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305B1 -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305B1
KR100851305B1 KR1020070020033A KR20070020033A KR100851305B1 KR 100851305 B1 KR100851305 B1 KR 100851305B1 KR 1020070020033 A KR1020070020033 A KR 1020070020033A KR 20070020033 A KR20070020033 A KR 20070020033A KR 100851305 B1 KR100851305 B1 KR 100851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data
hard disk
hdd
rea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래
조연경
손재곤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은 하드디스크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하드디스크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메타데이터의 독출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메타데이터의 독출이 불가능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기저장된 상기 하드디스크의 메타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메타데이터를 상기 하드디스크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복사하여 상기 하드디스크의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 정보 복원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Method for replacement of file system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드디스크의 파일위치테이블 파일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파일시스템을 메모리에 백업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단말기와 디지털 정보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유저 파일의 용량증가와 파일 종류의 증가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휴대단말기의 저장 공간을 많이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가 탑재된 휴대단말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HDD에서 사용하는 파일시스템에서는 휴대단말기 사용 시 HDD에 배드섹터(bad sector) 등의 오류가 발생하면, 휴대단말기 내의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사용할 수 없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수리하거나, HDD를 포맷하여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다시 저장하여야 했다.
따라서, 상기 HDD에 배드섹터 등의 오류가 발생하여도 상기 디렉토리 또는 파일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HDD의 메타데이터를 백업하여 상기 HDD의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HDD의 메타데이터를 메모리에 백업하여 HDD에서 메타데이터의 독출 불가능 시, 상기 백업된 메타데이터로 상기 HDD의 메타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은 하드디스크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하드디스크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메타데이터의 독출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메타데이터의 독출이 불가능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기저장된 상기 하드디스크의 메타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메타데이터를 상기 하드디스크 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복사하여 상기 하드디스크의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은 하드디스크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하드디스크의 정보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하드디스크의 정보 실행 중 상기 실행 중인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독출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독출이 불가능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메타데이터를 상기 하드디스크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복사하여 상기 하드디스크의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HDD를 내장하는 휴대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는 HDD를 내장하여 파일위치테이블(FAT, File Allocation Table) 파일시스템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 북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영역에 메타데이터(metadata)가 저장되는 FAT 파일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FAT 파일시스템에 한정되 는 것은 아니며, 특정 영역에 메타데이터가 저장되는 NTFS(New Technology File System) 파일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하는 바이다.
이때, 상기 메타데이터는 임의의 디렉토리(directory) 또는 파일(file)에 대한 마스터 부트 레코드(Master Boot Recorde), 부트 레코드(Boot Record),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 영역에 일정한 규칙으로 부여되는 속성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FAT 파일시스템은 HDD에 상기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쓰거나(Write), 읽고(Read), 또는 상기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찾을(Seek) 때 사용되는 임의의 규칙을 갖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FAT 파일시스템의 구조는 하기의 도 2와 같다. 상기 도 2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RF(Radio Frequency)부(101), 오디오부(103), 입력부(105), 메모리(107), HDD(109), 표시부(115), 제어부(117)를 포함한다.
RF부(101)는 휴대단말기와 이동통신망과의 통상적인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RF부(101)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음성데이터의 송/수신,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및 멀티미디어메시지의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부(103)는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7)로 제공한다. 오디오부(103)는 Rf부(101)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117)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입력부(105)는 통상적인 키패드로 구성된다. 또한, 입력부(105)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및 스크롤 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05)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를 제어부(117)로 전송한다.
메모리(107)는 휴대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설정상태와 메뉴에 대한 정보 등)를 저장한다. 메모리(107)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메모리(107)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및/또는 롬(ROM, 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HDD(109)는 제어부(117)의 제어에 의해 디렉토리 또는 파일에 대한 마스터 부트 레코드, 부트 레코드, 루트 디렉토리 영역에 일정한 규칙으로 부여되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115)는 제어부(117)의 제어를 받아 휴대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와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1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7)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특히, 제어부(117)는 RF부(101)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변조화하는 송신수단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화/복호화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한다. 제어부(117)는 모뎀 및 코덱을 포함한다.
제어부(117)는 HDD(109)에 저장된 디렉토리 또는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독출 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메모리(107)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7)는 메모리(107)에 백업 메타데이터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메모리(107)에 백업된 메타데이터를 독출한다. 이어서, 제어부(117)는 HDD(109)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상기 독출된 메타데이터를 각각 복사하고, 상기 복사된 메타데이터를 기준으로 HDD(109)의 파일시스템 복원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드디스크의 파일위치테이블 파일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HDD의 파일위치테이블(FAT, File Allocation Table) 파일시스템은 MBR(Master Boot Record) 영역(201), BR(Boot Record) 영역(203), FAT1 영역(205), FAT2 영역(207), RD(Root Directory) 영역(209), Data 영역(211)을 포함한다.
MBR 영역(201)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운영체계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파티션(partition)정보가 저장되는 영역이며, HDD(109)의 첫 번째 섹터에 저장되어 있다. MBR 영역(201)은 상기 파티션의 부트 섹터 레코드를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MBR 영역(201)은 HDD(109)가 포맷(format)될 때 나뉘는 각 파티션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파티션 섹터(partition sector) 또는 마스터 파티션 테이블(master partition table)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MBR 영역(201)에서 배드 섹터 등의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파티션의 위치에 접근할 수 없 으므로 휴대단말기가 정상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BR 영역(203)은 MBR 영역(201)에 저장된 각 파티션의 파일시스템 정보가 저장된 영역이다. BR 영역(203)은 상기 파티션의 첫 번째 섹터를 의미한다. 또한, BR 영역(203)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운영체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계어 코드(machine language code)와 파일시스템의 설정 값들을 저장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BR 영역(203)에서 배드 섹터 등의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파티션의 첫 번째 섹터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휴대단말기가 정상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FAT1 영역(205)은 클러스터(Cluster)들을 관리하는 테이블이 존재하는 영역이다. 즉, FAT1 영역(205)은 디렉토리 또는 파일들의 첫 번째 클러스터 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디렉토리 또는 파일들의 클러스터 체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FAT2 영역(207)은 FAT1 영역(205)에서 배드 섹터 등의 오류가 발생하여 상기 클러스터 체인 정보를 상실하였을 경우에 디렉토리 또는 파일의 실제 데이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FAT1 영역(205)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RD 영역(209)은 디렉토리 또는 파일이 어느 클러스터부터 존재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디렉토리 또는 파일의 속성, 생성시각, 크기, 이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RD 영역(209)에서 배드 섹터 등의 오류가 발생하면, Data 영역(211)에 저장된 디렉토리 또는 파일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휴대단말기가 정상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Data 영역(211)은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포함하고 있다. Data 영역(211)에서는 클러스터의 단위로 논리적인(logical) 읽기(Read)/쓰기(Write)가 가능하다.
상기 MBR 영역(201), BR 영역(203), RD 영역(209)의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배드 섹터 등의 오류가 발생하면, 휴대단말기는 Data 영역(211)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메모리(107)에 저장하여 HDD(109)의 메타데이터 상실 시에 메모리(107)의 메타데이터를 HDD(109)에 복사하여 HDD(109)의 FAT 파일시스템을 복원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시스템을 백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S301단계에서 제어부(117)는 HDD 모드로 진입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7)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MP3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MP3 플레이어 모드로 진입하면, S303단계에서 제어부(117)는 상기 MP3 플레이어 모드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독출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MP3 플레이어 모드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HDD(109)에 위치한 상기 MP3 플레이어 모드의 파티션 위치, 상기 MP3 플레이어 파티션의 첫 번째 섹터, MP3 파일에 대한 클러스터에 관한 속성정보의 독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30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메타데이터의 독출이 가능하면, 제어부(117)는 S305단계에서 상기 메타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메타데이터를 메모리(107)에 저장한다. 이때, 메모리(107)에 독출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점은 HDD(109) 모드에 진입하여, HDD(109)에 저장된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실행하는 시점일 수 있고, HDD(109)에 저장된 디렉토리 또는 파일이 갱신되거나, 새로운 디렉토리 또는 파일 이 삭제되는 시점 즉, HDD(109)에 저장된 디렉토리 또는 파일에 대한 변화가 감지되는 시점일 수 있다.
반대로, S30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메타데이터의 독출이 불가능하면, 제어부(117)는 S307단계에서 메모리(107)에 기저장된 메타데이터를 독출한다. 이때, 상기 기저장된 메타데이터는 제어부(117)가 메모리(107)에 저장한 최종 메타데이터이다. 이후, S309단계에서 제어부(117)는 상기 독출된 메타데이터를 HDD(109)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각각 복사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17)는 S307단계에서 독출된 상기 MP3 플레이어 모드의 파티션 위치, 상기 MP3 플레이어 파티션의 첫 번째 섹터, MP3 파일에 대한 클러스터에 관한 정보인 메타데이터를 HDD(109)의 파일시스템을 구성하는 MBR 영역(201), BR 영역(203), RD 영역(209)에 각각 복사한다. 이후, 상기 HDD(109)에 상기 메타데이터의 복사가 완료되면, S310단계에서 제어부(117)는 HDD(109)의 파일시스템 복원 완료를 감지한다.
이어서, 제어부(117)는 S311단계에서 MP3 플레이어에 대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 도2 및 도 4를 참조하면, S401단계에서 제어부(117)는 HDD 모드로 진입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7)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MP3 플레이어 모드로 진입한다. 이어서, S403단계에서 제어부(117)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HDD(109)에 저 장된 MP3 파일의 재생을 수행한다.
이어서, 제어부(117)는 상기 MP3 파일 재생 중에, S405단계에서 상기 재생 중인 MP3 파일을 구성하는 모든 메타데이터에 대한 독출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S40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재생 중인 MP3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독출이 가능하면, 제어부(109)는 S411단계로 진행한다.
반대로, S40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재생 중인 MP3 파일의 일부분에 대한 메타데이터 독출이 불가능하면, S407단계에서 제어부(117)는 HDD(109)에서 독출이 불가능한 MP3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메모리(107)에서 독출한다.
이때, 상기 메타데이터는 메모리(107)에 기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독출은 상기 메타데이터의 독출이 불가능한 MP3 파일을 포함하여 상기 MP3 파일부터 상기 MP3 파일의 후위에 존재하는 모든 MP3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 독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타데이터 독출은 상기 독출이 불가능한 MP3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 독출만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S409단계에서 제어부(117)는 상기 독출된 MP3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HDD(109)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복사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117)는 HDD(109)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상기 메타데이터의 복사가 완료되면, HDD(109)의 파일시스템 복원 완료를 감지한다.
이후, S411단계에서 제어부(117)는 HDD(109)에 저장되어 실행 중인 MP3 파일이 재생종료 파일인지 판단하여 즉, 상기 MP3 파일의 후위에 존재하는 MP3 파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종료 파일이 아니면, 제어부(109)는 S403단계로 회귀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07)에 기저장된 MP3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HDD(109)에 복사함으로써, 제어부(117)는 배드 섹터 등의 오류로 지속적인 MP3 파일 재생이 불가능했던 상기 MP3 플레이어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MP3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MP3 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파일의 상위단계인 디렉토리에 대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HDD의 메타데이터를 백업하여 상기 HDD의 파일시스템을 복원함으로써, HDD의 오류 발생 시 HDD에 저장된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드디스크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하드디스크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메타데이터의 독출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메타데이터의 독출이 불가능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기저장된 상기 하드디스크의 메타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메타데이터를 상기 하드디스크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복사하여 상기 하드디스크의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시스템 복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메타데이터의 독출이 가능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상기 독출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시스템 복원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하드디스크의 파일시스템을 구성하는 마스터 부트 레코드, 부트 레코드, 루트 디렉토리 영역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시스템 복 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디스크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상기 독출된 메타데이터의 복사가 완료되면, 상기 하드디스크의 파일시스템 복원 완료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시스템 복원 방법.
  5.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드디스크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하드디스크의 정보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하드디스크의 정보 실행 중 상기 실행 중인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독출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독출이 불가능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메타데이터를 상기 하드디스크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복사하여 상기 하드디스크의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시스템 복원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된 하드디스크로 상기 이후의 정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시스템 복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독출이 불가능한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또는 상기 독출이 불가능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정보의 후위에 존재하는 모든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시스템 복원 방법.
  8. 제7항에 잇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정보에 대한 마스터 부트 레코드, 부트 레코드, 루트 디렉토리 영역의 속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시스템 복원 방법.
KR1020070020033A 2007-02-28 2007-02-28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KR100851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033A KR100851305B1 (ko) 2007-02-28 2007-02-28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033A KR100851305B1 (ko) 2007-02-28 2007-02-28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305B1 true KR100851305B1 (ko) 2008-08-08

Family

ID=3988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033A KR100851305B1 (ko) 2007-02-28 2007-02-28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3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987A (ko) 2001-07-28 200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삭제/복원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기기 및 파일삭제/복원방법
KR20040095412A (ko) 2003-04-28 2004-11-15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987A (ko) 2001-07-28 200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삭제/복원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기기 및 파일삭제/복원방법
KR20040095412A (ko) 2003-04-28 2004-11-15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09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ooting operation of a computer system
US7707190B2 (en) Method for restoring backup data
CN101398850B (zh) 主机和媒体设备间的多种媒体类型同步
US926249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files for a portable device
US20110167049A1 (en) File system management techniques for computing environments and systems
US9449021B2 (en) Use of long file names in data storage systems
CN108241550B (zh) 一种操作系统备份还原方法
CN102567136A (zh) 一种计算机系统的备份、还原方法、装置及计算机系统
AU2013364255A1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data synchronization with online storage systems
US20120221609A1 (en)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
WO2011003464A1 (en)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
CN101789999A (zh) 移动终端场景管理与备份恢复的方法及装置
KR100692473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 및 정보처리 장치 제어 방법
US20030037279A1 (en) HDD data backup and recovery method
CN102024052B (zh) 一种数据存储系统事务的实现方法和装置
JP2010511923A (ja) メモリカードを回復するためのメモリカード読取装置
CN1991833B (zh) 文件系统和文件信息处理方法
KR100851305B1 (ko) 휴대단말기에서 파일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CN110018987B (zh) 快照创建方法、装置及系统
JP2000020367A (ja) 情報記憶方法および情報記憶装置および記録媒体
CN115328696A (zh) 一种数据库中的数据备份方法
CN113849494A (zh) 一种数据更新方法及装置
CN112783420A (zh) 数据删除与垃圾回收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1813323A (zh) 一种影片数据复制系统、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4442942B (zh) 一种数据迁移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