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575B1 - 롤러 상하작동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상하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575B1
KR100854575B1 KR1020080025872A KR20080025872A KR100854575B1 KR 100854575 B1 KR100854575 B1 KR 100854575B1 KR 1020080025872 A KR1020080025872 A KR 1020080025872A KR 20080025872 A KR20080025872 A KR 20080025872A KR 100854575 B1 KR100854575 B1 KR 100854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bar
roller
actuator
guide pl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덕기
Original Assignee
문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덕기 filed Critical 문덕기
Priority to KR1020080025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575B1/ko
Priority to US12/266,761 priority patent/US809190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6Skating boots
    • A43B5/1633Multipurpose skate boo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retractable wheel, i.e. movable relative to the chassis out of contact from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상하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 밑창에 고정된 메인 바디;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체; 및 상기 롤러가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인출된 동작위치와, 상기 메인 바디 내로 복귀된 비동작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체를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작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착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롤러가 신발밑창으로부터 돌출하는 동작위치와, 롤러가 신발밑창으로 복귀되는 비동작위치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가 동작위치에 위치할 때는 일반 신발을 롤러 신발로서, 롤러가 비동작위치에 위치할 때는 보행용 신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는 편리하게 하나의 신발로 롤러 신발과 보행용 신발의 기능을 취할 수 있다.
롤러, 신발, 상하작동, 인라인 스케이트, 롤러 스케이트

Description

롤러 상하작동장치{Apparatus for operating roller up and down}
본 발명은 롤러 상하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에 장착되어 일반 신발을 롤러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는 롤러 신발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행용 신발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롤러 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는 신발 바닥에 롤러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설치하여 착용자에게 레크레이션과 운동효과를 동시에 주는 운동도구이다.
이러한 롤러 스케이팅이나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해서는, 롤러 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를 휴대하여 스케이팅이 가능한 장소로 이동한 후, 일반 신발을 롤러 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로 갈아신고, 일반 신발을 휴대하거나 별도의 장소에 보관시켜 두고 롤러 스케이팅이나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기게 된다. 롤러 스케이팅이나 인라인 스케이팅을 마친 후에는, 반대로 다시 일반 신발로 갈아신고, 롤러 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를 휴대하여 귀가하게 된다.
그런데 롤러 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는 일반 신발보다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스케이팅 시에는 일반 신발에서 롤러 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로, 스케이팅 종료 후에는 롤러 스케이트나 인라인 스 케이트에서 일반 신발로 갈아신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롤러가 장착된 롤러 신발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뒤꿈치 부위에만 롤러가 장착되거나, 또는 앞, 뒤꿈치 모두에 롤러가 장착된 신발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발은 롤러가 항상 신발 밑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보행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착용자가 균형을 잡기 어려워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롤러가 장착된 일반 신발을 롤러 신발 또는 보행용 신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상하작동장치는, 신발 밑창에 고정된 메인 바디;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체; 및 상기 롤러가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인출된 동작위치와, 상기 메인 바디 내로 복귀된 비동작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체를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작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상기 작동체를 향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판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철회위치와 상기 가이드판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작동체를 가압하는 기립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캠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에는 상기 캠바가 철회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캠바를 수용하는 캠바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캠바수용부는 상기 캠바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바는, 축부와, 상기 축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캠바가 기립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작동체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축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캠바가 기립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가이드판에 접촉하여 상기 캠바의 기립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캠바의 일단에는 상기 캠바의 회동을 조작하는 조작도구가 삽입되는 조작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바의 일단이 관통하는 지지관을 구비하는 캠바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홈은 상기 지지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캠바지지부에는 상기 지지관과 관통된 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관의 내측을 향해 일부가 돌출된 볼과, 상기 볼수용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볼을 상기 지지관을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캠바의 일단의 외주면에 상기 볼의 일부가 수용되는 위치알림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바가 기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편은 상기 가이드판에 접촉하며, 이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판으로부터 90°이상 회동한다.
또한, 상기 기립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가이드판이 이루는 각도는 95°~ 125°이다.
또한, 상기 작동체의 상기 가이드판을 향한 면에는, 상기 캠바의 회동시 상기 가압부의 단부가 접촉하면서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회동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함몰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부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돌출된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체에는 복수의 샤프트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 에는 상기 샤프트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체의 샤프트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판의 결합구멍과 결합하는 복수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구멍 내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외주를 둘러싸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체는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비동작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작동체의 외벽면에는 상기 작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바디의 내벽면에는 상기 작동체의 가이드리브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롤러가 비동작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롤러가 상기 신발 밑창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체는 상기 작동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회전체에 장착되어 있다.
본 롤러 상하작동장치는, 착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롤러가 신발 밑창으로부터 돌출하는 동작위치와, 신발 밑창 내로 복귀하는 비동작위치 사이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롤러가 동작위치에 있을 때는 신발이 롤러 신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롤러가 비동작위치에 있을 때는 신발이 보행용 신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하나의 신발로 롤러 신발과 보행용 신발의 기능을 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상하작동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상하작동장치가 장착된 신발밑창의 바닥면을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롤러 상하작동장치의 롤러가 신발밑창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롤러 상하작동장치의 롤러가 신발밑창의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롤러 상하작동장치(1,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밑창(5)의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에 각각 신발밑창(5)을 관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편의상, 신발밑창(5)의 전방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 상하작동장치(1)를 직선형 롤러 상하작동장치로, 신발밑창(5)의 후방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 상하작동장치(100)를 회전형 롤러 상하작동장치로 칭한다.
본 롤러 상하작동장치(1,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7,107)가 신발밑창(5)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7,107)가 신발밑창(5) 내로 철회되도록 조작될 수도 있다.
먼저, 직선형 롤러 상하작동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롤러 상하작동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직선형 롤러 상하작동장치(1)는, 작동체(40), 메인 바디(30), 작동 어셈블리(10,20)를 포함한다.
롤러(7)는 작동체(40)에 장착되어 신발밑창(5)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로 복귀한다.
작동 어셈블리(10,20)는, 롤러(7)가 메인 바디(30)로부터 인출되는 동작위치와 메인 바디(30) 내로 복귀하는 비동작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작동체(40)를 작동시킨다.
메인 바디(30)는, 마주보는 양단이 개방된 직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양단이 신발밑창(5)의 두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신발밑창(5)에 고정된다. 메인 바디(30)의 내벽면에는 상단 개구 영역에 소정 깊이만큼 함몰된 함몰부(31)가 내벽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함몰부(31)에는 후술할 가이드판(10)이 삽입된다. 함몰부(31)는 상단 개구로부터 가이드판(10)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판(10)이 메인 바디(30)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메인 바디(30)의 내벽면에는 메인 바디(30)의 하단 개구 영역으로부터 시작되어 함몰부(31)에 이르는 가이드홈(33)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할 작동체(40)의 가이드리브(44)가 가이드홈(33) 내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작동체(40)가 메인 바디(30)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홈(33)은 메인 바디(30)의 내벽면 중 폭이 좁은 한 쌍의 단측벽에 각각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그 개수 및 형성 위치는 변경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홈(33)은 함몰부(31)보다 더 깊게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리브(44)의 단부(441)가 가이드홈(33)의 단부(331) 부근에서 함몰부(31)에 의해 저지당하게 되고, 이때 작동체(40)는 더 이상 메인 바디(30)의 상단 개구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가이드홈(33)은 롤러(7)가 신발밑창(5)의 내부로 복귀되어 보행용 신발로서 사용될 때, 롤러(7)가 신발밑창(5)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각각의 가이드홈(33)은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촉면적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작동체(40)의 슬라이딩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인 바디(30)의 외벽면에는 한 쌍의 고정날개(37)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날개(37)에는 고정날개(37)의 판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날개(37)는 신발밑창의 미드솔(midsole)과 아웃솔(outsole) 사이에 배치되어 롤러 상하작동장치(1)가 신발밑창(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메인 바디(30)의 일측 단측벽에는 후술할 캠바(20)의 노출을 위해 절취된 절취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작동 어셈블리(10,20)는 가이드판(10)과 캠바(20)를 포함한다.
가이드판(10)은, 메인 바디(30)의 상단 개구를 차단하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 바디(30)의 함몰부(31)에 삽입되어 메인 바디(30) 내에 고정된다. 가이드판(10)의 두께는 함몰부(31)의 깊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가이드판(10)에서 메인 바디(30)의 내측을 향한 면에는, 캠바(20)를 수용하는 캠바수용부(15)가 캠바(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형성되어 있다. 캠바수용부(15)는 가이드판(10)의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반원통 형상으로 함몰된 축수용영역(16)과, 축수용영역(16)의 일측편에 길게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판수 용영역(17)을 포함한다. 한편, 축수용영역(16)의 일단은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된 영역으로 캠바(20)의 일단이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가이드판(10)의 각 모서리 영역에는 복수 개의 결합구멍(19)이 가이드판(10)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결합구멍(19)에는 작동체(40)와의 결합을 위한 샤프트(80)가 결합된다. 샤프트(80)의 단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캠바(20)는 가이드판(10)의 캠바수용부(15)에 수용되며, 알루미늄이나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캠바(20)는, 캠바(20)가 철회위치와 기립위치 사이를 회동할 때 축이 되는 일측으로 긴 축부(21)와, 축부(21)로부터 돌출하여 캠바(20)가 기립위치에 배치되면 작동체(40)를 가압하는 가압부(23)와, 축부(21)의 일측에 가압부(23)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돌출되며 캠바(20)가 기립위치에 배치되면 가이드판(10)에 접촉하여 캠바(20)의 기립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편(25)으로 형성된다.
캠바(20)의 축부(21)는 그 양단부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압부(23)가 형성된 영역은 가압부(23)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축부(21)의 일단은 신발밑창(5)의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에는 캠바(20)의 회동을 조작하는 도구가 삽입되는 조작홈(29)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조작홈(29)은 일자형 또는 십자형 등의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며, 드라이버, 핀, 열쇠 등의 일상생활 도구나, 신발과 함께 제공되는 별도의 도구(미도시)를 삽입한 다음,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캠바(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캠바(20)의 축부(21)에는 조작홈(29)에 인접한 외주면에 반구 형상으 로 함몰된 위치알림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캠바(20)가 기립위치에 배치될 때, 위치알림홈(27)에는 볼(54)이 수용되면서 충격음을 발생시켜 캠바(20)가 기립위치에 도달했음을 착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가압부(23)는 캠바(20)의 축부(21)의 회전에 의해 기립위치와 철회위치 사이를 회동한다.
지지편(25)은 캠바(20)가 작동체(40)를 가압하는 기립위치로 회동하기 위해 90°이상 회전하여, 지지편(25)과 가압부(23)가 이루는 각이 예각, 즉 90°를 넘지 않도록 지지편(25)의 형성위치가 결정된다(도 9 참조). 다시 말해, 지지편(25)은, 캠바(20)가 기립위치에 위치할 때, 가압부(23)와 가이드판(10)이 이루는 각도가 95°내지 125°, 바람직하게는 115°가 되도록 위치가 결정된다. 이렇게 가압부(23)가 90°이상 회동하여 경사진 상태로 작동체(40)를 가압하기 때문에, 조작홈(29)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가압부(23)를 원래의 위치로 철회시킬 수 없다. 따라서, 롤러 신발의 사용 중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롤러(7)가 메인 바디(30)의 내부로 철회되어 착용자가 예측하지 못한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도 14,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 바디(30)의 일측에는 캠바(20)의 축부(21) 일단을 지지하는 캠바지지부(50)가 장착되어 있다. 캠바지지부(50)는 메인 바디(30)의 절취부(35)에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캠바지지부(50)에는 캠바(20)의 축부(21)가 관통하는 지지관(55)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관(55)의 일측에는 지지관(55)의 내부와 관통된 볼수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볼수용부(53) 내에는 지지관(55)의 내측을 향해 일부분이 돌출된 볼(54)과, 볼(54)을 지지관(55)을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51)이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캠바(20)의 축부(21) 일단이 지지관(55) 내에 수용되면, 볼(54)은 축부(21)의 외주면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캠바(20)의 회전에 따라 캠바(20)가 기립위치에 배치되면,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부(21)의 위치알림홈(27)에 볼(54)이 수용되어 볼(54)과 위치알림홈(27) 사이에 충격음이 발생한다. 충격음에 의해 착용자는 캠바(20)가 기립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관(55)은 신발밑창(5)의 측부영역에 노출되며, 지지관(55) 내에 수용된 축부(21)의 조작홈(29)은 지지관(55)을 통해 착용자에게 노출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조작홈(29)을 이용하여 롤러(7)를 비동작위치 또는 동작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작동체(40)는, 메인 바디(3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작동체(40)의 외주면에는 작동체(4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리브(44)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리브(44)는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돌출되어 작동체(40)의 각 단측벽에 복수 개씩 형성된다. 작동체(40)가 메인 바디(30)에 수용되면, 가이드리브(44)는 메인 바디(30)의 가이드홈(33)에 수용되어 작동체(40)가 메인 바디(30)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작동체(40)에서 가이드판(10)을 향한 면에는 캠바(20)의 회동시 가압부(23) 의 단부가 접촉하도록 가압부(23)의 회동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면(41)이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41)의 회동방향의 단부에는 가압부(23)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돌출된 이탈방지턱(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41)이 형성된 작동체(40)의 중앙 영역에는 캠바(20)가 철회위치에 있을 때, 지지편(25)이 수용되는 지지편 수용부(43)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체(40)의 지면을 향한 면에는 롤러(7)가 수용되는 롤러수용홈(4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롤러수용홈(45)은 한 쌍으로 형성되나, 신발의 크기나 용도 및 설계에 따라 롤러수용홈(45)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롤러수용홈(45)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롤러수용영역(46)과, 롤러(7)의 축을 수용하는 축수용영역(47)을 포함한다.
한편, 작동체(40)에는 가이드판(10)과의 탄성적인 결합을 위해 샤프트(80)가 통과하는 복수의 샤프트구멍(49)이 각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구멍(49)은 원통의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판(10)을 향한 단부에는 그 직경이 축소되어 샤프트(80)의 머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샤프트구멍(49)에는 탄성체인 스프링(85)이 장착되며, 샤프트(80)는 머리가 하부를 향한 상태에서 스프링(85), 샤프트구멍(49)을 차례로 통과하여 가이드판(10)의 결합구멍(19)에 결합된다. 스프링(85)은 압축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캠바(20)가 작동체(40)를 가압하지 않는 철회위치에서는 스프링(85)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체(40)가 가이드판(10)에 밀착하고, 캠바(20)가 작동체(40)를 가압한 기립위치에서는 작동체(40)가 가이드판(10)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스프링(85)이 더욱 팽창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롤러 상하작동장치(1)의 작동과정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롤러(7)가 신발밑창(5)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아니한 비동작위치에서, 즉, 도 8의 상태에서는 캠바(20)가 철회위치인 캠바수용부(15)에 수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착용자가 롤러 신발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착용자는 별도의 도구를 조작홈(29)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캠바(20)를 90°이상, 예컨대 115° 회전시킨다. 캠바(20)가 기립위치로 이동하면서, 가압부(23)는 작동체(40)를 가압하여 스프링(85)이 압축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바(20)가 기립위치에 도달하면, 지지편(25)은 가이드판(10)에 접촉하게 되고, 가압부(23)는 작동체(40)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위치알림홈(27)에는 볼이 수용되면서 충격음이 발생한다. 이 충격음을 통해 착용자는 롤러(7)가 메인 바디(30)로부터 최대한 외부로 돌출되어 동작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착용자가 롤러(7)를 비동작위치로 다시 배치시켜 보행용 신발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도구를 조작홈(29)에 삽입하여 동작위치로 회동시킬 때와 반대방향으로 캠바(20)를 회동시킨다. 그러면, 캠바(20)가 캠바수용부(15)에 수용되어 가압부(23)에 의한 작동체(40)의 가압이 해제된다. 그리고 스프링(85)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체(40)가 가이드판(10)에 밀착되고, 롤러(7)가 메인 바디(30) 내로 완전히 복귀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롤러 상하작동장치(100)를 위에서 내려다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회전형 롤러 상하작동장치(100)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분해사시도이다.
본 회전형 롤러 상하작동장치(100)는, 직선형 롤러 상하작동장치(1)와 그 원리는 동일하나, 롤러(107)가 신발밑창(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직선형 롤러 상하작동장치(1)와 다소 상이한 구조를 가지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하여만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롤러(107)가 신발밑창(5)에 대하여 회전하는 구조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사항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이와 관련한 상세한 내용은 본 출원인이 획득한 한국특허등록 제0769822호(등록일: 2007.10.17.)를 참조하기 바란다.
본 회전형 롤러 상하작동장치(100)는, 작동체(140), 메인 바디(130), 작동 어셈블리(110,120)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1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메인 바디(130)에는 원통의 외측으로 반원통 형상으로 돌출한 복수의 결합그루브(1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바디(130)에는 직선형 롤러 상하작동장치(1)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이드판(110)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132)와, 작동체(1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33)과, 캠바(120)의 통과를 위한 절취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 어셈블리(110,120)는 가이드판(110)과 캠바(120)를 포함한다.
가이드판(11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둘레를 따라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영역(111)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이드판(110)의 한 면에는 캠바(120)가 수용되는 캠바수용부(115)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원판 상으로 형성된 영역(111)에는 작동체(14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1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캠바(120)는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가압부(123)와 축부(121)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캠바(120)의 일단에는 삼각형상으로 돌출한 지지편(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조작홈(129)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홈(129)이 형성된 축부(121)를 수용하는 지지관(155)과, 볼수용부(153)를 갖는 캠바지지부(150)도 마련된다.
작동체(140)는 가이드판(110)을 향한 일단이 막힌 원통상으로 형성되며, 작동체(140)의 외벽면에는 작동체(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샤프트관(141)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관(141)에는 작동체(140)와 가이드판(110)과의 결합을 위한 샤프트(180)와 스프링(185)이 수용된다. 작동체(140)의 막힌 일단에는, 가이드판(110)과 대향하는 면에 경사면(148)과 이탈방지턱(149)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판(110)과 대향하는 면의 중앙영역에는 작동체(140)를 관통하는 구멍(147)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체(140)의 외주면에는 메인 바디(130)의 가이드홈(133)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브(143)가 작동체(140)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작동체(140)의 막힌 일단에는, 작동체(140)의 내부를 향한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자석홈(145)이 형성되어 있다. 각 자석홈(145)에는 자석이 N극과 S극이 교호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체(140) 내에는 작동체(14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체(160)가 수용되어 있다. 회전체(160)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작동체(140)의 내부를 향한 면에는 그 중앙영역에 작동체(140)의 나사구멍(147)을 향해 돌출한 폴대(165)가 형성되어 있고, 폴대(165)에는 체결구멍(166)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체(140)의 나사구멍(147)은 회전체(160)의 체결구멍(166)보다 그 직경이 확대되어 있으며, 작동체(140)의 나사구멍(147)과 회전체(160)의 체결구멍(166)에 나사를 관통시켜 결합시키면, 회전체(160)가 작동체(140)에 대해 나사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체(160)와 작동체(140)가 결합된다.
회전체(160)의 작동체(140)를 향한 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자석수용홈(167)이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수용홈(167)은 작동체(140)에 형성된 자석홈(145)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자석수용홈(167)에도 자석이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회전체(160)가 회전되지 아니한 위치에서 자석수용홈(167)과 자석홈(145)에 수용된 자석의 극성이 상이하도록 자석이 배치된다. 즉, 회전체(160)가 회전하지 아니한 위치에서 자석수용홈(167)에 N극의 자석이 배치된 경우, 자석홈(145)에는 S극의 자석이 배치되어 인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회전체(160)는, 착용자가 회전형 롤러 상하작동장치(100)의 롤러(107)를 이용하여 몸을 회전시키는 경우, 착용자의 회전방향을 따라 360°회전가능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회전이 끝난 후에는 상이한 극끼리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의 힘에 의해 회전체(160)가 회전하여 롤러(107)가 착용자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돌아오게 한다.
회전체(160)와 작동체(140) 상호 간의 회전 구조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이 획 득한 한국특허등록 제0769822호(등록일: 2007.10.17.)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한편, 회전체(160)의 작동체(140)의 외부를 향한 면에는 롤러(107)가 수용되는 롤러수용홈(161)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회전형 롤러 상하작동장치(100)의 경우, 롤러(107)의 비동작위치에서는 캠바(120)가 가이드판(110)의 캠바수용부(115)에 수용된다.
반면,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07)의 동작위치에서는 캠바(120)의 가압부(123)가 작동체(140)를 가압하여 작동체(140)가 메인 바디(130)의 하부 개구를 향해 이동한다. 이때, 회전체(160)에 장착된 롤러(107)가 신발밑창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상하작동장치가 장착된 신발밑창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롤러 상하작동장치의 롤러가 신발밑창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롤러 상하작동장치의 롤러가 신발밑창의 내부로 철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롤러 상하작동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직선형 롤러 상하작동장치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롤러 상하작동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회전형 롤러 상하작동장치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직선형 롤러 상하작동장치의 비동작위치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직선형 롤러 상하작동장치의 동작위치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회전형 롤러 상하작동장치의 비동작위치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회전형 롤러 상하작동장치의 동작위치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캠바가 기립위치에 있을 때 볼이 위치알림홈에 수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5는 캠바가 철회위치에 있을 때 볼과 위치알림홈의 상호 위치를 나타낸다.

Claims (14)

  1. 신발 밑창에 고정된 메인 바디;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체; 및
    상기 롤러가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인출된 동작위치와, 상기 메인 바디 내로 복귀된 비동작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체를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작동 어셈블리;
    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상기 작동체를 향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판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철회위치와 상기 가이드판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작동체를 가압하는 기립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캠바;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판에는 상기 캠바가 철회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캠바를 수용하는 캠바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캠바수용부는 상기 캠바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캠바는,
    축부와,
    상기 축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캠바가 기립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작동체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축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캠바가 기립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가이드판에 접촉하여 상기 캠바의 기립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캠바의 일단에는 상기 캠바의 회동을 조작하는 조작도구가 삽입되는 조작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캠바의 일단이 관통하는 지지관을 구비하는 캠바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홈은 상기 지지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상하 작동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캠바지지부에는 상기 지지관과 관통된 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관의 내측을 향해 일부가 돌출된 볼과, 상기 볼수용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볼을 상기 지지관을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캠바의 일단의 외주면에 상기 볼의 일부가 수용되는 위치알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
  8. 제4항에서,
    상기 캠바가 기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편은 상기 가이드판에 접촉하며, 이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판으로부터 90°이상 회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기립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가이드판이 이루는 각도는 95°~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
  10. 제4항에서,
    상기 작동체의 상기 가이드판을 향한 면에는, 상기 캠바의 회동시 상기 가압부의 단부가 접촉하면서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회동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함몰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부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돌출된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작동체에는 복수의 샤프트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에는 상기 샤프트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작동체의 샤프트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판의 결합구멍과 결합하는 복수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구멍 내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외주를 둘러싸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체는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비동작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작동체의 외벽면에는 상기 작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바디의 내벽면에는 상기 작동체의 가이드리브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롤러가 비동작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롤러가 상기 신발 밑창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
  14. 제1항에서,
    상기 작동체는 상기 작동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회전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상하작동장치.
KR1020080025872A 2008-03-20 2008-03-20 롤러 상하작동장치 KR100854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872A KR100854575B1 (ko) 2008-03-20 2008-03-20 롤러 상하작동장치
US12/266,761 US8091900B2 (en) 2008-03-20 2008-11-07 Apparatus for operating roller imbedded in a shoe up and dow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872A KR100854575B1 (ko) 2008-03-20 2008-03-20 롤러 상하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575B1 true KR100854575B1 (ko) 2008-08-26

Family

ID=3987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872A KR100854575B1 (ko) 2008-03-20 2008-03-20 롤러 상하작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91900B2 (ko)
KR (1) KR1008545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5160B1 (en) * 1999-04-01 2003-10-08 Heeling Sports Limited Heeling apparatus and method
US9630084B2 (en) * 2015-02-27 2017-04-25 Vladimir Yurkin Inline skate sneaker
CN110184769B (zh) * 2019-06-24 2021-11-12 芜湖昊顺服饰有限公司 一种生物质纤维面料清洗装置
CN110584260B (zh) * 2019-09-03 2024-04-16 河南工学院 一种太空步专用舞鞋鞋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095Y1 (ko) 2001-04-26 2001-10-12 김선수 신발의 미끄럼 방지장치
KR200390407Y1 (ko) * 2005-05-09 2005-07-21 오재관 인라인스케이트겸용 신발
KR100520499B1 (ko) 2004-05-17 2005-10-11 송지영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KR100769822B1 (ko) * 2007-07-19 2007-10-23 문덕기 롤러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5327A (en) * 1997-06-20 1998-07-28 Gallant; Raymond J. Skates having retractable rollers
CN1444461A (zh) * 2000-07-21 2003-09-24 李弘吉 单排轮鞋
US6412791B1 (en) * 2001-01-09 2002-07-02 Wei-Yen Chu Roller skate with receivable wheel design
US6536785B2 (en) * 2001-03-01 2003-03-25 Billy Lee Roller skate shoes
US6450508B1 (en) * 2001-03-02 2002-09-17 Wei-Yen Chu Shoe for skating and walking
TW478370U (en) * 2001-04-06 2002-03-01 Solex Ind Inc Roller skate with foldable wheels
US6402162B1 (en) * 2001-04-24 2002-06-11 Hui-Chung Liang Dual-purpose roller skate
US6394468B1 (en) * 2001-05-02 2002-05-28 Kuo-Pin Chiang Dual-purpose shoe
US6572120B2 (en) * 2001-08-21 2003-06-03 Chun-Cheng Chang Wheel assembly for roller skate
US6523836B1 (en) * 2001-09-28 2003-02-25 Chun-Cheng Chang Wheel assembly for roller skate
US6629698B2 (en) * 2001-10-03 2003-10-07 Wei-Yen Chu Multifunctional shoe
US20030102642A1 (en) * 2001-12-04 2003-06-05 Chen-Hung Wang Receivable roller skate wheel mounting arrangement
US20040155415A1 (en) * 2003-02-08 2004-08-12 Katie Seleznev Dual purpose shoes for walking and gliding
EP1530915B1 (en) * 2003-11-12 2009-06-10 Automation Conveyors (Holdings) Limited An item of footwe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095Y1 (ko) 2001-04-26 2001-10-12 김선수 신발의 미끄럼 방지장치
KR100520499B1 (ko) 2004-05-17 2005-10-11 송지영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390407Y1 (ko) * 2005-05-09 2005-07-21 오재관 인라인스케이트겸용 신발
KR100769822B1 (ko) * 2007-07-19 2007-10-23 문덕기 롤러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91900B2 (en) 2012-01-10
US20090236808A1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575B1 (ko) 롤러 상하작동장치
EP1871190B1 (en) Adjustable height high heel shoe
USD554348S1 (en) Footwear
KR0184712B1 (ko) 착탈식 롤러 신발
US20020121750A1 (en) Shoe for skating and walking
KR20020065437A (ko) 롤러신발
US6394468B1 (en) Dual-purpose shoe
KR20110024226A (ko) 전환가능한 보행/인라인 스케이팅 신발
US6449880B1 (en) Antislip apparatus for footwear
KR20090095067A (ko)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JP3103086U (ja) ローラ付シューズ
EP1254686A1 (en) Dual-Purpose Shoe
KR200324901Y1 (ko) 로울러가 구비된 신발
KR200416578Y1 (ko) 미끄럼방지용 아이젠을 구비한 신발
KR200308774Y1 (ko) 롤러를 구비한 신발 구조
KR200400581Y1 (ko) 도어 스톱퍼
KR200308285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326898Y1 (ko)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CN215649487U (zh) 一种男鞋
KR200323017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US20040140635A1 (en) Roller blade shoes
KR200330775Y1 (ko) 인라인하키용 퍽
KR200323129Y1 (ko) 다용도 신발
KR100396442B1 (ko) 롤러 블레이드가 내장된 신발
KR200330176Y1 (ko) 힐링 슈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