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949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8949B1 KR100858949B1 KR1020067020853A KR20067020853A KR100858949B1 KR 100858949 B1 KR100858949 B1 KR 100858949B1 KR 1020067020853 A KR1020067020853 A KR 1020067020853A KR 20067020853 A KR20067020853 A KR 20067020853A KR 100858949 B1 KR100858949 B1 KR 100858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collecting
- dust
- collecting container
- chambe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구체에 연통하는 접속구(10A)가 형성되고 또한 이 접속구(10A)에 연통된 집진 용기실(21)이 내부에 형성된 청소기 본체(11)와, 집진 용기실(2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상기 접속구(10A)에 연통하는 흡입구(52)를 갖는 동시에, 이 흡입구(52)로부터 빨아들인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 용기(50)와, 집진 용기(50)에 접속된 흡입 개구(24)를 갖는 전동 송풍기(23)를 구비하며, 집진 용기실(21)과 외기가 연통하는 구멍을 설치하고, 이 구멍에 버튼(42)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집진 용기(50)가 집진 용기실(21)에 장착되어 있을 때 버튼(42)이 구멍을 폐색하고, 집진 용기(5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전동 송풍기(23)의 구동에 의해 버튼(42)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구멍이 개성되고 집진 용기실(21)이 대기와 통하여 먼지를 흡인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 10A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body is formed,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21 communicated with the connection port 10A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vacuum cleaner body 11 and the dust container chamber 21. An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for collecting dust sucked from the suction opening 52, and a suction opening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while having a suction port 52 which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port 10A. The electric blower 23 which has 24 is provided, The hole whic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chamber 21 and the external air communicate is provided, The button 42 is provid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50 is dust-collected. The button 42 closes the hole when the container chamber 21 is mounted, and the button 42 moves downward by the electric blower 23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0 is not mounted. The purpose is that the hole is individual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21 does not suck dust through the atmosphere. It shall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흡인된 먼지를 모으기 위한 집진 용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collecting dust suctioned detachably in the vacuum cleaner body.
종래, 전기 청소기의 집진 용기, 즉 더스트 컵은 청소기 본체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상태로 부착되는 수용 형식과, 청소기 본체에 노출된 상태로 부착되는 노출 형식이 알려져 있다. 수용 형식은 집진 용기가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집진 용기실에 수용되어 집진 용기실에 설치된 덮개에 의해서 밀폐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노출 형식에 비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dust collecting container of a vacuum cleaner, that is, a dust cup, is known to have an accommodating form attached to the cleaner body in an invisible state and an exposure form attached to the cleaner body in an exposed state. The storage typ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the exposure type becaus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installed in the cleaner body and sealed by a cover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즉, 이 수용 형식의 집진 용기가 싸이클론 형식의 집진 구조를 가진 전기 청소기에 적용된 경우, 특히, 싸이클론의 풍절음이 차음되고, 바꾸어 말하면, 이 풍절음이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발산되지 않으므로 소음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집진 용기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의 외관에 특별한 설계가 필요하지 않고, 또한 외관을 간소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미관도 우수하다. That is,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of this accommodation type is applied to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type dust collecting structure, in particular, the wind blowing sound of the cyclone is soundproofed, in other words, the wind blowing sound is no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body, so the noise is minimized.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no special design is required for the appearance of the cleaner body, the appearance can be simplified, and the appearance is also excellent.
그러나, 집진 용기는 저장된 먼지를 버리기 위해 혹은 세정을 위해 집진 용기실로부터 자주 꺼내지며, 이 꺼내어진 상태로 집진 용기를 집진 용기실에 수납하 는 것을 잊고 집진 용기실의 덮개를 닫아 버리면 집진 용기가 청소기 본체 내에 수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청소기 본체의 외부에서 알 수 없으므로, 집진 용기를 집진 용기실에 수납하지 않은 채로 먼지 흡인의 스위치를 넣어 버리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이와 같이, 집진 용기를 청소기 본체에 수납하지 않고 전동 송풍기를 동작시켜 버리면, 흡입구체로부터 흡인된 먼지가 전동 송풍기 내에 흡인되고, 이 때문에 먼지를 전동 송풍기 내에서 제거하는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동 송풍기가 파손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전동 송풍기의 보호를 위해 전동 송풍기의 상류측에 2차 필터를 설치한 경우에도, 그 2차 필터가 바로 막힘을 일으켜 전동 송풍기의 냉각풍이 부족해지거나, 흡인된 이물질이 2차 필터를 돌파하여 전동 송풍기 내에 흡인되거나 하는 등에 의해 전동 송풍기가 파손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often taken out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to discard the stored dust or for cleaning, and i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closed while the cover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is forgott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closed. Since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ether it is stored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from the outsid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the dust suction switch was often put in without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being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In this way, when the electric blower is operated without stor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n the vacuum cleaner body, the dust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is sucked into the electric blower, and therefore, the dust must be removed in the electric blower.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lectric blower is broken. Even when the secondary filter is installed upstream of the electric blower for the protection of the electric blower, the secondary filter immediately clogs and the cooling air of the electric blower is insufficient, or the foreign matter sucked through the secondary filter causes the electric blower to break.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electric blower is broken due to being sucked inside.
또한, 종래, 상기와 같은 집진 용기 형식과는 별도로, 종이팩이 미장착된 경우에, 종이팩을 수용하는 수용실의 덮개가 닫히지 않도록 한 전기 청소기가 일본 특허 공개 평 제1-291821호에 개시되고, 집진 주머니가 장착되지 않았을 때 청소기 본체가 설정될 수 없도록 한 전기 청소기가 일본 특허 제329722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공보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는 종이팩이나 집진 주머니가 미장착인 상태에서 사용되지 않도록 한 것이지만, 이 미장착인 상태로 덮개가 닫히거나 본체가 설정될 수 없으므로, 상기 미장착에서는 전기 청소기 본체의 운반이 불편하다는 문제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291821 to prevent the lid of the storage chamber for accommodating the carton from closing when the carton is not mounted separately from the dust container type as described above. An electric vacuum cleaner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3297224, in which a cleaner main body cannot be set when a bag is not mounted. The vacuum cleaners described in these publications are not intended to be used in a state where the cartons or dust collecting bags are not installed, but the lid cannot be closed or the main body cannot be set in this state, so that the transportation of the vacuum cleaner body is inconvenient in the non-mounting. Equipped with.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용 형식의 집진 용기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서, 집진 용기를 청소기 본체에 장착하는 것을 잊고 먼지 흡인 스위치를 투입하여도 먼지를 흡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s object is to suck dust even if a dust suction switch is put in the vacuum cleaner having an accommodating type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getting to atta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 the cleaner body. It is to provide an electric cleaner tha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 용기가 청소기 본체 내에 완전히 수용되어 가령 집진 용기가 청소기 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더라도, 청소기 본체를 운반 가능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acuum cleaner capable of carrying a vacuum cleaner body even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vacuum cleaner body and thu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not accommodated in the vacuum cleaner bod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의 전기 청소기는 흡입구체와 연통하는 접속구가 형성되고 또한 이 접속구에 연통한 집진 용기실이 내부에 형성된 청소기 본체와, 집진 용기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접속구에 연통하는 흡입구를 갖는 동시에 이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인 먼지를 모으는 집진 용기와, 이 집진 용기실에 장착된 집진 용기에 연통하는 흡입 개구를 갖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고, 집진 용기가 집진 용기실에 장착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전동 송풍기가 구동되었을 때 흡입구체로부터의 먼지의 흡인을 억제하는 구조가 설치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s detachable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in which a connection port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 body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ort is formed therein. And an electric blower having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equipped with the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ort and collecting dust collected from the suction port, and a suctio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mount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chamber. When the electric blower is driven without being mounted in the container chamber, a structure for suppressing the suction of dust from the inlet port is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체부터의 먼지의 흡인을 억제하는 구조가, 전동 송풍기가 구동되었을 때 집진 용기실에 외기를 유입하는 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ructure for suppressing the suction of the dust from the suction port is composed of a mechanism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when the electric blower is driven.
이 집진 용기실에 외기를 유입하는 기구는 집진 용기실과 외기를 연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집진 용기가 집진 용기실에 장착되어 있을 때 구멍과 전동 송풍기의 흡입 개구가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집진 용기가 집진 용기실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멍을 통해 집진 용기실이 외기로 통하는 것에 의해, 흡입구체부터의 먼지의 흡인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The mechanism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dust collection chamber has a ho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on chamber and the outside air,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le and the suction opening of the electric blower do not communicate whe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mounted in the dust collection chamber. When dust is not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is l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e above-mentioned hole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blower, so that suction of the dust from the suction port body is suppressed.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체부터의 먼지의 흡인을 억제하는 구조는, 집진 용기실과 외기가 연통하는 구멍과, 이 구멍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부재를 구비하고, 집진 용기가 집진 용기실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집진 용기실과 외기가 연통하지 않도록 개폐 부재가 구멍을 폐색하며, 집진 용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한 부압(負壓)으로 개폐 부재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구멍이 개방되며 집진 용기실이 대기와 통하여 상기 흡입구체부터의 먼지의 흡인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structure for suppressing the suction of the dust from the inlet port includes a dust container container and a hole in which the outside air communicates,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provided to be openable and open in the hole, and the dust container is a dust container chambe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loses the hole so that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and the outside air do not communicate when it is installed at the inside, and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not mount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oves downward due to the negative pressure driven by the electric blower. This open and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is configured to suppress the suction of dust from the suction inlet through the atmosphere.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 용기를 청소기 본체에 장착하는 것을 잊고서 전동 송풍기를 구동하더라도 흡입구체로부터 먼지를 흡인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집진 용기가 본체에 삽입되지 않더라도 집진 용기실의 덮개를 닫을 수 있고, 따라서, 청소기 본체를 운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electric blower is driven without forgetting to atta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 the cleaner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being sucked in from the suction port body. Further, for example, even i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not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e li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can be closed, and therefore, the cleaner main body can be transpor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ctric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청소기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body shown in FIG. 1. FIG.
도 3은 집진 용기를 제거한 청소기 본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cleaner body from which a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removed.
도 4는 버튼을 눌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a button is pressed;
도 5는 집진 용기를 장착한 청소기 본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cleaner body equipped with a dust container.
도 6은 집진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container.
도 7은 커버 케이스를 벗긴 집진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st collecting container with a cover case removed.
도 8은 집진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ust collecting container.
도 9는 집진 용기의 수용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ceiving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도 10은 연동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lock mechanism;
도 11은 연동 기구의 로드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rod of the interlock mechanism;
도 12는 압출판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12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of an extruded plate;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압출판의 일부의 평면도. FIG. 13 is a plan view of a part of the extruded plate shown in FIG. 12. FIG.
도 14는 로드가 압출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d is mounted on an extruded plate.
도 15는 로드가 압출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별도의 단면도. Figure 15 is a separat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d is mounted on the extrusion plate.
도 16은 집진 용기의 횡단면도.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도 17은 연동 기구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lock mechanism;
도 18은 집진 용기의 일부를 생략하여 연동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 1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linkage mechanism by omitting a part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도 19는 개폐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 1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도 20은 버튼을 누른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2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tton is pressed;
도 21은 레버가 밀어 내려진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2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lever is pushed down;
도 22는 레바가 밀어 내려져 압출판이 아래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Fig. 2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is pushed down and the extruded plate is moved downward;
도 23은 압출판이 아래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집진 용기의 종단면도.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extrusion board moved downward.
도 24는 집진 용기의 다른 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설명도.2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nother exampl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xample shown in drawing.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기 청소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전기 청소기(10)는 접속구(10A)를 갖는 청소기 본체(11)와, 일단이 이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0A)에 착탈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타단에 손잡이 조작관(13)이 설치되는 집진 호스(12)와, 손잡이 조작관(13)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한 연장관(14)과, 연장관(14)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흡입구체(15)를 구비하고 있다. 1 shows an
손잡이 조작관(13)에는 조작부(13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부(13A)에는 ON, OFF, 먼지 흡인의 강약 등의 조작 스위치(13a)가 설치된다. 13 A of operation parts are provided in the handle operation pipe |
흡입구체(15)에는 그 저면에 먼지를 흡인하는 도시하지 않은 흡입 개구 또는 먼지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실(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 흡입실은 연장관(14) 및 집진 호스(12)를 통해 청소기 본체(11) 내에 배치된 집진 용기(50)(도 2 참조)의 흡입구(52)에 연통하고 있다. The
청소기 본체(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0)와, 이 본체 케이스(20)에 설치되어 집진 용기(50)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집진 용기실(21)과, 이 집진 용기실(21)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40)는 전측, 즉, 집진 호스(12)에 가까운 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후부가 본체 케이스(20)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vacuum cleaner
집진 용기실(21)은 예컨대, 본체 케이스(20)의 전측에 배치되고, 집진 용기(50)가 이 집진 용기실 내에 장착된 후, 이 집진 용기실(21)의 상부 개구(22)가 상기 덮개(40)에 의해 밀폐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20)의 후측에는 전동 송풍기(2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가 집진 용기(50)(도 5 참조)의 후부 개구(51)(도 8 참조)에 접속 풍로(G)를 통해 연통하고 있다. The dust collecting
집진 용기(50)가 집진 용기실(21)에 장착되어 있을 때,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0A)와 집진 용기(50)와 접속 풍로(G)와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를 연통하는 흡입 풍로가 형성되고, 집진 용기(50)가 집진 용기실(2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0A)와 집진 용기실(21)과 접속 풍로(G)와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를 연통하는 흡입 풍로가 형성된다. When the
또한, 본체 케이스(20)에는 다수의 배기 구멍(25)이 형성되고, 또한, 후륜(26)에도 다수의 배기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전동 송풍기(23)가 흡입 개구(24)로부터 흡인하여 도시하지 않은 배출구로부터 배출한 공기가 이들 배기 구멍(25, 27)에서 배기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25 are formed in the
집진 용기(50)는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0A)로부터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까지의 흡입 풍로의 도중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집진 용기(50)가 집진 용기실(2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전동 송풍기(23)가 구동되었을 때, 흡입구체(15)의 흡입 개구로부터 먼지를 흡인하지 않는 구조가 설치된다. 이 구조는 일 실시예에서는 전동 송풍기(23)가 구동되었을 때, 상기 집진 용기실에 직접, 즉 흡입구체(15), 집진 호스(12)를 통하지 않고 외기를 유입하는 기구로 이루어지고 있다. When the
이 기구는 집진 용기(50)가 집진 용기실(21)에 장착되어 있을 때, 집진 용기 실(21)과 외기가 직접 연통하지 않고서 흡입구체(15), 집진 호스(12)를 통해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집진 용기(50)가 집진 용기실(2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전동 송풍기(23)의 구동에 따라 집진 용기실(21)이 직접 대기를 통해 흡입구체(15)에 작용하는 부압을 억제함으로써 흡입구체(15)로부터 먼지를 흡인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When the
이 기구는 구체예에서는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40)에 형성된 구멍 또는 흡기구(41)와, 이 구멍(41)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 개폐로서도 기능하는 개폐 부재, 예컨대, 버튼(4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버튼(42)은 후술하는 먼지 압축 기구의 조작 버튼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위쪽으로 압박되어 구멍(41)을 폐색하고 있다. 집진 용기(50)가 집진 용기실(2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덮개(4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전동 송풍기(23)가 구동되면, 집진 용기실(21) 내가 부압이 됨으로써, 이 버튼(42)이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이동되면, 구멍(41)이 개방되어 집진 용기실(21)이 외기에 직접 연통된다. 즉, 집진 용기(50)가 집진 용기실(2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집진 용기실(21)에 외기를 유입하는 구멍(41)과 집진 용기실(21)을 연통하는 흡기 풍로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mechanism is, for example, a hole or
이 집진 용기실(21)은 집진 용기(5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접속 풍로(G)를 통해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집진 용기(50)가 집진 용기실(21)에 장착되어 있을 때 집진 용기(50)에 의해 집진 용기실(21)과,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의 연통이 차단되고, 흡입 개 구(24)와 집진 용기(50) 내가 연통된다.When the
덮개(40)의 구멍(41) 아래쪽으로는 상하로 연장된 가이드 통(43)이 형성되고, 버튼(42)의 하면에 설치된 축(44)이 그 가이드 통(43)의 가이드 구멍(43A)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버튼(42)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버튼(42)의 하면에는 돌기(45)가 형성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45)가 후술하는 레버(85)에 접촉하고 있어, 버튼(42)을 밀어 내리면 레버(85)가 밀어 내려지게 되어 있다. A
집진 용기(5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도 8에서 좌측)에 흡입구(52)를 갖고 후측에 후부 개구(51)를 갖는 필터 장착부(58)를 형성한 집진 용기 본체(53)와, 이 집진 용기 본체(53)의 상부에 설치한 파지부(54)와, 이 집진 용기 본체(53)의 양측에 설치한 한쌍의 연동 기구(70, 70)(도 10 참조)와, 집진 용기 본체(53)의 바닥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바닥 덮개(59)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90)와, 각 연동 기구(70) 및 개폐 기구(90)를 덮는 커버 케이스(71, 71)와, 파지부(54)의 위쪽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압축 조작부, 예컨대, 브릿지형의 레버(85)를 갖고 있다. 6 to 8, the
필터 장착부(58)는 단면이 사각 형태의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필터 장착부(58) 내에는 도 9에 도시하는 플리츠(주름형) 필터체(P)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집진 용기 본체(53)의 흡입구(5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0)의 접속구(10A)에 연통하고 있다. The
집진 용기 본체(53)는 흡입구(52)로부터 빨아 들여진 먼지 및 공기를 먼지와 공기로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제1 분리 수단)(60)와, 이 먼지 분리부(60)에 의해 분리된 먼지를 저장함과 동시에 먼지 분리부(60)의 아래쪽에 형성된 집진실부(55)와, 먼지 분리부(60)로 분리된 먼지를 집진실부(55)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풍로부(56)와, 집진실부(55) 위에 일체 형성된 부압실(57) 등을 구비하고 있다.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먼지 분리부(60)는 복수의 개구(61A)를 형성한 프레임(61)과, 각 개구(61A)에 부착된 네트 필터(F1)를 갖고 있다. 이 네트 필터(F1)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이 나팔형의 풍로(62)로 되어있다. 이 풍로(62)는 전후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The
프레임(61)은 흡입구(52)에 대향함과 동시에, 흡입구(52)의 직경보다 큰 전단 개구(61a)와, 흡입구(5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의 후단 개구(61b)를 갖고 있다. The
가이드 풍로부(56)는 프레임(62)의 후단 개구(61b)와, 집진실부(55)의 천장벽(55A)의 후부에 설치된 도입 개구(55d)를 연통하고 있다. The guide
부압실(57)은 후부 개구(51)에 연통하고, 이 부압실(57) 내에는 먼지 분리부(60) 및 가이드 풍로(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먼지 분리부(60)의 풍로(62)는 프레임(61)의 각 개구(61A)를 통해 부압실(57)에 연통하고 있다. The
집진실부(55)의 후부벽(55H)에는 개구(55Ha)가 형성되고, 이 개구(55Ha)를 통해 집진실부(55) 내와 부압실(57)이 연통하며, 개구(55Ha)에는 필터(F2)가 부착되어 있다.An opening 55Ha is formed in the
집진실부(55)의 천장벽(55A)의 아래에는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압출판 또는 압출 부재(100)가 배치되어 있고, 이 압출판(100)에는 가이드 풍로부(56)의 내측을 따르는 것 같이 배치되는 돔형의 가이드 벽부(101)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An extruded plate or an extruded
또한, 압출판(100)에는 먼지 분리부(60)의 후단 개구(61B)에 대향하는 개구(102)와, 집진실부(55)의 도입 개구(55d)에 대향하는 개구(103)가 형성되어 있다. 압출판(100)의 뒤 가장자리부에는 필터(F2)의 상류측이 되는 필터면(F2A)을 미끄럼 접촉하는 제진 기구, 예컨대, 블레이드(107)가 부착되어 있다. 나아가서, 압출판(100)의 양측부에는 상하로 연장된 로드(104, 104)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The
로드(104)의 하부(104A)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기(120, 120)가 형성되고, 이 돌기(120, 120)의 하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120A, 1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120, 120)의 상부 위치에는 플랜지(121)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1, a pair of
한편, 압출판(100)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104)의 하부(104A)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11O)이 형성되고, 이 구멍(11O)의 주위에 리브(111)가 형성되며, 이 리브(111)의 외주위에는 C링(112)이 부착되어 있다. C링(112)은 리브(111)에 설치한 돌출부(111A, 111B) 등에 의해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또한, 구멍(110)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오목부(110A, 110A)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10A, 110A)는 C링(112)의 외측보다 조금 연장되어 있다. 또한, 구멍(110)의 상부에는 구멍(110)의 직경보다 큰 환형 오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로드(104)의 하부(104A)의 돌기(120, 120)를 압출판(100)의 구멍(110)의 오목부(110A, 110A)에 넣어 로드(104)의 하부(104A)를 그 구멍(110)으로 끼워 넣으면, 돌기(120, 120)의 돌출부(120A, 120A)가 C링(112)을 확대 개방시켜 C링(112)의 내측을 타고 넘어,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20, 120)의 돌출부(120A, 120A)가 C링(112)에 계합하여, 로드(104)의 하부(104A)의 플랜지(121)가 구멍(110)의 오목부(115)에 삽입된다. The
이와 같이 하여, 로드(104, 104)는 압출판(100)의 구멍(110, 110)에 장착되어, 소정 이상의 힘으로 로드(104, 104)를 위로 끌어 당기면, C링(112)이 확대 개방하여, 돌기(120, 120)의 돌출부(120A, 120A)가 C링(112)으로부터 제외되어, 로드(104, 104)를 압출판(100)의 구멍(110, 110)에서 제외시킨다. 즉, 압출판(100)을 로드(104, 104)로부터 제외시킨다. In this way, the
또한, 로드(104, 104)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실부(55)의 천장벽(55A)의 양단부에 설치된 구멍(55f, 55f)을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16, the
로드(104, 104)의 상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랙 부재(105, 10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랙 부재(105, 105)에 랙(106, 10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레버(85)의 양단부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커버 케이스(71, 71)(도 6 참조)에 설치된 구멍(71A, 71A)으로 상하 이 동 가능하게 삽입된 다리부(86, 86)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다리부(86, 86)에는 랙(72, 7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86, 86)의 하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한 축(87, 87)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축(87, 87)의 상부에는 플랜지(87F, 87F)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both ends of the
축(87, 87)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S1, S1)이 장착되고 스프링(S1, S1)의 상부가 플랜지(87F, 87F)에 걸리며, 스프링(S1, S1)의 하부가 집진실부(55)의 천장벽(55A)의 상면에 걸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S1, S1)의 압박력에 의해 레버(85)는 위쪽으로 압박되고, 레버(85)의 양단부에 설치한 돌기부(85A, 85A)가 커버 케이스(71, 71)의 하면으로 접촉함으로써, 레버(85)가 소정량 이상으로 위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The
연동 기구(7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85)의 다리부(86)에 설치한 랙(72)과, 이 랙(72)에 걸린 부채형의 기어(73)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73)의 축(74)에 부착되어 있는 부채형의 기어(75)와, 이 기어(75)에 걸린 랙(10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기어(73)는 커버 케이스(7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기어(75)의 직경은 기어(73)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The
레버(85)를 스프링(S1, S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면, 기어(73, 73)가 반시계 방향(도 9에 있어서)으로 회동하여, 이 기어(73, 73)와 함께 일체로 기어(75, 7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기어(75, 75)의 반시계 방향의 회동에 의해, 랙(106, 106)이 로드(104, 104)와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When the
로드(104, 104)는 기어(75)의 직경이 기어(73)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됨으로써, 레버(85)가 밀어 내리는 양보다 크게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The
로드(104, 104)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압출판(100)은 아래쪽으로 밀어 내려지게 된다.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이와 같이 레버(85)를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면, 연동 기구(70, 70)에 의해 압출판(100)은 아래쪽으로 밀어 내려지게 된다. When the
개폐 기구(90)는 도 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 기구(70)의 근방에 배치된 상하 이동 가능한 아암(91)과, 이 아암(91)의 상하 이동에 의해 축(92) 주위에 회동 동작하는 링크 부재(9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 and FIG. 18, the opening /
아암(91)은 커버 케이스(71)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아암(91)의 상부(91A)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케이스(71)에 설치된 구멍(71B)을 관통해서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아암(91)의 상부(91A)는 바닥 덮개(59)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부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91)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위쪽으로 압박되어, 아암(91)의 조작부(91A)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케이스(71)로부터 상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The
링크 부재(93)는 집진실부(55)의 측벽부(55S)에 설치된 축(92)에 피봇 지지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93)의 하부에는 훅(94)이 형성되고, 이 훅(94)이 바닥 덮개(59)에 설치한 걸림부(도시하지 않음)에 걸림으로써 바닥 덮개(59)가 개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The
아암(91)의 조작부(91A)를 눌러 아암(91)이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아 래쪽으로 이동하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93)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링크 부재(93)의 훅(94)이 바닥 덮개(59)의 걸림부로부터 떨어져, 바닥 덮개(59)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When the
바닥 덮개(59)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쪽에 있는 축선(J1)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P1)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개방된다. As shown in FIG. 6, the
이와 같이, 아암(91)의 조작부(91A)를 누르면 개폐 기구(90)에 의해 바닥 덮개(59)가 개방되는 것이 된다. In this way, when the operating
[동작][action]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청소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Next, operation | movement of the vacuum cleaner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용기(50)를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용기실(21)에 장착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호스(12)를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0A)에 접속함과 동시에 손잡이 조작관(13)으로 연장관(14)을 통해 흡입구체(15)를 접속한다. First, as shown in FIG. 2, the
손잡이 조작관(13)의 조작부(13A) 스위치(13a)를 조작하면 전동 송풍기(23)가 구동된다. 이 전동 송풍기(23)의 구동에 의해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고, 접속 풍로(G)를 통해 집진 용기(50)의 후부 개구(51)에 작용하며, 나아가서, 플리츠 필터체(P)를 통해 집진 용기(50)의 부압실(57)이 부압으로 된다. 이 때, 집진 용기(50)에 의해, 구멍(41)과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의 연통 상태가 차단된다. 따라서, 구멍(41)에 부압은 작용하지 않으므로, 버튼(42)은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The
전동 송풍기(23)의 구동에 의한 부압이 집진실부(55)의 필터(F2)를 통해 집진실부(55) 안이나 먼지 분리부(60)의 네트 필터(F1)를 통해 먼지 분리(60)의 풍로(62)에 작용하여, 이 부압이 집진 용기(50)의 흡입구(52)를 통해 집진 호스(12), 연장관(14) 및 흡입구체(15)에 작용하여 흡입구체(15)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가 흡인되어 진다. The negative pressure caused by the driving of the
이 흡인된 먼지 및 공기가 연장관(14) 및 집진 호스(12)를 통해 집진 용기(50)의 흡입구(52)로 흡인되어 진다. 이 흡입구(52)로 흡인된 먼지 및 공기는 먼지 분리부(60)의 풍로(62)로 흡인되어 진다. This sucked dust and air are sucked into the
풍로(62)에 흡인된 공기의 일부는 먼지 분리부(60)의 네트 필터(F1)를 통해 집진 용기(50)의 부압실(57)에 흡인되어, 나아가 집진 용기(50)의 후부 개구(51)의 플리츠 필터체(P) 및 접속 풍로(G)를 통해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로 흡인되어 진다. A part of the air sucked into the
한편, 먼지 분리부(60)의 풍로(62)에 흡인된 먼지는 공기보다도 질량이 있으므로(크므로) 그 관성에 의해 풍로(62)를 직진해 나가고, 압출판(100)의 가이드 벽부(101)로 안내되어 집진실부(55) 내로 도입된다. 즉, 먼지 분리부(60)에 의해 공기와 먼지가 분리되고, 이 분리된 먼지는 집진실부(55)로 집진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ust sucked in the
또한, 풍로(62)를 직진하여 온 공기는 압출판(100)의 가이드 벽부(101)로 안내되어 집진실부(55) 내에 도입된다. 이 집진실부(55) 내에 도입된 공기는 집진실부(55)의 후부벽(55H)의 필터(F2)를 통해 집진 용기(50)의 부압실(57)로 흡인되고 집진 용기(50)의 후부 개구(51)의 플리츠 필터체(P) 및 접속 풍로(G)를 통해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에 더 흡인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air that has been straight through the
청소가 종료되면 조작부(13A)의 스위치(13A)를 조작하여 전동 송풍기(23)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어서, 청소기 본체(11)의 버튼(42)이 아래쪽으로 눌러지면,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85)가 스프링(S1, S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아래쪽으로 밀려 내려진다. When the cleaning is finished, the drive of the
이 레버(85)가 아래쪽으로 밀어 내려지면, 연동 기구(70)에 의해 압출판(100)이 아래쪽으로 밀려 내려진다. When the
이 압출판(100)이 아래쪽으로 밀어 내려질 때에, 압출판(100)의 블레이드(107)가 필터(F2)의 필터면(F2a)을 미끄럼 접촉하고, 그 필터면(F2a)에 부착한 먼지를 제거한다. 또한, 압출판(100)의 밀어내림에 의해 집진실부(55)에 저장된 먼지가 압축된다. 이 때문에, 집진실부(55)에 먼지를 많이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버튼(42)으로부터 손을 떼면 스프링(S1, S1)의 압박력에 의해 레버(85)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이 레버(85)에 연동하여 압출판(100)이나 버튼(42)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When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다음으로, 집진실부(55)에 저장된 먼지를 버리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case where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우선, 청소기 본체(11)의 덮개(40)를 열어 집진 용기(50)를 꺼낸다. 계속해서, 도 6에 표시된 조작부(91A)를 누르면, 개폐 기구(90)에 의해 바닥 덮개(59)가 축선(J1)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P1)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First, the
이어서, 파지부(54)와 함께 레버(85)를 꽉 쥐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85)가 파지부(54)를 향해 밀려 내려지고, 이 레버(85)의 밀어 내림에 의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 기구(70)에 의해 압출판(100)이 먼지를 배출함에 충분한 위치까지 밀어 내려진다. 이에 따라, 집진실부(55) 내의 먼지가 집진 용기(50)의 바닥부 개구로부터 아래쪽으로 압출되므로, 먼지 버리기는 무척 쉽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집진 용기(50)를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용기실(21)에 장착하는 것을 잊은 경우,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와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용기실(21)이 가이드 풍로(G)를 통해 직접 연통된다. 이 상태로, 손잡이 조작관(13)의 조작부(13A)의 스위치(13a)를 조작하면 전동 송풍기(23)가 구동되어 집진 용기실(21)이 부압된다. When forgetting to mount the
이 부압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40)의 버튼(42)이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아래쪽으로 밀어 내려지고, 덮개(40)의 구멍(41)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외기가 구멍(41)을 통해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용기실(21)에 직접 도입되어, 많은 먼지가 존재하는 피청소면 상에서 조작되는 흡입구체(15)로부터 거의 공기는 흡인되지 않게 된다. 즉, 흡입구체(15)에서 먼지가 흡인되는 것이 방지된다. By this negative pressure, as shown in FIG. 4, the
이 때문에, 흡입구체(15)로부터 흡인되는 먼지가 직접 전동 송풍기(23) 내로 흡인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23)의 상류측에 2차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있는 경우, 그 2차 필터가 즉시 막혀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나아가서, 흡입구체(15)가 딱딱한 이물을 흡인하여 그 이물이 2차 필터를 찢고 전동 송풍기(23) 내에 흡인되어 전동 송풍기(23)를 파손하여 버리는 문제 점을 방지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problem that the dust suctioned from the
더구나, 집진 용기(50)가 미장착 상태일 때에, 덮개(40)에 설치한 구멍(41)을 통해 집진 용기실(21) 내부가 외기에 직접 연통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집진 용기(50)가 미장착 상태이더라도 덮개(40)를 닫을 수 있어, 운반을 행하는 등의 경우에 편리하다. Furthermore, when the
나아가서, 먼지 압축용의 조작 버튼(42)을 뚫고 나오게 하는 구멍(41)을 집진 용기실(21)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구멍으로 겸용함으로써, 청소기 본체(11)의 구성이 간략화된다. Furthermore,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또한, 압출판(100)은 로드(104, 104)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므로, 압출판(100) 위로 들어간 먼지 등을 청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도 24는 다른 예의 집진 용기(150)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집진 용기(150)는 연동 기구(70)에 의해 압출판(200)을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축(201) 주위로 회동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필터(F2)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압출판(200)을 회동시켰을 때에 필터(F2)의 필터면(F2a)을 제진 기구, 즉, 블레이드(107)가 미끄러져 접촉해 나가도록 함과 동시에, 압출판(200)에 집진실부(55)의 먼지를 압출하도록 한 것이다. 202는 개구이다. 24 illustrates a portion of a
그런데, 집진 용기실(21)의 부압에 의해 덮개(40)의 버튼(42)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구멍(41)이 개방되지만, 버튼(42)을 압박하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압박력의 크기를 소정치로 설정함으로써, 외기가 구멍(41)을 통해 흐를 때 버튼(42)을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이 버튼(42)의 진동에 의해 통지음을 발생시키 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버튼(42) 및 스프링이 통지 기구를 구성한다. By the way, the
또한, 구멍(41)으로 외기가 통함으로써,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진동 부재, 혹은 경고 부재를 구멍(41)에 설치하여 집진 용기(50, 150)의 장착을 잊은 것을 경고하도록 하여도 좋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outside air to pass through the
상기 실시예에서는, 압출판(100, 200)에서 집진실부(55)의 먼지를 압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먼지를 압출하도록 하지 않아도 좋다. 즉, 압출판(100, 200)은 블레이드(107)에서 필터(F1)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압출판[100(200)]과 블레이드(107)와 연동 기구(70)에 의해 제진 기구가 구성된다.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dust of the dust collecting
이 경우, 버튼(42)은 제진 기구를 동작시키는 전용 버튼이 된다. In this case,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 용기가 미장착인 상태로 전동 송풍기가 구동되었더라도 흡입구체로부터의 먼지 흡인을 정지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집진 용기실 혹은 전동 송풍기 내에 먼지를 흡인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electric blower is driven whil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not installed, it is possible to stop the suction of the dust from the suction inlet body, thereby preventing the dust from being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or the electric blower. have.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집진 용기가 미장착이더라도 집진 용기실의 덮개를 폐쇄하여 청소기 본체를 운반할 수 있고, 종이팩이나 집진 주머니가 미장착일 때, 집진 용기실의 덮개가 폐쇄하거나, 청소기 본체가 설정할 수 없는 것 같은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 제1-291821호, 일본 특허 제3297224호에 개시한 기술과는 구성이 다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 용기가 미장착 시에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따라 외기를 집진 용기실에 도입하는 구성으로, 먼지로 막혔을 때에 외기를 도입하는 특허 공개 제11-9526호에 개시한 구성과도 다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not mounted, the cover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can be closed to transport the cleaner body, and when the carton or the dust collecting bag is not installed, the cover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is closed or the cleaner body cannot be set. The configuration differs from the techniques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s Nos. 1-291821 and 3297224. 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when a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not installed, it is the structure which introduces external air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chamber by the drive of an electric blower, and the structure disclosed by patent publication 11-9526 which introduces outside air when it is clogged with dust; Is also different.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실시예에 여러 가지의 변형, 변경을 적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applied to these embodiments.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집진 용기(50)의 집진 용기실(21)에의 장착 유무에 상관없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개폐 부재가 구멍을 항상 폐색하고 있지만, 집진 용기를 집진 용기실에 장착했을 때, 개폐 부재가 구멍을 폐색하여 집진 용기를 집진 용기실에 장착하지 않을 때, 개폐 부재가 구멍을 개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lways closes the hole by the pressing force of a spring (not shown) regardless of whether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 용기를 청소기 본체에 장착하는 것을 잊고서 전동 송풍기를 구동하더라도 흡입구체로부터 먼지를 흡인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집진 용기가 본체에 삽입되지 않더라도 집진 용기실의 덮개를 닫을 수 있고, 따라서, 청소기 본체를 운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electric blower is driven without forgetting to atta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 the cleaner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being sucked in from the suction port body. Further, for example, even i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not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e li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hamber can be closed, and therefore, the cleaner main body can be transporte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7020853A KR100858949B1 (en) | 2004-04-07 | 2004-11-02 |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113338 | 2004-04-07 | ||
JPJP-P-2004-00119454 | 2004-04-14 | ||
KR1020067020853A KR100858949B1 (en) | 2004-04-07 | 2004-11-02 |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8903A KR20070018903A (en) | 2007-02-14 |
KR100858949B1 true KR100858949B1 (en) | 2008-09-18 |
Family
ID=4162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20853A KR100858949B1 (en) | 2004-04-07 | 2004-11-02 |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8949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94759A (en) * | 1978-01-10 | 1979-07-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Vacuum cleaner |
JPS58112523A (en) * | 1981-12-25 | 1983-07-0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Electric cleaner |
-
2004
- 2004-11-02 KR KR1020067020853A patent/KR10085894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94759A (en) * | 1978-01-10 | 1979-07-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Vacuum cleaner |
JPS58112523A (en) * | 1981-12-25 | 1983-07-0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Electric cleaner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4-94759호(1979.07.26, 공개) |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8-112523호(1983.07.05, 공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8903A (en) | 2007-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8777B1 (en) | Dust collecto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 |
JP7055381B2 (en) | Dust collection chamber and 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 |
US7682414B2 (en) | Dust collecting unit for use in cleaner | |
US7325274B2 (en) | Vacuum cleaner with dust collecting device | |
AU2012263910B2 (en) | Vacuum Cleaner | |
KR100804568B1 (en) | Electric cleaner | |
JP4802071B2 (en) | Vacuum cleaner | |
JP2002209815A (en) |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TWI552713B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4814062B2 (en) | Vacuum cleaner | |
JP2008068036A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100858949B1 (en) | Vacuum cleaner | |
JP3964400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2008011985A (en) |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vacuum cleaner | |
JP4775417B2 (en) | Vacuum cleaner | |
KR101282536B1 (en) |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ic cleaner | |
JP4142989B2 (en) | Dust collection cup and vacuum cleaner | |
WO2005099544A1 (en) | Vacuum cleaner | |
JP2007029217A (en) | Vacuum cleaner | |
JP2008043792A (en) | Vacuum cleaner | |
KR100857491B1 (en) |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vacuum cleaner | |
JP3940052B2 (en) | Vacuum 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a vacuum cleaner | |
JP2005304734A (en) | Vacuum cleaner | |
JP3821100B2 (en) | Vacuum cleaner | |
JP2006346099A (en) | Electric cleaner and its dust collec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