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595B1 -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595B1
KR100851595B1 KR1020060118338A KR20060118338A KR100851595B1 KR 100851595 B1 KR100851595 B1 KR 100851595B1 KR 1020060118338 A KR1020060118338 A KR 1020060118338A KR 20060118338 A KR20060118338 A KR 20060118338A KR 100851595 B1 KR100851595 B1 KR 100851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transmission completion
completion information
message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8225A (ko
Inventor
김범석
조용원
김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118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595B1/ko
Publication of KR20080048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filtering or selective blocking
    • G06Q50/50
    • G06Q50/6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스팸 메시지의 발송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 기간동안 발신된 단문메시지의 수를 집계하므로써 스팸 메시지 발송을 확인하여 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수집하여 발신 번호별로 발신된 단문메시지의 수를 확인한 다음, 일정 기간동안 발신된 단문메시지의 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발신번호에 대한 단문메시지 발신 금지를 홈 위치 등록기에게 요청한다.
스팸 메시지,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Description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to limit spam messaging}
도 1은 종래에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문메시지를 보내는 과정을 성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스팸 메시지 발송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주변장치들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를 이용하여 스팸 메시지 발송을 제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블럭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를 이용하여 스팸 메시지 발송을 제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절차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팸 메시지 발송을 제한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스팸 메시지의 발송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 기간동안 발신된 단문메시지의 수를 집계하므로써 스팸 메시지 발송을 확인하여 이를 제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관련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통신 또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문자메시지 서비스는 간단히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와 사운드,사진,동영상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 MultimedeaMessage Service) 등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에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500)로 단문메시지를 보내는 과정을 성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50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단문메시지를 작성한 다음, 이에 기초한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신측 이동교환기(200)에게 전송하면,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기(200)는 홈 위치 등록기(300)에게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500)의 위치를 문의한다.
다음으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500)의 위치가 확인되면,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기(200)는 복수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401~403) 중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500)에게 해당 문자메시지의 착신을 담당할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1(401)로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을 라우팅한다. 그러면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1(401)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500)와 통신하여 해당 문자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500)에게 착신시킨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는 다른 통신수단에 비해 훨씬 뛰어난 편리성과 신속성으로 인하여 각광받고 있으나, 최근들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무차별적으로 전송되는 스팸 메시지 즉, 성인 음란성 광고 문자 메시지가 큰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팸 메시지를 별도 관리하거나 차단하는 방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임의의 시간 동안 일정 임계치 이상에 달하는 메시지를 발신하였다면, 예컨대 하루 동안 1000건 이상의 메시지를 발신하였다면 상기 사용자는 스팸 메시지를 발송하는 스팸 발송자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스팸 발송자를 가려내기 위해서는 해당 사용자의 임의 시간 동안 발송한 메시지의 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발송된 단문메시지라 하더라도,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5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단문메시지를 처리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400)가 달라지기 때문에, 종래의 착신 라우팅 기반의 서비스 체계에서는 발신 번호별로 단문메시지의 양을 확인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스팸 발송자를 용이하게 검색해낼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동일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송된 메시지의 양을 용이하게 카운트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은,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수집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수집된 전송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 번호별로 발신된 단문메시지의 수를 확인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확인 결과, 일정 기간동안 발신된 단문메시지의 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발신번호를 수집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제 3단계에서 수집된 발신번호에 대한 단문메시지 발신 금지를 홈 위치 등록기에게 요청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장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에게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제공받고, 스팸 발송자로 확인된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고객 관리 시스템을 통해 홈 위치 등록기에게 스팸 발송자로 차단 요청을 행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한 발신번호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재구성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에 의하여 재구성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한 주기에 따라 각각의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송된 것으로 확인된 메시지의 수를 집계하는 메시지 카운팅 모듈; 및,
일정한 주기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로 하여금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로 하여금 상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재구성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메시지 카운팅 모듈로 하여금 일정한 주기에 따라 각각의 발신번호에 따른 발송 메시지의 수를 집계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스팸 메시지 발송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주변장치들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복수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401~40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SMSS: Short Message Storage Server)(600)에게 주기적으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측에 착신 완료된 메시지에 대한 정보인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400)는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로서 SMSLOG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600)에게 제공되는 상기 SMSLOG 정보는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과금과 관련된 정보로서, 전송이 완료된 단문메시지에 대한 발신번호, 착신번호, 회신번호 및 부가서비스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400)는 상기 SMSLOG 정보를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600)에게 시간(hour) 또는 일(day)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주기적으로 제공하는데, 이러한 기준값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판단에 의하여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600)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400)로부터 수집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분석하여, 개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송된 단문메시지의 양을 집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600)는 복수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401~403)로부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제공받기 때문에, 개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송되어 서로 다른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400)를 통하여 착신 완료된 단문메시지의 양을 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송된 단문메시지의 양을 집계하기 위하여, 그 전에 상기 복수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401~403)로부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가 수집되면, 수집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들을 통합하여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한 발신번호를 기준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송된 단문메시지의 양이 집계되고 나면, 일정 시간 동안 해당 발신번호에 대응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송되어 착신 완료된 단문메시지의 수를 임계값과 대비함으로써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스팸 발송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임계값은 특정 기간 동안 개별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송된 메시지의 수를 통하여 스팸 발신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판단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정보통신부의 권고 기준인 일일 1천건이 바람직하다.
특정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600)에 의하여 스팸 발송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300)는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600)의 요청에 기초하여 해당 스팸 발송자에 대한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차단을 행한다. 이는 홈 위치 등록기의 서비스 프로필 상에 단문메시지 발신 금지 설정을 행함으로써, 이후 해당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문메시지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에 대응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을 거부하거나, 단문메시지 전송에 필요한 절차 수행을 금지하도록 해당 이동교환기에게 요청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발신 금지 설정 과정은 홈 위치 등록기의 데이터베이스와 정합 연동하고 있는 고객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객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예로는 WISE(Wireless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를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를 이용하여 스팸 메시지 발송을 제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블럭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수집한다(S300). 이때, 상기 메시지 전송 완 료 정보는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과금과 관련된 정보인 SMSLOG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MSLOG 정보는 전송이 완료된 단문메시지에 대한 발신번호, 착신번호, 회신번호 및 부가서비스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300단계는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직접 복수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각각에 대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 다음,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 제공 요청은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각각에 대하여 아르싱크(rsync)와 같은 실행 소프트웨어를 전송하는 것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S300단계에서 수집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분석하여 발신 번호별로 발신한 메시지 수를 확인한다(S301).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S301단계는 복수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가 수집되면, 이를 통합하여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한 발신번호를 기준으로 재구성한 다음, 각각의 발신번호별로 발신한 메시지 수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301단계를 통하여 발신 번호별로 발신한 메시지 수가 확인되면, 각각의 발신 번호별로 발신한 메시지의 수가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2). 상기 임계값은 특정 기간 동안 개별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송된 메시지의 수를 통하여 스팸 발신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판단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정보통신부의 권고 기준인 일일 1천건이 바람직하다.
상기 S302단계를 통하여 해당 발신 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된 단문메시지의 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홈 위치 등록기에게 상기 발신 번호에 대한 메시지 발신 금지 등록을 요청한다(S303). 이는 홈 위치 등록기의 서비스 프로필 상에 단문메시지 발신 금지 설정을 행하는 것을 수행될 수 있는데, 이후 해당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문메시지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대응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을 거부하거나, 단문메시지 전송에 필요한 절차 수행을 금지하도록 해당 이동교환기에게 요청하는 것으로 해당 발신번호에 대한 메시지 발신 금지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S303단계는 홈 위치 등록기의 데이터베이스와 정합 연동하고 있는 고객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객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예로는 WISE(Wireless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를 들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를 이용하여 스팸 메시지 발송을 제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절차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600)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400)에게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고(S400),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40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제공한다(S401). 이때, 상기 S400단계는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각각에 대하여 아르싱크(rsync)와 같은 실행 소프트웨어를 전송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401단계를 통하여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제공받은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600)는 먼저 상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저장한다(S402). 이때,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600)는 복수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400)로부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가 수집되면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한 발신번호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재구성한 다음 저장할 수 있다. 이는 해당 발신번호를 기준으로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단문메시지에 관한 정보로 구성되도록 편집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분석하여, 발신 번호별 메시지 수를 확인한다(S403).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S403단계는 시간(hour) 또는 일(day)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주기적으로 행하여질 수 있다. 이러한 기준값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판단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S403단계를 통하여 해당 발신 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된 단문메시지의 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S404),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600)는 고객관리 시스템(700)에게 해당 발신번호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스팸 발송자 차단 요청을 행한다(S405).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600)로부터 스팸 발송자 차단 요청을 수신한 고객관리 시스템(700)은 홈 위치 등록기(300)에게 스팸 발송자 차단 요청을 행하고(S406), 이에 상기 홈 위치 등록기(300)는 상기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 기를 스팸 발송자로 차단 등록한다(S407).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팸 메시지 발송을 제한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는 인터페이스 모듈(610), 제어부(620), 데이터베이스(630),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640) 및 메시지 카운팅 모듈(6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610)은 복수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에게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제공받고, 스팸 발송자로 확인된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고객 관리 시스템을 통해 홈 위치 등록기에게 스팸 발송자로 차단 요청을 행한다.
상기 제어부(620)는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간의 관계를 제어하고 관리하는데, 일정한 주기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610)로 하여금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640)로 하여금 상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재구성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메시지 카운팅 모듈로 하여금 일정한 주기에 따라 각각의 발신번호에 따른 발송 메시지의 수를 집계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640)은 인터페이스 모듈(610)을 통하여 수집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한 발신번호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재구성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6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640)에 의하여 재구성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시지 카운팅 모듈(65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한 주기에 따라 각각의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송된 것으로 확인된 메시지의 수를 집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송되어 서로 다른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된 단문메시지의 수를 용이하게 카운트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스팸 발송자를 용이하게 검색해낼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0)

  1.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수집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수집된 전송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발신 번호별로 발신된 단문메시지의 수를 확인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일정 기간동안 발신된 단문메시지의 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발신번호를 수집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제 3단계에서 수집된 발신번호에 대한 단문메시지 발신 금지를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홈 위치 등록기에게 요청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수집하는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는 발신번호, 착신번호, 회신번호 및 부가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과금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대하여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 다음,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2개 이상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 및 제 2단계 사이에,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수집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들을 통합하여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한 발신번호를 기준으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하루동안 발신된 단문메시지의 수가 1천건을 초과하는 발신번호를 수집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가 홈 위치 등록기의 서비스 프로필 상에 단문메시지 발신 금지 설정을 행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홈 위치 등록기의 데이터베이스와 정합 연동하고 있는 고객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9.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에게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제공받고, 스팸 발송자로 확인된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고객 관리 시스템을 통해 홈 위치 등록기에게 스팸 발송자로 차단 요청을 행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한 발신번호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재구성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에 의하여 재구성된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한 주기에 따라 각각의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송된 것으로 확인된 메시지의 수를 집계하는 메시지 카운팅 모듈; 및,
    일정한 주기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로 하여금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로 하여금 상기 메시지 전송 완료 정보를 재구성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메시지 카운팅 모듈로 하여금 일정한 주기에 따라 각각의 발신번호에 따른 발송 메시지의 수를 집계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장치.
  10. 제 9항의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 저장소 서버.
KR1020060118338A 2006-11-28 2006-11-28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851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338A KR100851595B1 (ko) 2006-11-28 2006-11-28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338A KR100851595B1 (ko) 2006-11-28 2006-11-28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225A KR20080048225A (ko) 2008-06-02
KR100851595B1 true KR100851595B1 (ko) 2008-08-12

Family

ID=3980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338A KR100851595B1 (ko) 2006-11-28 2006-11-28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073B1 (ko) * 2008-08-27 2011-09-22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발송 차단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3529A (ja) 2003-07-14 2005-02-03 Udtech Japan Kk 電子メールトラフィックコントローラ
KR20060071361A (ko) * 2004-12-21 2006-06-26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스팸 메시지 검출 방법 및 스팸 메시지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3529A (ja) 2003-07-14 2005-02-03 Udtech Japan Kk 電子メールトラフィックコントローラ
KR20060071361A (ko) * 2004-12-21 2006-06-26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스팸 메시지 검출 방법 및 스팸 메시지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225A (ko) 200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2426B2 (en) Intelligent delivery agent for short message distribution center
US9271129B2 (en) Mobile messaging hub enabling enterprise office telephone numbers
US87986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EI detection and alerting
US8718691B2 (en) Universal short code administration facility
US8983509B2 (en) Internet-based short message retrieval and display system
ES2465644T3 (es) Sistema de mensajes multimedia y método de transmisión de mensajes multimedia
EP2044783B1 (en) Home zone determination for electronic messaging services
KR20060071362A (ko) 스팸 차단 방법 및 스팸 차단 장치
US20060250987A1 (en) Conference call facility
CN101159778A (zh) 一种基于虚拟号码进行多媒体通信的系统
JP2006020327A (ja) 主無線装置にグループ通話契約の利用状況を通知する方法
CA23568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self-provision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2201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ity monitoring and alerting
KR20060071363A (ko) 원격 통신 통화의 이행 방법 및 원격 통신 통화의 이행장치
KR20090104124A (ko) 휴대 전화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1902712A (zh) 呼叫失败的处理方法及装置
KR100851595B1 (ko) 스팸 메시지 발송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A021438B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оумингом мобиль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0833788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인맥 관리 시스템, 인맥 관리 서버 및방법
GB2473763A (en) Routing SMS messages to a destination mobile entity subscribed to value added services
KR102349878B1 (ko) 동보 메시지 발신 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72285A (ko) 유무선 통신의 발신 불완료호에 대한 문자 전송 관리 시스템
US20110275349A1 (en) Mobile Phone Message Archiving System
KR101802563B1 (ko) 동보 메시지 전송방법
KR20010097601A (ko) 통합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통지 관리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