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852B1 - 휴대용 단말 장치에서 촬영 영상의 미리보기 화면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 장치에서 촬영 영상의 미리보기 화면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852B1
KR100860852B1 KR1020060070819A KR20060070819A KR100860852B1 KR 100860852 B1 KR100860852 B1 KR 100860852B1 KR 1020060070819 A KR1020060070819 A KR 1020060070819A KR 20060070819 A KR20060070819 A KR 20060070819A KR 100860852 B1 KR100860852 B1 KR 10086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preview
image proces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598A (ko
Inventor
손혁제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85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 장치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의 미리보기 화면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백엔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은 캡쳐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제1 단계,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 단계, 가공된 영상 데이터에 선택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여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 단계, 및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바이패스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측정된 영상 정보를 참조하여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품질의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진 촬영 및 동영상 촬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미리보기, 프리뷰, 그레이 LCD, 백엔드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싱.

Description

휴대용 단말 장치에서 촬영 영상의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REVIEW PICTURE OF IMAGE CAPTURED IN MOBILE TERMINAL APPARATUS}
도 1은 카메라 백엔드 프로세서를 통해 캡쳐된 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그레이 LCD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종래의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이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히스토그램 평활화 기법을 예시하는 화소 데이터 히스토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곤잘레스-우즈(Gonzalez-Woods) 이진화 기법의 수행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디더링 기법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비선형 양자화 기법의 원리를 도시한 화소 분포도이다.
도 9는 이미지 프로세싱이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예시하는 그림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이미지 센서 320: 카메라 백엔드 프로세서
350: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 360: 영상 데이터 바이패스부
370: 그레이 LCD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 장치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의 미리보기 화면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백엔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공학 기술과 광학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카메라 모듈이 소형화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휴대용 기기에 카메라가 장착되고 있다. 이처럼 휴대용 기기에 장착된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를 함께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휴대 전화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된 상대방의 사진을 전화번호와 함께 주소록에 저장하는 것과 같이 영상 정보를 다른 형태의 정보와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휴대용 기기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기기에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게 되면, 휴대용 기기에 내장된 시스템 자원 및 인터페이스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디지털 카메라를 별개로 제조하는 것에 비해 생산 비용 및 판매 단가를 절감할 수 있어,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모두 이익이 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대부분의 휴대용 기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촬영 영상 또는 미리보기(preview)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미리보기 화면"이란 사용자의 촬영 명령에 앞서 실제로 촬영될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표시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미리보기 화면은 대개 실제로 촬영되는 영상의 일부만을 포함하거나, 실제로 촬영되는 영상을 낮은 레이트로 다시 샘플링한 영상 데이터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촬영 명령을 내리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표시된다.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백엔드 컨트롤 프로세서(backend control processor, 이하 "백엔드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원래의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여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때때로 휴대용 기기는 주 디스플레이부(main display unit)와 부 디스플레이부(sub-display unit)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고, 이 때 백엔드 프로세서에서 제공되는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는 주 디스플레이부에만 적용되고 부 디스플레이부에는 적용될 수 없다. 이는 대개의 경우 부 디스플레이부가 주 디스플레이부에 비해 적은 수의 색상을 사용하거나 낮은 해상도를 지원하는 저사양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폴더형 휴대 전화기의 폴더 내면에 주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고 폴더 외면에 부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어, 폴더를 열지 않고 영상을 촬영할 필요가 있는 경우와 같이, 부 디스플레이부에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백엔드 프로세서에서는 부 디스플레이부를 위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방법에 의존해야 한다.
도 1은 이처럼 백엔드 프로세서가 지원하지 않는 저사양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서는 저사양 디스플레이의 일례로서 그레이(gray)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시스템에서 이미지 센서(110)는 아날로그 값을 갖는 광학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백엔드 프로세서(120)에 전달한다. 백엔드 프로세서(120)는 다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가공하고, 가공된 영상 데이터의 MSB(Most Significant Bit)들, 즉 상위 비트로만 구성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바이패스부(130)로 전달한다. 영상 데이터 바이패스부(130)는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그레이 LCD(140)로 바이패스하여 그레이 LCD(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한다.
도 2는 이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을 이용한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210)에서 사용자로부터 또는 시스템 초기화에 따라 미리보기 명령을 수신하면, 단계(S220)에서는 이미지 센서(110), 즉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캡쳐한다. 단계(S230)에서는 캡쳐된 영상 데이터의 상위 비트들로 구성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그레이 LCD(140)로 바이패스하여 사용자에게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한다.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종래의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의 상위 비트들로 구성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유는, 그레이 LCD(140)가, 2-컬러 그레이 LCD인 경우에는 화소당 1 비트, 4-컬러 그레이 LCD인 경우에는 화소당 2 비트로 구성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처럼 단순히 영상 데이터의 상위 비트들만을 선택하여 생성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는 영상이 밝기 톤이 전체적으로 상당히 높거나 낮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수준의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미리보기 화면의 영상 품질이 좋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원하는 시점에 정확히 촬영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특히, 촬영 화면을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다음 촬영 동작에 반영해야 하는 동영상 촬영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영상 품질 문제가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미리보기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영상 처리 회로나 신호 처리 장치 등의 하드웨어를 추가하는 것은 비용 증가를 가져오게 되어 실질적으로 채택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추가 없이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여 미리보기 화면의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여 미리보기 화면의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미지 프로세싱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추가하지 않음으로써 추가 비용 없이 미리보기 화면의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미리보기 화면의 영상 품질 향상을 통해, 휴대용 기기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보다 명확한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고, 따라서 사용자의 촬영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보기 영상의 품질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영상 품질에 기초한 적응적 이미지 프로세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프레임 전송률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프레임 전송률에 기초한 적응적 이미지 프로세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 자원 또는 메모리 자원의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 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에 저장된 초기 설정값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의 선택 가능성을 제공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촬영 시스템에 저사양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사양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용도를 높이고, 영상 촬영 시스템의 저가격화를 가능케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가공하는 백엔드 컨트롤 프로세서 장치, 상기 가공된 영상 데이터에 소정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여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 및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는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영상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가공하는 백엔드 컨트롤 프로세서 장치, 상기 영상 데이터에 적용되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의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선택 정보 저장부, 저장된 선택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상기 가공된 영상 데이터에 적용하여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 및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은 캡쳐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제1 단계,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 단계, 가공된 영상 데이터에 선택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여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 단계, 및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바이패스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측정된 영상 정보를 참조하여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효과적인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 장치에 포함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 장치"라 함은 휴대할 수 있는 소형 디지털 기기로서,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 스마트(Smart) 폰,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통신 단말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 전자 장치로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3은 미리보기 화면 제공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로서 그레이 LCD(Gray Liquid Crystal Display)(370)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레이 LCD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컬러와 제한된 화소(pixel)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일반에 걸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화소당 2 비트의 정보가 할당되는 4-컬러 그레이 LCD를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지만, 동일한 방식이 RGB(Red Green Blue) 또는 CMY(Cyan Magenta Yellow)와 같은 기본 색상 각각의 레벨값에 대해 독립적으로 적용되어 더욱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컬러 LCD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310)는 아날로그 값을 갖는 광학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백엔드 컨트롤 프로세서(backend control processor, 이하 "백엔드 프로세서")(320)로 전달한다. 이미지 센서(310)는 CCD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는 광학 영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타 다양한 형태의 센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백엔드 프로세서(320)는 이미지 센서(310)와 그레이 LCD(370)를 제어함과 동시에, 이미지 센서(3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백엔드 프로세서(320)는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잘라내어 작은 크기의 국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백엔드 프로세서(320)는 원본 영상 데이터 또는 국부 영상 데이터로부터 저화질의 영상 데이 터를 생성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샘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백엔드 프로세서(320)에 의해 가공된 영상 데이터는 그레이 LCD(370)가 표현 가능한 화소수에 의해 그 크기가 정해진다.
부가적으로, 백엔드 프로세서(320)는 이미지 센서(310)로부터 수신된 원래의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기초적인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초적인 이미지 프로세싱은 앞서 설명한 잘라내기 또는 샘플링 등의 가공에 앞서 수행되거나, 또는 연산량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가공에 뒤이어 수행될 수도 있다. 백엔드 프로세서(320)는 기초적 이미지 프로세싱의 일례로서,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과 같은 색상 보정, 또는 동영상 저장을 위한 압축 등을 포함한다.
백엔드 프로세서(320)에 의해 가공된 영상 데이터는 시스템에 탑재된 주메모리(330)에 저장된다. 주메모리(3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의 연산 장치의 연산 결과 데이터, 또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장치로서, 일실시예에 따르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350)는 주메모리(33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그레이 LCD(370)에 디스플레이되는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350)는 예컨대 단순히 영상 데이터의 상위 2 비트만을 취하여 4-컬러 LCD에 표현 가능한 그레이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데이터에 소정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식별하기 용이한 더 나은 품질 의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350)는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들 가운데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영상 데이터에 적용한다.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의 선택 기준으로는,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전송률 정보, 영상 품질 정보, 시스템 자원 상태, 사용자 설정값, 초기 설정값 등이 있다. 이들 각각의 선택 기준 및 이들 기준에 근거한 선택 방법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350)는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의 생성과 관련된 처리만을 담당하는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가 아니라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 장치에 탑재된 연산 자원, 예컨대 CPU 또는 DSP 등의 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되는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해 생성된다. 이처럼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 시스템의 기존 자원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본 발명은 유연성 있고 경제적인 시스템 구조를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프로그램 메모리(340)는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의 생성과 연관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로서, 본 시스템을 위하여 추가된 메모리 장치가 아니라 타 프로그램의 코드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플래쉬 메모리 등의 기존 메모리 자원을 공유하는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생성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바이패스부(360)를 통해 그레이 LCD(370)로 바이패스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레이 LCD(37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 장치의 주 디스플레이(main display) 장치 또는 부 디스플레이(sub-display) 장치일 수 있다.
도 4는 도 3과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리보기 화면 제공은 단계(S410)에 의해 미리보기 명령을 수신함과 동시에 시작된다. 미리보기 명령은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 시스템 초기화와 함께 수행되거나, 또 달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장치의 메뉴 또는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조작함으로써 미리보기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전달될 수 있다.
미리보기 화면은 단계(S420)로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는 것을 그 첫번째 단계로 한다. 단계(S420)는 캡쳐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단계에 의한 영상 데이터의 가공은, 예컨대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잘라내어 국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이에 더해 국부 영상 데이터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현할 수 있는 크기로 축소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적용할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들 중에서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는 이와 같은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의 적용을 통해 사용자에게 더 나은 품질의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자원 또는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의 품질에 기초하여 현재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개별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이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개별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의 선택 및 적용에 앞서 공통적으로 히스토그램 평활화 기법을 영상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히스토그램 평활화 기법의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히스토그램(510)은 원본 영상 데이터의 화소 레벨별 화소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영상 데이터는 화소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값 주변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어둡게 촬영된 영상임을 알 수 있다. 히스토그램 평활화는 이처럼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는 화소 레벨을 전체 레벨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하게 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으로서, 영상 데이터의 화소 레벨 분포가 히스토그램(520)과 같이 되도록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이다.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미지 프로세싱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30)에 의해 선택되어 적용 가능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의 예로서, 이진화(binarization), 디더링(dithering), 및 비선형 양자화(non-linear quantization)를 각각 수행하는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S431)은 영상 데이터를 이진화하여 화소당 1 비트의 정보로 표현되는 그레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가장 기초적인 이진화 기법은, 전체 영상 데이터의 평균 화소 레벨을 임계값으로 설정하여, 각 화소 레벨이 임계값보다 크면 '1', 작으면 '0'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할 때 화소 데이터 분포에 관계없이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하던 종래의 방법에 비해 더 나은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때때로 영상 데이터의 화소 레벨 분포는 영상의 영역별로 크게 다를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체 영상 데이터에 대한 평균 화소 레벨이라는 단일한 임계값에 의존하는 대신에 전체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블록 영상에 대한 평균 화소 레벨을 각 블록별 임계값으로 이용함으로써 이진화 수행 결과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평균 화소 레벨을 산출하는 블록은 이진화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일정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윈도우를 이용함으로써 연산량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곤잘레스-우즈(Gonzalez-Woods) 이진화 기법이라는 또 다른 형태의 이진화 기법의 수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S610)에서는 영상 데이터의 최대값과 최소값 또는 평균 화소 레벨값에 기초하여 결정된 임계값 Told 을 기준으로 이진화를 수행하여 이진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단계(S620)에서는 이진화 데이터값, 즉 이진화된 영상 데이터의 화소 레벨에 따라 전체 영상 데이터를 이진화 레벨값이 '0' 인 영역 G1 과 '1' 인 영역 G2 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영상 데이터의 평균 밝기 U1 와 U2 를 계산한다.
단계(S630)에서는 영역 G1 및 G2 에 대해 U1 및 U2 에 기초하여 각각 새로운 임계값 Tnew 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영역 G1 과 G2 의 새로운 임계값 Tnew 는 각 각 U1 과 U2 로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단계(S610) 내지 단계(S630)는 임계값 Told 와 Tnew 간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로 진입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된다. 즉, 영역 G1 을 새로운 임계값 Tnew 를 기준으로 이진화 레벨값이 '0' 또는 '1' 인 국부 영역들로 다시 구분하고, 구분된 각 국부 영역의 평균 밝기를 이용하여 각 국부 영역의 새로운 임계값을 구한다. 마찬가지로 G2 에 대해서도 새로운 임계값을 기준으로 영역 G2 를 두 개의 국부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국부 영역에 대하여 새로운 임계값을 구한다. 이처럼 각 국부 영역에 대하여 새롭게 구한 임계값을 G1 또는 G2 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로 진입할 때까지 상기 영역 세분화 및 임계값 계산 동작을 반복한다.
이를 단계로서 표현하면, 단계(S640)에서 임계값 Tnew 와 Told 의 차이값을 계산하여 이를 임계 변화량 Δth 와 비교한다. 만약 상기 계산된 차이값이 임계 변화량 Δth 보다 작다면, Tnew 를 최종 임계값으로 결정하고 이 값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이진화한다. 그러나 만약 계산된 차이값이 임계 변화량 Δth 보다 작지 않다면, Told 를 새로 계산된 Tnew 값으로 대치하고 상기 단계(S610) 내지 단계(S630)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곤잘레스-우즈 이진화 기법은 이처럼 반복 연산에 의해 이진화 임계값을 결정함으로써 보다 나은 품질의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이진화 기법들은 화소당 1 비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표현하는 2-컬러 그레이 LCD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소당 2 비트를 이용하여 '0', '1', '2', 및 '3'의 4 개의 레벨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표현하는 4-컬러 그레이 LCD에도 확장하여 적용 가능하다.
도 7은 단계(S432)에 의해 수행되는 디더링 기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더링 기법은 제한된 수의 화소 레벨만을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더 많은 수의 화소 레벨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서, 도 7에서는 2-컬러 그레이 LCD를 이용하여 4-컬러 영상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디더링 기법을 예시한다. 도 7은 레벨 0 부터 레벨 3 까지의 네 개의 화소 레벨값에 대해, 2x2 크기의 디더 행렬(dither matrix), 디더 행렬에 의해 생성된 2x2 출력 영상, 그리고 2x2 출력 영상을 타일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얻어지는 전체 출력 영상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2x2 디더 행렬의 경우에는 하나의 화소 레벨값을 표현하기 위해 입력 영상의 화소 4 개가 이용된다. 이처럼 4 개의 화소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의 단위를 화소 블록이라고 하면, 출력 영상의 화소 블록이 가지는 값은 상응하는 입력 영상의 화소 블록의 평균 레벨값에 따라 4 개로 구분된다. 화소 블록의 레벨값이 0 인 경우(710)에, 화소 블록에 포함되는 4 개의 화소는 모두 비트값 '0' 을 갖는다. 그러나 화소 블록의 레벨값이 0 이 아닌 경우에는 디더 행렬에 정의된 순서에 따라 화소들이 '1' 의 값을 갖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레벨값이 1 인 경우(720)에는 디더 행렬에 1 이라고 표시된 곳에 위치한 화소가 비트값 '1' 을 가지고, 레벨값이 2 인 경우(730)에는 디더 행렬에 1 과 2 라고 표시된 곳에 위치한 화소들이 각각 비트값 '1' 을 갖는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레벨값이 3 인 경 우(740)에는 디더 행렬의 1, 2, 3 위치의 화소들이 비트값 '1' 을 가짐으로써, 레벨값이 높아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영상 데이터가 점점 밝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디더 행렬은 해상도를 희생하면서 표현 가능한 화소 레벨을 증가시키는 기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충분히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디더링 기법은 앞서 설명한 이진화 기법에 비해 더 풍부한 색상, 즉 화소 레벨을 표현하는 대신 더 많은 연산량을 요구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또 다른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인 비선형 양자화 기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 그 원리가 도시된 비선형 양자화 기법은 단계(S433)에 의해 수행된다. 도 8은 4 개의 레벨을 이용하여 화소 데이터를 표현하는 4-컬러 그레이 LCD의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양자화(quantization)란 많은 수의 색상으로 표현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더 적은 수의 제한된 수의 색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래프(810)는 화소 레벨값의 분포를 고려하지 않고 전체 영상 데이터의 화소 레벨을 4 개의 레벨로 균등 분할하는 선형 양자화(linear quantization) 기법을 예시한다.
그래프(820)는 동일한 4 개의 레벨을 사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표현하면서도 그래프(810)와 달리 균등 분할된 경계값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프(820)에서는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화소들의 레벨값 분포를 고려하여, 그 분포량이 많은 레벨 값 주변에서는 레벨간 간격을 좁게 배치하고, 분포량이 적은 레벨값 주변에서는 레벨간 간격을 넓게 배치함으로써 분포량이 많아 구분의 필요성이 큰 레벨들을 보다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프(820)와 같이 화소 레벨값의 분포를 고려하여 양자화 레벨값을 비선형적으로 구분하는 양자화 기법을 비선형 양자화라고 한다.
원본 영상 데이터의 상위 2 비트만을 이용하여 총 4 개의 레벨로 구성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선형 양자화 기법에 해당한다. 그러나, 선형 양자화 기법은 원본 영상 데이터가 전체적으로 어둡거나 전체적으로 밝은 경우에 충분히 좋은 품질의 미리보기 영상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반면에 비선형 양자화 기법은 원본 영상 데이터의 화소 레벨값의 분포를 고려하여 양자화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이와 같은 경우에도 좋은 품질의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비선형 양자화 기법은 일반적으로 디더링 기법과 이진화 기법에 비해 더 나은 미리보기 영상을 산출하는 반면 더 많은 연산량을 요구한다.
도 9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의 적용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그림(910)은 8 비트 정보를 이용하여 256 개의 색상으로 표현된 원본 영상 데이터이다. 그림(920)은 그림(910)의 영상 데이터를 이진화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림(930) 및 그림(940)은 각각 디더링 결과 및 비선형 양자화 결과를 도시한다. 도 9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진화 영상 데이터는 선명한 반면에 색상이 풍부하지 않고, 디더링 영상 데이터는 색상이 풍부한 반 면에 선명하지 않다. 비선형 양자화 영상 데이터는 선명하면서 색상도 풍부하지만, 많은 연산량을 요구한다.
이처럼 각각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이 나름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획일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들 가운데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함으로써 보다 적응적인 시스템 운영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와 연관된 영상 정보를 검출 또는 측정하고, 검출 또는 측정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정보는 프레임 전송률 정보를 포함한다. 프레임 전송률이란, 단위 시간당 몇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어 재생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백엔드 프로세서(320)의 영상 캡쳐 속도와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그레이 LCD(370)의 프레임 재생 성능에 의해 제한된다. 프레임 전송률 정보는 예컨대 매 프레임 전송시에 발생하는 동기 신호인 VSYNC 의 발생 주기를 측정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측정된 프레임 전송률이 높을수록 더 빠른 속도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어야 하므로 연산량이 적은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이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이진화, 디더링, 및 비선형 양자화 기법 중에서는 이진화 기법이 우선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정보는 미리보기 영상의 품질 정보를 포함한다. 즉, 임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여 생성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의 영상 품질(image quality)이 충분히 좋지 않은 경우에 다음 프레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산량을 요구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미리보기 화면 제공 모드가 시작되면, 일단 가장 연산량이 적은 이진화 기법을 적용하여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의 영상 품질을 측정하고, 만약 측정된 영상 품질이 소정의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음 프레임에 대해 연산량이 조금 더 많은 디더링 기법을 적용한다. 그러나 디더링 기법을 적용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 역시 영상 품질이 상기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면 그 다음 프레임에 대해서는 가장 연산량이 많고 이미지 품질이 뛰어난 비선형 양자화 기법을 적용하는 식으로, 반복하여 측정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의 영상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단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시스템에 최적화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의 영상 품질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와 원본 영상 데이터 간의 피크 신호대 잡음비(PSNR: Peak Signal to Noise Ratio)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원본 영상 데이터와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차이값을 잡음으로, 원본 영상 데이터 또는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신호로 하여 상기 PSNR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PSNR 값이 소정 기준을 만 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의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유지하거나 복잡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정보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또는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 전체의 프로세서 자원 또는 메모리 자원과 연관된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이 때 검출되어 참조되는 상태 정보는 시스템에 포함되어 사용 가능한 최대 자원량 또는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선택 가능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연산량을 기준으로 적절히 제한함으로써 시스템 상태에 최적화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응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선택 기준들을 적용하기에 앞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선택 정보를 우선적으로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설정값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3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값을 참조하여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달리,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350)는 시스템 설계시에 입력되어 저장된 초기 설정값을 참조하여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할 수 있다. 초기 설정값은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와 연관된 다양한 파라미터들, 예컨대 미리보기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표현 가능한 색상의 수, 프레임 재생률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설정값 또는 초기 설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선택 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의 예로서 이진화, 디더링, 및 비선형 양자화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은 제한된 화소수와 제한된 화소 레벨을 갖는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용 가능한 기타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40)에서는 앞서 설명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여 생성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그레이 LCD로 바이패스하여 사용자에게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미리보기 화면 제공은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촬영 대상을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촬영 명령을 수신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촬영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백엔드 프로세서(320)는 이미지 센서(3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여 저장한다. 이 때, 그레이 LCD(370)에는 캡쳐된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미리보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특히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촬영을 개시하기 전과는 달리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동안에는 미리보기 화면을 계속하여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금 큰 연산량을 요구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더 나은 품질의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산출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세 가지 기법 중에서는 비선형 양자화 기법이 이에 해당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의 세부 내용 및 상기 이미지 프로세 싱 기법의 선택과 관련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과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발명에 대해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의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구성 요소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가하여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발명을 착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여 미리보기 화면의 영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처럼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 미리보기 화면의 영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미리보기 화면의 영상 품질 향상을 통해, 휴대용 기기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보다 명확한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고, 따라서 사용자의 촬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보기 영상의 품질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영상 품질에 기초한 적응적 이미지 프로세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프레임 전송률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프레임 전송률에 기초한 적응적 이미지 프로세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서 자원 또는 메모리 자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하여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에 저장된 초기 설정값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의 선택 가능성을 제공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촬영 시스템에 저사양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사양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용도를 높이고, 영상 촬영 시스템의 저가격화를 이룰 수 있다.

Claims (25)

  1.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의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가공하는 백엔드 컨트롤 프로세서 장치;
    상기 가공된 영상 데이터에 소정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여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 및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영상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영상 정보는 영상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검출된 영상 품질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프레임 전송률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검출된 프레임 전송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품질 정보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 간의 피크 신호대 잡음비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 품질 정보를 반복하여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상 품질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들을 단계적으로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시스템의 프로세서 자원 또는 메모리 자원의 상태와 연관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검출된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7.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의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가공하는 백엔드 컨트롤 프로세서 장치;
    상기 영상 데이터에 적용되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선택 정보 저장부;
    상기 선택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상기 가공된 영상 데이터에 적용하여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 및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선택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는 상기 시스템의 프로세서 자원 또는 메모리 자원의 양, 또는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와 연관된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정해진 초기 설정값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은 이진화 기법, 디더링 기법, 및 비선형 양자화 기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히스토그램 평활화하고, 상기 히스토그램 평활화된 영상 데이터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는 그레이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 영상 데이터는 픽셀당 2 비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레이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 장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시스템.
  16. 휴대용 단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캡쳐된 영상 데이터의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캡쳐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제1 단계;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 단계;
    상기 가공된 영상 데이터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여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바이패스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측정된 영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하고,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의 영상 품질 지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캡쳐된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잘라내어 국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국부 영상 데이터를 축소하여 축소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전송률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
  19. 삭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영상 품질 지수를 반복하여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은 이진화 기법, 디더링 기법, 및 비선형 양자화 기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는 그레이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촬영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촬영 명령에 따라 상기 캡쳐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들 중에서 가장 큰 연산량을 요구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 화면 제공 방법.
  25. 제16항 내지 제18항 또는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60070819A 2006-07-27 2006-07-27 휴대용 단말 장치에서 촬영 영상의 미리보기 화면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860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19A KR100860852B1 (ko) 2006-07-27 2006-07-27 휴대용 단말 장치에서 촬영 영상의 미리보기 화면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19A KR100860852B1 (ko) 2006-07-27 2006-07-27 휴대용 단말 장치에서 촬영 영상의 미리보기 화면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598A KR20080010598A (ko) 2008-01-31
KR100860852B1 true KR100860852B1 (ko) 2008-10-02

Family

ID=3922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819A KR100860852B1 (ko) 2006-07-27 2006-07-27 휴대용 단말 장치에서 촬영 영상의 미리보기 화면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31B1 (ko) 2006-11-10 2008-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643321B1 (ko) * 2010-02-02 2016-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127A (ko) * 2002-10-18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의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KR20050108628A (ko) * 2004-05-12 2005-11-17 엠텍비젼 주식회사 고화소 영상을 프리뷰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127A (ko) * 2002-10-18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의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KR20050108628A (ko) * 2004-05-12 2005-11-17 엠텍비젼 주식회사 고화소 영상을 프리뷰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598A (ko)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24323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7395898B (zh) 一种拍摄方法及移动终端
US8339475B2 (en) High dynamic range image combining
JP5334402B2 (ja) 映像のチラつきを改善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方法
JP6328275B2 (ja) 画像タイプ識別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080637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mera metering based on flesh tone detection
WO2012098768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撮影装置
US888510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region-based local contrast enhancement
CN112055875A (zh) 电子显示器部分图像帧更新系统和方法
US8878867B2 (en) Transparency information in image or video format not natively supporting transparency
US10674163B2 (en) Color space compression
KR100860852B1 (ko) 휴대용 단말 장치에서 촬영 영상의 미리보기 화면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1738951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US8824795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lightening said image
US201201824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ing context of a mobile device
WO2005106790A1 (ja) 携帯電話機、画像変換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361497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8588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signal processing
US202202927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ffect processing
KR20170022599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컬러 비트 감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3194089A1 (en) Method for correcting sdr pictures in a sl-hdr1 system
CN115760652A (zh) 扩展图像动态范围的方法和电子设备
US881809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device recording image processing program
CN117057995A (zh) 图像处理方法、装置、芯片、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H10276424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