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617B1 - 내부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 - Google Patents

내부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617B1
KR100857617B1 KR1020070108410A KR20070108410A KR100857617B1 KR 100857617 B1 KR100857617 B1 KR 100857617B1 KR 1020070108410 A KR1020070108410 A KR 1020070108410A KR 20070108410 A KR20070108410 A KR 20070108410A KR 100857617 B1 KR100857617 B1 KR 10085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broadcast content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티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티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티피에스
Priority to KR102007010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환경 및 운영과 관련된 내부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여 주는 방송 컨텐츠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방송 컨텐츠 정보와 각종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과; 시스템 운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 사용자의 시스템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시스템 운영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시스템 운영 정보들을 가입자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서버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서, 수신기 사용자는 전문 지식 없이도 장애 발생한 수신기의 상태를 편리하게 A/S 센터로 통보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 관리 및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방송 컨텐츠 수신기의 장애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자료들을 편리하게 수집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장애발생원인을 찾아 시스템을 새롭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실익이 있다.
셋탑박스, 내부 정보, 전송.

Description

내부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A CONTENTS RECEIVER CAPABLE OF TRANSMITTING AN OPERAT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환경 및 운영과 관련된 내부정보를 외부로 전송하여 주는 방송 컨텐츠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방적으로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시청하던 고전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오늘날에는 시청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를 일명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라 하는데, 이러한 VOD 서비스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TV 또는 셋탑박스(STB)와 같은 방송 컨텐츠 수신기를 통하여 가입자가 원하는 영상 컨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즉시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편리함 때문에 VOD 서비스 이용자의 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VOD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셋탑박스와 같은 방송 컨텐츠 수신기의 구비가 필수적인데, 일반적으로 방송 컨텐츠 수신기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기기 사용자는 콜센터를 통해 장애조치 요령 등을 묻곤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기 사용자들은 기기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기에 현재 기기의 상태와 운영정보 등을 파악하여 정확하게 상담원에게 전달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현재 기기의 장애상태를 상담원 혹은 A/S 센터에 전파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 혹은 이메일, 유선통화와 같은 번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기기 사용자 입장에서는 번거로운 고장신고 접수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사용 환경과 관련한 정보들 및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들을 누적하여 편리하게 원격지 A/S 센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는 내부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컨텐츠 수신기의 장애발생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하여 줄 수 있는 내부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방송 컨텐츠 수신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컨텐츠 수신이 가능한 수신기로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방송 컨텐츠 정보와 각종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과;
시스템 운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와;
사용자의 시스템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시스템 운영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시스템 운영 정보들을 가입자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서버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시스템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된 온도값은 상기 시스템 운영정보로서 정보 저장부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셋탑박스와 같은 방송 컨텐츠 수신기는 시스템 구동시간을 카운팅하여 저장하는 동시에 비 이상적인 시스템내 온도를 저장하였다가 장애발생시 기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프로그램 버전 정보, EPG 버전 정보와 함께 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가 운영하는 서버(A/S센터)로 제공하기 때문에, 수신기 사용자는 전문 지식 없이도 장애 발생한 수신기의 상태를 편리하게 A/S 센터로 통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신기의 사용 환경 및 운영 정보들을 원격지 서버로 전송하기 때문에, 수신기 관리 및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방송 컨텐츠 수신기의 장애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자료들을 편리하게 수집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장애발생원인을 찾아 시스템을 새롭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하기에서 설명될 "시스템 운영정보"는 시스템 운영과 관련된 정보들로써, 시스템 구동시간/시청한 컨텐츠 정보와 같이 시스템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 수신기 시스템내의 온도, 프로그램 버전정보, EPG버전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동영상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여 줄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100)와 하나 이상의 방송 컨텐츠 수신기인 셋탑박스(STB:200)를 포함한다. 각각의 셋탑박스(200)들과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100)는 IP망을 통해 연결되며, 각각의 셋탑박스(200)는 표시수단인 디지털 TV(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방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100)는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인 EPG 정보는 물론 해당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여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아울러 IP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셋탑박스(200)로부터 시스템 운영 정보를 전송받아 상담원 등의 표시장치에 출력하여 주기도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컨텐츠 프로바이더측에는 컨텐츠 제공 서버(100) 외에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수신기의 고장접수를 받기 위한 별도의 A/S 센터 서버를 구비하여 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오직 컨텐츠만을 제공하며, A/S 센터 서버는 서비스 가입자의 수신기 운영정보를 접수받아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방송 컨텐츠 수신기인 서비스 가입자의 셋탑박스(200)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EPG를 표시수단인 디지털 TV(300)를 통해 표출하 고, 수신기 사용자인 시청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를 선택하면 그 방송 컨텐츠의 전송을 상기 서버(100)로 요청한다. 아울러 셋탑박스(200) 동작중 발생하는 각종 시스템 운영정보를 시스템내의 저장수단에 저장하였다가 사용자 요청 혹은 프로그램된 시간마다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셋탑박스(20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 수신기의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 수신기인 셋탑박스(200)는 IP망과 연결되어 방송 컨텐츠 정보와 각종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Network Interface Unit:NIU)(210)과, 사용자의 시스템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시스템 운영정보를 후술할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하고, 저장된 시스템 운영 정보들을 가입자 식별정보(유저 ID)와 함께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210)을 통해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100)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셋탑박스(200)는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코덱(230)을 포함하며, 시스템 온도, 시스템 구동시간과 같은 시스템 운영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정보저장부(2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저장부(240)는 상기 제어부(22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저장매체이다.
온도감지센서(250)는 셋탑박스(200)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감지된 온도값은 상기 시스템 운영정보로서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된다. 참고적으로 시스템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이유는 필요 이상으로 시스템 내부온도가 상승될 경우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자들에 영향을 미쳐 시스템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시스템 장애가 온도에 의한 영향인지를 검출하기 위함이다.
메모리(260)에는 시스템 구동을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 및 EPG 버전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 I/F(Interface)(27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이러한 사용자 I/F(270)는 리모콘 수신부, 조작판넬부 등이 해당될 것이다.
상술한 구성 외에 셋탑박스(200)는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주변기기와 A/V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각종 포트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방송 컨텐츠 수신기, 즉 셋탑박스(200)에서 실행 가능한 내부 정보 전송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200)에서 실행 가능한 내부정보 전송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기기 사용자에 의해 시스템이 구동(S1단계)되면, 제어부(220)는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스템 구동시간을 카운팅(S2단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시스템 구동중 지속적으로 온도감지센서(250)를 통해 시스템내 온도를 감지(S3단계)한다.
시스템 구동중,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나의 방송 컨텐츠를 다운받아 시청하는 상태에서 제어부(220)는 온도감지센서(250)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 된 설정치 이상의 값을 가지는가를 체크(S4단계)한다. 상기 설정치는 시스템 부품 소자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사전에 프로그램된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만약 감지온도가 설정치 이상이라면 제어부(220)는 설정치를 초과한 감지온도를 정보저장부(240)에 저장(S5단계)한다. 그리고 S6단계로 진행하여 정보전송 명령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정보전송 명령은 리모콘 수신부 혹은 조작판넬부와 같은 사용자 I/F(270)를 통해 입력되는 값으로,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였다면 그 사실을 컨텐츠 프로바이더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이다.
S6단계에서 정보전송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이기에 제어부(220)는 S9단계로 진행하여 종료 명령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시스템 종료 명령이 없다면 제어부는 S3단계로 되돌아가 지속적으로 시스템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S4단계 내지 S9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한편 S6단계에서 정보전송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제어부(220)는 현재까지 카운팅된 시스템 구동시간을 정보저장부(240)에 저장(S7단계)한 후 저장된 시스템 운영정보를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서버(100)로 전송(S8단계)한다. 상기 '시스템 운영정보'에는 정보저장부(240)에 저장된 시스템 내의 온도값, 시스템 구동시간 뿐만 아니라 메모리(26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버전 정보, EPG 버전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사용자 식별정보(혹은 기기 식별정보)와 함께 전송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시청한 컨텐츠 정보까지 정보저장부(240)에 저장한후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셋탑박스(200)의 시스템 운영정보가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서버(100)로 전송되면, 시스템 운영자 혹은 상담원은 전송받은 시스템 운영정보를 통해 해당 기기의 장애발생 원인을 직감하거나 그 원인을 분석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내의 온도값을 통해 해당 기기가 과열로 인해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시스템 구동시간 값이 지나치게 과도하다면 장시간 구동으로 인해 장애가 발생한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테스트를 반복 수행하여 장애발생원인을 찾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그램 버전 정보를 통해서는 새로운 신 버전의 패치파일을 다운받아 장애를 치유할 것을 권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셋탑박스(200)의 운영과 관련된 정보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서버(100)측으로 전송되면, 시스템 운영자 혹은 상담원 등은 전송된 시스템 운영정보를 통해 장애요인을 예측할 수 있어 필요한 조치를 적절하게 자문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기에 대한 전문 지식 없이도, 그리고 별도의 번잡한 절차 없이도 편리하게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보고할 수 있는 편리함을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도 3에서 미설명된 S9단계, S10단계는 사용자 I/F(270)를 통해 종료 명령이 입력될 경우 현재까지의 시스템 구동시간을 저장한후 시스템 구동을 정지시킨후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스템내의 온도, 구동시간, 여러 프로그램들의 버전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시스템 장애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파라미터들을 시스템 운영 정보로 설 정하여 컨텐츠 프로바이더측으로 전송한다면 보다 정확하게 장애원인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컨텐츠 수신기인 셋탑박스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시스템 운영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A/S 서버 혹은 컨텐츠 프로바이더측에서 운영하는 복구 서버 등에서 전송하는 명령에 응답하여 셋탑박스 측에서는 수집된 시스템 운영 정보들을 해당 서버측으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A/S 서버에서는 시스템 운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수집명령을 시스템 운영자 명령시 마다 혹은 주기적으로 발생시켜 각 서비스 가입자의 셋탑박스로부터 시스템 운영 정보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 수신기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 수신기에서 실행 가능한 내부정보 전송 흐름도.

Claims (4)

  1. 삭제
  2.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컨텐츠 수신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에 있어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방송 컨텐츠 정보와 각종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수신기 시스템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와;
    시스템 운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와;
    상기 시스템내의 온도와 시스템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시스템 운영정보로 설정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시스템 운영 정보들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서버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
  3.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컨텐츠 수신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에 있어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방송 컨텐츠 정보와 각종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과;
    시스템 운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와;
    시스템 구동시간, 시청한 컨텐츠 정보, 프로그램 버전정보, EPG버전정보 중 다수의 정보를 시스템 운영정보로 설정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시스템 운영 정보들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서버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정보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상기 시스템 운영정보들을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서버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
KR1020070108410A 2007-10-26 2007-10-26 내부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 KR10085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410A KR100857617B1 (ko) 2007-10-26 2007-10-26 내부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410A KR100857617B1 (ko) 2007-10-26 2007-10-26 내부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617B1 true KR100857617B1 (ko) 2008-09-09

Family

ID=4002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410A KR100857617B1 (ko) 2007-10-26 2007-10-26 내부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6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067A (ko) * 2004-01-08 200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장애정보 신고방법
KR20060015056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격 제어 및 감시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KR20060053274A (ko) * 2004-10-13 2006-05-19 조배수 클라이언트의 오류 복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067A (ko) * 2004-01-08 200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장애정보 신고방법
KR20060015056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격 제어 및 감시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KR20060053274A (ko) * 2004-10-13 2006-05-19 조배수 클라이언트의 오류 복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7514B2 (en) Recording system
US9077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udience participation over a distribution network
EP3364649B1 (en) A set top box
AU2013378211B2 (en)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76025B2 (en) Home monitoring enhancements
US20140298365A1 (en) Receiving terminal, audience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and audience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US858396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mote control errors in controlled devices
US2012016714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to facilitate preselection of programming preferences
US10390077B2 (en) Collective determination of interesting portions of a media presentation, media tagging and jump playback
KR2018001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
US20140101682A1 (en) Television auto-tune based on habitual viewing behaviors
US200801413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on a digital video recorder
KR100857617B1 (ko) 내부정보 전송이 가능한 방송 컨텐츠 수신기
JP6469420B2 (ja) 調査用リモコン装置及びシステム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接触状況調査システム
US20100257571A1 (e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nd reception device
KR102223533B1 (ko)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082985B1 (ko) 양방향 서비스를 테스트하는 장치
CN111314414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20160007086A1 (en) Method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Television Programs Transmitt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US20100299690A1 (e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0506194B2 (en) Enhanced display panels of television receiving devices and methods
KR100985698B1 (ko) 방송 수신기와 방송 시청 제한 방법
CN101193226A (zh) 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US20140248030A1 (e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program
KR101242101B1 (ko)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채널 자동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