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384B1 -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384B1
KR100860384B1 KR1020070034553A KR20070034553A KR100860384B1 KR 100860384 B1 KR100860384 B1 KR 100860384B1 KR 1020070034553 A KR1020070034553 A KR 1020070034553A KR 20070034553 A KR20070034553 A KR 20070034553A KR 100860384 B1 KR100860384 B1 KR 10086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hucking
collet chuck
blank
machin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우
Original Assignee
(주)다진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진이엠씨 filed Critical (주)다진이엠씨
Priority to KR102007003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2Accessories, e.g. stops,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10Devices for clamping workpieces of a particular form or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회전중에 로딩시킬 수 있어 로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회전하는 주축에 의해 가공물의 척킹부에 흠집이 발생하지도 아니하며, 나아가, 잦은 정지/회전에 따른 부하나 무리가 기계에 가해지지도 아니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도 저렴한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한다. 그 방법은, 회전형 공작기계의 주축의 콜렛척(11)이 개방되어 가공물 완성품(1a)을 언로딩한 후, 가공물 블랭크(1b)를 척킹한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으로부터 상기 주축의 콜렛척(11)에 로딩시키기 위한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콜렛척(11)이 개방되고 회전하는 상태에서 로딩위치에서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을 X축 이송장치(22)에 의해 개방된 주축의 콜렛척(11)의 내로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c)를 부분적으로 삽입시키는 1차 척킹이송단계와,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가공물 블랭크(1b)의 후방을 왕복수단(42)과 밀대수단(41)으로 밀어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c)를 주축의 콜렛척(11)에 전부 삽입시키고 주축의 콜렛척(11)을 폐쇄시키는 2차 밀대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주축의 콜렛척(11)의 회전을 멈추지 아니하면서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c)의 손상을 방지한 채, 로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34553
회전형 공작기계, 자동로딩, 고속회전중, 1차척킹이송, 2차밀대이송

Description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과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ading a work for a machine tool of a work rotation type}
도 1a는 가공물의 가공후 상태를 도시한 가공물 완성품의 정단면도이고, 도 1b는 가공물의 가공전 상태를 도시한 가공물 블랭크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로딩장치의 일실시예를 다축선반에 적용시킨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의 공정별 도 2의 자동로딩장치 및 선반의 주축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다축선반(회전형 공작기계) 11: 주축의 콜렛척
12: 중공스토퍼 13: 스프링
14: 푸셔축 20: 자동로딩장치
21: 고정브라켓 22: X축 이송장치
23: Z축 이송장치 30: 가공물 척킹장치
31: 콜렛척 32: 슬리브
41: 밀대수단 42: 왕복수단
50: 가공물 블랭크 정렬공급장치 51: 적재대
본 발명은, 고속회전중에 로딩시킬 수 있어 로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회전하는 주축에 의해 가공물의 척킹부에 흠집이 발생하지도 아니하며, 나아가, 잦은 정지/회전에 따른 부하나 무리가 기계에 가해지지도 아니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도 저렴한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선반과 같은 회전형 공작기계에서는 주축의 콜렛척에 가공물 블랭크(work blank-가공전 상태)를 척킹하여 가공을 하게 된다. 다축선반의 경우에는 다수의 주축을 구비하여 서로 분할하여 가공이 이루어지며, 다양한 가공이 필요한 경우 공구의 절환 등이 불필요하여 전체적인 가공시간이 단축되게 된다. 즉, 다축선반의 경우에 어느 한 주축에서 완성품을 배출하고 가공전 제품인 블랭크를 공급(Loading & Unloading)하는 과정은 적어도 다른 주축들에서의 가장 긴 작업시간과 같거나 짧은 시간에 이루어짐으로써 전 공정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선반과 같은 회전형 공작기계에서 주축의 콜렛척에 언로딩 및 로딩하기 위해서는 고속회전하는 주축을 정지시킨 후, 언로딩 및 로딩을 수행하며, 그 뒤, 다시 고속으로 주축을 회전시켜 가공을 하게 되므로, 언로딩과 로딩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주축의 회전을 자주 정지시키고 다시 회전시킴에 따라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어 에너지 등의 소모가 많으며, 나아가, 회전형 공작기계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가공물의 일예로서 자동차 부품인 가이드로드의 경우와 같이, 특히 일차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간 단조 가공후,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로 선반에서 절삭 가공이 필요한 경우, 가공물 완성품(1a)의 척킹부(1d) 외관에 특히 척킹으로 인한 흠집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현재 CNC선반 및 다축선반와 같은 모든 회전형 공작기계에서는 블랭크를 로딩하거나 완성품을 언로딩할 때에는 주축스핀들을 정지시켜야 한다. 그렇게 되면 고속회전하는 주축이 정지되고 제품을 배출한 후, 다시 블랭크를 공급하며, 다시 주축이 고속 작업 회전속도까지 도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어 고가의 다축자동선반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가공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어 더욱 불리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로딩장치에서 블랭크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로딩시키면, 공작기계의 주축을 정지/회전시킴이 없이도 블랭크의 로딩이 가능하지만, 로딩장치에 고속으로 블랭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시켜야 하는 데, 이러한 회전수단의 추가는 그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운전비용과 제작비가 고가로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속회전중에 로딩시킬 수 있어 로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회전하는 주축에 의해 가공물의 척킹부에 흠집이 발생하지도 아니하며, 나아가, 잦은 정지/회전에 따른 부하나 무리가 기계에 가해지지도 아니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한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은, 회전형 공작기계의 주축의 콜렛척이 개방되어 가공물 완성품을 언로딩한 후, 가공물 블랭크를 척킹한 가공물 척킹장치의 콜렛척으로부터 로딩위치에서 상기 주축의 콜렛척에 로딩시키기 위한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콜렛척이 개방되고 회전하는 상태에서 가공물 척킹장치의 콜렛척을 X축 이송장치에 의해 개방된 주축의 콜렛척의 내부로 가공물 블랭크의 척킹부를 부분적으로 삽입시키는 1차 척킹이송단계와, 가공물 척킹장치의 콜렛척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가공물 블랭크의 후방을 왕복수단과 밀대수단으로 밀어 가공물 블랭크의 척킹부를 주축의 콜렛척에 전부 삽입시키고 주축의 콜렛척을 폐쇄시키는 2차 밀대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주축의 회전을 멈추지 아니하면서 가공물 블랭크의 척킹부의 손상을 방지한 채, 로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전형 공작기계의 주축의 콜렛척이 개방되어 가공물 완성품을 언로딩한 후, 가공물 블랭크를 척킹한 가공물 척킹장치의 콜렛척으로부터 그 가공물 블랭크를 로딩위치에서 상기 주축의 콜렛척에 로딩시키기 위한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장치에 있어서, 로딩위치에서 개방된 주축의 콜렛척의 내부로 가공물 블랭크의 척킹부를 부분적으로 삽입시키도록 가공물 블랭크의 가공부를 콜렛척으로 척킹하여 왕복이송되는 가공물 척킹장치와, 그 가공물 척킹장치를 전후진 왕복이송시키기 위한 X축 이송장치와, 그 가공물 척킹장치의 콜렛척을 개방시킨 때에 가공물 블랭크의 후방을 밀어 가공물 블랭크의 척킹부를 주축의 콜렛척에 전부 삽입시킴으로써 회전하는 주축의 콜렛척에 의해 손상됨이 없이 척킹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왕복수단과 밀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에는 일예로서 가공물의 가공후와 가공전의 상태를 도시한 가공물 완성품(1a) 및 가공물 블랭크(1b)의 정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자동로딩장치(20)의 일실시예를 다축선반(10)에 적용시킨 구성이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로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의 일실시예가 공정도로 도시되며, 도 4 내지 도 7에는 도 3의 공정별 도 2의 자동로딩장치(20) 및 선반의 주축의 콜렛척(11)의 상태가 개략 부분단면도로서 도시된 다.
먼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가공물 완성품(1a) 및 가공물 블랭크(1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차 냉간 단조 가공후, 이차로 선반에서 절삭 가공을 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가공물 완성품(1a)의 척킹부(1d)의 외관에 척킹으로 인한 흠집이 발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로딩장치(20)는, 회전형 공작기계의 일종인 다축선반(10)의 언로딩 및 로딩을 위한 위치에서의 주축의 콜렛척(11)에 가공물 블랭크(1b)를 척킹시킬 수 있도록 로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주축의 콜렛척(11)이 개방되어 가공물 완성품(1a)을 언로딩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물 블랭크(1b)를 척킹한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으로부터 그 가공물 블랭크(1b)를 상기 주축의 콜렛척(11)에 로딩시킨다. 이와 같이 로딩시킬 수 있는 위치를 가공물 척킹장치(30)의 로딩위치라 하며, 도시가 생략되지만, 도 2에서 Z축 이송장치(23)에 의해 가공물 척킹장치(30)가 가공물 블랭크 정렬공급장치(50)의 적재대(51)로부터 가공물 블랭크(1b)를 척킹하기 위한 위치를 척킹위치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로딩장치(20)는, 기본적으로 가공물 척킹장치(30), X축 이송장치(22), 왕복수단(42) 및 밀대수단(41)을 구비하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활한 가공물 블랭크(1b)의 공급을 위해 척킹위치와 로딩위치 사이에서 가공물 척킹장치(30)를 왕복이송시키기 위한 Z축 이송장치(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X축 이송장치(22) 및 Z축 이송장치(23)는, 일예로 각종 슬라이드기구와 왕복수단의 구성과 같이 종래의 다양한 공지된 구성이 채용되는 것으로 그 구체적 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가공물 척킹장치(30)는, 가공물 블랭크(1b)를 척킹하기 위한 콜렛척(31)을 구비하며, 로딩위치에서 개방된 주축의 콜렛척(11)의 내부로 그 콜렛척(31)에 척킹된 상태로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c)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시키기 위해 X축 이송장치(22)에 의해 상기 가공물 척킹장치(30)가 주축의 콜렛척(11)에 근접하는 위치와 멀어지는 위치사이에서 전후진 왕복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밀대수단(41)의 왕복수단(42)은, 가공물 척킹장치(30)의 후방에 설치된 채, 밀대수단(41)에 연결되어,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c)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축의 콜렛척(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을 개방시킨 때에 밀대수단(41)으로 가공물 블랭크(1b)의 후방을 밀어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c)를 주축의 콜렛척(11)에 전부 삽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밀대수단(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물 척킹장치(30)의 내부에 설치되며, 가공물 척킹장치(30)에 의해 왕복운동이 가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대수단(41)은 가공물 블랭크(1b)를 구속함이 없이 밀 수 있는 것이 면, 그 구조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공물 블랭크(1b)를 미는 때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주축의 콜렛척(11)에 의해 척킹되는 척킹회전력에 대한 마찰저항을 가급적 최소화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밀대수단(41)의 전방 끝부분이 뽀족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왕복수단(42)은, 일정한 거리만큼 왕복이동하는 에어실린더와 같은 왕 복이동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왕복이동거리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공물의 범용성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또, 그 왕복수단(42)은, 도시가 생략되지만, 밀대수단의 일정한 전진위치에서 전진을 억제하는 스토퍼와, 밀대수단을 전진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밀대수단(41)의 스프링은, 주축의 콜렛척(11)내에 내장된 스토퍼(12) 및 푸시수단(푸시축(14) 및 스프링(13))으로 가공물 완성품(1a)의 언로딩이 이루어지는 경우, 푸시수단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가공물 블랭크(1b)를 주축의 콜렛척(11)내의 완전한 척킹위치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력을 지녀야 할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로딩장치(20)는, 가공물 블랭크(1b)의 가공 내지 가공물 완성품(1a)의 언로딩시 장애가 되지 아니함과 동시에 가공물 블랭크 정렬공급장치(50)로부터 가공물 블랭크(1b)를 척킹하기 위한 척킹위치와 로딩위치사이에서 가공물 척킹장치(30)를 왕복이동시키는 Z축 이송장치(23)를 구비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자동로딩장치(20)의 작용효과는, 본 발명의 자동로딩방법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8에서 가공물 블랭크(1b)의 자동공급순서(automatic loading sequence)는 다음과 같다.
1. 공급대기단계(S1)
가공물 블랭크 정렬공급장치(50)로부터 자동로딩장치(20)의 콜렛척(collet chuck)(31)에 가공물 블랭크(1b)의 가공부(1c)를 척킹한 후, 다축선반(10)의 주축의 콜렛척(11)의 앞, 즉 로딩위치로 Z축 이송장치(23)에 의해 이송되는 단계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d)가 다축선반(10)의 주축의 콜렛척(11)을 향하게 한 상태 즉, 로딩위치로 이동되어 대기하는 과정이다. 이 공급대기단계에서의 대기시간은 다축선반(10)의 경우 여타 가공시간과의 조화를 위한 것일 뿐, 대기시간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때에도 다축선반(10)의 주축은 정지하지 않고 설정된 작업 회전수와 동일 속도로 회전한다. 단, 다축선반(10)의 주축의 콜렛척(11)은 이미 완성된 가공물을 배출하고 척이 개방된 상태로 회전한다.
2. 1차 척킹이송단계(S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이송장치(22)에 의해 가공물 척킹장치(30)가 다축선반(10)의 주축방향으로 이송되어 가공물 블랭크(1b)를 선반의 주축의 콜렛척(11) 안에 1차 이송시켜 준다. 이 때에도 선반의 주축은 상기 1항의 공급대기 상태와 마찬가지로 콜랫척이 열린 상태로 동일속도로 회전한다.
3. 2차 밀대이송단계(S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이 열리면서 왕복수단(42)과 밀대수단(41)에 의해 가공물 블랭크(1b)를 선반의 주축의 콜렛척(11) 안에 깊숙히 밀어서 2차 이송을 완료한다. 이때, 통상 선반 주축의 콜렛척(11)안에 내장된 스토퍼(stopper) 내지 푸셔축(14)이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d)를 받쳐 주어서 일정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가공물 블랭크(1b)가 선반의 주축의 콜렛척(11)에 완전히 삽입됨과 동시에 선반 주축의 콜렛척(11)이 잠기고 동시에 가공물 블랭크(1b)도 함께 회전하기 시작한다.
4. 원위치로의 복귀단계(S4)
1차 척킹이송단계 및 2차 밀대이송단계에서 가공물 블랭크(1b)의 로딩을 완료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수단(41)은 다시 가공물 척킹장치(30) 안의 원 위치로 복귀하고 동시에 가공물 척킹장치(30)도 X축 이송장치(22)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주축의 콜렛척(11)은 다축선반(10)의 다음 단계로 회전하여 가공이 이루어지고,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 완성품(1a)은 다시 언로딩을 위한 단계로 회전하게 된다. 하나의 주축만을 지니는 회전형 공작기계의 경우 로딩된 위치에서 가공이 이루어진다.
5.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단계(S5)
이와 같이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 완성품(1a)은 다시 언로딩을 위한 단계(스테이션)로 회전하게 되며, 종래의 공지된 어느 한 방법으로 언로딩이 이루어지는 동안, 또, 하나의 주축만을 지니는 회전형 공작기계의 경우 가공 및 언로딩이 이루어지는 동안, 자동로딩장치(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 이송장치(23)에 의해서 적재대(51)앞의 척킹위치(후방))으로 이송되어서 가공물 블랭크 정렬공급장치(50)의 적재대(51)에 정렬된 가공물 블랭크(1b)를 X축 이송장치(22)에 의한 이송과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의 개폐에 의해 다시 척킹하게 되며, 그 뒤, Z축 이송장치(23)에 의해 다시 상술한 공급대기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에 의하면, 로딩을 위한 가공물 블랭크(1b)의 이송단계가 1차 척킹이송단계 및 2차 밀대이송단계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1차 척킹이송단계에서는, 주축의 콜렛척(11)이 개방되고 회전하는 상태에서 개방된 주축의 콜렛척(11)의 내로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c)를 부분적으로 삽입시키도록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을 X축 이송장치(22)에 의해 이송시키는 것이며, 2차 밀대이송단계에서는,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가공물 블랭크(1b)의 후방을 왕복수단(42)과 밀대수단(41)으로 밀어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c)를 주축의 콜렛척(11)에 소정의 척킹위치로 전부 삽입시키고 주축의 콜렛척(11)을 폐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밀대수단(41)으로 가공물 블랭크(1b)를 밀어 주축의 콜렛척(11)에 완전히 삽입시킨 후 주축의 콜렛척(11)에 의해 척킹하는 것이므로, 가공물 블랭크(1b)가 약간 편심지거나 회전하더라도 표면에의 손상없이 그 편심이 쉽게 교정되어 주축의 콜렛척(11)의 센타라인을 따르며, 가공물 블랭크(1b)의 가공부(1d)의 머리부분을 밀어주기 때문에 밀어주는 동안에도 큰 저항없이 회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이며, 이에 따라, 주축의 콜렛척(11)의 회전을 멈추지 아니하면서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c)의 손상을 발생시킴이 없이, 주축의 콜렛척(11)에서 척킹하여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주축을 정지시킬 필요없어 주축의 정지/회전에 따른 시간이 제거되어 로딩시간이 단축되게 되고 전 가공시간이 단축되게 된다.
또한, 매 가공물 한 개마다 가공시 주축이 정지/회전시킴에 따른 부하가 없어 무리가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선반의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또, 회전하는 주축과 정지된 가공물 사이의 마찰이 크게 저감되어 이로 인한 제품 외관의 흠집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되며, 나아가, 본 발명의 자동로딩장치(20)는 단순히 밀대수단(41)과 왕복수단(42)만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어서 구조가 간단하며 제작 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위에서는 주로 다축선반(10)을 중심으로 본 발명이 설명되지만, 선반의 주축의 회전/정지를 불문하고 로딩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본 발명은, 다축선반(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선반, 나아가 어떤 회전형 공작기계에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과 그 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고속회전중에 로딩시킬 수 있어 로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회전하는 주축에 의해 가공물의 척킹부에 흠집이 발생하지도 아니하며, 나아가, 잦은 정지/ 회전에 따른 부하나 무리가 기계에 가해지지도 아니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회전형 공작기계의 주축의 콜렛척(11)이 개방되어 가공물 완성품(1a)을 언로딩한 후, 가공물 블랭크(1b)를 척킹한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으로부터 상기 주축의 콜렛척(11)에 로딩시키기 위한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d)가 상기 주축의 콜렛척(11)을 향하게 한 상태로 이동되어 대기하는 공급대기단계와, 상기 주축의 콜렛척(11)이 개방되고 회전하는 상태에서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을 X축 이송장치(22)에 의해 이송시켜 개방된 주축의 콜렛척(11)의 내로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d)를 부분적으로 삽입시키는 1차 척킹이송단계와,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가공물 블랭크(1b)의 후방을 왕복수단(42)과 밀대수단(41)으로 밀어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d)를 주축의 콜렛척(11)에 전부 삽입시키고 주축의 콜렛척(11)을 폐쇄시키는 2차 밀대이송단계와, 상기 2차 밀대이송단계 뒤, 가공 및 언로딩이 이루어지는 동안, 새로운 가공물 블랭크(1b)를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에 다시 척킹하는 블랭크 척킹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주축의 콜렛척(11)의 회전을 멈추지 아니하면서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c)의 손상을 방지한 채, 로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완성품(1a)이 회전형 공작기계의 주축의 콜렛척(11)의 전방으로 언로딩되는 때에, 그 언로딩과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을 위해 상기 가공물 척킹장치(30)를 Z축 이송장치(23)에 의하여 로딩위치로부터 가공물 블랭크 정렬공급장치(50)로부터의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위치로 이송하고, 그 척킹위치에서 X축 이송장치(22)에 의해 척킹이 이루어지며, 상기 가공물 완성품(1a)이 언로딩된 뒤, 상기 가공물 척킹장치(30)가 Z축 이송장치(23)에 의해 로딩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공작기계는, 회전을 정지시킴이 없이 하나의 스테이션에서의 언로딩 및 로딩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전 스테이션에서의 공정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스테이션에서 이동하는 다수의 주축을 지니는 다축선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
  4. 회전형 공작기계의 주축의 콜렛척(11)이 개방되어 가공물 완성품(1a)을 언로딩한 후, 가공물 블랭크(1b)를 척킹한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으로부터 그 가공물 블랭크(1b)를 로딩위치에서 상기 주축의 콜렛척(11)에 로딩시키기 위한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장치에 있어서,
    로딩위치에서 개방된 주축의 콜렛척(11)의 내부로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c)를 부분적으로 삽입시키도록 가공물 블랭크(1b)의 가공부(1d)를 콜렛척(31)으로 척킹하여 왕복이송되는 가공물 척킹장치(30)와, 그 가공물 척킹장치(30)를 전 후진 왕복이송시키기 위한 X축 이송장치(22)와, 그 가공물 척킹장치(30)의 콜렛척(31)을 개방시킨 때에 가공물 블랭크(1b)의 후방을 밀어 가공물 블랭크(1b)의 척킹부(1c)를 주축의 콜렛척(11)에 전부 삽입시킴으로써 회전하는 주축의 콜렛척(11)에 의해 손상됨이 없이 척킹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왕복수단(42)과 밀대수단(4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가공물 블랭크(1b)의 가공 내지 가공물 완성품(1a)의 언로딩시 장애가 되지 아니함과 동시에 가공물 블랭크 정렬공급장치(50)로부터 가공물 블랭크(1b)를 척킹하기 위한 척킹위치와 로딩위치사이에서 가공물 척킹장치(30)를 왕복이동시키는 Z축 이송장치(23)을 구비하며, 상기 밀대수단(41)는, 가공물 척킹장치(30)가 주축의 콜렛척(11)에 완전히 삽입되는 때에 가공물 블랭크(1b)가 약간 편심지거나 회전하더라도 표면에의 손상없이 그 편심이 쉽게 교정되어 주축의 콜렛척(11)의 센타라인을 따르며, 약간 회전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가공물 블랭크(1b)의 가공부(1d)의 머리부분을 밀어주기 위해 전방 끝부분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장치.
KR1020070034553A 2007-04-09 2007-04-09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과 그 장치 KR10086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553A KR100860384B1 (ko) 2007-04-09 2007-04-09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553A KR100860384B1 (ko) 2007-04-09 2007-04-09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384B1 true KR100860384B1 (ko) 2008-09-26

Family

ID=4002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553A KR100860384B1 (ko) 2007-04-09 2007-04-09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59368A (zh) * 2023-12-07 2024-01-09 章丘重型锻造有限公司 一种自动换料的数控车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338A (ja) * 1995-06-26 1996-04-30 Hitachi Ltd 部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338A (ja) * 1995-06-26 1996-04-30 Hitachi Ltd 部品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59368A (zh) * 2023-12-07 2024-01-09 章丘重型锻造有限公司 一种自动换料的数控车床
CN117359368B (zh) * 2023-12-07 2024-03-12 章丘重型锻造有限公司 一种自动换料的数控车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9419B2 (en) Machine tool
JP5630950B2 (ja) 工作機械用の自動送り装置及び自動送り装置の操作方法
US50256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axially symmetrical parts
JP2009066751A6 (ja) 工作機械用の自動送り装置及び自動送り装置の操作方法
US8464618B2 (en) Numerically controlled lathe with guide bush, and method of processing workpiece by using the numerically controlled lathe
US8881627B2 (en) Workpiece supply/conveyance device and machine tool with the workpiece supply/conveyance device
US3918331A (en) Lathes
EP1485231B1 (en) Machine tool assembly
KR20060050784A (ko) 수직 선반
US4763549A (en) Machine tools, preferably lathes
US5832590A (en) System for machining workpieces
JPS6157135B2 (ko)
JP2000225502A (ja) 数値制御による旋盤と旋盤加工プロセス
US50834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both sides of workpieces
US50204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both sides of workpieces
KR20180055873A (ko) 공작 기계 및 공작 기계에 의한 가공 방법
KR100860384B1 (ko) 회전형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자동로딩방법과 그 장치
US6345938B1 (en) Process for drilling at least two holes in a two-step cycle
US6302005B1 (en) Pneumatic bar feed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a plurality of bar stocks to a lathe or the like device
US3239079A (en) Work feeder for machine tool
SU7555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колец шарикоподшипников1
US10850387B2 (en) Automatic workpiece transfer machine
JP7164958B2 (ja) 工作機械
US578777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orkpiece loading and unloading in lathe
JP2003245803A (ja) 細物ワークの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