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242B1 - Stick coil assembly - Google Patents

Stick coil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242B1
KR100864242B1 KR1020070010814A KR20070010814A KR100864242B1 KR 100864242 B1 KR100864242 B1 KR 100864242B1 KR 1020070010814 A KR1020070010814 A KR 1020070010814A KR 20070010814 A KR20070010814 A KR 20070010814A KR 100864242 B1 KR100864242 B1 KR 100864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tick
socket
tap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72292A (en
Inventor
신은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242B1/en
Publication of KR2008007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2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2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02Details
    • H01T13/08Mounting, fixing or sealing of sparking plugs, e.g. in combustion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코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면에는 다수개의 코일소켓(3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각각의 코일소켓(30)과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와이어(38)가 구비되는 멀티탭(10)과, 상기 코일소켓(3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38)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압을 승압시키는 스틱코일(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내부에 와이어(38)가 분배된 멀티탭(10)의 코일소켓(30)에, 다수개의 스틱코일(50)이 각각 결합되어 구성되는 멀티코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il assemb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il sockets 30 are formed on a bottom thereof, and a multi-tap 10 having a wire 38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coil sockets 30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therein, and the coil sockets 30. It is coupled to each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ick coil (50) for receiving a power from the wire 38 to boost the voltag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i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stick coils 5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a coil socket 30 of a multi-tap 10 in which a wire 38 is distributed.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탭(10)에 의해 다수개의 스틱코일(50)이 차량의 내부에 한꺼번에 장착될 수 있어, 스틱코일(50)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지고, 부품수와 제조비용이 감소되며, 차량내부의 공간활용도가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lurality of stick coils 50 can be mounted at the same time inside the vehicle by the multi-tap 10,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stick coils 50 becomes easy, and the number of parts and the manufacture Cost is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vehicle is improved.

점화코일, 멀티탭, 점화플러그 Ignition Coil, Multi-tap, Spark Plug

Description

멀티코일조립체{Stick coil assembly}Multi coil assembl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틱코일이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ick co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in a vehicl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코일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ulti-coi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멀티탭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trip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틱코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ick coi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접점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개략단면도.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멀티탭 20: 케이스10: multi-tap 20: case

30: 코일소켓 32: 결합보스 30: coil socket 32: coupling boss

33: 걸림리브 33': 걸림홈33: jam rib 33 ': jam groove

34: 제1접점 35: 결합리브34: first contact 35: coupling rib

36': 체결홈 37: 전원커넥터36 ': Tightening groove 37: Power connector

38: 와이어 39': 장착공38: wire 39 ': mounting hole

50: 스틱코일 52: 몸체부50: stick coil 52: body

53: 연결부 54: 삽입부53: connection portion 54: insertion portion

55: 걸이돌기 56: 요입홈55: hanger 56: recessed groove

57: 제2접점 58: 브라켓57: second contact 58: bracket

본 발명은 점화코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스틱형 점화코일이 다수개 연결된 멀티코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gnition co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coi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stick type ignition coils installed in a vehicle are connected.

자동차용 점화코일은 엔진시동에 필요한 고전압을 연소실에 장착된 점화플러그로 전달하여 점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점화코일에서 발생한 고전압이 점화배전기나 케이블을 경유하여 점화플러그로 전달되었다. Automotive ignition coil is to transmit the high voltage required for engine start to the ignition plug moun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enable ignition. Conventionally, the high voltage generated in such an ignition coil has been transmitted to an ignition plug via an ignition distributor or a cable.

최근에는 이러한 복잡한 구성을 간소화하기 위한 직접점화시스템이 개발되어, 점화플러그에 스틱코일을 직접 연결하여 고전압을 손실 없이 인가할 수 있게 되었다. In recent years, a direct igni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simplify this complex configuration, and a high voltage can be applied without loss by directly connecting a stick coil to the spark plug.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틱코일이 적용된 차량 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차량의 내부, 즉 엔진룸에는 다수개의 실린더(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의 헤드에는 각각 점화플러그(미도시)가 구비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which the stick co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hown. According to this, a plurality of cylinders (not shown) are mounted inside the vehicle, that is, the engine room, and spark heads (not shown)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heads of the cylinders.

그리고, 상기 점화플러그에는 스틱코일(1)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스틱코일(1)은 차량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고전압을 발생시켜 이를 상기 점화플러그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코어에 감겨 있는 코일에 전기를 통하게 하면 자기유도작용을 통해 자기가 발생하고, 이러한 자기력이 점화플러그에 전달되어 스파크를 일으키는 것이다. And, the stick coil (1) is connected to the spark plug, respectively. The stick coil 1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generates a high voltage to deliver the high voltage to the spark plug. More precisely, when the coil wound around the core is energized, magnetism is generated through magnetic induction, and this magnetic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park plug to cause sparks.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틱코일(1)은 각각의 점화코일에 하나씩 구비되고, 체결구(4)에 의해 차량 내부에 각각 고정된다. 도면에는 총 4개의 스틱코일(1)이 도시되어 있다.As shown, the stick coil 1 is provided in each ignition coil one by one, it is fixed inside the vehicle by the fastener (4), respectively. A total of four stick coils 1 are shown in the figure.

상기 스틱코일(1)의 상단에는 고정구(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2)는 상기 스틱코일(1)과 결합됨과 동시에 차량의 내부에 상기 체결구(4)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스틱코일(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2)에는 코일커넥터(5)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Fixtures 2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stick coils 1, respectively. The fastener 2 is coupled to the stick coil 1 and fixed by the fastener 4 inside the vehicle, thereby fixing the stick coil 1. In addition, the fixture 2 is coupled to the coil connector 5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상기 스틱코일(1)에는 케이블(7)이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7)은 상기 점화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좌측에 구비된 전원커넥터(8)에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케이블(7)은 그 일측이 상기 전원커넥터(8)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코일커넥터(5)와 연결되는 것이다. A cable 7 is connected to the stick coil 1. The cable 7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ignition coil and is connected to a power connector 8 provided on the left side when viewed in the center of the drawing. More precisely, the cable 7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or 8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il connector 5.

상기 전원커넥터(8)에는 상대커넥터(9)가 결합된다. 상기 상대커넥터(9)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 등 전원공급원과 연결되어 상기 점화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매개체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틱코일(1)의 상부에는 커버가 장착되나, 도 1은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The mating connector 9 is coupled to the power connector 8. The mating connector 9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source such as a battery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serves as a medium for supplying power to the spark plug. In addition, the cover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stick coil 1, but FIG.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remov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스틱코일(1)은 상기 점화플러그와 각각 하나씩 연결 된다. 그리고, 각각의 스틱코일(1)에는 다시 고정구(2)와 코일커넥터(5)가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스틱코일(1)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구(2)와 코일커넥터(5)를 하나의 스틱코일(1)마다 각각 결합시켜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매우 많아지고,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ick coil 1 is connected to the spark plug one by one, respectively. Each stick coil 1 is again connected to a fixture 2 and a coil connector 5, respectively. Accordingly, in order to mount the stick coil 1, the fixture 2 and the coil connector 5 have to be coupled to each one of the stick coils 1, so that the work man-hours increase and the work becomes cumbersome. There is this.

또한, 상기 스틱코일(1)에는 상기 케이블(7)이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케이블(7)은 상기 코일커넥터(5)와 전원커넥터(8)에 연결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는 매우 협소하여 케이블(7)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상기 케이블(7)이 손상될 경우 케이블(7)간의 합선의 우려도 있다. In addition, the cable 7 is connected to the stick coil 1, respectively. This cable 7 is connected to the coil connector 5 and the power connector 8, as show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very narrow so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cable 7, the cable 7 ), There is a risk of short circuit between the cables (7).

그리고, 상기 스틱코일(1)은 배터리 등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전원커넥터(8), 케이블(7) 및 코일커넥터(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커넥터(8), 케이블(7) 그리고 코일커넥터(5)와 같은, 연결을 위한 부품이 개수가 늘어나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stick coil 1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power connector 8, the cable 7, and the coil connector 5 to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batter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components for connection, such as the power connector 8, the cable 7 and the coil connector 5, increases in manufacturing cos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스틱코일을 차량의 내부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멀티코일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multi-coil assembly which can be more easily mounted a plurality of stick coils inside the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스틱코일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구성을 보다 간소화시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cable connected to each stick coi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틱코일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for mounting the stick coil,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면에는 다수개의 코일소켓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각각의 코일소켓과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멀티탭과, 상기 코일소켓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압을 승압시키는 스틱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coil sockets are formed on the bottom, there is a multi-tap provided with a wire connecting the respective coil socket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Coupled to the coil socke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ick coil to receive power from the wire to boost the voltage.

상기 멀티탭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전원커넥터로부터 상기 각각의 코일소켓으로 분배된다.One side of the power strip is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or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he wire is distributed from the power connector to the respective coil socket.

상기 스틱코일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점화플러그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걸이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코일소켓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tick coil is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one end of the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park plug,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a hook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coil socket fix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상기 코일소켓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이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돌기가 상기 걸림홈을 통과한 후에 회전됨으로써 상기 스틱코일이 상기 코일소켓에 1차고정된다. A hook groove corresponding to the hook protrusion is formed at an edge of the coil socket, and the stick coil is first fixed to the coil socket by rotating after the hook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hook groove.

상기 멀티탭의 저면에는 상기 코일소켓과 인접하여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공 및 상기 체결홈을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스틱코일이 상기 코일소켓에 2차고정된다.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ulti-tap adjacent to the coil socket, and a bracket having a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ertion part, and the fastening hole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groove. The stick coil is second fixed to the coil socket.

상기 코일소켓의 바닥면에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접점과 대응되는 제2접점이 구비되어, 상기 걸이돌기가 상기 걸림홈을 통과한 후에 상기 스틱코일이 회전되면 상기 제1 및 제2접점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coil socket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act to be connected to the wire,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after the hook projection has passed through the locking groove When the stick coil is rotate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접점 및 상기 제2접점 중 어느 하나는 돌기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이에 대응되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된다. One of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a protrusion shape, and the other of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may be provided as a corresponding leaf spring.

상기 와이어는 인서트몰드를 통해 상기 멀티탭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된다. The wire is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multi-tap through an insert mold.

상기 와이어는 상기 멀티탭의 내부에서 같은 평면상에 구비된다. The wire is provided on the same plane inside the multi-tap.

상기 코일소켓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접점을 둘러 결합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결합리브에 대응되는 요입홈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coil socket is formed so that the coupling ribs protrude around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recess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rib is recessed around the upper edge.

상기 결합리브의 외주면에는 시일부재가 구비된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rib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상기 멀티탭이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멀티탭에는 장착공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A mounting hole is formed in the multi-tap so that the multi-tap is fixed by the fastener.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탭에 의해 다수개의 스틱코일이 차량의 내부에 한꺼번에 장착될 수 있어, 스틱코일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지고, 부품수와 제조비용이 감소되며, 차량내부의 공간활용도가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stick coils can be mounted at the same time inside the vehicle by the multi-tap,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stick coil is easy, the number of parts and the manufacturing cost are reduced, and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There is an advantage to better utiliza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멀티코일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ulticoi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코일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 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멀티탭의 구성이 저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틱코일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접점이 결합된 모습이 개략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coi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tap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ick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il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and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멀티탭(10)의 외관 및 골격은 케이스(20)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나, 상기 멀티탭(10)이 설치되는 장소의 형상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multi-tap 10 is formed by the case 20. As shown in FIG. 2, the case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may be made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a shape of a place where the multi-tap 10 is installed.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코일소켓(30)이 구비된다. 상기 코일소켓(30)은 아래에서 설명될 스틱코일(50)의 삽입부(54)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소켓(30)은 4개가 구비되나, 상기 코일소켓(30)의 개수는 차량에 설치된 실린더(도시되지 않음) 또는 점화플러그(도시되지 않음)의 개수에 따라 유동적이다. As shown in FIG. 3,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il sockets 30. The coil socket 30 is a portion into which the insertion portion 54 of the stick coil 5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coil sockets 30 are provided, but the number of the coil sockets 30 is flexible depending on the number of cylinders (not shown) or spark plugs (not shown) installed in the vehicle.

상기 코일소켓(30)에는 스틱코일(50)의 삽입부(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간(31)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코일소켓(3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결합보스(32)가 돌출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보스(32)는 대략 링형상으로 된다. A coupling space 31 is formed in the coil socket 30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54 of the stick coil 50 can be inserted, which is a coupling boss 32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coil socket 30. As it protrudes, it is formed relatively indented. The coupling boss 32 is substantially ring-shaped.

상기 결합보스(32)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걸림리브(3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리브(33)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돌기(55)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리브(33)에는 걸림홈(3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 홈(33')은 걸이돌기(55)가 통과하는 부분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홈(33')은 한 쌍이 형성되나, 두 쌍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A locking rib 33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at an inner surface edge of the coupling boss 32. The locking rib 33 is a portion that the hook protrusion 55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walked. In addition, a locking groove 33 ′ is formed in the locking rib 33. The locking groove 33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hook protrusion 55 passes, and is formed in pairs to face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engaging grooves 33 'is formed, but two or more pairs may be formed.

상기 코일소켓(30)의 바닥면에는 제1접점(34)이 구비된다. 상기 제1접점(34)은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틱코일(5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일종의 터미널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접점(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돌기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first contact 34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il socket 30. The first contact point 3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 38 to be described below to supply power to the stick coil 50, and serves as a terminal. The first contact 34 is provided in pairs with each other, as shown, is formed to protrude in a projection shape.

상기 코일소켓(30)의 바닥면에는 결합리브(3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35)는 상기 제1접점(34)을 둘러, 원형의 고리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시일부재(S)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일부재(S)는 상기 결합리브(35)의 외주면에 안착되어, 상기 코일소켓(30)과 스틱코일(50)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 coupling rib 35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il socket 30. The coupling ribs 35 are formed to have a circular ring-shaped cross section around the first contact point 34, so that the sealing member S may be fitted and fixed. The seal member S is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rib 35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coil socket 30 and the stick coil 50.

상기 케이스(20)의 저면에는 상기 코일소켓(30)에 인접하여 체결보스(36)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36)는 상기 케이스(20)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보스(36')에는 체결홈(3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36')은 체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브라켓(58)의 체결공(59)과 함께 관통되어, 스틱코일(5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홈(36')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A fastening boss 36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ase 20 adjacent to the coil socket 30. The fastening boss 36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20, and the fastening groove 36 'is formed in the fastening boss 36'. The fastening groove 36 ′ penetrates together with the fastening hole 59 of the bracket 58 to be described below by a fastener (not shown), and serves to fix the stick coil 50. To this end,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36 '.

상기 케이스(20)의 일측에는 전원커넥터(37)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커넥터(37)는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 상대커 넥터(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커넥터(37)는 상기 케이스(20)에 일체로 형성되나, 물론 별개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2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커넥터(3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로 요입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One side of the case 20 is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or 37. The power connector 37 is for receiving power from a battery or the like installed in a vehicle, and is a portion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Preferably, the power connector 3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20, but of course,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object and mounted to the case 20. In addition, the power connector 37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case 20 as shown, but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into the case 20.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와이어(38)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38)는 상기 전원커넥터(37)와 상기 제1접점(34)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전원커넥터(37)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스틱코일(5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와이어(38)는 상기 전원커넥터(37)로부터 분배되어, 상기 제1접점(34)으로 연결되는 것이다.The wire 38 is provided inside the case 20. The wire 38 connects the power connector 37 and the first contact point 34, and serves to transfer the power input through the power connector 37 to the stick coil 50. That is, the wire 38 is distributed from the power connector 37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34.

이때, 상기 와이어(38)는 인서트몰드를 통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와이어(38)를 상기 멀티탭(10)에 별도로 설치하는 작업공수를 줄이고, 와이어(38)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38)는 인서트몰드를 통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서 같은 평면 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20)를 제작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38)를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장착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접점(34)으로 각각 분배되는 상기 와이어(38)들이 같은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wire 38 may be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case 20 through an insert mold. This is to reduce the labor of installing the wire 38 separately to the multi-tap 10, and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wires (38). In this case, the wire 38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same plane inside the case 20 through an insert mold. That is, at the same time to manufacture the case 20 by using a metal mold, the first contact 34 to each of the first contact 34 so that the operation of mounting the wire 38 in the case 20 can be made easier The wires 38 to be distributed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상기 케이스(20)에는 장착보스(39)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보스는 상기 케이스(20)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보스(39)에는 장착공(39')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39')은 상기 케이스(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구(도 시되지 않음)가 관통되는 부분이다. 이는 상기 멀티탭(10)을 차량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The case 2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boss (39). The mounting boss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bottom of the case 20, the mounting boss 39 is formed with a mounting hole (39 '). The mounting hole 39 ′ is formed through the case 20, and is a portion through which a fastener (not shown) penetrates. This is for installing the multi-tap 10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상기 멀티탭(10)에는 스틱코일(50)이 결합된다. 상기 스틱코일(50)은 상기 멀티탭(10)으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이용하여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틱코일(5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52)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52)의 재질은 절연체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몸체부(52)의 내부에는 코어와 코일을 비롯한 각종 부품이 구비되어 전원을 증폭시키게 된다.Stick coil 50 is coupled to the multi-tap 10. The stick coil 50 serves to generate a high voltage using the power delivered from the power strip 10. The outer body and the skeleton of the stick coil 50 is formed by the body portion 52. The material of the body part 52 is an insulator,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lthough not shown, various parts including a core and a coil are provided inside the body 52 to amplify a power source.

상기 몸체부(52)의 하단에는 연결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3)는 점화플러그에 증폭된 전원을 전달하는 부분이다.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52 is a connection portion 53 is formed. The connection part 53 is a part for transmitting the amplified power to the spark plug.

상기 몸체부(52)의 상단에는 삽입부(54)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54)는 상기 몸체부(52)로부터 연장되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54)는 상기 코일소켓(30)의 결합공간(31)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를 위해 상기 삽입부(54)의 외주면에는 걸이돌기(55)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55)는 상기 걸림홈(33')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홈(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걸이돌기(55)는 상기 삽입부(54)의 외주면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돌기(55)는 한 쌍이 형성되나, 상기 걸림홈(33')의 개수에 따라 두 쌍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An insertion part 54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art 52. The insertion portion 54 extends from the body portion 52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insertion portion 54 is a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upling space 31 of the coil socket 30, and a hook protrusion 55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54. The hook protrusion 5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33 'so as to pass through the locking groove 33'. That is, the hook protrusions 55 are formed in pairs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54.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the hook protrusion 55 is formed, but two or more pairs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locking grooves 33 '.

상기 삽입부(54)에는 요입홈(56)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56)은 상기 결합리브(35)와 대응되는 부분으로, 상기 요입홈(56)에는 상기 결합리브(35)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요입홈(56)은 상기 삽입부(54)의 상면의 가장자리를 둘러, 일정한 폭을 가지고 요입되게 형성된다. The insertion portion 54 is formed with a recess groove 56. The recess groove 56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rib 35, the coupling rib 35 is inserted into the recess groove 56 is seated. To this end, the recess 56 is formed around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54 to be recessed with a constant width.

상기 삽입부(54)의 상면에는 제2접점(57)이 구비된다. 상기 제2접점(57)은 상기 제1접점(34)과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제2접점(57)은 상기 제1접점(34)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스틱코일(50)이 상기 멀티탭(10)과 결합됨에 따라 서로 접하게 되는 것으로, 일종의 터미널 역할을 한다. The second contact 57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54. The second contact 57 is a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34. That is, the second contact 57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34, so that the stick coil 5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the multi-tap 10 is connected, and serves as a kind of terminal. do.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접점(57)은 판스프링형태로 만들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접점(57)은 상기 제1접점(34)과 접하는 평면을 갖고,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판스프링으로 되는 것이다. 즉, 돌기형상으로 돌출된 상기 제1접점(34)에 대응되도록 판스프링형상으로 만들어져, 상기 제1접점(34)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두 접점(34,57) 사이가 보다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접점(34)이 판스프링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2접점(57)이 돌기형으로 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preferably, the second contact 57 is made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More precisely, the second contact 57 has a plan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34 and becomes a leaf spring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That is, it is made in the shape of a leaf spring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tact 34 protruding in the shape of a projection, 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tact 34 so that the two contacts (34, 57) can be more closely contacted. It is. Of course, the first contact point 34 may be formed in a leaf spring shape,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57 may b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상기 삽입부(54)의 일측에는 브라켓(58)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58)은 상기 삽입부(54)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0)에 스틱코일(5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브라켓(58)에는 체결공(59)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59)은 상기 체결홈(3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관통되어 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체결공(59)은 상기 삽입부(54)가 상기 결합공간(31)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체결홈(36')과 대응되는 위치로 되지 않지만, 상기 삽입부(54)가 삽입된 후에 상기 스틱코일(50)을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홈(36')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54 is provided with a bracket (58). The bracket 58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54, and serves to fix the stick coil 50 to the case 20. To this end, a fastening hole 59 is formed in the bracket 58, and the fastening hole 59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36 ′ and is penetrated by the fastener. More precisely, the fastening hole 59 is not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36 ′ when the insertion part 5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31, but the insertion part 54 is When the stick coil 50 is rotated after being inserted, it is form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groove 36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코일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ction of the multi-coi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상기 멀티탭(10)에 상기 스틱코일(50)이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틱코일(50)은 도 2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도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즉 상기 멀티탭(10)의 저면을 향해 끼워진다. First, a process of assembling the stick coil 50 to the multi-tap 10 will be described. When the stick coil 50 is viewed from the center of FIG. 2, the stick coil 50 is fitted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gure, that is, toward the bottom of the multi-tap 10.

이를 위해, 작업자는 먼저 상기 몸체부(52)를 파지하고 상기 삽입부(54)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코일소켓(30)을 향해 상기 스틱코일(50)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걸이돌기(55)와 걸림홈(33')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가 되도록 하여, 상기 걸이돌기(55)가 걸림홈(33')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To this end, the worker first grips the body 52 and moves the stick coil 50 toward the coil socket 30 with the insertion portion 54 facing upward. At this time, the hook protrusion 55 and the locking groove 33 'are made to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ook protrusion 55 can pass through the locking groove 33'.

그리고, 상기 걸이돌기(55)가 상기 걸림홈(33')을 통과하고 나면, 상기 몸체부(52)를 회전시켜 상기 걸이돌기(55)가 상기 걸림리브(33)를 따라 회전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걸이돌기(55)는 상기 걸림리브(33)에 걸어져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고 1차고정된 상태가 된다. Then, after the hook protrusion 55 passes through the locking groove 33 ', the body portion 52 is rotated so that the hook protrusion 55 rotates along the locking rib 33. As a result, the hook protrusion 55 is in a state of being first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hook ribs 33 and falling downward.

이 과정에서, 상기 요입홈(56)에는 상기 결합리브(35)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삽입부(5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접점(57)은 상기 제1접점(34)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두 접점(34,57)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접점(57)은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므로, 돌기형인 상기 제1접점(34)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두 접점(34,57) 사이가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In this process, the coupling rib 35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recess groove 56. At the same time, as the insertion part 54 rotates, the second contact 57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34, and the two contacts 34 and 57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contact 57 is formed of a leaf spring, the second contact 57 maintains a state in which elastic force is provided toward the first contact 34, which is a protrusion, so that the two contacts 34 and 57 may be more firmly connected. Can be. This appearance is shown in dashed lines in FIG. 5.

이때, 상기 결합리브(35)의 외주면에는 시일부재(S)가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 로, 상기 코일소켓(30)에 상기 스틱코일(50)이 삽입되면, 상기 시일부재(S)는 둘 사이에 밀착되어 방수기능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sealing member S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rib 35, when the stick coil 50 is inserted into the coil socket 30, the sealing member S is disposed between the two. Closely adheres to waterproof.

상기 스틱코일(50)을 상기 코일소켓(30)에 각각 1차고정시키고 나면, 작업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2차고정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삽입부(54)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체결공(59)과 상기 체결홈(36')이 동축으로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둘 사이를 관통하도록 체결구를 조립하는 것이다.After the stick coils 50 are first fixed to the coil sockets 30, the worker performs secondary fixing using fasteners such as bolts. More precisely, as the insertion part 54 is rotated, the fastening hole 59 and the fastening groove 36 'are coaxially positioned, and the fastener is assembled to penetrate between them in this state. will be.

상기 스틱코일(50)을 상기 코일소켓(30)에 2차고정시킨 후에, 작업자는 상기 멀티탭(10)과 상기 스틱코일 조립체를 차량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엔진룸에 장착한다. 즉,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조립체를 엔진룸에 고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공(39')이 5개 형성되므로, 5개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각각 조립한다. After the stick coil 50 is second fixed to the coil socket 30, the worker mounts the multi-tap 10 and the stick coil assembly in the vehicle, more precisely in the engine compartment. That is, the assembly is fixed to the engine room by using a fasten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five mounting holes 39 'are formed, they are assembled using five fasteners, respectively.

이때,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스틱코일(50)의 커버 역할도 하게 되므로, 상기 스틱코일(50)의 상부에 별도의 커버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case 20 also serves as a cover of the stick coil 50,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cover on the top of the stick coil 50.

다음으로, 상대커넥터를 상기 전원커넥터(37)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상대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원커넥터(37)에 전원이 전달되고, 전달된 전원은 상기 와이어(38)를 통해 다시 각각의 제1접점(34)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원은 다시 제1접점(34)과 연결된 제2접점(57)을 통해 상기 스틱코일(50)로 각각 전달된다. Next, the mating connector is coupled to the power connector 37. In this cas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power connector 37 through the mating connector, and the transferred power is transmitted to each first contact point 34 again through the wire 38. The power is again transferred to the stick coils 50 through the second contact 57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34.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어, 상기 멀티코일조립체는 차량의 내부뿐만 아니라, 발전기를 비롯하여 점화코일과 점화플러그가 구비되는 각종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multi-coil assembly may be applied not only to the inside of a vehicle but also to various devices including an ignition coil and a spark plug, including a generator.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코일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multicoi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틱코일이 결합된 멀티코일조립체를 차량 내부에 설치하게 되므로, 스틱코일을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립작업이 간소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ulti-coil assembly combined with the stick coil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the stick coil separately, thereby simplifying the assembly work and improving workability.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멀티탭이 구비되므로, 스틱코일이외에 케이블, 코일커넥터, 전원커넥터 그리고 커버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가 줄어들고 제작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ulti-tap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cable, a coil connector, a power connector and a cover in addition to the stick coil,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멀티탭의 내부에 와이어가 일체로 구비되므로,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 없게 되어, 차량 내부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되고 케이블간의 합선의 우려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s are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multi-tap,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able, thereby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vehicle and reducing the risk of short circuit between the cables.

Claims (12)

저면에는 다수개의 코일소켓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각각의 코일소켓과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멀티탭과;A plurality of coil sockets formed on a bottom thereof, and a multi-tap having wires connecting the respective coil sockets to an external power source; 상기 코일소켓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전압을 승압시키는 스틱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coupled to each of the coil socket is supplied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from the wire, and comprises a stick coil for boosting the voltage, 상기 스틱코일은The stick coil is 몸체부와;A body part;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점화플러그와 연결되는 연결부와;A connect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and connected to a spark plug;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걸이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코일소켓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일조립체.The cylindrical body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a hook projection, multi-coi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ert is inserted into the coil socket is fix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전원커넥터로부터 상기 각각의 코일소켓으로 분배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일조립체.The multi-coil assembly of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power strip is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or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the wire is distributed from the power connector to the respective coil sockets.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소켓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이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돌기가 상기 걸림홈을 통과한 후에 회전됨으로써 상기 스틱코일이 상기 코일소켓에 1차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일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dge of the coil socket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hook projection, the hook coil is rota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lock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ick coil is first fixed to the coil socket. Multi-coil assemb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의 저면에는 상기 코일소켓과 인접하여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공 및 상기 체결홈을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스틱코일이 상기 코일소켓에 2차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일조립체. 5. The fastening groove of claim 4, wherein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adjacent to the coil socket at a bottom of the multi-tap, and a bracket having a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ertion part. Multi-coi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tick coil is fixed to the coil socket by a second through fasten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소켓의 바닥면에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접점과 대응되는 제2접점이 구비되어, 상기 걸이돌기가 상기 걸림홈을 통과한 후에 상기 스틱코일이 회전되면 상기 제1 및 제2접점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일조립체. The bottom surface of the coil socket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act to be connected to the wire,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the hook proj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stick coil is rota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groov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 및 상기 제2접점 중 어느 하나는 돌기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이에 대응되는 탄성병형이 가능한 평면을 가 지는 판스프링형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일조립체.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ny one of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shape of the projection, the other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leaf spring having a plane capable of elastic bottle shape corresponding thereto Multicoil Assembly.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인서트몰드를 통해 상기 멀티탭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일조립체.The multi-wi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5, 6, or 7, wherein the wire is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power strip through an insert mold. Coil assembl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멀티탭의 내부에서 같은 평면상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일조립체. The multicoil assembly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wire is provided on the same plane inside the multi-tap.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소켓의 바닥면에는 상기 코일소켓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접점을 둘러 결합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스틱코일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소켓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에는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결합리브에 대응되는 요입홈이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일조립체.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il socke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rib protruding around the first contac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il socket, the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the stick coil is inserted into the coil socket fixed to the Multi-coi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rib is formed around the upper edg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부와의 사이에 밀착되도록 시일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일조립체. 11. The multi-coil assembly of claim 10, wherein a seal member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rib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ertion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이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멀티탭에는 장착공이 관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일조립체.The multi-coil assembly of claim 11, wherein a mount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multi-tap so that the multi-tap is fixed by the fastener.
KR1020070010814A 2007-02-02 2007-02-02 Stick coil assembly KR1008642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814A KR100864242B1 (en) 2007-02-02 2007-02-02 Stick coil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814A KR100864242B1 (en) 2007-02-02 2007-02-02 Stick coil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292A KR20080072292A (en) 2008-08-06
KR100864242B1 true KR100864242B1 (en) 2008-10-17

Family

ID=3988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814A KR100864242B1 (en) 2007-02-02 2007-02-02 Stick coil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24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318A (en)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에이스웍스코리아 board assembly having a push-pull type detachable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4966A (en) * 1990-03-27 1992-08-05 Nippondenso Co Ltd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2317744A (en) 2001-04-23 2002-10-31 Yazaki Corp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ts mounting structure
KR20060095240A (en) * 2005-02-28 2006-08-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for installing ignition coil for engine
KR100701572B1 (en) 2006-01-26 2007-03-29 주식회사 세림테크 Center cover straight ignition coil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4966A (en) * 1990-03-27 1992-08-05 Nippondenso Co Ltd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2317744A (en) 2001-04-23 2002-10-31 Yazaki Corp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ts mounting structure
KR20060095240A (en) * 2005-02-28 2006-08-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for installing ignition coil for engine
KR100701572B1 (en) 2006-01-26 2007-03-29 주식회사 세림테크 Center cover straight ignition coil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318A (en)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에이스웍스코리아 board assembly having a push-pull type detachabl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292A (en)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0187B2 (en) Charging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harging connector assembly
EP2360050B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7849843B2 (en) Ignition coil
US9985401B2 (en) Direct current motor
US20100243835A1 (en) Position assurance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609508B2 (en) Releasable retaining clip for ignition coil assembly
KR100864242B1 (en) Stick coil assembly
KR100864243B1 (en) Multi-tab for stick coil
KR101876859B1 (en) Ground-integrated wiring harness protector
RU2543980C1 (en) Connecting device for transfer of high-voltage current in automobile industry
WO2007086626A1 (en) Center-cover-integrated ignition coil module
JP2017224456A (en) Charge connector
US20230187873A1 (en) Shielding element and plug connector
JPH03117683A (en) High pressure indu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coil for automobile
RU112953U1 (en) DEVICE FOR JOINING THE IGNITION COIL WITH THE CANDLE OF IGNITION
US2840622A (en) Shielded ignition coil
CN217008906U (en) Natural gas ignition coil
US11949182B2 (en) Wiring connector assembly
EP4203216A1 (en) Shield connector
US10998128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618478B2 (en) Wire harness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wire harness
JP2871155B2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351156A (en) Ignito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4303290A (en) Terminal seat
JPH04370370A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