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865B1 -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865B1
KR100855865B1 KR1020070036792A KR20070036792A KR100855865B1 KR 100855865 B1 KR100855865 B1 KR 100855865B1 KR 1020070036792 A KR1020070036792 A KR 1020070036792A KR 20070036792 A KR20070036792 A KR 20070036792A KR 100855865 B1 KR100855865 B1 KR 10085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video call
portable terminal
user inpu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서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3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영상 통화 중 실시간으로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이 개시된다.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 및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게임 동작을 처리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제공하는 무선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영상 통화 중에도 실시간으로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영상 통화, 영상 채팅, 게임

Description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Portable Terminal Having Game Funtion During Image Conversation And Method For Gaming During Image Conversation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게임 실행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게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카메라부 113 : 디스플레이부
115 : 그래픽 처리부 117 : 비디오 코덱
121 : 마이크 123 : 스피커
125 : 오디오 코덱 130 : 키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155 : 게임 처리 모듈 160 : 무선송수신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통화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이동통신의 세대가 3.5세대로 진화하면서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데이터 서비스가 시작되어 종래 음성 위주의 통화에서 벗어나 국내는 물론 전세계 어디서나 영상 통화 및 고속, 고품질의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영상 통화를 기반으로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문자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영상 채팅이나, 영상 컬러링, 영상 사서함, 영상 회의 등과 같은 부가서비스가 영상 통화를 기반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종래의 영상 통화 및 영상 통화 기반의 부가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중에는 영상 통화 중 사용자의 영상을 전송하는 대신 게임 실행 화면을 대 체 영상으로 전송함으로써 게임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있다.
그러나, 게임 화면을 대체 영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게임 실행 화면을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하여 영상 통화 전송 규격에 적합하도록 처리한 후 게임이 실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부담이 가중되고, 처리 지연으로 인하여 실시간 게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영상 통화 중 실시간으로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영상 통화 중 실시간으로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 및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게임 동작을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무선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게임 조작을 위한 게임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처리 모듈은 상기 변환된 게임 제어 신호 및 게임 고유 규칙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게임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영상 통화 중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에 기초하여 채팅을 실행하는 영상 채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게임의 시작 요청 신호를 영상 채팅을 통해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의 문자 및 숫자 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게임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게임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을 구분하여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및 게임 실행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그래픽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문자 및 숫자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는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상기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게임 조작키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은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영상 통화를 수행 중에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와 게임을 위한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 및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게임 동작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영상 통화를 수행 중에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 기와 게임을 위한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에 게임 시작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게임 수락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에 게임 시작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영상 채팅을 통해 상기 게임 시작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게임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 및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게임 동작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게임 조작을 위한 게임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게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임 동작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는 영상 채팅 채널을 통해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은 표시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게임의 실행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 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부(111), 디스플레이부(113), 그래픽 처리부(115), 비디오 코덱(117), 마이크(121), 스피커(123), 오디오 코덱(125), 키입력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및 무선송수신부(16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11)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렌즈, 이미지 센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를 포함한다. 카메라부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학적 신호를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사된 광학적 신호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통해 상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이에 대응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후 그래픽 처리부(115)에 제공한다.
특히, 카메라부(111)는 영상 통화가 실행되면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에 상응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부(115)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또는 유기전계발광장치(OLED)와 같은 표시 장치가 될 수 있고, 그래픽 처리부(115)로부터 제공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 동작 상태, 응용프로그램 실행 화면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3)는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그래픽 처리부(115)의 제어에 따라 표시 영역을 구분하여 사용자 영상 및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게임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그래픽 처리부(115)는 카메라부(111)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고, 디지털 영상 데이터의 컬러 포맷을 변환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축소시킨 후 비디오 코덱(117)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부(115)는 카메라부(111)로부터 RGB(Red, Green, Blue) 형태의 로(raw) 데이터를 제공받고 이를 인코딩하여 YCbCr 420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처리부(115)는 비디오 코덱(117)으로부터 디코딩된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3)의 소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해상도, 표시 위치, 프레임 레이트 등과 같은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13)에 제공한다.
또한, 그래픽 처리부(115)는 게임이 실행되면 제어부(150)의 제어에 기초하여 게임 실행 화면을 처리한 후 처리된 게임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3)에 제공한다.
비디오 코덱(117)은 그래픽 처리부(115)로부터 사용자의 모습에 해당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고 이를 소정의 영상 통화 포맷으로 인코딩한 후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또한, 비디오 코덱(117)은 제어부(150)로부터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제공받고 이를 디코딩한 후 그래픽 처리부(115)에 제공한다.
비디오 코덱(117)은 예를 들어 H.261, H.263, H.264 및 MPEG-4 등과 같은 코덱을 이용하여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할 수 있고, 영상 통화시에는 H.263, MPEG-4 simple profile level 0를 이용하여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할 수 있다.
마이크(121)는 영상 통화 및 음성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이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코덱(125)에 제공한다.
스피커(123)는 오디오 코덱(125)으로부터 디코딩된 음성 신호를 제공받고 이를 가청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스피커(123)는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실행된 게임에 포함된 게임 음향을 음성 신호와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코덱(125)은 마이크(121)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제공받고 이를 영상 통화 전송 규격에 적합하도록 인코딩한 후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또한, 오디오 코덱(125)은 제어부(150)로부터 영상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제공받고 이를 디코딩한 후 스피커(123)에 제공한다.
오디오 코덱(125)은 예를 들어, G.711, G.723, G.723.1, G.728 등과 같은 코덱 표준을 사용하여 음성의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키입력부(130)는 복수의 숫자, 문자 입력 키 및 특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키조작이 발생하면 이에 상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특히 키입력부(130)는 영상 통화에 해당하는 단축키(hot key) 및/또는 영상 통화 중 게임 실행에 해당하는 단축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축키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상기 단축키의 조작에 상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예를 들면 운영체제) 및/또는 기타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수행 중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에는 영상 통화 중 게임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상기 게임 프로그램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게임 설정값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영상 통화 중 채팅을 실행하기 위한 영상 채팅 처리 모듈(151) 및 영상 통화 중 게임 실행을 위한 게임 처리 모듈(155)을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키입력부(130)로부터 영상 통화 시작을 지시하는 키입력 신호 가 제공되면 비디오 코덱(117) 및 오디오 코덱(125)로부터 각각 제공된 사용자 영상 및 음성을 무선송수신부(160)에 제공함으로써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무선송수신부(160)를 통해 제공된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각각 비디오 코덱(117) 및 오디오 코덱(125)에 제공한다.
영상 채팅 처리 모듈(151)은 영상 통화 중 채팅 실행(즉, 영상 채팅 실행)을 지시하는 키입력 신호가 키입력부(130)로부터 제공되면 이에 상응하여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와 영상 채팅 채널을 설정하고, 그래픽 처리부(115)를 제어함으로써 영상 통화 화면과 채팅 실행 화면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영상 채팅 처리 모듈(151)은 사용자가 키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영상 채팅 채널을 통해 영상 채팅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고, 영상 채팅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영상 채팅 채널을 통해 송신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그래픽 처리부(115)에 제공함으로써, 영상 채팅 상대방의 사용자 입력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50)의 게임 처리 모듈(155)은 영상 통화 중 키입력부(130)로부터 소정 게임의 실행을 지시하는 키입력 신호가 제공되면 이에 상응하여 저장부(140)에서 상기 소정 게임을 독출하고 독출된 게임을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게임은 오목, 장기, 바둑 등과 같은 위치를 기반으로 한 게임이 될 수 있다.
게임 처리 모듈(155)은 영상 통화 중 상기 소정 게임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키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영상 채팅 메시지로 인식하지 않고, 미리 사용자 입력 메시지에 대응되어 정의된 게임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게임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게임 동작을 처리한다.
또한, 게임이 실행된 후에 영상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 메시지도 영상 채팅 메시지로 처리하지 않고 게임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이에 상응하는 게임 동작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된 후 사용자가 키입력부(130)에 구비된 소정의 문자 키(예를 들면 'G')를 누르게 되면, 게임 처리 모듈(155)은 상기 소정의 문자 키를 이에 대응되어 미리 정의된 게임 조작키(예를 들면, '왼쪽 방향키')로 간주하고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문자 키를 눌러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이에 대응되는 게임 제어 신호(예를 들면, 왼쪽으로 이동신호)로 변환하여 이에 상응하는 게임 동작을 처리한다.
또한, 게임 처리 모듈(155)은 게임이 실행된 후에 영상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소정의 사용자 입력 메시지(예를 들면 'M')가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게임 제어 신호(예를 들면, 오른쪽으로 이동신호)로 변환하여 이에 상응하는 게임 동작을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사용자 입력 메시지는 영상 채팅 채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키입력부(130)에 구비된 문자, 숫자 및 기능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응되는 게임 조작 키(즉, 게임을 조정하기 위한 키)는 게임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게임이 실행된 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게임 처리 모듈(155)은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즉, 게임 제어 신호)와 실행된 게임의 고유 규칙에 따라 실시간으로 게임 동작을 처리하고 처리된 게임 동작에 해당하는 그래픽 정보를 그래픽 처리부(115)에 제공하여 게임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게임 처리 모듈(155)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에 따라 게임을 처리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무선송수신부(160)에 제공함으로써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실시간으로 게임이 처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 메시지는 영상 채팅 채널을 통해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무선송수신부(160)는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고주파(RF) 신호를 베이스 밴드(base band)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50)에 제공하고, 제어부(150)로부터 제공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무선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출력한다.
특히, 무선송수신부(160)는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제어부(15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의 영상 통화 신호 및 사용자 입력 신호를 무선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 후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영상통화 및 게임 상대방의 영상 통화 신호 및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키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 지를 게임 조작을 위한 게임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게임 동작을 처리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영상 채팅을 위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와 동일한 방법으로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 메시지에 대응되는 게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임 동작을 처리함으로써 영상 통화 중에도 실시간으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게임 실행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화된 후 영상 통화가 시작된다(단계 301).
이후, 영상 통화 상대방과 게임을 위한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게임 시작 요청 신호를 영상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고(단계 303), 영상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게임 시작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305).
여기서 사용자는 영상 통화 중 영상 채팅을 통해 영상 통화 상대방에게 게임 시작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영상 채팅을 통해 영상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게임 수락 또는 게임 거절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도 있고, 영상 통화 중 별도의 단축키(hot key)를 조작하여 미리 작성된 게임 시작 요청 메시지를 영상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통화 중 영상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게임 시작 요청 메시지가 제공된 경우에는 별도의 단축키를 통해 미리 작성된 게임 수락 또는 게임 거절 메시 지를 영상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영상 채팅을 통해 게임 수락 또는 게임 거절 메시지를 영상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영상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응답 메시지의 내용에 기초하여 게임 시작 요청이 수락 또는 거절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07).
단계 307에서 판단 결과 게임 시작 요청이 수락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소정의 게임을 실행한다(단계 309). 여기서, 상기 소정의 게임은 오목, 바둑, 장기 등과 같은 위치 기반의 게임이 될 수 있고, 사용자는 게임 실행을 위한 별도의 단축키 또는 메뉴를 통해 상기 소정의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키입력부를 통해 게임 조작을 위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입력한다(단계 311).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영상 통화 상대방의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313).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 메시지는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영상 채팅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50)의 게임 처리 모듈(155)은 키입력부(130)를 통해 제공된 사용자 입력 메시지 또는 영상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이에 상응하는 게임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단계 315).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 메시지 및 영상 통화 상대방의 사용자 입력 메시지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와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영상 채팅 채널을 통해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게임 처리 모듈(155)은 상기 게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임 동작을 처리하 고, 처리된 게임 동작에 해당하는 그래픽 정보를 그래픽 처리부(115)에 제공함으로써 게임 실행 내용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317).
이후, 제어부(150)는 게임 종료에 해당하는 키입력 신호가 제공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319), 게임 종료에 해당하는 키입력 신호가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311로 되돌아가서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단계 319에서 판단결과 게임 종료에 해당하는 키입력 신호가 제공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게임 실행 과정은 종료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게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화된 후 영상 통화 중 오목 게임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는 오목 게임 시작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에 전송하고(단계 401),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오목 게임의 시작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제공받는다(단계 403).
그리고,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는 오목게임에서 흑과 백 중 어느 하나의 바둑돌에 대한 선택 메시지를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하고(단계 405),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바둑돌 선택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제공받는다(단계 407).
이후,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 및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는 각각 오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단계 409)
단계 401 내지 단계 407에서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 및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는 영상 채팅을 통해 상기와 같은 오목 게임 시작 요청, 수락, 흑/백 바둑돌 선택 및 흑/백 바둑돌 수락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계 405 및 407에서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 및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는 영상 채팅을 통해 흑/백 바둑돌 선택 및 수락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대신, 오목 게임이 실행된 후 오목 게임에 포함된 흑/백 바둑돌 선택 기능을 통해 흑과 백 중 어느 하나의 바둑돌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409에서 오목 게임이 실행된 후,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키입력부를 통해 오목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입력하고(단계 41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메시지는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에 전송된다(단계 413).
이후,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 및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는 각각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게임 조작을 위한 게임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단계 415).
그리고,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 및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는 각각 상기 단계 415에서 변환된 게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임 동작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표시한다(단계 417).
다음으로,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오목 게임 조작을 위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입력하고(단계 419), 입력된 상기 사용자 입력 메시지는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된다(단계 421).
이후,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 및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는 각각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게임 조작을 위한 게임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단계 423).
그리고,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 및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는 각각 상기 단계 423에서 변환된 게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임 동작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표시한다(단계 425).
이후,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는 오목 게임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427), 오목 게임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411로 되돌아가서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오목 게임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오목 게임 실행 과정을 종료한다.
여기서, 오목 게임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는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오목 게임을 종료하거나,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오목 게임을 종료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또는, 오목 게임을 수행하는 도중 영상 통화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 및 영상 통화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 중 어느 한쪽의 사용자가 오목 게임에서 승리한 경우, 승리한 휴대용 단말기의 오목 게임 프로그램에서 게임 종료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그래픽 처리부(115)는 디스플레이부(113)의 표시 영역(500)을 크게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제1 표시영역(510)에는 사용자 즉, 영상 통화 송신자의 영상을 표시하고, 제2 표시영역(520)에는 영상 통화 상대방 즉, 영상 통화 수신자의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3)의 제3 표시영역(530)에는 게임 실행 영상을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3)의 표시영역(500)이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사용자 영상,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및 게임 실행 영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영역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과 게임 실행 영상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에 따르면, 영상 통화 중에 소정의 게임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가 영상 채팅시 송신 및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메시지와 동일한 방법으로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되고,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 및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입력 메시지는 게임 조작을 위한 게임 제어 신호로 변환된 후 변환된 게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임 동작이 처리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영상 통화 중에도 실시간으로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영상 통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 및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게임 조작을 위한 게임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게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임 동작을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무선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게임 제어 신호 및 게임 고유 규칙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게임 동작을 처리하는 게임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 통화 중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입력 메시지에 기초하여 채팅을 실행하는 영상 채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게임의 시작 요청 신호를 영상 채팅을 통해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의 문자 및 숫자 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
    상기 게임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게임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을 구분하여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및 게임 실행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그래픽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문자 및 숫자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는 영상 통화 중 게임이 실행되면 상기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게임 조작키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8.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영상 통화를 수행 중에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와 게임을 위한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게임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 및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메시지를 게임 조작을 위한 게임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게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임 동작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영상 통화를 수행 중에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와 게임을 위한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에 게임 시작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게임 수락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에 게임 시작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영상 채팅을 통해 상기 게임 시작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메시지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메시지는 영상 채팅 채널을 통해 송신 및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은
    표시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게임의 실행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
KR1020070036792A 2007-04-16 2007-04-16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 KR100855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792A KR100855865B1 (ko) 2007-04-16 2007-04-16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792A KR100855865B1 (ko) 2007-04-16 2007-04-16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865B1 true KR100855865B1 (ko) 2008-09-01

Family

ID=4002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792A KR100855865B1 (ko) 2007-04-16 2007-04-16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8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248A (ko) * 2005-10-07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248A (ko) * 2005-10-07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1265B2 (en) Method of conveying emo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JP2004312677A (ja)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たキャラクタイメージ遠隔制御装置および方法
WO2018205878A1 (zh) 一种传输视频信息的方法、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KR2008003669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US72459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416699A1 (en) Telephone apparatus having video telephone function
KR100855865B1 (ko) 영상 통화 중 게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영상 통화 중 게임 방법
US8159970B2 (en) Method of transmitting image data in video telephone mode of a wireless terminal
KR100631585B1 (ko) 카메라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879648B1 (ko) 절전형 화상통화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절전형 화상통화 방법
KR100640427B1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및 배경 색상변경 방법
KR10071335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멀티비젼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030418B1 (ko) 미리 준비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통화 방법
KR100713388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의사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427278B1 (ko) 화상 회의 서버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회의 방법
KR100421366B1 (ko) 동영상 해상도 설정 방법
KR20090080774A (ko)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US8098274B2 (en) Image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00106168A (ko) 비디오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606127B1 (ko) 무선 휴대 전화기의 디티엠에프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812964B1 (ko) 화상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4178A (ko) 다자간 화상 통화시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KR20040016778A (ko) 아바타를 이용한 화상통화 방법 및 시스템
KR100861284B1 (ko) 영상 통화 중 음성 처리 방법 및 영상 통화 중 음성 처리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0464042B1 (ko) 동보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