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708B1 -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708B1
KR100857708B1 KR1020060016441A KR20060016441A KR100857708B1 KR 100857708 B1 KR100857708 B1 KR 100857708B1 KR 1020060016441 A KR1020060016441 A KR 1020060016441A KR 20060016441 A KR20060016441 A KR 20060016441A KR 100857708 B1 KR100857708 B1 KR 100857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s
document
file
messag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3135A (ko
Inventor
오정범
윤정섭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60016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708B1/ko
Publication of KR2007008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방법은 복수의 수신된 메시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에 합치되는 복수의 메시지를 각각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 디코딩된 결과를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인코딩된 결과를 병합하여 1개의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 중에서 상기 소정의 기준에 합치되는 상기 복수의 메시지를 문자, 이미지 및 사운드 중의 하나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번에 한 개의 문자 메시지만을 디스플레이하여야한다는 제한을 없애고, 수신된 문자 메시지들을 XML 포맷으로 구성된 파일로 변환하여 1개의 문서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백업 및 내용 검색이 용이해지고, 개인용 컴퓨터(PC)에서도 저장한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용이하게 검색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OCUMENTORY FILE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메시지들을 소정의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로 생성하는 문서 생성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인 메시지들을 소정의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로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부를 통하여 입력된 메시지들을 소정의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로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사용자가 선택한 2개의 수신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전용 뷰어에서 도 4에서 선택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개인용 컴퓨터의 인터넷 엑스플로어에서 도 4에서 선택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 문서 생성부 132 : 파일 생성부
134 : 파일 인코딩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들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간단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일종이다.
기존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복수의 문자 메시지들을 확인할 경우 한번에 하나의 문자메시지 내용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가장 마지막에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가장 먼저 디스플레이되며, 한번에 복수개의 문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수신된 복수의 메시지들 중 소정 기준에 따라 선택된 메시지들을 병합하여 1개의 문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및 문서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 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는, 복수의 수신된 메시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에 합치되는 복수의 메시지를 각각 디코딩하여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결과를 병합하여 1개의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문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문서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문서 생성부는 복수의 메시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에 합치되는 복수의 메시지를 각각 디코딩하여 문자, 이미지 및 사운드 중의 하나로 분리하는 파일 생성부; 및 상기 디코딩된 결과를 상기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파일 인코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 생성부는 상기 인코딩된 결과를 병합하여 상기 1개의 문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이 포맷은 XML 포맷이 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수신된 문서의 발신자가 동일한 발신자라는 조건이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시지라는 조건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방법은 복수의 수신된 메시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에 합치되는 복수의 메시지를 각각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각각 디코딩된 결과를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결과를 병합하여 1개의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 중에서 상기 소정의 기준에 합치되는 상기 복수의 메시지를 문자, 이미지 및 사운드 중의 하나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문자 메시지들을 소정의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로 생성하는 문서 생성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메시지 보관부(110)과 저장부(150)는 도면에서는 서로 별개의 저장 매체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저장 매체로 통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문서 생성 장치는 메시지 보관부(110), 메시지 수신부(120), 문서 생성부(130) 및 저장부(140)을 포함한다. 문서 생성부(130)는 파일 생성부(130) 및 파일 인코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일 생성부(130)는 메시지 보관부(110) 또는 메시지 수신부(120)로부터 복수의 메시지들을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에 합치되는 메시지들 각각을 디코딩(decoding)하여 문자, 이미지(image) 또는 사운드(sound)로 분리한다. 여기서,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이미지 및/또는 사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에 합치되는 메시지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시지 또는 소정의 선택 기준에 합치되는 메시지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가 선택 기준은 수신된 메시지가 동일한 발신자의 메시지인지, 동일한 날짜에 수신된 메시지인지, 또는 이미지, 사운드 등의 첨부 파일이 있는 메시지인지가 될 수 있다.
파일 인코딩부(140)는 파일 생성부(130)로부터 디코딩된 결과를 입력받아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한다. 소정의 포맷은 예를 들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포맷일 수 있다.
파일 생성부(130)는 파일 인코딩부(140)로부터 복수의 메시지들의 각 인코딩된 결과를 병합(merge)하여 1개의 문서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메시지 보관부(110)과 저장부(150)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시지 보관부(110)-로 통합된 경우 파일 생성부(130)에서 생성한 문서 파일은 메시지 보관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파일 생성부(130)에서 생성한 문서 파일은 이동식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메시지들을 소정의 포맷을 가지는 1개의 문서 파일로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저장부(110)로부터 읽어들인 메시지들을 소정의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로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시지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메시지들 중에 일부를 선택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시지의 개수를 읽어들인다(단계 201). 메시지 저장부(110)로부터 읽어들인 메시지가 마지막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203). 도 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2개의 메시지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시지 저장부(110)로부터 읽어들인 복수의 메시지들 중에서 발신자가 '홍길동'인 메시지와 발신자가 '김철수'인 메시지를 선택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마지막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메시지 저장부(11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음 메시지를 읽어들이고(단계 205), 읽어 들인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문자, 이미지(image) 또는 사운드(sound)로 분리한다(단계 207).
디코딩한 결과를 문자 메시지 헤더 정보(발신자, 날짜, 제목, 기타 옵션 정보), 텍스트 정보 및 첨부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첨부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파일 경로 및 헤더 정보)로 분류하여 구조체 리스트 변수 형태로 저장한다(단계 209).
메시지 디코딩된 결과가 저장된 구조체 리스트 변수를 참조하여 디코딩된 결과를 소정의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고, 각각의 변환된 메시지들을 병합하여 1개의 문서로 생성한다(단계 211). 상기 소정의 파일 포맷은 xml 파일이 될 수 있다.
아래는 예를 들어 도 4에서 발신자가 '홍길동'인 메시지를 xml 파일로 변환한 결과를 나타낸다.
<xml version= "1.0" encording = "euc=kr"> ; 문서 선언부
<MSG DOC> ; 문서의 시작
<MSG> ; 메시지 시작 태그
<MSG_HEADER>
<SENDER>홍길동</SENDER>
<SENDER_NUM>010-4455-6481 </SENDER_NUM>
<DATE>2005-10-09</DATE>
<TITLE> KTFT</TITLE>
</MSG_HEADER>
<BODY>
<CHAPTER>KTFT Ever</CHAPTER>
<CHAPTER>^^Have a good Time !!!!</CHAPTER>
</BODY>
<APPENDIX_LIST>
<APPENDIX path = "c:\pa\1.jpg" </APPENDIX>
<APPENDIX path = "c:\movie\2.ktg" </APPENDIX>
</APPENDIX_LIST>
</MSG> ; 메시지 종료 태그
</MSG_DOC> ; 문서의 마지막
아래는 예를 들어 도 4에서 발신자가 "김철수"인 메시지를 xml 파일로 변환한 결과를 나타낸다.
<xml version= "1.0" encording = "euc=kr"> ; 문서 선언부
<MSG DOC> ; 문서의 시작
<MSG> ; 메시지 시작 태그
<MSG_HEADER>
<SENDER>김철수</SENDER>
<SENDER_NUM>010-8775-8481 </SENDER_NUM>
<DATE>2005-10-11</DATE>
<TITLE> KTFT</TITLE>
</MSG_HEADER>
<BODY>
<CHAPTER>Hi ^^</CHAPTER>
<CHAPTER>잘 지내?</CHAPTER>
</BODY>
<APPENDIX_LIST>
<APPENDIX path = "c:\pat\1.bmp" </APPENDIX>
<APPENDIX path = "c:\pat\2.kmp" </APPENDIX>
</APPENDIX_LIST>
</MSG> ; 메시지 종료 태그
</MSG_DOC> ; 문서의 마지막
상기 두개의 변환된 메시지들을 하나로 병합하여 1개의 문서로 생성된 후 저장된다. 상기 생성된 1개의 문서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시지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시지들을 병합하여 생성된 1개의 문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용 뷰어 상에 "홍길동"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510)과 "김철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520)이 스크롤되면서 디스플레이된 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시지들을 병합하여 생성된 1개의 문서는 이동식 저장매체에 저장된 후 개인용 컴퓨터(PC) 상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플로러(explorer) 등에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부를 통하여 입력된 메시지들을 소정의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로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메시지 수신부(12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단계 301), 수신된 메시지가 소정의 선택 기준에 합치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03). 예를 들어 상가 선택 기준은 수신된 메시지가 동일한 발신자의 메시지인지, 동일한 날짜에 수신된 메시지인지, 또는 이미지, 사운드 등의 첨부 파일이 있는 메시지인지가 될 수 있다.
판단 결과, 수신된 메시지가 소정의 선택 기준에 합치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선택 기준에 합치되는 생성하고자 하는 1개이 문서 파일이 이미 생성되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단계303). 문서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문서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306).
문서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메시지를 읽어들이고(단계 307), 읽어들인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문자, 이미지 또는 사운드로 분리한다(단계 309). 디코딩한 결과를 문자 메시지 헤더 정보(발신자, 날짜, 제목, 기타 옵션 정보), 텍스트 정보 및 첨부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첨부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파일 경로 및 헤더 정보)로 분류하여 구조체 리스트 변수 형태로 저장한다(단계 311).
메시지 디코딩된 결과가 저장된 구조체 리스트 변수를 참조하여 디코딩된 결과를 소정의 파일 포맷으로 변환한다(단계 313). 소정의 파일 포맷은 XML 포맷이 될 수 있다.
소정의 파일 포맷으로 변환된 메시지들을 최종 생성하고자 하는 1개의 문서 파일에 병합하여 추가시킨 후(단계 315) 다시 메시지 수신 단계(단계 301)를 수행한다.
판단 결과, 수신된 메시지가 소정의 선택 기준에 합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메시지 수신 단계(단계 301)를 수행한다.
즉,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소정의 선택 기준에 합치되는 메시지들만을 모아서 하나의 문서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동일한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들만을 모아서 하나의 문서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동일한 날짜로 수신된 메시지들만을 모아서 하나의 문서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첨부 파일이 있는 메시지들만을 모아서 하나의 문서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용 문서 생성 장치 및 문서 생성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신된 단문 메시지들 중 소정의 기준으로 선택된 복수개의 단문 메시지들을 병합하여 하나의 문서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번에 한 개의 문자 메시지만을 디스플레이하여야한다는 제한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문자 메시지들을 XML 포맷으로 구성된 파일로 변환하여 1개의 문서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백업 및 내용 검색이 용이해지고, 개인용 컴퓨터(PC)에서도 저장한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용이하게 검색 가능하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수신된 메시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에 합치되는 복수의 메시지를 각각 디코딩하여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결과를 병합하여 1개의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문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문서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 중에서 상기 소정의 기준에 합치되는 상기 복수의 메시지를 각각 디코딩하여 문자, 이미지 및 사운드 중의 하나로 분리하는 파일 생성부; 및
    상기 디코딩된 결과를 상기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파일 인코딩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 생성부는 상기 인코딩된 결과를 병합하여 상기 1개의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수신된 문서의 발신자가 동일한 발신자라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4. 복수의 수신된 메시지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에 합치되는 복수의 메시지를 각각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각각 디코딩된 결과를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결과를 병합하여 1개의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 중에서 상기 소정의 기준에 합치되는 상기 복수의 메시지를 문자, 이미지 및 사운드 중의 하나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방법.
KR1020060016441A 2006-02-20 2006-02-20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857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441A KR100857708B1 (ko) 2006-02-20 2006-02-20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441A KR100857708B1 (ko) 2006-02-20 2006-02-20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135A KR20070083135A (ko) 2007-08-23
KR100857708B1 true KR100857708B1 (ko) 2008-09-08

Family

ID=3861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441A KR100857708B1 (ko) 2006-02-20 2006-02-20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7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059A (ko) * 2004-09-30 200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059A (ko) * 2004-09-30 200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135A (ko)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81855A1 (en) Displaying information in a presentation mode
US8504906B1 (en) Sending selected text and corresponding media content
US20090157407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mantic Media Conversion From Source Files to Audio/Video Files
US20070276866A1 (en) Providing disparate content as a playlist of media files
KR2017010017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4144097A (zh) 语音消息传输系统、发送端、接收端及语音消息传输方法
US20150255057A1 (en) Mapping Audio Effects to Text
KR101176694B1 (ko) 문서 처리 및 재결집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판독가능 매체
CN101513070B (zh) 用于显示轻量级应用场景表示内容的方法和设备
US11258922B2 (en) Method of combining image files and other files
JP2009217905A (ja) 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プログラム
JP2014191613A (ja) エンコーダ、エンコード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018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content in a data stream
KR10085770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120331060A1 (en) Sharing of Documents with Semantic Adaptation Across Mobile Devices
CN103853697A (zh) 一种移动终端及其应用数据的备份方法
JPWO2011004524A1 (ja) テキストマイニング装置
KR20060036832A (ko) 휴대단말기의 mms메시지 표시방법
US201201773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on Of Digital Art Forms From Other Digital Data
EP2778954A1 (en) Displaying information in a presentation mode
US20200133968A1 (en) Summarization of original works using text entailment
JP2006331276A (ja) 翻訳システム
JP3556269B2 (ja) 文書読み上げ方法及び文書読上装置
Houchin Introduction to the Skoog
CN114398309A (zh) 一种文件解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