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881B1 -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881B1
KR100849881B1 KR1020070040420A KR20070040420A KR100849881B1 KR 100849881 B1 KR100849881 B1 KR 100849881B1 KR 1020070040420 A KR1020070040420 A KR 1020070040420A KR 20070040420 A KR20070040420 A KR 20070040420A KR 100849881 B1 KR100849881 B1 KR 100849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door
box
shaped body
valv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용
Original Assignee
박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용 filed Critical 박길용
Priority to KR102007004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26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Testing; Calibrating; 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fluid-pressure system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5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5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viscosity o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유압발생장치는, 박스형 본체와; 저장조와; 유로의 방향을 결정하는 디렉션 밸브, 디렉션 밸브에 마련된 유로와 연통된 복수의 유로를 가지는 매니폴드 블록 및 도어 구동용 유압실린더로 작동유를 유출시키도록 유로관을 포함하는 유압밸브블록과; 유압밸브블록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펌프와;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작동유의 온도를 측정 및 도어, 유압밸브블록 및 펌프의 오작동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작동유의 온도 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부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유압밸브블록과 펌프를 제어하고, 센서부를 통해 온도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센서부를 통해 오작동을 검출한 경우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소정의 안전모드로 도어와 유압밸브블록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유압발생장치의 안정적인 제어가 이루어져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방지하고, 유압발생장치 및 도어의 무리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되어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하다.
유압 패키지 유니트(hydro package unit), 전자제어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HYDRAULIC POWER PACKAGE UNIT FOR OPERATING DOOR OF C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발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발생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삭제
100: 유압발생장치(유압팩) 110: 유압밸브블록
111: 디렉션 밸브 112: 매니폴드 밸브
120: 펌프 130: 제어부
131: 마이크로프로세서 132: 통신부
133: 센서부 134: 온도조절부
140: 저장조 150: 유로관
160: 전원공급부
본 발명은 유압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발생장치(hydraulic power package)라 함은 주로 차량이나 산업기계에 적용되어 유압실린더와 같은 피구동 유닛의 작동원으로서 기능한다. 즉, 소정의 전원을 인가받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여 피구동 유닛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압발생장치는 종래 펌프와 유압밸브의 조합과 같이 기계적인 요소로만 구비되었으며, 사용자는 유압밸브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킴으로써 펌프로부터 유입되는 작동유의 방향을 제어하여 피구동 유닛에 공급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종래의 유압발생장치에 의하면, 펌프와 유압밸브는 통상적으로 일정 전원공급부(특히, 고전압의 전원)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은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수동조작을 통해 유압밸브의 작동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트럭 등의 대형 차량의 도어를 여닫기 위해 구비되는 실린더 블록을 도어으로 할 경우, 상기 유압발생장치의 전원공급은 차량용 배터리가 맡게 되어, 유압발생장치에는 항상 고전압, 고전류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압발생장치에 의하면, 항상 고전압, 고전류의 전원이 공급된 상태가 유지되는 관계로 불필요한 전력의 손실이 발생할 뿐 아니라 유압발생장치 또는 도어에 무리한 동력이 가해져 고장발생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이 일정치 않아 도어의 안정적인 제어가 어렵거나, 부하 등의 외부 조건에 관계없이 작동되어 유압발생장치 및 구동 대상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발생장치의 안정적인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방지하고, 유압발생장치, 도어 등의 무리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유압발생장치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형 본체와; 박스형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작동유를 저장하는 저장조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로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박스형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디렉션 밸브, 박스형 본체 내부에 위치하되 디렉션 밸브와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구동용 유압실린더로의 유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디렉션 밸브에 마련된 유로와 연통된 복수의 유로를 가지는 매니폴드 블록 및 매니폴드 블록에 결합되되 도어 구동용 유압실린더로 작동유를 유출시키도록 관통홀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관을 포함하는 유압밸브블록과; 박스형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저장조와 연통되어, 유압밸브블록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펌프와; 박스형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박스형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작동유의 온도를 측정하고, 도어, 유압밸브블록 및 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오작동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박스형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작동유의 온도 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부와; 박스형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작동을 위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며,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유압밸브블록과 펌프를 제어하고,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작동유의 온도가 소정 범위에 속하도록 온도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센서부를 통해 오작동을 검출한 경우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소정의 안전모드로 도어와 유압밸브블록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발생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 등의 대형 자동차에 장착되는 박스 타입(box type)의 도어 조작용 유압팩(hydro package unit, 100)(이하, '유압발생장치' 또는 간단히 '유압팩'이라 함)이다. 유압팩(100)은 도어(여기서는, 도어구동용 유압실린더(도면 미도시)에 해당함)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밸브블록(110), 소정의 저장조(140)로부터 작동유를 공급받아 유압밸브블록(110)에 공급하는 펌프(120), 유압밸브블록(110)과 펌프(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유압밸브블록(1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로의 방향을 결정하는 디렉션 밸브(directional valve, 111)와 이에 결합되어 도어으로의 유로를 안내하는 매니폴드 블록(manifold block, 112)을 포함한다. 디렉션 밸브(111)는 솔레노이드(111a)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매니폴드 블록(112)은 디렉션 밸브(111)에 마련된 유로와 연통된 복수의 유로를 가지며, 이를 통해 디렉션 밸브(111)로부터 방향제어된 작동유가 유입되고 양단부에 마련된 유로관(150)을 통해 작동유를 유출시켜 도어로 이송시킨다.
디렉션 밸브(111)와 매니폴드 블록(112)은 각각 복수 개로 마련되어 차량의 양측 도어를 구동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디렉션 밸브(111)와 매니폴드 블록(112)은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펌프(120)는 저장조(140)와 연통되어 있으며, 제어부(130)의 구동제어에 의해 저장조(140)에 저장된 작동유를 유입시켜 디렉션 밸브(111)로 공급하도록 기능한다.
제어부(130)는 차량의 배터리(미도시)를 전원공급부로 하여 작동되며, 사용자로부터 유압팩(100) 구동을 위한 입력을 받아 디렉션 밸브(111) 및 펌프(120)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2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발생장치(1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차량용 배터리의 전원공급부(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유압밸브블록(110)와 펌프(120)를 제어한다.
유압밸브블록(110)의 디렉션 밸브(111)는 제어부(130)의 제어를 받아 작동하며, 매니폴드 블록(112)를 통해 이송되는 작동유의 유로 방향을 조절한다. 매니폴드 블록(112)으로부터 유출되는 작동유는 유로관(150)을 통해 도어(170), 예를 들어 도어 구동용 실린더블록으로 유입된다.
펌프(120)는 저장조(140)로부터 작동유를 유입받아 유압밸브블록(110)으로 공급한다.
제어부(130)는 통상의 차량용 배터리와 같은 전원공급부(160)의 고전류, 고전압을 전원으로 하여, 저전압, 저전류를 발생시켜 타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부(130)에 의하면 유압발생장치(100)의 작동에 소요되는 전력소모량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30)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원공급부(160)의 공급 전원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소정의 경보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상 고압, 고전류가 출력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전기쇼크로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제어부(130)를 구비할 경우 전원공급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불안정할 경우에도 비교적 일정한 출력으로 타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발생장치(100)의 제어부(13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작용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1), 외부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통신부(132), 저장조(도 2의 140) 기타 타 요소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33), 저장조(140)에 저 장된 작동유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13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어부(130)에 의하면, 우선, 통신부(132)를 통해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콘 등으로 도어 개방을 명령하면 제어부(130)는 통신부(132)를 통해 명령을 입력받아 마이크로프로세서(131)를 통해 유압밸브블록(110)과 펌프(120)를 작동 제어함으로써 도어(170)을 구동하여 도어 개방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치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통신부(132)를 통해 사용자에게 오작동 상태임을 통지함으로써 알람 송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센서부(133)를 통해 저장조(140)의 실내온도, 즉 저장된 작동유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작동유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온도조절부(134)를 작동시켜 작동유를 가열 내지 냉각시킬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온도조절부(134)는 저장조(14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 및 냉각 기능을 모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히터(도면 미도시)와 냉각기(도면 미도시)로 별도 구비될 수도 있다. 가열 및 냉각 기능을 모두 가지는 온도조절부(134)로는 열소자(thermal device)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센서부(133)를 통해 유압밸브블록(110)의 오작동 유무, 예를 들어 디렉션 밸브(111) 정상 제어 여부, 매니폴드 블록(150) 내부의 작동유가 정상 압력상태인지 여부, 도어(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구동 실린더블록)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물론, 제어부(130)는 센서부(133)를 통해 펌프(120) 내의 작동유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펌프(120)의 오작동 유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유압밸브블록(110) 또는 펌프(120)가 오작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어부(130)는 유압밸브블록(110) 및 펌프(12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시켜 전체 작동을 정지시키며, 알람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상기 도어, 유압밸브블록(110), 펌프(120) 중 어느 하나에 오작동이 발생한 경우, 소정의 안전모드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 후 정지하도록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로서 설명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뒷받침될 뿐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곤란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해석되어야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에 의하면, 장치 내에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등의 고전압, 고전류의 전원 입력을 저전압, 저전류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압발생장치의 무리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무선 입력을 통한 작동으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며, 장치의 오작동의 경우 무선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는 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작동유의 온도 측정 내지 각 구성요소의 오작동 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온도조절부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유의 온도조절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는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되어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하다.

Claims (6)

  1. 차량의 도어(170)를 개폐하기 위한 유압발생장치(100)에 있어서,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02)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형 본체(101);
    상기 박스형 본체(101) 내부에 위치하며, 작동유를 저장하는 저장조(14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로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박스형 본체(101) 내부에 위치하는 디렉션 밸브(111), 상기 박스형 본체(101)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디렉션 밸브(111)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17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구동용 유압실린더로의 유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디렉션 밸브(111)에 마련된 유로와 연통된 복수의 유로를 가지는 매니폴드 블록(112) 및 상기 매니폴드 블록(112)에 결합되되 상기 도어 구동용 유압실린더로 상기 작동유를 유출시키도록 상기 관통홀(102)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관(150)을 포함하는 유압밸브블록(110);
    상기 박스형 본체(101)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저장조(140)와 연통되어, 상기 유압밸브블록(110)에 상기 작동유를 공급하는 펌프(120);
    상기 박스형 본체(101) 내부에 위치하며,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32);
    상기 박스형 본체(101)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유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도어(170), 상기 유압밸브블록(110) 및 상기 펌프(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오작동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부(133);
    상기 박스형 본체(101)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유의 온도 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부(134); 및
    상기 박스형 본체(101) 내부에 위치하며, 작동을 위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되,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며,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통신부(132)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밸브블록(110)과 상기 펌프(120)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33)를 통해 측정된 상기 작동유의 온도가 소정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온도조절부(134)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33)를 통해 오작동을 검출한 경우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소정의 안전모드로 상기 도어(170)와 상기 유압밸브블록(110)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40420A 2007-04-25 2007-04-25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 KR100849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420A KR100849881B1 (ko) 2007-04-25 2007-04-25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420A KR100849881B1 (ko) 2007-04-25 2007-04-25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881B1 true KR100849881B1 (ko) 2008-08-01

Family

ID=3988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420A KR100849881B1 (ko) 2007-04-25 2007-04-25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775A (ko) * 2014-01-07 2015-07-15 김정환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128A (ko) * 1990-11-13 1992-06-26 김연수 중장비 엔진의 냉각수 및 유압펌프 작동유의 온도제어장치
KR0135592Y1 (ko) * 1994-03-31 1999-03-30 토니 헬샴 유압 펌프/모터의 고장 경보장치
KR0174393B1 (ko) * 1994-04-30 1999-04-15 토니 헬샴 유압식 건설장비의 제어장치
KR200200233Y1 (ko) * 2000-05-25 2000-10-16 주식회사금양 유압 서보밸브의 디지털 제어 장치
KR20060099301A (ko) * 2005-03-11 2006-09-19 동서울대학 산학협력단 유량제어 밸브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128A (ko) * 1990-11-13 1992-06-26 김연수 중장비 엔진의 냉각수 및 유압펌프 작동유의 온도제어장치
KR0135592Y1 (ko) * 1994-03-31 1999-03-30 토니 헬샴 유압 펌프/모터의 고장 경보장치
KR0174393B1 (ko) * 1994-04-30 1999-04-15 토니 헬샴 유압식 건설장비의 제어장치
KR200200233Y1 (ko) * 2000-05-25 2000-10-16 주식회사금양 유압 서보밸브의 디지털 제어 장치
KR20060099301A (ko) * 2005-03-11 2006-09-19 동서울대학 산학협력단 유량제어 밸브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775A (ko) * 2014-01-07 2015-07-15 김정환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602547B1 (ko) * 2014-01-07 2016-03-10 김정환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0659B2 (en) Coolant pump with integrated closed-loop control
EP1186783B1 (en) Hydraulic system with cross function regeneration
US20130035820A1 (en) Hybrid construction machine
US8806860B2 (en) Hybrid construction machine
US9248854B2 (en) Electro-hydraulic steering control system
KR101912801B1 (ko) 통합 폐루프 제어가 가능한 냉각수 펌프
US9702383B2 (en) Actuator
KR100915571B1 (ko) 산업 차량의 유압 장치
EP2310692B1 (en) Flow control
KR20090073113A (ko) 산업 차량의 제어 장치
US9458899B2 (en) Actuato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drivetrain, with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9957982B2 (en) Lifting device
KR100849881B1 (ko)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
EP2963303B1 (en) Actuator unit
EP2865813B1 (en) Slewing work machine
JP4900671B2 (ja) 電子制御式コントロール弁較正装置
JP4704259B2 (ja) エネルギー変換装置
CN211980738U (zh) 电池包防爆阀及具有其的电池包
ES2764712T3 (es) Grupo constructivo motriz de puerta de vehículo
KR20130143573A (ko) 전기유체적 제어장치
KR100683577B1 (ko) 유량제어 밸브 시스템
US8047618B2 (en)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5629449B2 (ja) 荷役装置
KR20100057131A (ko)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시스템
KR101674864B1 (ko) 유압파워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