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745B1 -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허혈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허혈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745B1
KR100859745B1 KR1020070007036A KR20070007036A KR100859745B1 KR 100859745 B1 KR100859745 B1 KR 100859745B1 KR 1020070007036 A KR1020070007036 A KR 1020070007036A KR 20070007036 A KR20070007036 A KR 20070007036A KR 100859745 B1 KR100859745 B1 KR 100859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f
prolyl hydroxylase
protein
peptide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384A (ko
Inventor
양은경
조현주
김수년
박현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0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745B1/ko
Priority to US12/017,535 priority patent/US20100004325A1/en
Publication of KR2008006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표지된 HIF-1α 펩타이드와 VBC 단백질의 결합을 억제하는 스크리닝 방법으로 선정된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HIF-1α specific prolyl hydroxylase 2) 억제제, 바람직하게는 바이칼레인(Baicalein), 및 이를 함유하는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과 같은 허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혈관생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바이칼레인, 허혈성 질환, 혈관생성

Description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HIF-1α SPECIFIC PROLYL HYDROXYLASE 2 INHIBITORS AN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DISEASES CONTAINING THE SAME}
도 1은 HIF-1α의 아미노산 서열 중 556 내지 575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564번째 위치에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에 의하여 수산화되는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형광표지된 펩타이드(F-P564)의 수산화 반응이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화합물(NINDS Custom Collection II, MicroSource Discovery System)에 의해 억제되는 정도를 형광편광 값의 비(%)로 측정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HIF-1α의 아미노산 서열 중 556 내지 575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564번째 위치에 이미 수산화된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형광표지된 펩타이드(F-HyP564)의 수산화 반응이 바이칼레인에 의해 억제되는 정도를 형광편광 값(FP)으로 측정하여 이를 칼레이다그래프(KaleidaGraph)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소활성을 50% 저해하는 바이칼레인의 농도(IC50)를 구한 그래프이고, 도 2b는 바이칼레인이 HIF-1α의 아미노산 서열 중 556 내지 575번째의 아미노 산 서열을 갖고, 564번째 위치에 이미 수산화된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형광표지된 펩타이드(F-HyP564)와 VBC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형광편광 값(FP)으로 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3a는 바이칼레인이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바이칼레인 존재 또는 부재하에 biotin이 부착된 B-P564 펩타이드와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를, 도 3b는 HIF-1α 아미노산 서열 중 C-말단 부위에 존재하며 전사활성에 영향을 주는 803번째에 위치한 아스파라긴 잔기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인 F-N803 펩타이드(인간 HIF-1α의 아미노산 서열 중 788 내지 822번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와 아스파라긴 하이드록실라제(FIH-1, Factor-inhibiting FIH-1)를 각각 반응시킨 후, 바이칼레인의 존재 여부에 따른 상기 펩타이드의 수산화 반응 정도를 질량분석기(mass spectrometry)로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a및 4b는 바이칼레인의 농도에 따른 HepG2 및 SH-SY5Y 세포내의 HIF-1α 단백질량 변화를 각각 웨스턴 블랏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사진으로, Clioquinol(CQ, 50 μM) 및/또는 저산소 상태(hypoxia, H)는 바이칼레인의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것이고,
도 5a 및 5b는 바이칼레인, DFO(Deferoxamine), 및 CoCl2를 각각 HeLa 세포에 처리한 후 안정화된 HIF-1α가 HeLa 세포내에서 저산소 반응인자(HRE)와 결합하는 정도를 리포터 분석으로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β-갈락토시다제(도 5a), 및 총 단백질량(도 5b)으로 보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a는 바이칼레인의 농도에 따른 HepG2 세포내의 VEGF mRNA 발현량 변화를 RT-PCR로 측정하여 나타낸 사진이고, 도 6b는 바이칼레인의 농도에 따른 HepG2 세포에서 분비되는 VEGF 단백질량 변화를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측정하여 나타낸 사진이고,
도 7은 생체내 유정란에서 바이칼레인에 의해 유도된 혈관생성효과를 Chick Chorioallantoic Membrane(CAM) 분석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형광표지된 HIF-1α 펩타이드와 VBC 단백질의 결합을 억제하는 스크리닝 방법으로 선정된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HIF-1α specific prolyl hydroxylase 2) 억제제, 바람직하게는 바이칼레인(Baicalein) 및, 이를 함유하는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과 같은 허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혈관생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HIF-1(hypoxia inducible factor-1; 저산소 유도인자)은 에너지 대사, 혈관운동 제어, 신생혈관 형성, 세포사멸(apoptosis)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조절 및 저산소 상태에 있는 다양한 세포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특히, HIF-1의 이형질복합체(heterodimer) 중 HIF-1α는 저산소 상태(hypoxia)에서는 안정화되어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주지만, 정상산소 상태(normoxia)에서는 수분내에 프로테오솜(proteasome)에 의해 분해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저산소 상태에서 안정화된 HIF-1α는 표적 유전자의 프로모터상에 존재하는 저산소 반응인자(hypoxia-response element, HRE)와 결합하여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Lando, D., et al., Genes Dev., 16, 1466-1471). 저산소 상태에서 HIF-1α는 신생혈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의 발현을 촉진시켜 국소빈혈과 같은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Semenza, G. L., Curr. Opin. Genet. Dev., 8, 588-594, 1998), 세포주기 촉진, 혈관형성의 항진, 또는 세포의 생존기능을 항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과 같은 허혈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정상산소 상태에서 HIF-1α는 혈관형성 억제를 통하여 암조직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암 또는 염증(inflammation)을 치료하는데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Amato, G., et al., Nature Reviews, 2, 1-9, 2003).
정상산소 상태에서 HIF-1α의 분해는 VHL(von Hippel-Lindau tumor suppressor) 단백질과의 결합으로 촉진되는데, 이 두 단백질간의 결합은 HIF-1α의 아미노산 서열 중 402 또는 564번째에 있는 하이드록시프롤린 잔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prolyl hydroxylase, PHD) 효소는 HIF-1α 단백질의 특정 프롤린 잔기를 수산화시켜 VHL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데, 이때 산소, 철, 아스코르브산염(ascorbate) 및 보조인자(cofactor)인 2-옥소글루타레이트(2-oxoglutarate) 등을 필요로 한다(Masson, N. & Ratcliffe, P. J., Journal of Cell Science, 116, 3041-3049, 2003). 상기 효소 중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PHD2)는 정상산소 상태에서 HIF-1α의 프롤린 잔기를 수산화시켜 지속적으로 제거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Berra, E., EMBO J., 22, 4082-4090, 2003). 따라서, 이러한 효소의 인위적 저해는 저산소 상태와 유사한 환경(hypoxia-mimic condition)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정상산소 상태에서 HIF-1α의 활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약물을 탐색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현재까지 VHL 단백질과 HIF-1α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2종-혼성화 분석법(two-hybrid assay), 리포터 분석법(reporter assay), 전기영동법(SDS-PAGE), 면역침강법 및 자기방상법 등과 같은 많은 생화학적 또는 면역학적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US 6,787,326 B1), HIF-1α와 VHL 단백질간의 결합 및 수산화 반응 유무를 관찰할 수 있는 아비딘(avidin)이 코팅된 96-웰 플레이트를 이용한 분석법이 사용되고 있다(Oehme, F., et al., Analytical Biochemistry, 330, 74-80, 2004).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대량의 시료를 요구하고, 과정이 복잡하며, 실험 소요시간이 길고,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며, 아비딘(avidin)과 같은 고가의 단백질이 코팅된 플레이트를 사용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발명자들은 앞선 발명에서 하이드록시프롤린 잔기를 포함하는 HIF-1α에서 유래된 펩타이드에 형광물질을 부착한 프로브와 VHL단백질을 포함하는VBC 복합체간의 상호작용 여부를 형광편광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한 바 있다(국내특허출원번호 제2005-0066881호). 이러한 분석방법은 결합체를 따로 분리하지 않아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과정이 단순하고 웰 프레이트를 이용한 자동화가 가능하여 분석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HIF-1α와 VBC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거나 또는 HIF-1α를 수산화시키는 프롤린 하이드록실라제 2의 활성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를 스크리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크리닝 방법으로 선정된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가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과 같은 허혈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입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형광물질을 부착한 형광표지된 HIF-1α 펩타이드와 VBC 단백질의 결합을 형광편광으로 분석하는 스크리닝 방법을 이용하여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HIF-1α specific prolyl hydroxylase 2) 억제제로서 선정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바이칼레인(Baicalein)을 함유하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과 같은 허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상기 개발된 형광물질을 부착한 형광표지된 HIF-1α 펩타이드와 VBC 단백질의 결합을 분석하는 스크리닝 방법을 이용하여 생물 학적 활성을 가진 1040개의 화합물 라이브러리에 대하여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를 스크리닝하는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바이칼레인 및 시클로피록스(ciclopirox) 등을 선정하였고, 이 중 바이칼레인이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를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유사 저산소 상태(hypoxia-mimic condition) 유도, 정상산소 상태에서의 HIF-1α 안정화, 및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과 같은 허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혈관생성촉진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화합물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이전 출원한 국내특허출원번호 제2005-0066881호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에 기재된 형광물질을 부착한 형광표지된 HIF-1α 펩타이드와 VBC 단백질의 결합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화합물을 스크리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리닝 방법 중 하나를 예로 들어 하기와 같이 기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형광물질을 부착한 형광표지된 HIF-1α 펩타이드와 VBC 단백질의 결합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에 있어서,
1) HIF-1α의 아미노산 서열 중 적어도 564번째에 위치하는 수산화되지 않은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는 형광표지된 펩타이드(F-P564, 서열번호 1)를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HIF-1α specific prolyl hydroxylase 2, PHD2) 및 저해제 후보물질과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VBC(von Hippel-Lindau-Elongin B-Elongin C)를 추가하 여 형광편광 값을 측정하는 단계;
2) HIF-1α의 아미노산 서열 중 적어도 564 번째에 위치하는 이미 수산화된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는 형광표지된 펩타이드(F-HyP564, 서열번호 2)를 VBC 및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와 혼합한 후, 형광편광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1) 및 2)에서 측정된 형광편광 값을 비교하여 단계 2)의 값을 기준으로 단계 1)의 값이 감소할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HIF-1α 펩타이드의 수산화 반응을 유도하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의 활성에 대한 억제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리닝 방법에 의하여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로서 선정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바이칼레인 및 시클로피록스(ciclopiro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이칼레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바이칼레인은 특히, 항암(anti-cancer), 항산화(anti-oxidant), 항염증(anti-inflammation), 및 항라디칼(anti-radical)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고(Zhang, D. Y., et al., Cancer Research, 63, 4037-4043, 2003; Shen, Y-C, Eur J Pharmacol, 465, 171-181, 2003; Huang, W-H, Biosci. Biotechnol. Biochem, 70, 2371-2380, 2006; 대한민국특허공고 제1992-0002285호; 및 JP 제1995-196490호),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를 억제하여 HIF-1α를 활성화시키고,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의 발현을 증가시켜 최종적으로 혈관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바이칼레인은 심부전,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경색증 및 협심증 등의 심장질환과 뇌졸중 및 말초혈관질환 등을 포함하는 허혈성 심혈관 질환, 보다 바람직하게는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허혈성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이칼레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허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형광물질을 부착한 형광표지된 HIF-1α 펩타이드와 VBC 단백질의 결합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화합물을 스크리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 HIF-1α의 아미노산 서열 중 적어도 564번째에 위치하는 수산화되지 않은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는 형광표지된 펩타이드(F-P564, 서열번호 1)를,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HIF-1α specific prolyl hydroxylase 2, PHD2) 및 저해제 후보물질과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VBC(von Hippel-Lindau-Elongin B-Elongin C)를 추가하여 형광편광 값을 측정하는 단계;
2) HIF-1α의 아미노산 서열 중 적어도 564 번째에 위치하는 이미 수산화된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는 형광표지된 펩타이드(F-HyP564, 서열번호 2)를 VBC 및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와 혼합한 후, 형광편광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1) 및 2)에서 측정된 형광편광 값을 비교하여 단계 2)의 값을 기준으로 단계 1)의 값이 감소할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HIF-1α 펩타이드의 수산화 반응을 유도하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의 활성에 대한 억제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리닝 방법에 의하여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로서 선정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저해제 후보물질로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HIF-1α 펩타이드의 프롤린 잔기를 수산화 반응시키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의 활성을 억제하는 모든 항체, 펩타이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합성 화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1040개의 화합물(NINDS Custom Collection II, MicroSource Discovery Systems)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스크리닝 방법에 의하여 상기 1040개의 화합물 중 25개의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의 활성 억제제를 선별하였고, 이 중에서 바이칼레인 및 시클로피록스(ciclopirox) 등이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2의 활성을 특이적으로 저해하여 HIF-1α의 양을 세포수준에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특히, 바이칼레인은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뿌리로부터 추출된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의 일종으로서 중국 약초로 널리 이용되어져 왔으며, 항 암(anti-cancer), 항산화(anti-oxidant), 항염증(anti-inflammation), 및 항라디칼(anti-radical)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Zhang, D. Y., et al., Cancer Research, 63, 4037-4043, 2003; Shen, Y-C, Eur J Pharmacol, 465, 171-181, 2003; Huang, W-H, Biosci. Biotechnol. Biochem, 70, 2371-2380, 2006; 대한민국특허공고 제1992-0002285호; 및 JP 제1995-196490호).
또한, 최근에는 전립선암 및 유방암 등의 종양 조직에 과량으로 발현되는 12-lipoxygenase의 활성을 특이적으로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Daotai, N, et al., J.Biol.Chem., 281, 18601-18609, 2003).
따라서, 상기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는 바이칼레인 및 시클로피록스(ciclopiro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이칼레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형광표지된 펩타이드(F-P564)는 HIF-1α 전장 아미노산 서열(GeneBank 등재번호: U22431) 중 적어도 564번째에 위치한 수산화되지 않은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고, 형광물질이 부착되어 형광표지된 펩타이드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F-P564 펩타이드'로도 표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F-P564 펩타이드는, 적어도 HIF-1α 전장 아미노산 서열(등재번호: U22431) 중 564번째에 위치하는 수산화되지 않은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롤린 잔기의 수산화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HIF-1α의 VBC 단백질과의 결합 부위인 556 내지 575번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F-P564 펩타이드를 형광표지하는 형광물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피코에리스린(phycoerythrin, PE), 텍사스 레드(Texas Red, TR) 및 로다민(tetramethylrhodamine isothiocyanate, TRITC), 플루오레신카복실산(fluorescein carboxylic acid, FCA), 플루오레신 티오우레아(fluorescein thiourea, FTH), 7-아세톡시쿠마린(acethocycoumarin)-3-1, 플루오레신-5-1, 플루오레신-6-1, 2',7'-디클로로플루오레신(dichlorofluorescein)-5-1, 2',7'-디클로로플루오레신-6-1, 디하이드로테트라메틸로사민(dehydrotetramethylosamine)-4-1, 테트라메틸로다민(tetramethylrhodamine)-5-1, 및 테트라메틸로다민-6-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F-P564 펩타이드는 펩타이드와 형광물질을 연결시켜주는 링커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링커는 형광물질이 부착된 HIF-1α 펩타이드가 VBC 단백질과 결합시에 유발될 수 있는 형광세기 변화를 최소화하여 형광편광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효과를 갖는 어떠한 물질도 링커로서 사용가능하며, 예컨대, 아미노카프로산 등을 링커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F-P564 펩타이드는 HIF-1α의 아미노산 서열(등재번호: U22431) 중 556 내지 575번째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상기 아미노산 서열의 N-말단에 아미노카프로산 링커(aminocaproic acid linker)가 연결되고, 그 끝에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가 부착된 서열번호 1(DLDLEALAPYIPADDDFQLR)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2)의 형광표지된 펩타이드(F-HyP564)는 HIF-1α의 전장 아미노산 서열(등재번호: U22431) 중 적어도 564번째에 위치한 이미 수산화된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고, 형광물질이 부착되어 형광표지된 펩타이드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F-HyP564 펩타이드'로도 표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F-HyP564 펩타이드는 적어도 HIF-1α 전장 아미노산 서열(등재번호: U22431) 중 564번째에 위치하는 이미 수산화된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롤린 잔기의 수산화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HIF-1α의 VBC 단백질과의 결합 부위인 556 내지 575번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2)의 F-HyP564 펩타이드는 링커를 통하거나 통하지 않고 형광물질이 부착되어 형광표지된 것이다. 이 때, 형광물질과 링커는 상기 단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F-HyP564 펩타이드는 HIF-1α의 556 내지 575번째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상기 아미노산 서열의 N-말단에 아미노카프로산 링커가 연결되고, 그 끝에 FITC가 부착된 서열번호 2(DLDLEALAHyPYIPADDDFQLR)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VBC 단백질은 정상산소 상태에서 HIF-1α와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HIF-1α를 비활성화시키는 매개 단백질로서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에 존재한다. 상기 VBC 단백질은 VHL, Elongin B 및 Elongin C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VHL 단백질의 β 영역에 Elongin C가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후 Elongin C 부분에 Elongin B가 결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단백질들의 결합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세 개의 단백질로 이루어진 어떤 단백질 복합체도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Human von Hippel-Lindau 유전자(GeneBank 등재번호: NM000551)의 54 내지 213번째 아미노산 코딩 서열과 Human Elongin B 유전자(GeneBank 등재번호: NM007108)의 1 내지 118번째 아미노산 코딩 서열을 순차적으로 발현벡터에 클로닝하고, Human Elongin C 유전자(GeneBank 등재번호: NM005648)의 17 내지 112번째 아미노산 코딩 서열을 발현벡터에 클로닝하여 제조한 후 BL21(DE3) 균주에 동시에 형질도입하여 숙주세포내에서 VHL, Elongin B, 및 Elongin C 단백질이 발현되어 서로 결합된 복합체 형태인 VBC 단백질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상기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는 Human PHD2 유전자(GeneBank 등재번호: AJ310543)의 184 내지 426번째 아미노산 코딩 서열을 발현벡터에 클로닝하여 제조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BL21(DE3) 균주에 형질도입하여 수득한 후 분리 및 정제하였다.
상기 VBC 또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의 분리 및 정제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투석, 한외여과, 및 이온-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전하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친수성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스크리닝 방법을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의 활성을 저해하는 25개의 억제제를 선별하였고, 선정된 억제제 중에서도 특히 바이칼레인은 농도-의존적으로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2의 활성을 저해시켰으며 IC50 농도가 14.98 μM 정도로 매우 효과적인 저해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a 참조).
바이칼레인은 HIF-1α와 VBC간의 결합을 직접적으로 저해하지 않은 반면(도 2b 참조),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에 의한 HIF-1α 펩타이드 내 프롤린 잔기의 수산화 반응이 바이칼레인에 의해 억제되었고(도 3a 참조), HIF-1α의 803번째 아스파라진긴 잔기를 수산화 반응시킴으로써 전사보조단백질인 CBP(cAMP-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또는 p300 단백질과의 결합을 저해하는 중요인자인 FIH-1(Factor-inhibiting HIF-1) 활성 또한 유사하게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b 참조).
따라서, 상기 스크리닝 방법에 의하여 선정된 화합물 중 바이칼레인은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활성 억제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로 선정된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이칼레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부전,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선청성 심장질환, 심근경색증 및 협심증 등의 심장질환과 뇌졸중 및 말초혈관질환 등을 포함하는 허혈성 심혈관 질환, 보다 바람직하게는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허혈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혈 관생성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로서 선정된 화합물은 우수한 혈관생성 촉진 효과를 가짐으로써 심혈관 질환 및 허혈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로서 선정된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이칼레인(Baicale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칼레인 외에 또 다른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화합물로는 시클로피록스(ciclopirox)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미 HIF-1α의 수산화 반응을 억제하여 HIF-1α 및 VEGF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Linden, et al., FASEB J. 17, 761-763, 2003).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의 억제제로서 선정된 화합물을 대표하는 화합물로서 바이칼레인을 사용하여, 세포수준 단계에서 바이칼레인에 의한 정상산소 상태에서 HIF-1α의 안정성이 저산소 상태와 유사할 수 있는지, 또한 HIF-1α의 대표적인 표적 유전자로 알려진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의 발현량이 증가될 수 있는지, 최종적으로 생체내 유정란에서 신생혈관생성을 촉진하는지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해 스크리닝된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가 지속적으로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과 같은 허혈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뿐만 아니라 FIH-1의 활성을 저해하는 바이칼레인이 정상산소 상태에서 세포내 HIF-1α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지 웨스턴 블랏으로 분석한 결과, 상기 바이칼레인은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와FIH-1의 활성을 저해함 으로써 HIF-1α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도 4a 및 4b 참조), 정상산소 상태에서 바이칼레인에 의해 안정화된 HIF-1α가 표적 유전자의 프로모터상에 존재하는 저산소 반응인자(hypoxia-response element, HRE)와의 결합력은 유사 저산소 상태(hypoxia-mimic condition)에서 HIF-1α가 저산소 반응인자와 결합하는 것과 유사하였다(도 5a 및 5b 참조).
또한, 바이칼레인에 의해 안정화된 HIF-1α가 저산소 반응인자와 결합하여 특정 유전자, 바람직하게는 HIF-1α의 대표적인 표적 유전자로 알려진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의 mRNA(HepG2 세포주) 및 단백질량(HeLa 세포주)을 증가시켜(도 6a 및 6b 참조), 최종적으로 생체내 유정란에서 혈관생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CAM(Chick Chorioallantioic Membrane) 분석으로 증명하였다(도 7 참조).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바이칼레인은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를 억제시켜 정상산소 상태에서도 HIF-1α의 활성을 유도하고 혈관내피성장인자와 같은 HIF-1α의 표적 치료용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과 같은 허혈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상기 조성물내 바이칼레인 등의 유효성분의 유효함량은 심부전,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경색증 및 협심증 등의 심장질환과 뇌졸중 및 말초혈관질환 등을 포함하는 허혈성 심혈관 질환, 바람직하게는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허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사용방법 또는/및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및 활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첨가제의 종류는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또한, 상기 조성물은 경구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경고제, 과립제, 산제, 정제, 또는 캡슐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용도, 사용목적, 환자의 상태, 나이, 성별, 체중, 처방약 및 질병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는 0.01 내지 100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mg/kg이고, 하루에 1회 내지 수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일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VBC ( von Hippel - Lindau - Elongin B- Elongin C),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HIF -1α specific prolyl hydroxylase 2, PHD2 ), 및 FIH -1( Factor -inhibiting HIF -1) 단백질 제조
VBC(von Hippel-Lindau-Elongin B-Elongin C) 단백질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Human von Hippel-Lindau 유전자(GeneBank 등재번호: NM000551)의 54-213번째 아미노산 서열 및 Human Elongin B 유전자(GeneBank 등재번호: NM007108)의 1-118 번째 아미노산 서열을 pGEX-4T-1(GE Healthcare Life Sciences, USA)에 클로닝하여 pGEX4T-VHL-EB 발현벡터를 제조하였고, Human Elongin C 유전 자(GeneBank 등재번호: NM005648)의 17-112 번째 아미노산 서열을 pET29b(Novagen)에 클로닝하여 pDEV-EC발현벡터를 각각 제조한 후 BL21(DE3)(Novagen) 균주에 동시에 형질전환시켰다.
또한, PHD2 단백질을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 림프구 cDNA 라이브러리(human lymphocyte cDNA library)로부터 클로닝한 Human PHD2 유전자(GeneBank 등재번호: AJ310543)의 184-426 번째 아미노산 서열을 pGEX-4T-1에 클로닝한 후 BL21(DE3) 균주에 형질전환시켰다. 이처럼 형질전환된 세포는 50 ㎍/㎖의 앰피실린과 100 ㎍/㎖의 카나마이신을 함유한 LB 배지(VBC 단백질 생산용 배지), 또는 50 ㎍/㎖의 앰피실린을 함유한 LB 배지(PHD2 단백질 생산용 배지)에 각각 접종한 후 흡광도가 0.6 이 될 때까지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기 위해 0.5 mM의 IPTG(isopropyl-β-D-thiogalactopyranoside)를 첨가하여 18℃에서 1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기 세포에 PMSF(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및 리소자임(lysozyme)을 최종농도가 각각 0.2 mM 및 1 ㎎/㎖이 되도록 첨가한 10 mM의 인산염완충용액(PBS, pH 7.4; 110 mM NaCl, 1 mM DTT)에 현탁시킨 후 4℃에서 초음파로 분쇄하였다. 
상기 얻어진 세포 추출물에 2% Triton X-100을 첨가하여 잘 섞어준 후 10분간 얼음에 두었다가 1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분리된 상등액에 1 mM의 DTT를 첨가하여 글루타치온-세파로스[glutathione(GST)-sepharose] 4B 수지(Bio-Rad)와 혼합한 후 4℃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반응된 수지 혼합액에 10배 부피의 인산염완충용액을 첨가하여 2,1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 등액을 제거하였다.  상기 과정을 3회 연속으로 반복하여 상등액을 제거한 후, 반응 수지 혼합물을 Bio-Spin® Disposable Chromatography Columns(Bio-Rad)에 넣어서 5 ㎖의 PBS로 여과시키고, 2 ㎖의 1 M NaCl 용액으로 여과시킴으로써 불필요한 반응물들을 제거하였다.  상기 컬럼을 10 mM의 글루타치온(GSH)으로 용출시켜 GST-VBC 및 GST-PHD2 단백질을 각각 수득하였다.  이때, 수득된 단백질은 SDS-PAGE를 이용하여 순도를 확인하였고 Bradford 단백질 분석법(Bio-Rad)으로 정량하였다.
또한, Human FIH-1(Factor-inhibiting HIF-1) 단백질을 제조하기 위하여 HIF-1 전체 아미노산(1-349) 서열을 pET-28a(Novagen)에 클로닝한 후 BL21(DE3)(Novagen) 균주에 형질전환시켰다. 형질전환된 상기 세포는 100 ㎍/㎖의 카나마이신을 함유한 LB 배지에 접종한 후 흡광도가 0.6이 될 때까지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기 위해 0.5 mM의 IPTG(isopropyl-β-D-thiogalactopyranoside)를 첨가하여 18℃에서 1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기 세포에 2-ME(2-mercaptoethanol), PMSF, 및 리소자임을 최종농도가 각각 0.014 mM, 0.2 mM, 및 1 ㎎/㎖이 되도록 첨가한 세포분쇄액(50 mM NaH2PO4, 500 NaCl, 10 mM Imidazole)에 현탁시킨후 4℃에서 초음파로 분쇄하였다. 
상기 얻어진 세포 추출물에 1% Triton X-100을 첨가하여 잘 섞어준 후 10분간 얼음에 두었다가 1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분리된 상등액에 Ni-NTA agarose(Quagen)를 혼합한 후 4℃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세척용액(50 mM NaH2PO4, 500 NaCl, 20 mM Imidazole)으로 2회 연속 세척한 후 2100 rpm으로 원 심분리하여 반응되지 않은 상층액을 제거한 다음, 반응 수지 혼합물을 Bio-Spin® Disposable Chromatography Columns(Bio-Rad)에 넣어서 5 ㎖의 PBS로 여과시키고, 300 mM의 Imidazole로 용출시켜 His-FIH-1 단백질을 수득하였다.  이때, 수득된 단백질은 SDS-PAGE 및 Bradford 단백질 분석법을 이용하여 각각 순도 및 정량하였다.
< 실시예 2> PHD2 억제제 선정 및 활성 저해능 분석
<2-1> 형광표지된 HIF-1α 펩타이드 제조
HIF-1α 펩타이드에 형광물질을 부착하기 위하여, HIF-1α 아미노산 서열 중 수산화 반응을 유도하는 프롤린 잔기를 포함한 556-575 번째 아미노산 부위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상기 HIF-1α 펩타이드의 N-말단에는 아미노카프로산 링커(aminocaproic acid linker)를 붙였으며, 그 끝에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를 표지한 3 부분으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애니젠(Anygen, Korea)에 의뢰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상기 펩타이드는 F-P564(FITC-ACA-DLDLEALAPYIPADDDFQLR, 서열번호 1)로 명명하였고, 상기 F-P564 펩타이드의 564번째 프롤린 잔기(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2번째 아미노산)가 수산화된 펩타이드인 F-HyP564(FITC-ACA-DLDLEALAHyPYIPADDDFQLR, 서열번호 2), 질량 분석을 위해 FITC 대신 Biotin을 표지한 펩타이드인 B-P564(Biotin-FITC-ACA-DLDLEALAPYIPADDDFQLR, 서열번호 3), 및 HIF-1α C-말단 부위의 전사활성에 영향을 주는 아스파라긴 아미노산(803번째에 위치한 아스파라긴 잔기)의 수산화 반응을 분 석하기 위한 펩타이드인 F-N803(FITC-ACA- DESGLPQLTSYDCEVNAPIQGSRNLLQGEELLRAL, 서열번호 4)을 각각 합성하였다(표 1).
합성 펩타이드 형태
F-P564(서열번호 1) FITC-ACA-DLDLEALAPYIPADDDFQLR
F-HyP564(서열번호 2) FITC-ACA-DLDLEALAHyPYIPADDDFQLR
B-P564(서열번호 3) Biotin-FITC-ACA-DLDLEALAPYIPADDDFQLR
F-N803(서열번호 4) FITC-ACA-DESGLPQLTSYDCEVNAPIQGSRNLLQGEELLRAL
<2-2> PHD2 억제제 스크리닝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PHD2)의 활성 억제제를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1040개의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화합물(NINDS Custom Collection II, MicroSource Discovery Systems)을 이용하였다. 우선, 프롤린 잔기의 수산화 반응 시 최종 농도가 20 μM 되도록 1 μL의 상기 화합물을 각각 1.5 mL 튜브에 분주하였다. 이어, 완충용액(20 mM Tris-HCl, pH 8.0, 100 mM NaCl, 1 mM EDTA, 1 mM PMSF, 0.5% NP-40)을 첨가하고 최종 농도가 0.2-0.3 μg/μL가 되도록 GST-PHD2를 각각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에 잘 섞어준 후,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및 α-케토글루타레이트(α-ketoglutarate)의 최종 농도가 각각 200 μM 및 20 μM이 되도록 상기 반응물에 첨가한 다음, 1 μM의 F-P564 펩타이드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반응물과 VBC 단백질간의 결합력을 분석하기 전, 최종 농도가 0.5%가 되도록 NP-40(nonidet P-40)을 첨가한 완충용액(50 mM Tris, 120 mM NaCl, pH 8.0)에 상기 효소 반응물을 F-P564 펩타이드 최종 농도가 100 nM이 되도록 희석하고, 250 nM의 VBC 단백질을 혼합한 다음 96-well plate에 옮겨 VICTOR(Perkin-Elmer)를 이용하여 형광편광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 수산화된 프롤린 잔기를 가진 펩타이드인 F-HyP564(100 nM)와 VBC 단백질(250 nM) 혼합용액의 형관편광 값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화합물이 F-P564 펩타이드에 대한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의 저해 정도를 나타낸 결과, 26개의 화합물이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를 60% 이상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이 중 한 개의 화합물은 세포배양 시 처리할 경우 세포사멸을 유도했기 때문에 제외하였고, 나머지 25개의 후보 억제제 화합물을 대상으로 하여 정상상태 산소 조건에서 HIF-1α의 발현 및 목표 유전자의 전사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2-3> 바이칼레인에 의한 PHD2 활성 억제 분석
상기 스크리닝 방법으로 선정된 25개의 후보 억제제 화합물 중 HIF-1α 발현을 증가시키는 2종의 화합물인 바이칼레인 및 시클로피록스(ciclopirox)을 선정하였고, 이 중에서 HIF-1α와 연관됨이 최초로 밝혀진 바이칼레인에 대하여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에 대한 활성 억제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바이칼레인의 최종 농도를 0 내지 200 μM로 증가시키면서 형광표지된 F-P564 펩타이드 100 nM과 500 nM의 VBC 단백질을 혼합한 후 형광편광 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형광편광 값은 형광분석기(fluorometer, Perkin-Elmer)를 이용하였고, 슬릿의 크기는 6 ㎚, 적분 시간은 5초로 설정하였다.  또한,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활성을 50% 저해하는 바이칼레인의 농도는 칼레이다그래프(KaleidaGraph) 프로그램으로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a에 나타내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IC50 값 즉,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활성을 50% 저해하는 바이칼레인 농도는 14.98 μM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2a). 또한, 바이칼레인에 의한 상기 형광편광 값의 감소가 VBC 단백질과의 결합을 억제함으로써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0 내지 20 μM 농도의 바이칼레인 존재 하에서 이미 수산화된 프롤린 잔기를 가진 펩타이드인 F-HyP564(100 nM)와 500 nM의 VBC 단백질을 혼합한 후 형광편광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칼레인 농도에 따라 형광편광 값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도 2b). 즉, 바이칼레인은 HIF-1α와 VBC간의 결합을 직접적으로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활성을 저해하여 HIF-1α의 프롤린 잔기의 수산화 반응을 억제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HIF-1α와 VBC간의 결합을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에 의한 HIF-1α 펩타이드 내 프롤린 잔기의 수산화 반응이 바이칼레인에 의해 억제되는지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icd) 및 α-케토글루타레이트(α-ketoglutarate)를 최종 농도가 각각 400 μM 및100 μM이 되도록 첨가된 완충용액(20 mM Tris-HCl, pH 8.0, 100 mM NaCl, 1 mM EDTA, 1 mM PMSF, 0.5% NP-40)에 800 μM의 바이칼레인과 1.4 μg/μL의 PHD2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어, 상기 혼합물에 3 μM의 Biotin-P564 펩타이드를 혼합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효소 반응물 내에 있는 염은 ZipTip-C18(Millipore)을 사용하여 제거하였고, 용출된 반응물을 MALDI 질량분석기(mass spectrometry)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3a에 나타내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칼레인이 무첨가된 반응물은 프롤린 잔기가 수산화된 반면, 바이칼레인을 첨가한 반응물은 프롤린 잔기가 수산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도 3a). 이는, 바이칼레인이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에 대한 저해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바이칼레인이 FIH-1에 대한 저해능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아스코르브산 및 α-케토글루타레이트를 최종 농도가 각각 400 μM 및 100 μM이 되도록 첨가된 완충용액(50 mM Tris-HCl, pH 7.5, 5 mM KCl, 1.5 mM MgCl2)에 20 μM의 바이칼레인 및 0.55 μg/μL의 His-FIH-1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어, 상기 혼합물에 4 μM의 F-N803 (HIF-1α의788-822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을 혼합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물을 ZipTip-C18에 통과시켜 염을 제거한 후 MALDI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3b에 나타내었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칼레인이 무첨가된 효소 반응물은 아스파라긴 잔기가 수산화된 반면, 바이칼레인을 첨가한 효소 반응물은 아스파라긴 잔기가 수산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도 3b). 즉, 바이칼레인은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뿐 아니라 정상산소 상태(normoxia)에서 p300 또는 CBP 단백질과 결합하는 HIF-1α의 억제제인 FIH-1을 특이적으로 저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3> HIF-1α에 대한 바이칼레인의 효능 분석
<3-1> HIF-1α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
바이칼레인에 의한 세포내 HIF-1α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우선 HepG2 또는 SH-SY5Y 세포주를 각각 60 mm tissue culture 플레이트에 80%가 되도록 배양하였다. 배양된 상기 세포에 바이칼레인을 0 내지 100 μM 농도-의존적으로 첨가하여 정상산소 상태에서 6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바이칼레인의 양성 대조군으로는 저산소 상태(hypoxia, H) 및/또는 Clioquinol(CQ, 50 μM)에서 각각 6시간 동안 배양된 세포를 이용하였다(Choi, et al., J. Biol. Chem., 281, 34056-34063, 2006). 상기 배양된 세포를 각각 4℃ 인산염완충용액으로 세척하였고 150 mM NaCl, 1% Nonidet P-40, 0.5% deoxycholate, 0.1% SDS, 50 mM Tris(pH 7.4), 100 μg/mL phenylmethylsufonyl fluoride(PMSF), 10 μg/mL leupeptin, 1 μg/mL antipain, 10 μg/mL aprotinin, 50 mM β-glycerophosphate, 25 mM NaF, 20 mM EGTA, 1 mM DTT, 및 1 mM Na3VO4 을 포함하는 분석 용액으로 용출하였다. 또한,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세포 추출물을 Bradford 단백질 분석법으로 정량하였다.
HIF-1α에 대한 웨스턴-블랏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20 μg의 상기 세포 추출물을 SDS sample buffer에 현탁시켜 물중탕에서 5분 동안 가열한 후, 상기 반응액을 8 % SDS-PAGE에서 전기영동한 다음 상기 겔을 NC 막(nitrocellulose membrane)에 전달(transfer)하였다. 이어, 일차 항체인 anti-HIF-1α IgG 또는 anti-Hsp70 IgG(BD Pharmingen)를 처리한 후 PBS로 세척하였고, 다시 이차 항체인 HRP가 결합된 anti-mouse IgG를 처리하였다. 상기 막을 세척한 후, ECL 용액을 처리하여 반응을 유도하였고 X-ray 필름을 5분간 덮은 후 HIF-1α 단백질을 최종적으로 검출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a 및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 μM 농도 이상의 바이칼레인을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HIF-1α 단백질 발현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저산소 상태(hypoxia, H) 및/또는 유사 저산소 상태를 유도하는 화합물인 Clioquinol(CQ, Choi, et al., J. Biol. Chem., 281, 34056-34063, 2006)을 처리한 군에서 발현된 HIF-1α 단백질 발현량과 유사하게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4a 및 4b). 이는, 정상산소 상태에서 바이칼레인이 HIF-1α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음을 의미한다.
<3-2> HIF-1α와 저산소 반응인자(HRE)와의 결합능 분석
정상산소 상태에서 바이칼레인에 의해 안정화된 HIF-1α가 표적 유전자상에 존재하는 저산소 반응인자(HRE)와 결합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리포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HeLa 세포주(5ⅹ104개/웰)를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배양한 후, 100 ng의 p(HRE)4-luciferase 벡터와 50 ng의 β-갈락토시다제(β-galactosidase) 발현용 벡터인 pCHO110 벡터를 co-transfection 하였다. 형질도입 32시간 후, 상기 세포에 바이칼레인(20 μM), 유사 저산소 상태를 만드는 금속이온(metal ions)인 DFO(Deferoxamine, 50 μM 및 100 μM) 및 CoCl2(50 μM 및 100 μM)를 각각 처리한 다음 1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상기 세포의 추출물을 수득한 후 luminometer(Tuner Designs)를 이용하여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β-갈락토시다제 활성 값으로 보정한 경우, 바이칼레인(20 μM)으로 처리한 군은 50 μM의 DFO으로 처리한 군(유사 저산소 상태)과 유사한 활성 값을 가진 반면, 음성 대조군인 DMSO로 처리군에서는 낮은 활성 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a). 이는, 바이칼레인에 의해 HIF-1α가 저산소 인자와 결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총 단백질량으로 보정한 경우에도 상기와 유사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도 5b).
< 실시예 4> 혈관내피성장인자( VEGF )에 대한 바이칼레인의 효능 분석
<4-1> VEGF mRNA 의 발현량 변화
HIF-1α의 대표적인 표적 유전자로 알려진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의 발현량 변화에 바이칼레인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RT-PCR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DMSO(음성 대조군), 50 μM의 Clioquinol(CQ, 양성 대조군), 및 바이칼레인(실험군)을 각각 16시간 동안 처리한 HepG2 세포주를 준비하였다. 상기 세포에서 발현된 VEGF mRNA의 cDNA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배양된 세포의 전체 RNA를 정방향(F-VEGF; 5'-ccatgaactttctgctdtctt-3', 서열번호 5) 및 역방향 프라이머(R-VEGF; 5'-atcgcatcaggggcacag-3', 서열번호 6)를 이용하여 RT-PCR을 실시하였다. 또한, 18s rRNA의 cDNA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준비된 전체 RNA를 주형으로 정방향(F-18s; 5'-accgcagctaggaataatggaata-3', 서열번호 7) 및 역방향 프라이머(R-18s; 5'-ctttcgctctggtccgtctt-3', 서열번호 8)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RT-PCR을 실시하였다(표 2).
프라이머 서열
F-VEGF(서열번호 5) 5'-ccatgaactttctgctdtctt-3'
R-VEGF(서열번호 6) 5'-atcgcatcaggggcacag-3'
F-18s(서열번호 7) 5'-accgcagctaggaataatggaata-3'
R-18s(서열번호 8) 5'-ctttcgctctggtccgtctt-3'
증폭된 PCR 산물은 1.5 % 아가로스-겔에서 전기영동하였고, mRNA 발현 정도를 phosphoimager(Model Las3000, Fuji)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6a에 나타내었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칼레인의 농도 증가에 따라 VEGF mNRA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양성 대조군인 Clioquinol(CQ)를 처리한 군과 유사한 정도로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도 6a 참조).
<4-2> VEGF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
혈관내피성장인자(VEGF)는 분비성 단백질(secretion protein)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백질의 분비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세포 배양액을 ELISA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HeLa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DMSO, CoCl2(200 μM), DFO(125 μM), 및 바이칼레인(20 μM)을 각각 처리하였다. 16시간 배양 후, 상기 배양액을 각각 회수하였고 원심분리를 통해 상층액(supernatants)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상층액을 VEGF 항체로 코팅된 96-웰 플레이트인 Human VEGF Quantikine ELISA kit(R&D Systems, MN, USA)에 분주한 후 luminometer를 이용하여 혈관내피성장인자의 분비된 단백질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6b에 나타내었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SO를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바이칼레인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분비된 VEGF 단백질이 현저하게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 값은 유사 저산소 상태를 만들어 주는 금속이온인 CoCl2 처리군의 것과 유사하였다(도 6b). 따라서, 바이칼레인에 의한 HIF-1α의 안정화가 표적 단백질의 하나인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의 발현량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3> 유정란에서의 혈관생성 변화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으로 선정된 바이칼레인이 실질적으로 생체내 유정란에서 혈관생성을 촉진시키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융모막요막 분석(Chick Chorioallantoic Membrane, CAM assay)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정란을 55% 습도 조건의 37℃ 배양기에서 10일간 배양한 후, CAM의 vascular branch point 부분에 1 cm2 크기의 흠집(window)을 내었다. 지름이 0.5 cm인 원형 멸균필터용지 디스크(autoclaved filter paper disk, Whatman, UK)에 양성 대조군으로는 10 ng의 VEGF를, 음성 대조군으로는 DMSO를, 실험군으로는 10 μM 의 바이칼레인을 각각 10 μl씩 떨어뜨려 말린 후, "Y"자 굵은 혈관위에 오려놓고 sealing한 후 3일간 배양하였다. 3일간 배양한 후, 굵은 혈관에 올려놓은 VEGF, DMSO, 및 바이칼레인이 각각 처리된 필터용지를 굵은 혈관과 함께 마이크로포셉(microforcep)으로 잘 떼어낸 후 35 mm dish에 올려놓고 PBS로 세척한 후 광학현미경(Leica MJF3, X20 magnification)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M 분석 결과 바이칼레인을 처리한 경우에는 음성 대조군(DMSP)에 비해 신생혈관 생성이 촉진되어 양성 대조군(VEGF)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고, 총 7개의 유정란에서 4개의 신생혈관이 생성되어, 이를 혈관생성도(%)로 나타낼 경우, 57%에 해당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바이칼레인이 생체내 유정란에서 혈관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형광표지된 HIF-1α 펩타이드와 VBC 단백질의 결합을 분석하는 스크리닝 방법으로 선정된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바람직하게는 바이칼레인은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과 같은 허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바이칼레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부전, 뇌부전 및 혈관부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및 활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KR1020070007036A 2007-01-23 2007-01-23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허혈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59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036A KR100859745B1 (ko) 2007-01-23 2007-01-23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허혈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2/017,535 US20100004325A1 (en) 2007-01-23 2008-01-22 Use of Baicalein As Prolyl Hydroxylase 2 Inhib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036A KR100859745B1 (ko) 2007-01-23 2007-01-23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허혈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384A KR20080069384A (ko) 2008-07-28
KR100859745B1 true KR100859745B1 (ko) 2008-09-23

Family

ID=3982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036A KR100859745B1 (ko) 2007-01-23 2007-01-23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허혈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04325A1 (ko)
KR (1) KR100859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206143A1 (en) 2009-01-20 2011-08-25 Life Sciences Research Partners Vzw PHD2 inhibition for blood vessel normalization, and uses thereof
EP4349410A3 (en) * 2016-01-05 2024-06-05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A composition for use in the therapeutic treatment of a cancer or a tum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325A (ko) * 2004-06-22 2005-12-27 이상국 대황,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재협착 억제및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5725B2 (en) * 2001-11-06 2008-10-14 The Quigly Corporation Or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on, reduction and treatment of radiation injury
US6753325B2 (en) * 2001-11-06 2004-06-22 The Quigley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vention, reduction and treatment of radiation dermatitis
US20070166299A1 (en) * 2005-03-02 2007-07-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reatment for embolic strok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325A (ko) * 2004-06-22 2005-12-27 이상국 대황,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재협착 억제및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4325A1 (en) 2010-01-07
KR20080069384A (ko) 200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 et al. Kelch-like proteins: Physiological functions and relationships with diseases
Zimmer et al. Small-molecule inhibitors of HIF-2a translation link its 5′ UTR iron-responsive element to oxygen sensing
Lahiri et al. The experimental Alzheimer's disease drug posiphen [(+)-phenserine] lowers amyloid-β peptide levels in cell culture and mice
Fonrose et al. Parthenolide inhibits tubulin carboxypeptidase activity
Hiwatashi et al. PHD1 interacts with ATF4 and negatively regulates its transcriptional activity without prolyl hydroxylation
Hollenbach et al. The EF-hand calcium-binding protein calmyrin inhibits the transcriptional and DNA-binding activity of Pax3
Ueda et al. 4-Isoavenaciolide covalently binds and inhibits VHR, a dual-specificity phosphatase
Hofni et al. Fasudil ameliorates endothelial dysfunc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 possible role of Rho kinase
WO2012037573A1 (en)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replication protein a that also act synergistically with cisplatin
Moon et al. Induction of G1 cell cycle arrest and p27KIP1 increase by panaxydol isolated from Panax ginseng
Monteiro et al. DUSP3/VHR: a druggable dual phosphatase for human diseases
Ahn et al. Cytotoxicity of p-tyrosol and its derivatives may correlate with the inhibition of DNA replication initiation
KR101321284B1 (ko) 프로게린 발현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상기 프로게린 발현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
KR100859745B1 (ko)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제 2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허혈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Yang et al. Thioredoxin silencing-induced cardiac supercontraction occurs through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calcium overload in chicken
Barman et al. A novel ubiquitin–proteasome system regulation of Sgf73/ataxin-7 that maintains the integrity of the coactivator SAGA in orchestrating transcription
Zhang et al. Ctenopharyngodon idella PERK (EIF2AK3) decreases cell viability by phosphorylating eIF2α under ER stress
CN112055754A (zh) 调节Ras泛素化的方法
Ogura et al. Prenylated quinolinecarboxylic acid derivative suppresses immune response through inhibition of PAK2
Kamada et al. Castalagin and vescalagin purified from leaves of Syzygium samarangense (Blume) Merrill & LM Perry: dual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ARP1 and DNA topoisomerase II
Ki et al. Identification of radicicol as an inhibitor of in vivo Ras/Raf interaction with the yeast two-hybrid screening system
Wenger et al. HIF prolyl-4-hydroxylase interacting proteins: consequences for drug targeting
Mémin et al. Evidence that phosphorylation by the mitotic kinase Cdk1 promotes ICER monoubiquitination and nuclear delocalization
Yang et al. Identification of novel human high-density lipoprotein receptor up-regulators using a cell-based high-throughput screening assay
KR100321312B1 (ko) 세스퀴테르펜 락톤 화합물 코스투놀라이드의 염증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