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217B1 - 소방용 방화복 어깨멜빵 고리 - Google Patents

소방용 방화복 어깨멜빵 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217B1
KR100853217B1 KR1020080021515A KR20080021515A KR100853217B1 KR 100853217 B1 KR100853217 B1 KR 100853217B1 KR 1020080021515 A KR1020080021515 A KR 1020080021515A KR 20080021515 A KR20080021515 A KR 20080021515A KR 100853217 B1 KR100853217 B1 KR 100853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ders
shoulder strap
suspender
should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대석
Original Assignee
양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대석 filed Critical 양대석
Priority to KR1020080021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5/00Shoulder or like straps
    • A41F15/002Shoulder or like straps separable 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5/00Shoulder or like straps
    • A41F15/02Means for retaining the straps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3Fire-resistant or fire-fighter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방화복의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멜빵과 바지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어깨멜빵 고리에 관한 것이다.
소방용 방화복의 하의와 멜빵을 분리하여 세탁 시 멜빵과 세탁물이 엉키지 않도록 하여 세탁물과 멜빵의 손상을 방지하고, 고무밴드로 형성된 멜빵이 손상되어 교체하고자 할 때 바느질을 하지 않고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하여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방용 방화복의 어깨멜빵 고리는, 걸이구멍이 형성되어 멜빵의 일 끝단부를 상기 걸이구멍에 삽입 고정하기 위한 멜빵 고정부와, 상기 멜빵 고정부의 일측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멜빵고정부의 타측이 일부 개방된 개방구를 구비하여 상기 개방구를 통해 연결밴드를 삽입하거나 분리함에 의해 상기 멜빵이 분리되거나 결합되도록 하는 멜빵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멜빵체결부는 상기 개방구를 갖는 모서리가 곡선처리 되어 있고, 상기 소방용 방화복의 바지에 고정된 연결밴드가 상기 개방구를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연결밴드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내측으로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소방용 방화복을 착용 시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어깨멜빵을 바지로부터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세탁 시 소방용 방화복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착용할 때 멜빵고리와 마찰에 의한 고무밴드의 손상을 방지하고,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멜빵이 훼손될 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교체시간 및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감소시키며, 또한 소방용 방화복의 하의 착용 시 멜빵고리에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멜빵을 결합할 시 멜빵고리의 진입부분을 곡선처리하여 멜빵의 훼손을 줄여 멜빵의 수명을 연장할 한다.
방화복, 멜빵, 어깨멜빵, 멜빵고리, 멜빵훼손방지

Description

소방용 방화복 어깨멜빵 고리{SHOULDER STRAP LINK OF PROTECTIVE CLOTHING}
본 발명은 소방용 방화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용 방화복의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멜빵과 바지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어깨멜빵 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용 방화복은 화재현장에서 소방관이 진화작업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착용하도록 만들어진 피복으로 열방호성 및 방수성능 등으로 소방관의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소방용 방화복은 난연성, 방염성, 방수성, 내열성, 내식성이 있어야 하고 가볍고 충분한 강도를 갖고 겨울철과 여름철의 기온변화 등에 변형되어서는 아니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소방용 방화복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20-0177016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20-0177016호의 소방용 방화복은 도 1 및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소방용 방화복(10)은 상의(11)와 하의(15)로 분리 되어 있다. 상의(11)는 스탠드 형태의 칼라(12)와 손등까지 덮을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손목토시(13)를 구비한다. 상기 칼라(12)는 스탠드형태, 즉 착용 시 목부위 전체를 덮도록 소정높이를 갖고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서 전면부는 단추, 지퍼 또는 벨크로 파스너(Velcro fastener)를 사용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토시(13)는 손등까지 덮을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신축성 있는 편직물로서 상의(11)의 소매(14) 끝단에 각각 부착되고 착용 시 엄지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소정위치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의(15)는 멜빵바지 형태로 전면부의 생식기 부위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겹커버(16)가 형성되며, 겹커버(16)의 일측단부는 하의(15)의 전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단부는 결합수단(17)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하의(15)의 전면에 체결된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의(15)가 작업 중에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등부분에 닿는 부위가 X자형태가 되도록 하는 멜빵을 어깨에 걸게 된다. 상기 멜빵의 일단부가 하의(15)의 뒷부분에 바느질 등으로 결합되고 멜빵의 다른 일단부는 멜빵용 고리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의(15)의 앞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방용 방화복은 멜빵이 하의(15)의 뒷부분에 바느질로 부착되어 있어 하의(15)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아 전기세탁기를 이용하여 하의(15)를 세탁하는 경우 세탁조의 회전에 의한 세탁조와 멜빵의 고리의 충돌에 의해 멜빵용 고리나 세탁기가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하의(15)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나온 형태의 멜빵으로 인해 세탁물과 엉킴현상이 발생되어 세탁물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방용 방화복의 멜빵이 고무밴드로 형성되어 있어 고무밴드로 형성된 멜빵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바느질된 부분을 해체하고 신품으로 형성된 멜빵을 다시 바느질하여야 하므로 교체하는데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방용 방화복의 하의와 멜빵을 분리하여 세탁 시 멜빵과 세탁물이 엉키지 않도록 하여 세탁물과 멜빵의 손상을 방지하는 소방용 방화복의 어깨멜빵 고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무밴드로 형성된 멜빵이 손상되어 교체하고자 할 때 바느질을 하지 않고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하여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방용 방화복의 어깨멜빵 고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무밴드로 형성된 멜빵을 교체하거나 사용할 때 고무밴드가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소방용 방화복의 어깨멜빵 고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소방용 방화복의 어깨멜빵고리는, 걸이구멍이 형성되어 멜빵의 일 끝단부를 상기 걸이구멍에 삽입 고정하기 위한 멜빵 고정부와, 상기 멜빵 고정부의 일측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멜빵고정부의 타측이 일부 개방된 개방구를 구비하여 상기 개방구를 통해 연결밴드를 삽입하거나 분리함에 의해 상기 멜빵이 분리되거나 결합되도록 하는 멜빵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멜빵체결부는 상기 개방구를 갖는 모서리가 곡선처리 되어 있고, 상기 소방용 방화복의 바지에 고정된 연결밴드가 상기 개방구를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연결밴드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내측으로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깨멜빵 고리는 고강도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깨멜빵 고리는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어두운장소에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방용 방화복을 착용 시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어깨멜빵을 바지로부터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세탁 시 소방용 방화복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착용할 때 멜빵고리와 마찰에 의한 고무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멜빵이 훼손될 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교체시간 및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방용 방화복의 하의 착용 시 멜빵고리에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멜빵을 결합할 시 멜빵고리의 진입부분을 곡선처리하여 멜빵의 훼손을 줄여 멜빵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방화복의 하의에 어깨멜빵 고리가 장착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진화작업 시 소방관의 하체를 보호하기 위한 바지(20)와,
소방관이 상기 바지(20)를 착용할 때 바지(2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X자형태로 형성되어 어깨에 고정하는 멜빵(22a, 22b)과,
상기 멜빵(22a, 22b)의 일 끝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멜빵(22a, 22b)을 결합 고정하는 제1 및 제2 멜빵고리(30, 32)와,
반으로 접혀진 끝단이 상기 바지(20)의 후면 양측에 바느질로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멜빵고리(30, 32)로부터 분리되거나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연결밴드(34, 36)와,
상기 멜빵(22a, 22b)을 결합 고정하는 제1 및 제2 결합본체(40, 42)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본체(40, 42)에 끼워지고 반으로 접혀진 끝단이 상기 바지(20)의 전면 양측에 바느질로 고정되는 제3 및 제4 연결밴드(44, 46)와,
상기 멜빵(22a, 22b)의 다른 끝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결합본체(40, 42)로부터 상기 멜빵(22a, 22b)을 분리 또는 결합하는 제1 및 제2 걸림본체(48, 50)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3 중 제1 멜빵고리(30)의 상세 구조도이다.
걸이구멍(38)이 형성되어 멜빵(22a)의 일 끝단부를 상기 걸이구멍(38)에 삽입하기 위한 멜빵 고정부(52)와,
상기 멜빵 고정부(52)의 일측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멜빵고정부(52)의 타측이 일부 개방된 개방구(56)를 구비하여 상기 개방구(56)를 통해 제1 연결밴드(34)를 삽입하거나 분리함에 의해 상기 멜빵(22a)이 분리되거나 결합되도록 하는 멜빵체결부(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멜빵체결부(54)는 개방구(56)를 갖는 모서리가 곡선처리 되어 상기 제1 연결밴드(34)를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 제1 연결밴드(34)가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밴드(34)가 개방구(56)를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제1 연결밴드(34)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내측으로 돌기(58)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멜빵고리(32)는 도 4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멜빵(22a, 22b)에 고정된 제1 및 제2 멜빵고리(30, 32)에 바지(20)의 후면에 고정된 제1 및 제2 연결밴드(34, 36)를 삽입한다. 그런 후 소방관이 진화작업을 위해 바지(20)를 착용한 후 멜빵(22a, 22b)을 어깨에 걸고 멜빵(22a, 22b)의 타측끝단에 고정된 제1 및 제2 걸림본체(48, 50)를 바지(20)의 전면 양측에 고정된 제1 및 제2 결합본체(40, 42)에 각각 삽입한다. 여기서 멜빵(22a, 22b)의 길이는 제1 및 제2 걸이본체(48, 50)에서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소방관이 진화작업을 마치고 소방용 방화복을 벗을 경우에는 먼저 제1 및 제2 걸이본체(48, 50)를 압압하여 제1 및 제2 결합본체(40, 42)로부터 분리하거나 멜빵(22a, 22b)을 어깨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멜빵이 착용자로부터 분리되면 바지(20)를 벗어서 보관장소에 보관하여 놓게된다.
그런데 만약 소방용 방화복을 세탁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걸이본체(48, 50)를 압압하여 제1 및 제2 결합본체(40, 42)로부터 분리하고 또한 제1 및 제2 연결밴드(34, 36)를 제1 및 제2 멜빵고리(30, 32)로부터 개방구(56)를 통해 분리한다.
그런 후 전기세탁기 등을 이용하여 세탁을 하게 된다. 따라서 소방용 방화복을 세탁할 경우 제1 및 제2 멜빵고리(30, 32)를 분리하여 세탁하게 되므로, 소방용 방화복과 멜빵(22a, 22b)이 서로 엉키지 않게 되어 소방용 방화복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멜빵(22a, 22b)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훼손될 시 제1 및 제2 걸이본체(48, 50)를 압압하여 제1 및 제2 결합본체(40, 42)로부터 분리하고 또한 제1 및 제2 연결밴드(34, 36)를 제1 및 제2 멜빵고리(30, 32)로부터 개방구(56)를 통해 분리하도록 하여 멜빵(22a, 22b)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교체시간 및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소방용 방화복은 진화작업 시 물을 뿌리거나 소화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물이나 소화기의 화학약품이 제1 및 제22 멜빵고리(30, 32)에 접촉될 경우 부식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멜빵고리(30, 32)는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멜빵고리(30, 32)의 재질은 예를 들어 금속재질, 특히 고강도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멜빵고리(30, 32)는 소방관들이 진화작업을 용이하게 위해 가벼워야 하므로, 고강도 알루미늄합금의 재질이 적합하다. 그리고 제1 및 제2 멜빵고리(30, 32)는 어두운 장소에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야광도료를 도포한다.
야광도료인 야광 물질은 인광을 발산하는 물질이다. 물질에 빛을 쬘 때 그 물질에서 발하는 빛을 형광이라고 하며, 빛을 제거해도 발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인광이라고 한다. 인광체가 빛을 흡수하면 이를 구성하는 물질의 전자가 들뜬 상태가 된다. 들뜬 상태의 전자는 빛이 제거되더라도 바로 바닥상태로 떨어지지 않고 먼저 준안정 상태(중간 상태)로 옮아간 후 다시 바닥 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방출한다. 이것이 바로 야광의 원리이다.
이렇게 인광을 발하는 물질을 인광체라고 하는데 천연물로는 각종 보석, 황화광물 등이 있고, 인공물로는 알칼리 토금속의 황화물이나 황화아연에 중금속을 함유시킨 것이 있다. 발광 도료도 그 일종이며, 구리를 함유한 황화아연에 미량의 라듐이 섞여 있어서 그 방사선의 자극에 의해 장시간 빛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인광체에 라듐이나 스트론튬 90 등의 방사성 원소를 조금 첨가해 빛을 쬐지 않아도 발광하는 제품이 나오고 있다. 형광 물질에는 무기물과 유기물이 있는데, 무기물에는 황화아연 및 황화아연카드뮴 화합물이 있고, 유기물에는 알코올 용성 염료인 로다민, 오라민, 에오신, 우라닌, 호스핀 등과 유용성 염료인 올레인산염, 스테라인산염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안료의 대부분은 내구성이 낮기 때문에, 최근에는 소듐레드레이크 C, 로다민텅스테이트, 오라민텅스테이트 등으로 대치되고 있다.
도 5는 도 4 중 제1 연결밴드(34)의 다른 실시예의 상태를 나나낸 도면으로서,
제1 연결밴드(34)의 내부가 매직테이프로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제1 멜빵고리(30)로부터 제1 연결밴드(34)를 분리할 시 매직테이프가 탈착(떨어진 상태)한 상태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1 멜빵고리(30)로부터 제1 연결밴드(34)를 결합할 경우 매직테이프가 떨어진 상태에서 제1 연결밴드(34)를 제1 멜빵고리(30)에 끼워넣은 후 매직테이프가 부착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제2연결밴드(36)도 도 5에 도시된 제1 연결밴드(34)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 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소방용 방화복의 상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소방용 방화복의 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방화복의 하의에 어깨멜빵 고리가 장착되는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도 3 중 제1 멜빵고리(30)의 상세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소방용 방화복 11: 상의
12: 칼라 13: 토시
14: 소매 15: 하의
16: 겹커버
20: 바지 22a, 22b: 멜빵
30, 32: 제1 및 제2 멜빵고리 34, 36: 제1 및 제2 연결밴드
40, 42: 제1 및 제2 결합본체 44, 46: 제3 및 제4 연결밴드
48, 50: 제1 및 제2 걸이본체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소방용 방화복의 어깨멜빵 고리에 있어서,
    걸이구멍이 형성되어 멜빵의 일 끝단부를 상기 걸이구멍에 삽입 고정하기 위한 멜빵 고정부와,
    상기 멜빵 고정부의 일측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멜빵고정부의 타측이 일부 개방된 개방구를 구비하여 상기 개방구를 통해 연결밴드를 삽입하거나 분리함에 의해 상기 멜빵이 분리되거나 결합되도록 하는 멜빵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멜빵체결부는 상기 개방구를 갖는 모서리가 곡선처리 되어 있고, 상기 소방용 방화복의 바지에 고정된 연결밴드가 상기 개방구를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연결밴드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내측으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어깨멜빵 고리는 고강도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형성되고,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어두운장소에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밴드는 내부가 매직테이프가 형성되어 상기 멜빵체결부에 결합할 시 상기 매직테이프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방화복의 어깨멜빵 고리.
KR1020080021515A 2008-03-07 2008-03-07 소방용 방화복 어깨멜빵 고리 KR100853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515A KR100853217B1 (ko) 2008-03-07 2008-03-07 소방용 방화복 어깨멜빵 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515A KR100853217B1 (ko) 2008-03-07 2008-03-07 소방용 방화복 어깨멜빵 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217B1 true KR100853217B1 (ko) 2008-08-20

Family

ID=3987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515A KR100853217B1 (ko) 2008-03-07 2008-03-07 소방용 방화복 어깨멜빵 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2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669B1 (ko) * 2012-04-19 2012-12-11 주식회사 산청 소방용 방화바지
WO2014163313A1 (ko) * 2013-04-04 2014-10-09 Choi You Dal 멜빵도르래장식을 포함하는 상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6724A (en) * 1990-03-02 1992-08-11 Grilliot William L Firefighter's combination trousers and safety harness
JP2002309411A (ja) * 2001-04-12 2002-10-23 Funny:Kk パニエ
KR100671167B1 (ko) * 2005-09-12 2007-01-19 이상익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6724A (en) * 1990-03-02 1992-08-11 Grilliot William L Firefighter's combination trousers and safety harness
JP2002309411A (ja) * 2001-04-12 2002-10-23 Funny:Kk パニエ
KR100671167B1 (ko) * 2005-09-12 2007-01-19 이상익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669B1 (ko) * 2012-04-19 2012-12-11 주식회사 산청 소방용 방화바지
WO2014163313A1 (ko) * 2013-04-04 2014-10-09 Choi You Dal 멜빵도르래장식을 포함하는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9135C (en) Combined garment and safety harness
US6892395B2 (en) Safety garment having safety harness
US8505114B1 (en) Garment attachable retention system
US20150327612A1 (en) Attachable Hoods And Methods Of Modifying A Garment
US5625897A (en) Upper torso garment
US20170001049A1 (en) Outerwear Garment For Use With A Fall-Arrest Harness
US11129423B2 (en) Outerwear garment for use with a fall-arrest harness
US20170246485A1 (en) Firefighter protective garment with removable pouches
KR100853217B1 (ko) 소방용 방화복 어깨멜빵 고리
WO2016023897A1 (en) Protective suit
CA3129206A1 (en) Garment with openings for safety harness
CN107042880A (zh) 一种军用救生衣
CN205980946U (zh) 爆破手战术背心
CA2639614A1 (en) Firefighter's coat with liner in tail pocket
KR200432339Y1 (ko) 허리보호대를 구비한 조끼
CA3036720C (en) Outerwear garment for use with a fall-arrest harness
WO2001012267A1 (en) Garment and safety harness combination
JP3219871U (ja) 作業用上衣
CN209573304U (zh) 一种施工安全服
CN204447016U (zh) 收纳包
CN213281584U (zh) 一种易于悬挂的防护服
CN105394835A (zh) 一种整体式高密封性防护服
KR101210669B1 (ko) 소방용 방화바지
CN211273239U (zh) 一种投掷型防火瓶专用逃生背心
CN213215373U (zh) 一种耐磨夹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