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093B1 -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093B1
KR100854093B1 KR1020080026661A KR20080026661A KR100854093B1 KR 100854093 B1 KR100854093 B1 KR 100854093B1 KR 1020080026661 A KR1020080026661 A KR 1020080026661A KR 20080026661 A KR20080026661 A KR 20080026661A KR 100854093 B1 KR100854093 B1 KR 100854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nit
winding drum
winding
distribu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덕
임온순
Original Assignee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2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5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retractable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의 중심부분에 개구부(11)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케이스(10)의 개구부(11)를 통해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배전함(20)과; 배전함(20)에 고정되고, 케이스(10)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케이스(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는 차폐판(30)과; 차폐판(30)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통전 어뎁터(A)와; 차폐판(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뎁터(A)의 배전선(L)을 권취하는 권취롤러(W)와 차폐판(30)에 설치되어 권취롤러(W)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S)을 갖춘 권취기구(WI)와;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제1와이어(43)를 매개로 차폐판(30)과 연결되는 권취드럼(41)과, 케이스(10)에 내설되어 권취드럼(41)을 강제구동하는 구동장치(M)로 구성된 배전함노출장치(WE)와; 케이스(10)에 내설되는 실린더(45a), 실린더(45a)에 직선왕복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피스톤(45b), 실린더(45a)에 내설되어 피스톤(45b)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5c)을 갖춘 구동기구(45)와, 제2와이어(43)를 매개로 구동기구(45)의 피스톤(45b)에 연결되는 제1권취드럼(44a), 제3와이어(46)를 매개로 분배전함(20)에 연결되어 제1권취드럼(44a)과 연동하는 제2권취드럼(44b)을 갖춘 권취롤러(44)로 구성된 배전함숨김장치(40)와; 구동장치(M)를 작동제어하는 메인제어유닛(50)과;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무선수신하여 메인제어유닛(50)으로 전송하는 무선유닛(51)과; 구동장치(M)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3)과, 입력유닛(63)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제어유닛(62)과, 제어유닛(62)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외부로 무선 송출하는 송신유닛(61)을 갖춘 리모컨(60)로 이루어져, 외부인의 임의 조작에 의한 전력 공급의 중단 및 전기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배전반 주위에서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Distributing device of a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는 배전반이 내장된 배전함이 설치된다. 배전반은, 공급되는 전력을 각종 부하로 분배 및 공급시키는 전원분배기와,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상태를 감지하여 누전 등과 같은 이상 상태 발생시 전기를 신속히 차단시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누전차단기, 또는 이상이 있는 부하 측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 일정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 등의 각종 기기들이 설치되어, 건물 시공시 벽면에 매설된다.
이러한 배전함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침입자에 의해 배전반이 임의로 조작되어 각종 전기기기들로 공급되는 전력이 끊어져 전기기기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배전반을 실수로 조작할 수 있어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침입자가 배전함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없도록 배전함의 설치위치를 은폐시킬 필요성이 있다.
또한, 배전함의 주위에는 전원을 끌어 쓸 수 있는 어뎁터가 없어, 배전함 주위에서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배전함 주위를 전기 청소기로 청소하려 할 시 별도의 전선라인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야 전기 청소기를 작동할 수 있어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배전함의 설치위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침입자가 임의로 배전반을 조작할 수 없고, 배전반 주위에서 바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의 중심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배전함과; 배전함에 고정되고, 케이스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케이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차폐판과; 차폐판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통전 어뎁터와; 차폐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뎁터의 배전선을 권취하는 권취롤러와 차폐판에 설치되어 권취롤러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피링을 갖춘 권취기구와;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제1와이어를 매개로 차폐판과 연결되는 권취드럼과, 케이스에 내설되어 권취드럼을 강제구동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된 배전함노출장치와; 케이스에 내설되는 실린더, 실린더에 직선왕복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피스톤, 실린더에 내설되어 피스톤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을 갖춘 구동기구와, 제2와이어를 매개로 구동기구의 피스톤에 연결되는 제1권취드럼, 제3와이어를 매개로 분배전함에 연결되어 제1권취드럼과 연동하는 제2권취드럼을 갖춘 권취롤러로 구성된 배전함숨김장치와; 구동장치를 작동제어하는 메인제어유닛과;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무선수신하여 메인제어유닛으로 전송하는 무선유닛과;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과, 입력유닛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제어유닛과, 제어유닛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외부로 무선 송출하는 송신유닛을 갖춘 리모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배전반이 사용시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을 갖는 한편, 배전반 주위에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외부인의 임의 조작에 의한 전력 공급의 중단 및 전기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배전반 주위에서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의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의 권취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의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는, 벽체에 매설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전함(20)과, 배전함(20)과 연결되어 케이스(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폐판(30)와, 차폐판(30)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롤러(W)와, 차폐판(30)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뎁터(A)와, 배전함(20) 및 차폐판(30)를 이송시키는 배전함숨김장치(40)와, 배전함숨김장치(40)를 작동제어하는 메인제어유닛(50)과,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무선수신하여 메인제어유닛(50)으로 전송하는 무선유닛(51)과, 무선유닛(51)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컨(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전면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 개구부(11)와 연통되며 개구부(11)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 되도록 형성된 배전함수용부(12) 및 차폐판수용부(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전함수용부(12)은 개구부(11)를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며 차폐판수용부(13)는 우측에 형성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선 및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은 케이스(10)을 관통하여 배전함(20) 내의 배전반에 연결된다.
상기 배전함(20)은,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공동주택의 각종 부하로 공급 및 분배하는 배전반이 설치되고, 외면 하단에 롤러(R)가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배전함수용부(12)에 수용된다. 이때, 배전함(20)은 롤러(R)에 의해 케이스(10) 내부를 큰 마찰저항 없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차폐판(30)은, 하단에 원활한 이동을 위한 롤러(R)가 구비되며, 배전함(20)에 연결고정되어, 케이스(10)의 개구부(11)를 차폐한다. 이때, 차폐판(30)의 전면 하부에는 권취롤러수용부(31)와 권취롤러수용부(31)와 연통되는 어뎁터수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어뎁터(A)는 내부에 삽입부(a2)가 형성되고, 삽입부(a2)에 배전선(L)과 연결되는 단자(a1)가 구비되어, 차폐판(30)의 어뎁터수용부(32)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권취기구(WI)는, 차폐판(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롤러(W)와, 권취롤러(W)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S)을 갖춘다.
상기 권취롤러(W)는, 차폐판(30)의 권취롤러수용부(31)에 설치되어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배전선(L)을 감거나 푼다.
상기 스프링(S)은 권취롤러(W)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권취롤러(W)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어뎁터(A)가 차폐판(30) 외부로 자유로이 이탈되며, 권취기구(WI)에 의해 복귀된다.
상기 배전함노출장치(WE)는, 케이스(10)의 차폐판수용부(13)에 설치되는 구동장치(M)와, 구동장치(M)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권취드럼(41)과, 일단이 권취드럼(41)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폐판(30)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43)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M)는 종래에 공지된 모터로서, 차폐판(30)의 우측에 위치되며, 권취드럼(41)을 회전시켜 제1와이어(43)을 감거나 푼다.
상기 배전함숨김장치(40)는, 케이스(10)에 내설되는 구동기구(45)와, 구동기구(45)와 연동하는 권취롤러(44)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구(45)는, 케이스(10)의 배전함수용부(12)에 설치되는 실린더(45a)와, 실린더(45a)에 내설되는 피스톤(45b)과, 실린더(45a)에 내설되어 피스 톤(45b)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5c)로 구성된다.
상기 권취롤러(44)는, 제2와이어(43)를 매개로 구동기구(45)의 피스톤(45b)에 연결되는 제1권취드럼(44a)과, 제3와이어(46)를 매개로 배전함(20)에 연결되어 제1권취드럼(44a)과 연동하는 제2권취드럼(44b)로 구성되어,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구동기구(45)와 배전함(2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2와이어(43)는, 일단이 구동기구(45)의 피스톤(45b)에 연결되며 타단이 권취롤러(44)의 제1권취드럼(44a)에 연결되어, 제1권취드럼(44b)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45b)을 직선왕복이동시킨다.
상기 제3와이어(46)는, 일단이 권취롤러(44)의 제2권취드럼(44b)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전함(20)에 연결되어, 제2권취드럼(44b)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린다.
한편, 상기 제2권취드럼(44b)은, 제1권취드럼(44a) 보다 반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전함(20)이 많이 이동하더라도 구동기구(45)의 피스톤(45b)이 조금 이동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45a)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유닛(50)은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장치(M)를 작동제어한다. 즉, 메인제어유닛(50)은 리모컨(60)으로부터 송출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구동장치(M)을 작동시켜, 권취드럼(41)을 회전시킨다.
상기 무선수신유닛(51)은, 배전함(20)에 인접된 천장 등에 설치되어, 리모컨(60)으로부터 제어신호가 송출되면, 이를 무선수신하여 메인제어유닛(50)으로 전송한다.
상기 리모컨(60)은, 구동장치(M)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3)과, 입력유닛(63)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제어유닛(62)과, 제어유닛(62)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외부로 무선 송출하는 송신유닛(61)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리모컨(60)의 입력유닛(63)을 조작하면, 입력유닛(63)은 제어신호를 제어유닛(62)로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유닛(62)이 제어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유닛(61)을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이때, 리모컨(60)은, 단일물품으로 관리자에 의해 별도로 소지되며 원격으로 메인제어유닛(50)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케이스(20)의 내면에 마찰부재를 구비하여, 외부인이 케이스(10)의 개구부(11)로 노출된 차폐판(30)에 외력을 가해 열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벽체와 차폐판(30)이 일체로 보이도록 벽체에 그림을 그려 넣어, 배전함의 은폐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케이스(10)의 개구부(11)가 차폐판(3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서, 사용자가 케이스(10) 근처에서 입력유닛(60)을 통해 차폐판(30)을 열라는 신호를 입력하면, 입력유닛(60)의 송신유닛(61)이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무선수신유닛(51)이 수신하여 메인제어유닛(50)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메인제어유닛(50)은 구동모터(M)를 구동시켜 권취드럼(4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권취드럼(41)이 회전하면, 제1와이어(42)가 권취드럼(41)에 감기고, 이와 동시에 차폐판(30)과 배전함(20)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배전함(20)이 우측(20)으로 이동하면 제3와이어(46)는 풀리고, 제3와이어(46)에 의해 권취롤러(44)가 회전한다. 상기 권취롤러(44)는 회전하면서 제2와이어(43)를 감고, 제2와이어(43)가 권취롤러(44)에 감기면서 구동기구(45)의 피스톤(45b)을 우측으로 잡아당겨 구동기구(45)의 스프링(45c)이 인장된다.
계속해서 권취롤러(41)이 회전하면, 도 7 및 도 8과 같이 배전함(20)이 케이스(10)의 개구부(11)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전함(20)의 도어를 열어 배전반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배전함(20)의 사용을 마친 사용자가 입력유닛(60)을 통해 차폐판(30)을 닫으라는 신호를 입력하면, 메인제어유닛(50)가 구동모터(M)를 작동시켜 권취드럼(41)이 역방향으로 돈다.
상기 권취드럼(41)이 회전하면, 제1와이어(42)가 권취드럼(41)으로부터 풀리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45c)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45b)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피스톤(45b)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제2와이어(43)가 피스톤(45b)에 의 해 당겨지면서 권취롤러(4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하는 권취롤러(44)에 제3와이어(46)가 감긴다. 따라서 제3와이어(46)가 배전함(20)을 당겨 배전함(20)이 케이스(10)의 배전함수용부(12)에 다시 수용되고, 차폐판수용부(13)에 수용된 차폐판(30)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개구부(11)를 폐쇄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와 같이 어뎁터(A)가 외부로 노출되면, 배전반으로부터 배전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청소기와 같은 전기기기를 사용할 시, 전기기기의 플러그 단자를 어뎁터(A)의 삽입부(a2)에 꽂아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어뎁터(A)는 차폐판(30)에 이탈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전기기기가 멀리 떨어져 있어도 전기기기에 전기가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어뎁터(A)를 사용하지 않을 시는 배전선(L)을 감거나 푸는 권취롤러(W)에 의해 어뎁터(A)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는, 관리자 외의 사람이 쉽게 찾을 수 없어 외부인이 임의로 조작할 수 없다. 따라서, 외부인에 의한 배전반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어, 각 부하로 정상적인 전력 공급을 할 수 있으며, 오작동에 의한 순간적인 단전으로 인해 전기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배전반을 조작하다 감전하는 사고도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컨을 통해 작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 외부로 노출된 어뎁터(A)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배전함 주 위에서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인이 배전함의 보관위치를 어뎁터(A) 사용위치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배전함의 은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의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의 권취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의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10; 케이스 20; 배전함
30; 차폐판 40; 배전함숨김장치
50; 제어유닛 60; 입력유닛
WE; 배전함노출장치 W; 권취롤러
A; 어뎁터

Claims (1)

  1. 전면의 중심부분에 개구부(11)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케이스(10)의 개구부(11)를 통해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배전함(20)과;
    배전함(20)에 고정되고, 케이스(10)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케이스(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는 차폐판(30)과;
    차폐판(30)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통전 어뎁터(A)와;
    차폐판(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뎁터(A)의 배전선(L)을 권취하는 권취롤러(W)와 차폐판(30)에 설치되어 권취롤러(W)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S)을 갖춘 권취기구(WI)와;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제1와이어(43)를 매개로 차폐판(30)과 연결되는 권취드럼(41)과, 케이스(10)에 내설되어 권취드럼(41)을 강제구동하는 구동장치(M)로 구성된 배전함노출장치(WE)와;
    케이스(10)에 내설되는 실린더(45a), 실린더(45a)에 직선왕복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피스톤(45b), 실린더(45a)에 내설되어 피스톤(45b)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5c)을 갖춘 구동기구(45)와, 제2와이어(43)를 매개로 구동기구(45)의 피스톤(45b)에 연결되는 제1권취드럼(44a), 제3와이어(46)를 매개로 분배전함(20)에 연결되어 제1권취드럼(44a)과 연동하는 제2권취드럼(44b)을 갖춘 권취롤러(44)로 구성된 배전함숨김장치(40)와;
    구동장치(M)를 작동제어하는 메인제어유닛(50)과;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무선수신하여 메인제어유닛(50)으로 전송하는 무선유닛(51)과;
    구동장치(M)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3)과, 입력유닛(63)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제어유닛(62)과, 제어유닛(62)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외부로 무선 송출하는 송신유닛(61)을 갖춘 리모컨(6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
KR1020080026661A 2008-03-22 2008-03-22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 KR10085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661A KR100854093B1 (ko) 2008-03-22 2008-03-22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661A KR100854093B1 (ko) 2008-03-22 2008-03-22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093B1 true KR100854093B1 (ko) 2008-08-25

Family

ID=3987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661A KR100854093B1 (ko) 2008-03-22 2008-03-22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0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366B1 (ko) 2010-12-03 2011-03-04 대신파워텍 (주) 매립형 가로등 분전반
CN110649488B (zh) * 2019-10-30 2021-01-01 山东翔晟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化的铝合金智能配电箱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002A (ja) * 2006-06-28 2008-01-17 Gecoss Corp 火打受け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002A (ja) * 2006-06-28 2008-01-17 Gecoss Corp 火打受け構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특허출원 제2008-0026644호
국내 특허출원 제2008-0026645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366B1 (ko) 2010-12-03 2011-03-04 대신파워텍 (주) 매립형 가로등 분전반
CN110649488B (zh) * 2019-10-30 2021-01-01 山东翔晟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化的铝合金智能配电箱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695B1 (ko) 공동주택의 실내 배전함
KR100834524B1 (ko) 공동주택의 분배전용 전선 연결구조
US8896150B1 (en) Multi-socket power adapter
KR100835243B1 (ko)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배전선 보호대
CN109862727A (zh) 电气设备的防护装置及电气设备
KR100854093B1 (ko) 공동주택의 매설형 배전장치
KR100963264B1 (ko) 공동주택의 배전반 수용 함체
KR101947024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전선로 보호장치
KR100834099B1 (ko) 공동주택의 안전형 분배전반
JPH10507866A (ja) 遮断器の相互鎖錠装置
KR100868963B1 (ko) 공동주택 내설형 전선의 통전소켓을 갖춘 배전장치
KR100853032B1 (ko) 공공주택의 매설형 배전선 단자
KR100855734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배선라인 체결구를 갖춘 배전장치
KR100853030B1 (ko) 공동주택의 내설형 배전장치
KR100854525B1 (ko) 공동주택의 매설형 분배전선 보호대
KR20120119591A (ko) 선박용 도어홀더
KR100853035B1 (ko) 공동주택의 배전장치
KR101597195B1 (ko) 벽면 매입방식 콤팩트 분전반
KR100834513B1 (ko) 전기공급제어형 공동주택의 배전반
KR100868970B1 (ko) 공동주택의 은폐형 분배전 장치
KR100853493B1 (ko) 공동주택의 전기설비용 분전반 고정대
KR100831734B1 (ko) 공동주택의 분배전함 설치구조
KR100835368B1 (ko) 공동주택의 벽면고정식 분배전반의 안전형 설치구조
KR20120106420A (ko) 방화셔터 자동폐쇄장치
KR100833659B1 (ko) 공동주택의 실내배전반 고정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