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405B1 -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405B1
KR100851405B1 KR1020070029521A KR20070029521A KR100851405B1 KR 100851405 B1 KR100851405 B1 KR 100851405B1 KR 1020070029521 A KR1020070029521 A KR 1020070029521A KR 20070029521 A KR20070029521 A KR 20070029521A KR 100851405 B1 KR100851405 B1 KR 100851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notification window
unconfirmed
displaying
ti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애
권중헌
장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9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확인 이벤트 수신 시,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창에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을 추가하는 과정과, 대기화면 표시 시, 대기화면에 알림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대기화면 표시 시,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면, 대기화면에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70029521
통신 단말기, 미확인 이벤트, 대기모드, 대기화면, 타이틀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METHODS FOR MANAGING EVENT MISSED IN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확인 이벤트 관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도 2에서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 편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2에서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2에서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도 2에서 미확인 이벤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확인 이벤트 관리 절차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확인 이벤트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현재의 통신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예컨대 카메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 등이 탑재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 때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부재중 또는 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 등에서 착신되는 이벤트, 예컨대 호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통신 단말기는 미확인 이벤트가 있음을 표시한다.
그런데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해당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복잡한 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더욱이 특정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면, 통신 단말기는 미확인 이벤트의 확인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한 것으로 간주한다. 즉 미확인 이벤트를 수신한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지 못하고 간과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의 사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에 미확인 이벤트를 통합하여 표시할 수 있는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하는 시점에 해당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 이벤트로 변경할 수 있는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은, 미확인 이벤트 수신 시,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창에 상기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을 추가하는 과정과, 대기화면 표시 시, 상기 대기화면에 상기 알림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은, 대기화면 표시 시,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면, 상기 대기화면에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에서, "이벤트(event)"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 및 착신되는 이벤트 및 사용자에 의해 통신 단말기에 설정되는 이벤트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벤트는 호, 메시지 등과 같은 이벤트, 예컨대 발신호, 착신호, 부재중 착신호, 송신 문자 메시지, 수신 문자 메시지, 송신 멀티 메시지, 수신 멀티 메시지, 송신 메일, 수신 메일 등을 포함한다. 이 때 멀티 메시지로는 음성 메시지, 영상 메시지 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알람 이벤트, 예컨대 모닝콜, 알람, 할 일, 스케줄 등을 포함한다. "미확인 이벤트(missed event)"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이벤트 중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한 이벤트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이벤트 중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한 이벤트를 의미한다. "확인 이벤트(confirmed event)"라는 용어는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사용자가 확인하는 이벤트 또는 미확인 이벤트 중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 이벤트를 의미한다.
그리고 "타이틀(title)"이라는 용어는 미확인 이벤트 각각을 대표하거나 미확인 이벤트 각각의 내용을 보이기 위한 이름을 의미한다. 이 때 타이틀은 해당 미확인 이벤트의 발신측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또는 타이틀은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미확인 이벤트의 내용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는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표시부(150) 및 키 입력부(16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2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확인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는 각 항목들의 이벤트를 저장하 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는 대기모드에서 표시할 미확인 이벤트들의 목록을 통합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기모드에서 대기화면에 알림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알림창에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 리스트 및 미확인 카운트 값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미확인 이벤트 수신 시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가 알림창에 등록할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다음, 등록할 이벤트이면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을 알림창에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대기화면 표시 시 저장된 미확인 이벤트 중 알림창에 등록할 이벤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다음, 등록할 이벤트가 존재하면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을 리스트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통신 단말기(100)의 상태를 표시한 다. 이 때 표시부(15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LCD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 입력부(16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등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확인 이벤트 관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f는 미확인 이벤트 관리 절차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 때 도 7a 및 도 7b는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 편집 시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하고 있고, 도 7c 내지 도 7f는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이란 대기화면에 미확인 이벤트들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확인 이벤트 관리 절차는, 제어부(130)가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을 편집하기 위한 요구를 감지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211). 그리고 제어부(130)는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을 편집한다(213). 이 때 제어부(130)는 알림창의 표시 방법 및 알림창에 미확인 이벤트로 등록할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 편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을 편집하기 위한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50)에 편집 가능 한 메뉴를 표시한다(311). 이 때 편집 가능한 메뉴는 알림창의 표시 방법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알림창의 표시 방법이 선택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313), 표시 가능한 알림창의 리스트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315). 이 때 표시 가능한 알림창의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이벤트를 단일 알림창에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 가능한 알림창의 리스트는 항목별로 구분된 이벤트들을 각기 다른 알림창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알림창에 표시 가능한 이벤트는 수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들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간 설정에 의해 확인해야 하는 이벤트들이 될 수 있다.
계속해서, 미확인 이벤트들을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선택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317),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창에 표시 가능한 이벤트의 항목을 리스트로 표시부(150)에 표시한다(319). 그리고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알림창에 표시하고자 하는 이벤트 항목의 체크 박스(check box)를 선택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 선택된 이벤트를 알림창에 일괄적으로 표시할 미확인 이벤트로 설정한다(321).
한편 미확인 이벤트들을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아니라 미확인 이벤트들을 항목별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이 선택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323),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창에 표시 가능한 이벤트의 항목을 리스트로 표시부(150)에 표시한다(325). 이 때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알림창에 표시할 이벤트의 항목 뿐만 아니라 이벤트 항목 각각의 표시순서 및 표시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알림창에 표시하고자 하는 이벤 트 항목의 체크 박스를 선택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 선택된 이벤트를 알림창에 분할하여 표시할 미확인 이벤트로 설정한다(327). 이 때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이벤트 항목 선택 시 이벤트 항목 각각의 표시순서 및 표시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이벤트 항목에 대응시켜 표시순서 및 표시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표시시간은 이벤트의 항목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모든 이벤트 항목에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의 편집 절차를 종료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329),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의 편집 절차를 종료한 다음, 도 2로 리턴한다.
한편 알림창 표시 방법을 설정한 다음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의 편집 절차를 종료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종료 요구가 발생할 때까지 이전의 과정(311 내지 329)을 반복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알림창 표시 방법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전의 과정을 진행하는 중에 편집 가능한 메뉴에서 알림창의 표시 방법이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한 다음(331), 도 2로 리턴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 수행 시 요구되는 다른 기능의 편집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을 편집하기 위한 요구가 감지되는 것이 아니라 대기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221),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 을 수행한다(223). 이 때 제어부(130)는 미확인 이벤트 표시 기능 편집 시 설정된 알림창 표시 방법에 따라 대기화면의 일부 영역에 알림창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이벤트를 단일 알림창에 일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항목별로 구분된 이벤트들을 각기 다른 알림창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에서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때 도 4는 통신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이벤트를 단일 알림창에 일괄적으로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대기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5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411). 그리고 제어부(130)는 저장부(120)에 알림창에 등록되도록 설정된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413). 또한 알림창에 등록할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의 일부 영역에 알림창을 표시한다(415). 이 때 제어부(130)는 알림창에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 및 미확인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값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알림창을 대기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알림창을 대기화면에 팝업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타이틀 리스트에서 타이틀이 선택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417),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타이틀에 해당하는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한다(419). 이 때 제어부(130)는 해당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는 시점에 해당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 이벤트로 변경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미확인 이벤트의 수를 변경한 다음(421), 도 2로 리턴한다. 즉 미확인 이벤트가 확인 이벤트로 변경되었으므로, 제어부(130)는 미확인 카운트 값을 감소시킨다.
한편 타이틀 리스트에서 타이틀이 선택되지 않고, 알림창을 닫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 대기화면에서 표시되는 알림창을 닫을 수 있다.
도 5는 도 2에서 미확인 이벤트 표시기능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때 도 5는 통신 단말기에서 항목별로 구분된 이벤트들을 각기 다른 알림창에 분할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대기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5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511). 그리고 제어부(130)는 저장부(120)에 알림창에 등록되도록 설정된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513). 또한 알림창에 등록할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의 일부 영역에 알림창을 표시한다(515). 이 때 제어부(130)는 최상위 알림창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130)는 미확인 이벤트들의 항목들을 비교하여 각각의 이벤트 항목에 설정된 표시순서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515)는 최상위의 알림창에 표시되도록 설정된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 리스트 및 미확인 카운트 값을 최상위 알림창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알림창을 대기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알림창을 대기화면에 팝업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최상위 알림창을 표시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표시 시간이 경과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517). 그리고 설정된 표시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최상위 알림창에서 타이틀이 선택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519),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타이틀에 해당하는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한다(521). 이 때 제어부(130)는 해당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는 시점에 해당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 이벤트로 변경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미확인 이벤트의 수를 변경한 다음(523), 도 2로 리턴한다. 즉 미확인 이벤트가 확인 이벤트로 변경되었으므로, 제어부(130)는 미확인 카운트 값을 감소시킨다.
한편 타이틀 리스트에서 타이틀이 선택되지 않고, 알림창을 닫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 대기화면에서 표시되는 알림창을 닫을 수 있다.
한편 최상위 알림창을 표시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표시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설정된 표시순서가 현재 표시되는 알림창보다 하위인 알림창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525). 즉 제어부(130)는 현재 표시되는 알림창의 이벤트 항목 보다 하위의 이벤트 항목에 해당하는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현재 표시되는 알림창 보다 하위의 알림창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에 해당 알림창을 표시한다(527). 이 후 제어부(130)는 어느 하나의 알림창을 표시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표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알림창에서 타이틀이 선택되거나 표시되는 알림창을 닫기 위한 요구가 발생할 때까지 이전의 과정(517, 525 및 527)을 반복한다.
한편 이전의 과정 수행 시, 설정된 표시순서가 현재 표시되는 알림창보다 하위의 알림창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최상위 알림창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515). 이 때 알림창에 등록되도록 설정된 이벤트의 항목이 하나이거나 알림창에 등록할 미확인 이벤트가 동일한 이벤트 항목인 경우, 제어부(130)는 미확인 이벤트가 모두 확인 이벤트로 변경되거나 새로운 미확인 이벤트가 수신될 때까지 최상위 알림창을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대기모드가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미확인 이벤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231),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를 처리한다(233). 즉 대기모드 또는 다른 특정 모드에서 통신 단말기(100)의 기능 수행 중 미확인 이벤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를 처리한 다음, 해당 모드를 수행한다.
도 6은 도 2에서 미확인 이벤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미확인 이벤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611). 이 후 제어부(130)는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를 분석하여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가 알림창에 표시할 미확인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613). 즉 제어부(130)는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가 알림창에 등록되도록 설정된 이벤트 항목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알림창에 표시할 미확인 이벤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을 대기모드에서 대기화면에 표시할 알림창에 등록한다(615). 또한 제어부(130)는 미확인 이벤트의 수를 변경한 다음(617), 도 2로 리턴한다. 즉 알림창에 표시할 미확 인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므로, 제어부(130)는 미확인 카운트 값을 증가시킨다.
한편 임의의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241).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기에서 미확인 이벤트 수신 시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를 알림창에 등록한 다음, 대기모드 실행 시 대기화면에 알림창을 표시하는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은 통신 단말기에서 미확인 이벤트 수신 시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를 저장한 다음, 대기모드 실행 시 알림창에 등록할 미확인 이벤트들을 추출하여 대기 화면에 알림창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은 대기화면 표시 시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 리스트를 대기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간과하기 쉬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대기 화면 표시 시 통합된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확인해야 하는 미확인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미확인 이벤트들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타이틀이 선택된 미확인 이벤트 표시 시 해당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 이벤트로 변경하고, 대기화면에 알림창 재표시 시 미확인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많은 정보 속에서 미확인 이벤트를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미확인 이벤트 수신 시,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창에 상기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을 추가하는 과정과,
    대기화면 표시 시, 상기 대기화면에 상기 알림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알림창에서 타이틀 선택 시,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창 표시 과정은,
    상기 알림창에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 및 미확인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값을 표시하고,
    상기 타이틀 추가 과정은,
    상기 미확인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확인 이벤트 표시 과정은,
    상기 미확인 카운트 값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5. 미확인 이벤트 수신 시,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창에 상기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을 추가하는 과정과,
    대기화면 표시 시, 상기 대기화면에 상기 알림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알림창에서 타이틀 선택 시,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창 표시 과정은,
    상기 알림창에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 및 미확인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값을 표시하며,
    상기 알림창 표시 과정은,
    상기 미확인 이벤트를 해당 이벤트의 항목에 따라 분류하여 각기 다른 알림창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창 표시 과정은,
    상기 알림창들을 설정된 순서로 표시하며,
    상기 알림창들 각각을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7. 미확인 이벤트 수신 시,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창에 상기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을 추가하는 과정과,
    대기화면 표시 시, 상기 대기화면에 상기 알림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알림창에서 타이틀 선택 시,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창 표시 과정은,
    상기 알림창에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 및 미확인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값을 표시하며,
    상기 알림창 표시 과정은,
    상기 알림창을 상기 대기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8. 미확인 이벤트 수신 시,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창에 상기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을 추가하는 과정과,
    대기화면 표시 시, 상기 대기화면에 상기 알림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알림창에서 타이틀 선택 시,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창 표시 과정은,
    상기 알림창에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 및 미확인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값을 표시하며,
    상기 알림창 표시 과정은,
    상기 알림창을 상기 대기화면에 팝업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9. 삭제
  10. 미확인 이벤트 수신 시,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창에 상기 수신된 미확인 이벤트의 타이틀을 추가하는 과정과,
    대기화면 표시 시, 상기 대기화면에 상기 알림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알림창에서 타이틀 선택 시,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창 표시 과정은,
    상기 알림창에 미확인 이벤트들의 타이틀 리스트 및 미확인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값을 표시하며,
    상기 알림창에 등록되는 이벤트는 부재중 착신호, 미확인된 문자, 음성, 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70029521A 2007-03-27 2007-03-27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KR100851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521A KR100851405B1 (ko) 2007-03-27 2007-03-27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521A KR100851405B1 (ko) 2007-03-27 2007-03-27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405B1 true KR100851405B1 (ko) 2008-08-08

Family

ID=3988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521A KR100851405B1 (ko) 2007-03-27 2007-03-27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4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8721A (ja) 2002-04-01 2003-10-17 Nec Saitama Ltd 携帯端末及び該携帯端末で用いられる連絡先表示方法
KR20040081644A (ko) * 2003-03-14 2004-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의 팝업창 동작 방법
KR20060071317A (ko) * 2004-12-21 2006-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메일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60076854A (ko) * 2004-12-29 2006-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부재중 전화 및 미확인 메세지 통합 디스플레이 방법과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05441A (ko) * 2005-04-01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8721A (ja) 2002-04-01 2003-10-17 Nec Saitama Ltd 携帯端末及び該携帯端末で用いられる連絡先表示方法
KR20040081644A (ko) * 2003-03-14 2004-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의 팝업창 동작 방법
KR20060071317A (ko) * 2004-12-21 2006-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메일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60076854A (ko) * 2004-12-29 2006-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부재중 전화 및 미확인 메세지 통합 디스플레이 방법과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05441A (ko) * 2005-04-01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5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otification in electronic device
US11310356B2 (en) Method of displaying call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apted to display call information
KR10042028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89499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 설정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882367B1 (ko) 전자 디바이스의 주 디스플레이와 부 디스플레이 간의 시나리오 동기화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US20110045803A1 (en) Method of informing occurrence of a missed event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94912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nchecked messages in a terminal
US796218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event that user missed
EP1729470A2 (en) Method of display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adapted to display data
AU20133188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issed calls on mobile terminal
KR101417769B1 (ko)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컨텐츠 관리 방법
KR101552864B1 (ko) 이벤트 알림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5927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알람 설정 방법
KR102003740B1 (ko) 단말기의 전화번호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617756B1 (ko) 휴대단말기의 상태 정보 표시방법
KR100851405B1 (ko)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관리 방법
US86713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schedu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224641B1 (ko) 인물정보 관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인물정보표시방법
KR10121668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77151B1 (ko)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처리 방법
KR100801651B1 (ko) 통신 단말기의 대기 화면 처리 방법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KR2009008366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데이터 표시 방법
KR100884652B1 (ko) 통신 단말기의 통신 데이터 관리 방법
KR20070054476A (ko) 휴대 전자기기에서의 세계시간, 달력 연동된 이벤트 설정,알림 방법 및 그 휴대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