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148B1 -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4148B1 KR100854148B1 KR1020070025794A KR20070025794A KR100854148B1 KR 100854148 B1 KR100854148 B1 KR 100854148B1 KR 1020070025794 A KR1020070025794 A KR 1020070025794A KR 20070025794 A KR20070025794 A KR 20070025794A KR 100854148 B1 KR100854148 B1 KR 1008541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air
- wall
- vacuum cleaner
- dust sepa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는 제 1 먼지 분리부 및 제 1 먼지 저장부를 정의하는 제 1 벽을 가지는 집진 바디; 상기 제 1 벽의 측방에 형성되어 제 2 먼지 저장부를 정의하는 제 2 벽;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의 상측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먼지 분리부; 및 상기 제 1 벽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벽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제 1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구획판이 포함되고, 상기 구획판에 의해서 구획되는 하측 공간에 상기 제 1 먼지 분리부 및 제 1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하면,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가 배출공을 통하여 제 1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고, 제 1 먼지 저장부의 외측에 제 2 먼지 저장부가 제공됨에 따라 제 1 먼지 저장부의 먼지 저장 용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먼지, 저장, 구획판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수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진 바디 20 : 배기 안내부
30 : 상부 커버 40 : 하부 커버
50 : 구획판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먼지 저장 용량이 증가되고,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 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크게 흡입구인 노즐부가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노즐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한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집진 장치는 원통형의 싸이클론 몸체와,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관과, 상기 싸이클론 몸체 내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공 및 상기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각종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 필터로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 몸체의 저부 공간은 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집진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집진 공간으로의 먼지의 배출을 위한 먼지 배출공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집진 장치의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흡입력 발생 수단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싸이클론 몸체 내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싸이클론 몸체의 흡입관을 통해 싸이클론 몸체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흡입된 후, 상기 싸이클론 몸체의 내벽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하강한다.
이 과정에서, 공기와 먼지는 그 중량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먼지는 원심력을 적용받으면서 상기 싸이클론 몸체의 내벽면을 타고 하측으로 흘려내려 먼지 배출공을 통해 상기 싸이클론 몸체의 저부인 집진 공간 내로 배출된다. 반면 먼지가 분리된 공 기는 상기 먼지 필터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먼지 필터 표면에는 미세한 먼지가 쌓이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기 먼지 필터의 표면에 먼지가 쌓이게 되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공기 중의 먼지 제거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 필터의 표면에 먼지가 쌓이게 되면,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먼지를 제거해줘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구획판의 하측에 집진 공간이 형성되므로, 집진 공간이 작아 사용자가 먼지를 자주 비워야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 용량이 증대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제 1 먼지 분리부 및 제 1 먼지 저장부를 정의하는 제 1 벽을 가지는 집진 바디; 상기 제 1 벽의 측방에 형성되어 제 2 먼지 저장부를 정의하는 제 2 벽;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의 상측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먼지 분리부; 및 상기 제 1 벽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벽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 하며, 상기 제 1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구획판이 포함되고, 상기 구획판에 의해서 구획되는 하측 공간에 상기 제 1 먼지 분리부 및 제 1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외형을 이루는 집진 바디(10)와, 상기 집진 바디(10)에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의 배기를 안내하는 배기 안내부(20)와, 상기 배기 안내부(2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30)와, 상기 집진 바디(10)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집진 바디에 저장된 먼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하부 커버(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벽(101)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벽(101)의 상측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1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벽(10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면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130)는 상기 제 1 벽(101)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벽(101)은 상기 흡입구(13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 1 먼지 분리부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벽(101)의 내부 공간에는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12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벽(101)의 외측에는 제 2 벽(10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벽(102)은 상기 제 1 벽(101)과의 관계에서 제 2 먼지 저장부(130)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3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의 외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의 외측에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30)가 형성됨에 따라, 비교적 부피가 큰 먼지가 저장되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의 크기가 확보될 수 있게 되어 먼지의 저장 용량이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30)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의 외측 일부분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각 먼지 저장부(120, 130)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먼지 비움 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벽(101)과 제 2 벽(102)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먼지 분리부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에서 미세 먼지가 재차 분리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제 2 먼지 분리부(107)가 상기 제 1 벽(101) 및 제 2 벽(102)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먼지 분리부(107)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제 2 흡입 구(10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30)는 상기 제 2 먼지 분리부(107)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벽(101)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벽(101)의 내부에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가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구획판(50)이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구획판(50)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50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먼지 분리부 내부의 공기는 별도의 먼지 필터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공(502)을 통하여 곧바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상기 배출공(502)을 통하여 곧바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50)은, 상기 제 1 벽(101)의 내부 공간을 먼지가 분리되는 공간과,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이동되는 공간(106)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구획판(50)을 기준으로 하측에는 제 1 먼지 분리부 및 제 1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가 상기 제 2 먼지 분리부(107)로 이동되도록 하는 공기 유로(106)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구획판(50)은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상기 제 2 흡입구(108)의 하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공(50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먼지 분리 부(107)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배출공(502)을 통하여 배출된 공기의 유로가 감소되도록 하여 공기의 유동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공(502)이 상기 제 2 먼지 분리부(107)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면, 상기 배출공(502)의 중심은 상기 제 1 벽(10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흡입구(1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후에 상기 배출공(502)을 통하여 상기 공기 유로(106)로 배출되고, 상기 공기 유로(106)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흡입구(108)를 통하여 상기 제 2 먼지 분리부(107)로 흡입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공(502)에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망 형상의 그릴(50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 안내부(20)는 상기 집진 바디(10)의 상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진 바디(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배기 안내부(20)가 상기 집진 바디(10)의 상측에 결합됨에 따라 완전한 공기 유로(10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안내부(20)의 하측에는 상기 제 2 먼지 분리부(107)에 삽입되는 배기 안내관(210)이 형성된다.
상기 배기 안내관(2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먼지 분리부(107)의 내부에서 상승 기류가 발생되도록 하여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도 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 안내부(20)의 상측에는 필터 부재(60)가 안착된다. 이 때, 상기 배기 안내부(20)에는 상기 필터 부재(60)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202)가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202)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리브(202)는 상기 필터 부재(60)가 상기 배기 안내부(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리브(202)에 의해서, 상기 필터 부재(60)가 상기 배기 안내부(2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공기가 상기 필터 부재(60)의 전체면을 골고루 통과할 수 있게 되고 공기의 유동이 원활해 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커버(30)는 상기 집진 바디(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집진 바디(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부재(60) 및 상기 배기 안내부(20)를 감싼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30)가 상기 집진 바디(10)의 상측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부 커버(30)와 상기 배기 안내부(20) 사이에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유로(30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30)에는 상기 필터 부재(60)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30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 커버(40)는 상기 집진 바디(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 및 제 2 먼지 저장부(130)를 동시에 개방 및 폐쇄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하부 커버(40)는 상기 집진 바디(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먼지 분리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흡입구(110)를 통하여 상기 제 1 벽(101)의 접선 방향으로 안내되고, 안내된 공기는 상기 제 1 벽(10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이 때,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구획판(50)의 하측 공간으로 흡입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와 먼지는 그 중량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먼지는 원심력을 적용 받으면서 낙하되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반면,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배출공(502)을 통하여 상기 공기 유로(106)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로(106) 상의 공기는 각 제 2 먼지 분리부(107)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먼지 분리부(107)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면서 먼지 분리 과정을 재차 거친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30)에 저장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배기 안내관(210)을 통하여 배출 유로(306)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유로(306)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필터 부재(60)를 거 치면서 필터링된 후에 최종적으로 상기 공기 배출구(302)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먼지 저장부의 외측에 제 2 먼지 저장부가 제공됨에 따라 제 1 먼지 저장부의 먼지 저장 용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가 배출공을 통하여 제 1 먼지 분리부에서 직접 배출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공이 제 2 먼지 분리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제 2 먼지 분리부로 공기가 원활히 유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먼지 저장부가 제 1 먼지 저장부의 외측 일부분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각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먼지 비움 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제 1 먼지 분리부 및 제 1 먼지 저장부를 정의하는 제 1 벽을 가지는 집진 바디;상기 제 1 벽의 측방에 형성되어 제 2 먼지 저장부를 정의하는 제 2 벽;상기 제 2 먼지 저장부의 상측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먼지 분리부; 및상기 제 1 벽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벽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제 1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구획판이 포함되고,상기 구획판에 의해서 구획되는 하측 공간에 상기 제 1 먼지 분리부 및 제 1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구획판의 의해서 구획되는 상측 공간으로 배출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공은 상기 제 2 먼지 분리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집진 바디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 흡입구가 더 포함되며,공기는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구획판의 하방으로 흡입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벽 및 제 2 벽의 상측에 결합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배기 안내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구획판을 기준으로 일측에 제 1 먼지 분리부 및 제 1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 1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상기 구획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먼지 분리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상기 공기 유로와 연결되는 제 2 먼지 분리부; 및상기 공기 유로 및 제 2 먼지 분리부의 상측에 제공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배기 안내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5794A KR100854148B1 (ko) | 2007-03-16 | 2007-03-16 |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5794A KR100854148B1 (ko) | 2007-03-16 | 2007-03-16 |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54148B1 true KR100854148B1 (ko) | 2008-08-26 |
Family
ID=3987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5794A KR100854148B1 (ko) | 2007-03-16 | 2007-03-16 |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414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5437A (ko) * | 2018-11-13 | 2020-05-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로봇 청소기 |
JP2020513861A (ja) * | 2016-12-22 | 2020-05-21 | アイロボ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清掃ロボットのための清掃ビン |
JP2020103969A (ja) * | 2016-12-22 | 2020-07-09 | アイロボ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清掃ロボットのための清掃ビン |
WO2020153672A1 (en) * | 2019-01-21 | 2020-07-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obot cleaner |
US11641991B2 (en) | 2016-12-22 | 2023-05-09 | Irobot Corporation | Cleaning bin for cleaning robo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6698A (ko) * | 2003-02-26 | 2004-09-03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
KR20050108623A (ko) * | 2004-05-12 | 2005-11-17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
KR20060037991A (ko) * | 2004-10-29 | 2006-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
KR20060101062A (ko) * | 2005-03-19 | 2006-09-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
2007
- 2007-03-16 KR KR1020070025794A patent/KR10085414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6698A (ko) * | 2003-02-26 | 2004-09-03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
KR20050108623A (ko) * | 2004-05-12 | 2005-11-17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
KR20060037991A (ko) * | 2004-10-29 | 2006-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
KR20060101062A (ko) * | 2005-03-19 | 2006-09-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4-0076698호(2004.09.03, 공개) |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108623호(2005.11.17, 공개) |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6-0037991호(2006.05.03, 공개) |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60101062호(2006.09.22, 공개)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513861A (ja) * | 2016-12-22 | 2020-05-21 | アイロボ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清掃ロボットのための清掃ビン |
JP2020103969A (ja) * | 2016-12-22 | 2020-07-09 | アイロボ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清掃ロボットのための清掃ビン |
US11641991B2 (en) | 2016-12-22 | 2023-05-09 | Irobot Corporation | Cleaning bin for cleaning robot |
KR20200055437A (ko) * | 2018-11-13 | 2020-05-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로봇 청소기 |
KR102590139B1 (ko) * | 2018-11-13 | 2023-10-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로봇 청소기 |
WO2020153672A1 (en) * | 2019-01-21 | 2020-07-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obot cleaner |
US11317774B2 (en) | 2019-01-21 | 2022-05-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obot clea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94581B1 (ko) | 멀티 집진장치 | |
KR100623915B1 (ko) | 먼지 분리장치 | |
US7815703B2 (en) |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 |
KR101250077B1 (ko) |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 |
KR100612204B1 (ko) |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 |
KR100623916B1 (ko) | 먼지 분리장치 | |
KR101248722B1 (ko) |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 |
KR100964699B1 (ko) |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 |
KR100626736B1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 |
KR100648959B1 (ko) | 멀티 사이클론 분리장치 | |
US20060272299A1 (en) |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 |
KR100678673B1 (ko) |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장치 | |
KR100854148B1 (ko) |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
KR100546622B1 (ko) | 청소기의 집진장치 | |
JP2007330672A (ja) | 集塵装置 | |
KR100546625B1 (ko) | 청소기의 집진장치 | |
KR101065968B1 (ko) |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 |
KR100809775B1 (ko) |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
JP4322257B2 (ja) | ゴミ分離装置 | |
KR100809776B1 (ko) |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
KR100546627B1 (ko) |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 |
KR100854147B1 (ko) |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
KR20080066291A (ko) |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 |
KR100809748B1 (ko) |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
KR100672474B1 (ko) | 진공청소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