유리의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각각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 결합 단계는 서로 이격되는 제1 유리 홈과 제2 유리 홈이 형성되는 케이스에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조명방법은 빛 발산 단계;상기 빛이 제1 유리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2 유리의 반사층에 형성된 투과부를 통해 제1 유리로 입사되는 투과 단계;상기 제1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 중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는 반사되어 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제1 반사단계;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이 반사되어 상기 제1 유리로 입사되는 제2 반사단계;를 구비하며,상기 빛은 상기 제1 반사단계와 상기 제2 반사단계를 반복하며, 상기 반사층에 다수개의 영상으로 맺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단계는 상기 반사층이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중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는 반사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단계는 상기 반사층이 전반사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이 모두 반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벽체는 제1 유리;제2 유리;상기 제2 유리의 일면에 도포되고, 상기 제2 유리 측으로 제공되는 빛이 상기 제2 유리를 투과하여 상기 제1 유리 측으로 제공되도록 투과부가 형성되는 반사층;및 상기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가 상기 투과부에 정렬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발광소자의 동작제어를 위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이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전반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반투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벽체의 제조방법은 제1 유리 및 제2 유리를 마련하는 마련 단계;상기 제2 유리의 일면에 반사층을 도포하는 반사층 도포 단계;상기 제2 유리의 일측에서 제공되는 빛이 상기 제2 유리를 투과하여 상기 제1 유리 측으로 제공되도록 상기 반사층에 투과부를 형성하는 투과부 형성 단계;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결합시키는 유리 결합 단계;상기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의 동작제어를 위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에 상기 발광소자를 결합시키는 발광소자 결합 단계;상기 투과부에 상기 발광소자가 정렬되도록 상기 제2 유리에 상기 기판을 결합시키는 기판 결합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리 결합 단계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가 이격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 결합 단계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상기 제2 유리의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각각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 결합 단계는 서로 이격되는 제1 유리 홈과 제2 유리 홈이 형성되는 케이스에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벽체의 조명방법은 빛 발산 단계;상기 빛이 제1 유리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2 유리의 반사층에 형성된 투과부를 통해 제1 유리로 입사되는 투과 단계;상기 제1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 중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는 반사되어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제1 반사단계;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이 반사되어 상기 제1 유리로 입사되는 제2 반사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빛은 상기 제1 반사단계와 상기 제2 반사단계를 반복하며, 상기 반사층에 다수개의 영상으로 맺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단계는 상기 반사층이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중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는 반사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단계는 상기 반사층이 전반사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이 모두 반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거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조명벽체,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및 조명벽체의 조명방법은 적은 설치비용으로 최대의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을 간략하게 나타내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을 도 1에 표기된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명거울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명거울(100)은 제1 유리(110), 이격부재(120), 제2 유리(130), 반사층(150) 및 기판(170)을 구비한다.
제1 유리(110)는 조명거울(100)이 설치되는 벽면(미도시)(이하, ‘설치벽면’이라 칭함.)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제2 유리(130)는 설치벽면 측에 위치한다.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는 이격부재(120)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격부재(120)는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의 사이를 이격시켜,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제1 유리(110)와 제2 유 리(130)는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이격부재(120)의 일면과 이면에 각각 접착되어,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의 사이에 공간이 침수 및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유리(130)의 일면 즉, 제1 유리(110)를 향한 면의 반대면에는 반사층(150)이 형성된다. 반사층(150)에는 후술될 발광소자(171)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제2 유리(130)를 투과하여, 제1 유리(110)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투과부(1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유리(110)와 투과부(151)를 포함하는 반사층(150)이 형성되는 제2 유리(130)는 이격부재(120)에 접착되어, 복층구조를 가진다.
한편, 제2 유리(130)와 설치벽면의 사이에는 빛을 제공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소자(171)가 구비된다. 발광소자(171)는 발광소자(171)로부터 연장되는 리드 선(미도시)이 기판(170)에 접속됨으로써, 투과부(151)의 위치에 정렬되도록 구비된다. 기판(170)은 발광소자(171)의 점멸 구동을 위한 회로가 형성되는 통상적인 인쇄회로기판 일 수 있다.
케이스(190)에는 복층구조로 결합된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가 삽입되는 유리 홈(191)과, 기판(190)이 삽입되는 기팜 홈(193)이 형성된다. 이때, 기판 홈(193)은 기판(170)에 결합된 발광소자(171)가 투과부(151)를 관통하여 제2 유리(130)에 밀착되도록 기판(170)이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90)는 다른 실시예로 별도의 이격부재(120)의 구성을 생략하여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를 이격시킬 수 있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케이스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190’)는 제1 유리 홈(191a), 제2 유리 홈(191b), 이격돌기 (120‘) 및 기판 홈(193’)을 구비한다.
제1 유리 홈(191a)과 제2 유리 홈(191b)은 이격돌기(120')에 의해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격돌기(120')는 이격돌기(120')의 폭에 따라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의 사이를 이격시킨다.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는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이격돌기(120‘)의 일면과 이면에 각각 접하도록 삽입된다.
기판 홈(193')은 기판(170)에 결합된 발광소자(171)가 투과부(151)를 관통하여 제2 유리(130)에 밀착되도록 기판(170)이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술된 설명에서는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가 이격부재(120) 또는 케이스(190')에 의해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가 서로 접하도록 결합되더라도, 발광소자(171)에서 제공되는 빛은 제2 유리(130)를 투과하여, 제1 유리(110)에 반사되며,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의 사이에서 반복 반사되는 것에서 그 구성과 작용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유리(110) 및 제2 유리(130)가 마련된다. 제1 유리(110) 및 제2 유리(130)는 이산화규소(SiO2)와 같은 투명한 비결정성 고체로 구비된다. 이때, 제1 유리(110)는 성형 판유리를 연화온도(軟化溫度)에 가까운 500∼600 ℃로 가열하고, 압축한 냉각공기에 의해 급랭시켜 유리 표면부를 압축변형시키고 내부를 인장변형시켜 강화한 강화유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리(110)에는 반투명 재질의 필름지가 코팅되어, 내부에서 발산되는 빛은 외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외부에서는 제1 유리(110)의 내부를 관찰하지 못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S11).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가 마련되면, 제2 유리(130)의 일면에 반사층(150)을 도포한다. 반사층(150)은 제2 유리(130)의 일면에 반사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한다. 반사물질은 전반사 재질 또는 반투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이러한 반사층(150)은 진공증착 공정에 의해 도포되며, 조명거울(100)의 심미감을 높이기 위해 반사물질의 진공증착시, 반사물질에 페인트와 같은 도료를 혼합하여, 반사층(150)의 색깔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S12).
제2 유리(130)에 반사층(150)이 형성되면, 제2 유리(130)의 일측에서 제공되는 빛이 제2 유리(130)를 투과하여, 제1 유리(110) 측으로 제공되도록 반사층(150)에 투과부(151)를 형성한다. 투과부(151)는 제2 유리(130)에 증착된 반사층(150)에 발광소자(171)의 배열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부착하고, 샌드브라스트(sand blast) 공정을 통하여 발광소자(171)에 대응되는 반사층(150)을 선택적으로 식각함으로써 형성된다(S13).
반사층(150)에 투과부(151)가 형성되면,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가 이격되도록 결합시킨다.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는 제1 유리(110)와 제2 유 리(1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이격부재(12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접착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케이스(190‘)의 제1 유리 홈(191a)과, 제1 유리 홈(191a)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S14).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가 결합되면, 기판(170)에 발광소자(171)를 결합시킨다. 기판(170)에는 발광소자(171)의 동작제어를 위한 회로가 형성된다. 회로는 기판(170)에 전도체의 금속막을 도포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위치시켜, 회로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식각하는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70)에는 투과부(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발광소자(171)의 리드 선이 접속됨으로써, 발광소자(171)가 결합된다(S15).
발광소자(171)가 기판(170)에 결합되면, 투과부(151)에 발광소자(171)가 정렬되도록 제2 유리(130)에 기판(170)을 결합시킨다. 발광소자(171)가 결합된 기판(170)은 투과부(151)에 발광소자(171)가 밀착되도록 케이스(190)의 기판 홈(193)에 삽입될 수 있다(S1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조명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조명거울의 조명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도 6을 참조하면, 기판(170)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발광소자(171)가 점등되면, 발광소자(171)는 빛을 발산한다(S31). 발광소자(171)에서 발산되는 빛은 반사층(150)의 투과부(151)를 통해 제2 유리(130)를 투과하여 제1 유리(110)로 입사된다(S32).
이때, 제1 유리(110)에 도달한 빛의 일부는 제1 유리(110)를 투과하여 외부 로 발산되고, 나머지는 제1 유리(110)에서 제2 유리(130)로 반사되는 제1 반사가 진행된다(S33).
제1 반사에 의해 제2 유리(130)로 진행되는 빛은 다시 제2 유리(130)에서 제1 유리(110)로 반사되는 제2 반사가 진행된다(S34). 이때, 반사층(150)이 반투과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제2 유리(130)로 입사되는 빛의 일부는 투과되어 손실되고, 나머지는 반사층(150)에서 반사되어 다시 제1 유리(130)로 입사된다. 반면, 반사층(150)이 전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유리(130)로 입사되는 빛은 모두 반사되어 다시 제1 유리(110)로 입사된다.
이와 같이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제1 반사와 제2 반사가 반복되면서(S35), 제2 유리(130)의 반사층(150)에는 다수개의 빛의 영상이 맺혀지게 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에서 빛이 반복 반사되는 동작을 타나낸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에서 빛이 반복 반사되는 상태를 일측에서 관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점등된 조명거울(100)을 발광소자(171)로부터 발산되는 빛에 대해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관측점(S)에서 관찰하면, 하나의 발광소자(171)에서 제공되는 빛이 마치 다수개의 발광소자(171)에서 빛이 발산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다시 말해, 발광소자(171)에서 발산되는 빛은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의 사이에서 반복 반사되면서, 무수히 많은 경로를 갖는다. 이와 같이 반복 반사되면서 무수히 많은 경로를 갖는 빛 중에는 반사층(150)에서 반사되어 관측 점(S) 측으로 향하는 빛(L1)과, 관측점(S)의 반대측으로 향하는 빛(L2)이 존재한다.
이때, 관측점(S)의 반대측으로 향하는 빛(L2)은 관측점(S) 즉, 사람의 시야각에서 벗어나 관찰할 수 없는 상태로 소멸되어 버린다. 반면, 관측점(L1) 측으로 향하는 빛(L1)은 발광소자(171)의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반사되는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빛의 일부가 제1 유리(110)를 투과하여 손실되므로, 빛의 세기가 감쇄되어 관측점(S)으로 향한다. 따라서, 관측점(S) 측으로 향하는 빛(L1)은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며, 반사층(150)에 영상이 맺혀지게 되는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반사층이 0.1mm~0.2mm의 두께로 반투과 재질로 유색 도포된 상태에서 빛이 반복 반사되는 상태를 일측에서 관찰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반사층이 0.2mm~0.4mm의 두께로 전반사 재질로 도포된 상태에서 빛이 반복 반사되는 상태를 일측에서 관찰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반사층(150)이 0.1mm~0.2mm의 두께로 반투과 재질로 유색 도포되었을 때, 발광소자(171)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반사층(150)에서 완전히 반사되지 않고, 그 빛의 일부가 제2 유리(130)에 맺혀지게 되며,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30)의 사이에서 반사되는 빛의 영상 개수는 반사층(110)이 0.2mm~0.4mm의 두께로 전반사 재질로 도포되었을 때보다 적게 나타난다.
한편, 반사층(150)이 0.2mm~0.4mm의 두께로 전반사 재질로 도포되었을 때, 발광소자(171)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반사층(150)에서 거의 반사되고, 제1 유 리(110)와 제2 유리(130)의 사이에서 반사되는 빛의 영상 개수는 반사층(150)이 0.1mm~0.2mm의 두께로 반투과 재질로 유색 도포되었을 때보다 많게 나타난다.
정리하자면, 반사층(150)이 0.1mm~0.2mm의 두께로 반투과 재질로 유색 도포되었을 때에는 부드러운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사층(150)이 0.2mm~0.4mm의 두께로 전반사 재질로 도포되었을 때에는 선명하고 화려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거울(100)은 하나의 발광소자(171)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반사층(150)에 다수개의 영상으로 맺혀져, 적은 비용으로 화려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조명거울(100)은 반사층(150)의 재질, 두께, 색깔에 따라 그 시각적 효과를 차별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조명거울(100)은 조명벽체로써, 건물의 내외장재 및 인테리어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벽체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명벽체(100‘)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조명벽체(100’)의 대부분은 일반 사람들의 시선높이와 다른 설치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조명벽체(100‘)는 상술한 제1 반사 및 제2 반사를 반복하며 반사층(150)에 빛의 영상이 다수개로 맺혀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물의 내외장재을 사용했을 때와는 달리 건물의 품격을 향상시키며, 사람들의 시선을 주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1에서는 조명벽체(100‘)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 하고 있으나, 조명벽체(100’)는 건물의 외벽 이외에도 건물의 내벽, 건물의 기둥, 상품 진열장 등에도 시공될 수 있다.
전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일부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을 간략하게 나타내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을 도 1에 표기된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명거울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케이스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조명방법을 타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에서 빛이 반복 반사되는 동작을 타나낸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에서 빛이 반복 반사되는 상태를 일측에서 관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반사층이 0.1mm~0.2mm의 두께로 반투과 재질로 유색 도포된 상태에서 빛이 반복 반사되는 상태를 일측에서 관찰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반사층이 0.2mm~0.4mm의 두께로 전반사 재질로 도포된 상태에서 빛이 반복 반사되는 상태를 일측에서 관찰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이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조명거울 110 : 제1 유리
120 : 이격부재 130 : 제2 유리
150 : 반사층 170 : 기판

Claims (22)

  1. 제1 유리;
    제2 유리;
    상기 제2 유리의 일면에 도포되고, 상기 제2 유리 측으로 제공되는 빛이 상기 제2 유리를 투과하여 상기 제1 유리 측으로 제공되도록 투과부가 형성되는 반사층;및
    상기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가 상기 투과부에 정렬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발광소자의 동작제어를 위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이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전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반투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5. 제1 유리 및 제2 유리를 마련하는 마련 단계;
    상기 제2 유리의 일면에 반사층을 도포하는 반사층 도포 단계;
    상기 제2 유리의 일측에서 제공되는 빛이 상기 제2 유리를 투과하여 상기 제1 유리 측으로 제공되도록 상기 반사층에 투과부를 형성하는 투과부 형성 단계;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결합시키는 유리 결합 단계;
    상기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의 동작제어를 위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에 상기 발광소자를 결합시키는 발광소자 결합 단계;
    상기 투과부에 상기 발광소자가 정렬되도록 상기 제2 유리에 상기 기판을 결합시키는 기판 결합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결합 단계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가 이격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결합 단계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상기 제2 유리의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각각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결합 단계는
    서로 이격되는 제1 유리 홈과 제2 유리 홈이 형성되는 케이스에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9. 빛 발산 단계;
    상기 빛이 제1 유리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2 유리의 반사층에 형성된 투과부를 통해 제1 유리로 입사되는 투과 단계;
    상기 제1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 중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는 반사되어 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제1 반사단계;
    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이 반사되어 상기 제1 유리로 입사되는 제2 반사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빛은 상기 제1 반사단계와 상기 제2 반사단계를 반복하며, 상기 반사층에 다수개의 영상으로 맺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단계는
    상기 반사층이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중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는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단계는
    상기 반사층이 전반사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 이 모두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12. 제1 유리;
    제2 유리;
    상기 제2 유리의 일면에 도포되고, 상기 제2 유리 측으로 제공되는 빛이 상기 제2 유리를 투과하여 상기 제1 유리 측으로 제공되도록 투과부가 형성되는 반사층;및
    상기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가 상기 투과부에 정렬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발광소자의 동작제어를 위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벽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이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벽체.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전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벽체.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반투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벽체.
  16. 제1 유리 및 제2 유리를 마련하는 마련 단계;
    상기 제2 유리의 일면에 반사층을 도포하는 반사층 도포 단계;
    상기 제2 유리의 일측에서 제공되는 빛이 상기 제2 유리를 투과하여 상기 제1 유리 측으로 제공되도록 상기 반사층에 투과부를 형성하는 투과부 형성 단계;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결합시키는 유리 결합 단계;
    상기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의 동작제어를 위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에 상기 발광소자를 결합시키는 발광소자 결합 단계;
    상기 투과부에 상기 발광소자가 정렬되도록 상기 제2 유리에 상기 기판을 결합시키는 기판 결합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결합 단계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가 이격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결합 단계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상기 제2 유리의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각각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결합 단계는
    서로 이격되는 제1 유리 홈과 제2 유리 홈이 형성되는 케이스에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20. 빛 발산 단계;
    상기 빛이 제1 유리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2 유리의 반사층에 형성된 투과부를 통해 제1 유리로 입사되는 투과 단계;
    상기 제1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 중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는 반사되어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제1 반사단계;
    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이 반사되어 상기 제1 유리로 입사되는 제2 반사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빛은 상기 제1 반사단계와 상기 제2 반사단계를 반복하며, 상기 반사층에 다수개의 영상으로 맺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벽체의 조명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단계는
    상기 반사층이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중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는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벽체의 조명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단계는
    상기 반사층이 전반사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리로 입사되는 상기 빛이 모두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벽체의 조명방법.
KR1020070066946A 2007-07-04 2007-07-04 조명거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조명벽체,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및 조명벽체의 조명방법 KR10086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946A KR100866780B1 (ko) 2007-07-04 2007-07-04 조명거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조명벽체,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및 조명벽체의 조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946A KR100866780B1 (ko) 2007-07-04 2007-07-04 조명거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조명벽체,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및 조명벽체의 조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780B1 true KR100866780B1 (ko) 2008-11-04

Family

ID=4028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946A KR100866780B1 (ko) 2007-07-04 2007-07-04 조명거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조명벽체,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및 조명벽체의 조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4675A1 (en) * 2022-06-15 2023-12-21 Lumileds Llc Non-visible light source having a low-density set of light-emitting elem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903U (ko) * 1997-12-23 1999-07-26 김영열 조명등이 내장된 액자 겸용 거울
KR200308937Y1 (ko) 2002-11-21 2003-03-31 이오수 액자 및 화장용 거울
KR200419587Y1 (ko) 2006-04-04 2006-06-22 주식회사디자인시공사 조명거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903U (ko) * 1997-12-23 1999-07-26 김영열 조명등이 내장된 액자 겸용 거울
KR200308937Y1 (ko) 2002-11-21 2003-03-31 이오수 액자 및 화장용 거울
KR200419587Y1 (ko) 2006-04-04 2006-06-22 주식회사디자인시공사 조명거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4675A1 (en) * 2022-06-15 2023-12-21 Lumileds Llc Non-visible light source having a low-density set of light-emitting ele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3985A1 (en) Illumination apparatus
KR101716930B1 (ko) 영상 스크린 커버 유리 조명
JP4604801B2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WO2002071104A3 (en) Image display generator for a head-up display
TW201837895A (zh) 顯示裝置及顯示模組
CN101517442A (zh) 照明系统、照明设备和显示装置
TW201303223A (zh) 照明組件
JP2011249541A (ja) 発光パネル
KR20180073616A (ko) 전자 장치가 집적된 유리 패널
JP2020060771A (ja) 可視光で照らされた内容と組み合わされた光波結合に基づく発光ディスプレイ
WO2011055847A1 (ja) 両面発光型パネル及び表示装置
WO2006134519A3 (en) Multi view display device
EP1478954B1 (en) Compact light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JP2011100701A5 (ko)
KR100866780B1 (ko) 조명거울, 조명거울의 제조방법, 조명거울의 조명방법, 조명벽체, 조명벽체의 제조방법 및 조명벽체의 조명방법
US20230358387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JP2007322780A (ja) 表示装置
US10612768B2 (en) Color changing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CN210776108U (zh) 一种用于电视机背光模组的透镜
WO2010044326A1 (ja) 表示装置
KR20200019031A (ko) Led 모듈이 구비된 이중 창
JPH10294006A (ja) 信号報知表示灯の光源構造
WO2004112442A1 (ja) 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el装置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9122654A (ja) 表示装置
KR200435289Y1 (ko) 단일의 도광판에서 다양한 색채를 발광하는 도광판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