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030B1 - A sensor type flush-valve with preventing function from double flushing - Google Patents
A sensor type flush-valve with preventing function from double flush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4030B1 KR100864030B1 KR1020070001856A KR20070001856A KR100864030B1 KR 100864030 B1 KR100864030 B1 KR 100864030B1 KR 1020070001856 A KR1020070001856 A KR 1020070001856A KR 20070001856 A KR20070001856 A KR 20070001856A KR 100864030 B1 KR100864030 B1 KR 1008640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operation button
- manual operation
- lever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 관한 것으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서 수동조작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근접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사용자가 자리를 떠난 후 자동으로 출수가 되기 전에 사용자가 수동조작버튼(레버)을 조작하게 되면, 수동조작버튼(레버)에 의한 수동출수동작과 센서 감지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개방에 의한 자동출수동작이 중복되어 물이 낭비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근접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후 용변을 보고 자리를 떠나기 전에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할 경우,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출수대기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자리를 떠나더라도 자동출수가 방지됨으로써 중복 출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동조작버튼(레버)의 조작 여부는 수동조작버튼의 움직임이나 수동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내부 피스톤이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스위치 또는 센서의 감지신호 또는 변기 측으로 연결된 출수구에 설치된 수류센서에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판정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sensing fresh valve having a double water discharge prevention function, and when a manual operation button is installed in the sensor-sensing fresh valve, the proximity sensor is normally operated so that the wat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after the user leaves the seat. If the user operates the manual operation button (lever) before, the water is wasted because the manual extraction operation by the manual operation button (lever) and the automatic extraction operation by opening the solenoid by the sensor detection are duplic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the user's approach and operates the manual operation button or the lever before leaving the seat, the automatic exit standby state is released by the internal program, whereby the user leaves the seat. Even if automatic withdrawal is prevented, duplicated withdrawal can be prevented. Whether the manual control button (lever) is operated is a detection signal of a switch or sensor that detects the internal piston rising by the movement of the manual operation button or the manual operation button, or a detection signal from the water flow sensor installed at the outlet connected to the toilet side. Is determined by.
중복 출수, 방지, 프레시밸브, 절수, 센서, 감지, 해제 Redundant discharge, prevention, fresh valve, water saving, sensor, detection, releas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상부 커버를 일부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of the sensor-sensing fresh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opened,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단면도,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nsor detection fresh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수동조작버튼을 누른 경우 수동출수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manual water extraction is made when the manual operation button is press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회로구성도,3 is a circuit diagram of a sensor-sensitive fresh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ensor-sensitive fresh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프레시밸브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esh valv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프레시밸브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esh valv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프레시밸브 몸체 2 : 피스톤1: Fresh valve body 2: Piston
2a : 작동봉 3 : 입수라인2a: working rod 3: acquisition line
4 : 출수라인 5 : 캡4: outlet line 5: cap
6 : 상부 커버 7 : 하부 커버6
10 : 근접센서 20 : 마이컴10: proximity sensor 20: microcomputer
30 : 솔레노이드밸브 40 : 수동조작버튼(레버)30: solenoid valve 40: manual operation button (lever)
50 : 감지수단(스위치 또는 센서)50: sensing means (switch or sensor)
C : 상부공간C: Upper space
본 고안은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 관한 것으로, 근접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후 용변을 보고 자리를 떠나기 전에 사용자가 자동으로 출수되는 것을 모르고 무심결에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할 경우, 이 수동조작을 스위치 또는 센서 등의 감지수단이 감지하여 마이컴에 설정되어 있는 자동출수대기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자리를 떠나더라도 자동출수가 방지됨으로써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sensing fresh valve having a double water discharge prevention function, and after the proximity sensor senses the user's approach, the user does not know that the wat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before leaving the seat by looking at the toilet and unintentionally manual operation button or lever. In case of operation, this manual operation is detected by a sensing means such as a switch or a sensor to release the automatic water discharge standby state set in the microcomputer, thereby preventing the automatic water discharge even if the user leaves the seat, thereby preventing waste of water. It would be.
공중화장실에는 대변기 또는 소변기에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가 설치되어 자동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는 전원이 나가거나 제어회로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변기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수동조작버튼 또는 레버가 부착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In the public toilet, a sensor-sensing fresh valve is installed in the toilet or urinal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water. The sensor-sensing fresh valve is operated manually so that the toilet can be cleaned even if the power goes out or a control circuit breaks down. The button or lever attached method is used.
한편, 이러한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가 부착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는 사 용자가 무심결에 또는 자동출수방식이 아닌 것으로 착각하여 프레시밸브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출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며, 사용자가 자리를 떠난 후 마이컴 내부의 프로그램에 의해 한 번 더 자동으로 출수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는 세척수가 두 번이나 출수 됨으로써 물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such a sensor-operated fresh valve with a manual operation button or lever is discharged by manipulating the manual operation button or lever exposed to one side of the fresh valve inadvertently or mistaken for a non-automatic extraction method. In many cases, after the user leaves, the water extraction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once more by the program inside the microcomputer. Therefore, the conventional sensor-sensing fresh valve is a situation that causes the waste of water by the water is extracted twic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서 수동조작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사용자가 자리를 떠난 후 자동으로 출수가 되기 전에 사용자가 수동조작버튼 또는 레버를 조작하면 수동출수동작이 이루어지되, 근접센서의 감지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개방으로 인한 자동출수동작이 중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manual operation button is installed in the sensor-sensitive fresh valve, the sensor is normally operated automatically after the user leaves the seat If the user operates the manual operation button or lever before the water is discharged, the manual water extraction operation is performed, but the automatic water extraction operation due to the opening of the solenoid by the detection of the proximity sensor is prevented from overlapping. To provide a fresh valv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근접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후 용변을 보고 자리를 떠나면 솔레노이브밸브가 개방되어 자동출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 있어서,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할 경우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출수대기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nsor-sensing fresh valve that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and the automatic water extraction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the user's approach and leaves the seat. In case of operating button or lever, it provides a sensor-sensitive fresh valve that has a redundant discharge prevention function to release the automatic discharge standby state by an internal program.
본 발명에서 수동조작버튼(레버)의 조작 여부는 수동조작버튼의 움직임이나 수동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내부 피스톤이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스위치 또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판정되거나 변기 측으로 연결된 출수구에 설치된 수류센서에서의 출수 감지신호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he manual operation button (lever) is operated is determined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witch or sensor that detects the internal piston is raised by the movement of the manual operation button or the manual operation button or installed in the outlet connected to the toilet side It can be determined by the water output detection signal from the water flow sensor.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that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회로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1 and 2 are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nsor-sensitive fresh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ircuit diagram of a sensor-sensitive fresh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nsor-sensing fresh valv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는 근접센서(10)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자동출수대기상태가 유지되고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자리를 떠나는 것을 감지하면 이 신호에 의해 마이컴(20)이 솔레노이브밸브(30)를 개방하여 자동출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 있어서,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40)를 조작할 경우 이를 감지수단(50)이 감지하여 마이컴(20)에 감지신호를 보내면 상기 마이컴(20)에서의 자동출수대기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when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수단(50)은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40) 측에 설치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의 센서 또는 스위치로서,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40)의 눌림 동작 또는 꺾임 동작을 감지하고 여기서 감지된 신호는 마이컴(20)으로 전송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ing means 50 is a contact or non-contact sensor or switch installed on the manual operation button or
도면 중 부호 1은 프레시밸브 몸체이고, 2는 프레시밸브 몸체(1)의 내측에 설치되어 승강 작동하는 피스톤이며, 부호 3은 수도관 측으로 연결된 입수라인이고, 부호 4는 변기 측으로 연결된 출수라인이다.In the drawing,
또, 부호 5는 상기 프레시밸브 몸체(1)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이며, 이 캡(5) 위에 센서(10), 마이컴(20) 및 솔레노이드밸브(30)가 설치되어 있고, 부호 6 및 부호 7은 이들 센서, 마이컴(20) 및 솔레노이드밸브(30)를 보호하기 위한 한 쌍의 상,하부 커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프레시밸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0)는 항시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대기상태(S11)에 있으며,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접근을 하게 되면 센서(10)가 이를 감지하여(S2) 마이컴(20)에 감지신호를 보내고, 마이컴(20)에서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출수대기상태에 놓이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fresh valve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이와 같은 자동출수대기상태에서 감지수단(40)은 사용자가 수동조작버튼(40;또는 레버)을 조작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S13), 사용자가 수동조작버튼(40)을 조작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출수대기상태가 계속 유지되면서 근접센서(10)에 의해 사용자가 용변을 마치고 자리를 떠났는지의 여부를 판단(S14)하여 자리를 떠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밸브(30)에 구동신호를 송출함으로써 프레시밸브 몸체(1) 내부의 피스톤(2)을 누르고 있던 상부 공간(C)의 작동수가 개방된 솔레노이브밸브(30)를 경유하여 출수라인(4)측으로 배출됨으로써 피스톤(2)이 상승하여 입수라인(3) 측의 물이 출수라인(4)측으로 배출되어 변기의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In the automatic water extraction standby state, the sensing means 40 detects whether the user has operated the manual operation button 40 (or lever) (S13), and when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한편, 위 자동출수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심코 또는 실수로 수동레버(40)를 조작한 경우(S13)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 하부의 작동봉(2a)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상부 공간의 작동수가 작동봉(2a) 상단과 피스톤(2) 사이의 개방된 유로를 통해서 출수라인(4)측으로 배출됨으로써 피스톤(2)이 상승하여 입수라인(3) 측의 물이 출수라인(4)측으로 배출되어 변기의 내부를 세척하게 되며, 이때 감지수단(50)에서 감지된 신호는 마이컴(20)으로 전송됨으로써 자동출수대기상태가 해제되어 다시 원래의 감지대기상태(S11)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advertently or accidentally operated the
본 발명에서 상기 수동조작에 의한 피스톤의 상승 및 출수동작과 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에 의한 피스톤의 상승 및 출수동작은 기존의 센서감지식 및 수동조작식 프레시밸브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ston is lifted and discharged by the manual operation and the piston is lifted and discharged by the opening of the solenoid valve,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프레시밸브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수동조작버튼(40) 측에 감지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캡(5)의 중앙 부근에 감지수단(50)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수동조작버튼(40)을 조작하게 되면 작동봉(2a) 이 기울어지면서 피스톤(2)이 상승하게 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동 출수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첫 번째 실시 예에서보다 전기적인 배선 등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esh valv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ing means 50 is provided near the center of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프레시밸브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수동조작버튼(40)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50)으로 도시 안 된 변기 측으로 연결된 출수구 측에 설치된 수류(水流)센서를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esh valv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toilet side not shown as a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동조작버튼이 설치된 감지식 프레시밸브에서 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후 용변을 보고 자리를 떠나기 전에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할 경우,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출수대기 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자리를 떠나더라도 자동출수가 방지됨으로써 중복 출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본 발명은 물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or detects the user's approach and operates the manual operation button or the lever before leaving the seat after detecting the user's approach, the automatic fresh water standby by the internal program The state is released, whereby the automatic withdrawal is prevented even if the user leaves the seat to prevent duplicate withdrawal,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waste of wate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1856A KR100864030B1 (en) | 2007-01-08 | 2007-01-08 | A sensor type flush-valve with preventing function from double flush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1856A KR100864030B1 (en) | 2007-01-08 | 2007-01-08 | A sensor type flush-valve with preventing function from double flush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5021A KR20080065021A (en) | 2008-07-11 |
KR100864030B1 true KR100864030B1 (en) | 2008-10-16 |
Family
ID=3981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1856A KR100864030B1 (en) | 2007-01-08 | 2007-01-08 | A sensor type flush-valve with preventing function from double flush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403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25221B (en) * | 2011-12-22 | 2014-09-17 | 厦门立业卫浴工业有限公司 | Soft touch dual drainage valve |
KR101418571B1 (en) * | 2012-12-18 | 2014-07-14 | 광주광역시 광산구 | Toilet stool having water drain handle linked with cov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6156A (en) * | 1998-05-26 | 1999-12-07 | Is:Kk | Flush toilet control device |
KR20010000758U (en) * | 1999-06-18 | 2001-01-15 | 김규수 | Automatic draining device for a toilet stool |
KR200320587Y1 (en) | 2003-04-22 | 2003-07-25 |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 Auto flushing System of a bidet |
-
2007
- 2007-01-08 KR KR1020070001856A patent/KR10086403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6156A (en) * | 1998-05-26 | 1999-12-07 | Is:Kk | Flush toilet control device |
KR20010000758U (en) * | 1999-06-18 | 2001-01-15 | 김규수 | Automatic draining device for a toilet stool |
KR200320587Y1 (en) | 2003-04-22 | 2003-07-25 |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 Auto flushing System of a bid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5021A (en) | 2008-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57640B1 (en) | Automatic drainer 0f toilet bowl | |
KR100735881B1 (en) | Automatic water dropping system at the toilet bowls of fresh valve direct water type mounted with water supply apparatus which guides water supply to bidets | |
US7028975B2 (en) | Flush valve structure | |
KR100864030B1 (en) | A sensor type flush-valve with preventing function from double flushing | |
KR20090084162A (en) |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oilet seat having non-power chamber pot auto-flush by water pressure and body weight | |
KR20050015001A (en) | Water saving apparatus for chamber-pot to become involved bidet and its water saving method | |
KR20100011360U (en) | Automatic toilet bowl with water saving feature | |
KR100980398B1 (en) | Apparatus for waterway controlled water supply non-power chamber pot auto-flush device by water pressure and body weight | |
EP1426502A2 (en) | Electronically controlled lavatory flush tank | |
CN108411984A (en) | A kind of automatic water-replenishing device of water tank | |
KR20080028006A (en) | Electromotive water flushing device in the toilet cistern | |
KR100442447B1 (en) | saving water device for toilet bowl | |
KR101221835B1 (en) | Toilet bowl capable of water saving | |
KR20120046524A (en) | Automatic flush device for toilet bowl | |
JP2004332470A (en) | Controlling method of drain valve in low tank device and its device | |
KR20060058060A (en) | This toilet bowl can use both running water and stored water | |
KR20100007498U (en) | . auto-supply system for a toiler bowl with water tank. | |
KR20010018931A (en) | A toilet bowl with electornical auto-flower control system | |
JP6238201B2 (en) | Electrical equipment | |
JP2004162505A (en) | Toilet bowl device | |
JP7478954B2 (en) | Toilet equipment | |
CN218779600U (en) | Improved squatting pan water tank | |
KR200405763Y1 (en) | Bidet Apparatus having automatic flushing and saving function | |
KR200399352Y1 (en) | Water closet | |
KR100390142B1 (en) | A urinal with washbow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8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0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