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559B1 -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559B1
KR100857559B1 KR1020080026815A KR20080026815A KR100857559B1 KR 100857559 B1 KR100857559 B1 KR 100857559B1 KR 1020080026815 A KR1020080026815 A KR 1020080026815A KR 20080026815 A KR20080026815 A KR 20080026815A KR 100857559 B1 KR100857559 B1 KR 100857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nnector
unit
connector body
pow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섭
Original Assignee
박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섭 filed Critical 박순섭
Priority to KR1020080026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을 지속적으로 관리, 보수할 수 있도록 된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는 관리자가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1 솔레노이드장치(70)와 상부기대 이송장치(80)가 작동되어, 상기 접속단자(60)와 커넥터(50)의 연결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부기대(12)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하부기대(11)의 관통공(11a)을 노출시키므로써, 관통공(11a)을 통해 관로(1) 내부의 배전선을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power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배전선을 지속적으로 관리, 보수하여 합선이 발생될 수 있도록 된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전력케이블을 땅에 묻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지중매설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중매설방식은 지하에 묻혀있는 관로에 전선을 설치하고, 상기 전선을 통해 고압의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선을 변압유닛이 일체로 구비된 배전기에 연결하여 전압을 다운시킨 후 일반 수용가에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전선을 배전기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된 기대(10)와, 상기 기대(10)에 설치된 송배전기(3)와, 상기 기대(10)에 설치되며 하단에는 관로(1)에 내설된 전선(2)이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기대(10)의 상면에 설치된 송배전기(3)의 배전유닛(3a)에 연결는 커넥터유닛(4)으로 구성되며, 상기 송배전유닛(20)에는 도시안된 변압유닛이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대(10)는 평판형상으로 구성되며, 관로(1)는 단부가 기대(10)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지면으로 연장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선(2)의 경우 땅에 묻혀있는 관로(1)에 설치되므로, 지속적으로 유지 및 보수하는 것이 어렵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선(2)의 노후 등에 의한 합선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배전선을 지속적으로 관리, 보수할 수 있는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된 기대(10)와, 상기 기대(10)에 설치된 송배전기(3)와, 상기 기대(10)에 설치되며 하단에는 관로(1)에 내설된 전선(2)이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기대(10)의 상면에 설치된 송배전기(3)의 배전유닛(3a)에 연결되는 커넥터유닛(4)을 포함하는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대(10)는 지면에 매설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관로(1)가 연결되는 상하방향의 관통공(11a)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레일(11b)이 형성된 하부기대(11)와, 상 기 레일(11b)에 올려지는 로울러(12a)가 하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배전유닛(20)과 케이스(30)가 설치되는 상부기대(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유닛(4)은
상기 관로(1)의 내부에 구비된 브라켓(40)과;
상기 브라켓(40)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에 상기 전선(2)이 연결되며 스프링(51)에 의해 하향가압되는 커넥터본체(50)와;
상부기대(1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하단에 상기 커넥터본체(50)가 연결되며 상단에는 상기 배전유닛(20)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소켓(61)이 구비된 접속단자(60)와;
상기 상부기대(12)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본체(50)와 결합되어 접속단자(60)와 커넥터본체(50)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작동시 상기 커넥터본체(5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접속단자(60)와 커넥터본체(50)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1 솔레노이드장치(70)와;
상기 상부기대(12)의 슬라이드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하부기대(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나사축(81)과, 상기 나사축(81)에 연결된 구동모터(82)와, 상기 나사축(81)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상부기대(12)에 연결된 이송블록(83)을 포함하는 상부기대 이송장치(80)와;
상기 커넥터(50)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50)를 상승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장치(110)와;
상기 제1 솔레노이드장치(70)와 상부기대 이송장치(80)의 구동모터(82) 및 제2 솔레노이드장치(110)에 연결된 제어부(90)와;
상기 제어부(90)에 연결되어 비밀번호 및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장치(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는 관리자가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1 솔레노이드장치(70)와 상부기대 이송장치(80)가 작동되어, 상기 접속단자(60)와 커넥터(50)의 연결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부기대(12)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하부기대(11)의 관통공(11a)을 노출시키므로써, 관통공(11a)을 통해 관로(1) 내부의 배전선을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는 지면에 설치된 기대(10)와, 상기 기대(10)에 설치된 송배전기(3)와, 상기 기대(10)에 설치되며 하단에는 관로(1)에 내설된 전선(2)이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기대(10)의 상면에 설치된 송배전기(3)의 배전유닛(3a)에 연결되는 커넥터유닛(4) 을 포함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송배전기(3)는 상기 기대(10)에 설치되며 상기 관로(1)에 내설된 배전선(2)이 연결되는 배전유닛(3a)과, 상기 배전유닛(3a)을 덮도록 상기 기대(10)에 설치되는 케이스(3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대(10)는 지면에 매설되어 상기 관로(1)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면에는 레일(11b)이 형성된 하부기대(11)와, 상기 하부기대(11)의 상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배전유닛(20)과 케이스(30)가 설치되는 상부기대(12)로 구성되며, 상기 관로(1)는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지면으로 연장되어 내설된 전선(2)이 관로(1)를 통해 상기 단자연결 커넥터(4)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기대(11)는 콘크리트를 가압성형하여 상기 상부기대(12)와 배전유닛(20) 및 케이스(30)의 하중을 이길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 지면으로 연장된 관로(1)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관로(1)가 연결되는 상하방향의 관통공(1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기대(11)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기대(12)의 슬라이드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1c)가 형성되며, 하부기대(11)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공(11a)에서 연장부(11c)쪽으로 하부기대(11)의 상면전체를 가로지르도록 레일(11b)이 배치되어, 상기 상부기대(12)가 레일(11b)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기대(12)는 상기 레일(11b)에 올려지는 로울러(12a)가 하부에 구비 되어, 상기 레일(11b)을 따라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상기 관통공(11a)을 덮는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관로(1)의 내부에 화제가 발생될 경우 관통공(11a)을 개방하도록 위치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유닛(4)은, 상기 관로(1)의 내부에 구비된 브라켓(40)과; 상기 브라켓(40)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프링(51)에 의해 하향가압되는 커넥터본체(50)와; 상부기대(1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접속단자(60)와; 상기 상부기대(12)에 구비된 제1 솔레노이드장치(70)와; 상기 상부기대(12)를 밀어 이송시키는 상부기대 이송장치(80)와; 상기 커넥터(50)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50)를 상승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장치(110)와; 상기 제1 솔레노이드장치(70)와 상부기대 이송장치(80)의 구동모터(82) 및 제2 솔레노이드장치(110)에 연결된 제어부(90)와; 상기 제어부(90)에 연결되어 비밀번호 및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장치(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40)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구성되며, 관로(1)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본체(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본체(50)는 도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에는 부도체의 외부케이스가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40)에 승강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 하단에 상기 전선(2)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단자(60)에 연결되어 전선(2)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상기 접속단자(60)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본체(50)의 상단 측면에는 상기 제1 솔레노이드장치(70)가 결합되는 결합홈(52) 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51)은 상기 커넥터본체(50)를 하향가압하여, 상기 커넥터본체(50)와 접속단자(60)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접속단자(60)는 상부기대(1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전유닛(20)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소켓(61)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커넥터본체(50)가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선(2)과 커넥터본체(50)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연결소켓(61)을 통해 배전유닛(20)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 솔레노이드장치(70)는 상기 상부기대(12)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본체(50)의 결합홈(52)에 끼움결합되는 래칫볼트(71)와, 코일이 내장되어 ON 되면 상기 래칫볼트(71)를 후진시키는 코어(72)로 구성되어, 상기 커넥터본체(50)가 접속단자(60)에 결합되면 상기 래칫볼트(71)가 커넥터본체(50)의 결합홈(52)에 맞물려 커넥터본체(50)와 접속단자(60)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코어(72)에 전원이 인가되어 ON 되면 래칫볼트(71)를 후진시켜 래칫볼트(71)와 결합홈(52)의 결합을 해제하므로써, 상기 스프링(51)에 의해 커넥터본체(50)가 하강되어 커넥터본체(50)와 접속단자(60)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기대 이송장치(80)는 상기 상부기대(12)의 슬라이드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하부기대(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나사축(81)과, 상기 나사축(81)에 연결된 구동모터(82)와, 상기 나사축(81)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상부기대(12)에 연결된 이송블록(83)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82)로 나사축(81)을 회전시키면, 상 기 이송블록(83)이 나사축(81)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이에따라, 상부기대(12)가 레일(11b)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위치이동된다.
이때, 상기 나사축(81)은 하부기대(11)의 상면에 구비된 지지블록(11d)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상부기대(12)의 하부면에는 상기 나사축(81)이 삽입되는 삽입홈(12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솔레노이드장치(110)는 상기 브라켓(40)에 고정되며 내부에 코일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이 발생되어 상기 커넥터본체(50)를 상승시키므로써, 상기 커넥터본체(50)가 접속단자(60)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90)는 비밀번호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가 구비되며, 상기 입력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장치(70)와 상부기대 이송장치(80)의 구동모터(82) 작동시켜, 커넥터본체(50)와 접속단자(60)의 연결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부기대(12)를 슬라이드시켜 상기 관통공(11a)을 개방하며, 상기 제2 솔레노이드장치(110)를 작동시켜 커넥터본체(50)를 상승시키므로써, 커넥터본체(50)와 접속단자(60)가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입력장치(100)는 상기 송배전기(3)의 케이스(3b) 외부면에 고정된 키패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관리자가 비밀번호 및 작동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는 관리자가 상기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비밀번호와 작동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90)가 제1 솔레노이드장치(70)와 상부기대 이송장치(80)를 작동시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본체(50)와 접속단자(60)의 연결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부기대(12)를 이송하여, 상기 하부기대(11)에 형성된 관통공(11a) 및 상기 관통공(11a)에 연결된 관로(1)의 내부가 개방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관통공(11a) 및 관로(1)의 내부를 개방하여, 내부에 설치된 전선(2)을 유지 및 보수하므로써, 전선(2)의 노후에 따른 합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개방된 관통공(11a)을 닫도록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상부기대 이송장치(80)를 구동시켜 상부기대(12)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장치(110)를 작동시켜 상기 커넥터본체(50)가 접속단자(60)에 결합되도록 하여 작동을 완료하므로, 별도의 후속조치가 필요치 않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Claims (1)

  1. 지면에 설치된 기대(10)와, 상기 기대(10)에 설치된 송배전기(3)와, 상기 기대(10)에 설치되며 하단에는 관로(1)에 내설된 전선(2)이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기대(10)의 상면에 설치된 송배전기(3)의 배전유닛(3a)에 연결되는 커넥터유닛(4)을 포함하는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대(10)는 지면에 매설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관로(1)가 연결되는 상하방향의 관통공(11a)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레일(11b)이 형성된 하부기대(11)와, 상기 레일(11b)에 올려지는 로울러(12a)가 하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배전유닛(20)과 케이스(30)가 설치되는 상부기대(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유닛(4)은
    상기 관로(1)의 내부에 구비된 브라켓(40)과;
    상기 브라켓(40)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에 상기 전선(2)이 연결되며 스프링(51)에 의해 하향가압되는 커넥터본체(50)와;
    상부기대(1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하단에 상기 커넥터본체(50)가 연결되며 상단에는 상기 배전유닛(20)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소켓(61)이 구비된 접속단자(60)와;
    상기 상부기대(12)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본체(50)와 결합되어 접속단자(60)와 커넥터본체(50)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작동시 상기 커넥터본체(5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접속단자(60)와 커넥터본체(50)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1 솔레노이드장치(70)와;
    상기 상부기대(12)의 슬라이드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하부기대(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나사축(81)과, 상기 나사축(81)에 연결된 구동모터(82)와, 상기 나사축(81)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상부기대(12)에 연결된 이송블록(83)을 포함하는 상부기대 이송장치(80)와;
    상기 커넥터본체(50)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본체(50)를 상승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장치(110)와;
    상기 제1 솔레노이드장치(70)와 상부기대 이송장치(80)의 구동모터(82) 및 제2 솔레노이드장치(110)에 연결된 제어부(90)와;
    상기 제어부(90)에 연결되어 비밀번호 및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장치(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
KR1020080026815A 2008-03-24 2008-03-24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 KR100857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815A KR100857559B1 (ko) 2008-03-24 2008-03-24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815A KR100857559B1 (ko) 2008-03-24 2008-03-24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559B1 true KR100857559B1 (ko) 2008-09-09

Family

ID=4002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815A KR100857559B1 (ko) 2008-03-24 2008-03-24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5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89B1 (ko) * 2009-03-30 2009-09-29 오대영 지중매설형 배전 전선 스토퍼
KR101955302B1 (ko) * 2018-08-29 2019-03-08 주식회사 남해이엔지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008A (ja) * 2006-06-28 2008-01-1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放水設備
JP2008008002A (ja) * 2006-06-28 2008-01-17 Gecoss Corp 火打受け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008A (ja) * 2006-06-28 2008-01-1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放水設備
JP2008008002A (ja) * 2006-06-28 2008-01-17 Gecoss Corp 火打受け構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2008-0026830호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2008-0087057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89B1 (ko) * 2009-03-30 2009-09-29 오대영 지중매설형 배전 전선 스토퍼
KR101955302B1 (ko) * 2018-08-29 2019-03-08 주식회사 남해이엔지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213B1 (ko) 배전선로의 지중전선 연결용 배전커넥터
KR100872555B1 (ko) 지중배전선과 배전반의 접속용 어뎁터
KR100857559B1 (ko) 송배전을 위한 전선의 탈부착식 연결구조
CN103956620A (zh) 一种智能家居电力连接系统
JP6826707B1 (ja) 安全性能の高い給電補助装置
KR100837840B1 (ko) 지중설치용 배전함
KR100837380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연결대
KR102435050B1 (ko)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CN102629769A (zh) 电动车辆用充电设备及该设备中使用的充电控制模块
CN110061452B (zh) 一种机电安装用电缆架设装置
KR100842349B1 (ko) 지중매설형 배전선의 단자연결구조
CN206283748U (zh) 一种模块化电梯控制柜
KR100858487B1 (ko) 지중배전선의 단자연결 커넥터
KR100861092B1 (ko) 지중매설형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고정대
KR100750960B1 (ko) 공동주택의 배선단자의 안전형 설치구조
KR100857900B1 (ko) 특고압 송전용 지중배전선의 배선반
KR100750957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구조
CN207311169U (zh) 一种升降横移立体车库充电装置
CN112310733B (zh) 一种电源插座用安全防火断电器
KR100858344B1 (ko) 공동주택의 지중전선 고정패널
KR100838706B1 (ko) 지중전선의 탈부착식 송배전기
CN204067147U (zh) 开关装置的扳动组合结构
KR100857899B1 (ko) 지중전선 연결용 분배전함
KR100856076B1 (ko) 지중배전선 연결용 배전반 보호대
KR100858116B1 (ko) 지중매설형 전선접속용 배전반 수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