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339B1 -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339B1
KR100849339B1 KR1020060084665A KR20060084665A KR100849339B1 KR 100849339 B1 KR100849339 B1 KR 100849339B1 KR 1020060084665 A KR1020060084665 A KR 1020060084665A KR 20060084665 A KR20060084665 A KR 20060084665A KR 100849339 B1 KR100849339 B1 KR 100849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erminal
housing
support
antenn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1349A (ko
Inventor
신정섭
김용진
이재호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339B1/ko
Priority to US11/709,826 priority patent/US20080055165A1/en
Priority to CNA2007100922292A priority patent/CN101141022A/zh
Priority to EP07006884A priority patent/EP1895618A1/en
Priority to BRPI0701641-7A priority patent/BRPI0701641A2/pt
Publication of KR2008002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 상기 캐리어 상에 부착되는 주 방사체; 및 상기 주 방사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캐리어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체의 단부에 고정되는 보조 방사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단말기 내에 장착되었을 때 보조 방사체가 캐리어와 이격됨과 동시에 단말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사용자의 신체나 단말기 하우징의 내부 구조물들과 간섭되지 않아 안정적인 방사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지지체를 이용하여 보조 방사체를 지지하게 함으로써 캐리어의 형상을 단말기의 하우징에 적합하게 변경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소형화, 슬림화된 단말기의 좁은 실장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안테나의 실효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서 동일 공간 내의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말기, 안테나, 캐리어, 방사체, 지지체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200 : 안테나 장치 211 : 캐리어
213 : 지지체 215a, 215b : 융착 돌기
221 : 주 방사체 223 : 보조 방사체
225a, 225b : 접속 단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의 하우징 내에 수용 된 내장형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이동통신 기기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재생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 단말기를 이용한 소액 결재 및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등의 금융 서비스 기기와 같은 복합적인 기능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문자 정보나 음성 등을 입력시키는 입력 장치로서 키패드와 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저장된 정보 또는 수신된 정보, 음성 등을 출력시키는 출력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피커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업자, 기지국,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들은 통신 회로와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들은 그 장착 형태에 따라 외장형 안테나와 내장형 안테나로 구분되며, 또한 외장형 안테나 중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수신을 위한 착탈식 안테나가 있다.
외장형 안테나는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 장착되면서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며, 필요에 따라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서 전파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안테나 장치를 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송수신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외장형 안테나는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단말기의 디자인에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낙하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내장형 안테나는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단말기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단말기의 디자인을 다양화하는데 유리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안테나 패턴 등을 단말기의 하우징 내에 직접 부착하는 경우, 안테나 패턴의 급전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등에 영향을 받아 안테나의 성능이 적절하게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단말기의 하우징에 안테나 패턴을 부착하지 않고, 별도의 캐리어에 안테나 패턴을 부착하여 단말기의 하우징 내에 실장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나, 캐리어와 하우징의 간섭으로 인한 안테나 장치의 실장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실장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신체의 영향을 억제하고 적절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
상기 캐리어 상에 부착되는 주 방사체; 및
상기 주 방사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캐리어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체 의 단부에 고정되는 보조 방사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0; 도 2에 도시됨)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10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부분이 개폐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전면에는 키패드와 송화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수화부 및 기능성 키패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키패드와 송화부가 개폐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200)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로서 도 1에는 도시지 않고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장치(200)는 캐리어(211)와, 상기 캐 리어(211)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01) 내에 설치되는 방사체들(221, 223)을 구비한다.
상기 캐리어(211)는 상기 방사체들(221, 223)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후면 케이스(101b) 내에 장착된다. 상기 캐리어(211)의 일측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213)를 구비하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체(213)는 세개가 연장된 구성이다. 상기 캐리어(211)의 크기가 더 커진다면 상기 지지체(213)의 수는 더 증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체(213)의 수는 상기 캐리어(211)의 크기, 상기 후면 케이스(101b) 내의 실장 공간의 크기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캐리어(211)를 상기 제1 하우징(101),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 케이스(101b) 내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리어(2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홀(217)과 고정 돌기(219)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후면 케이스(101b)에는 그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 돌기(219)에 대면하는 고정 리브(11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리브(119a)에는 상기 고정 돌기(219)에 상응하는 고정홀(119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케이스(101b)에는 그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캐리어(211)를 감싸게 제공된 지지 리브(117)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리브(117)들은 각각 상기 캐리어(21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지지체(213)들 사이에 위치된다.
결국, 상기 고정 돌기(219)를 상기 고정홀(119b)에 맞물리게 한 상태로 상기 캐리어(211)를 상기 후면 케이스(101b) 내에 장착시키면, 상기 지지 리브(117)들은 상기 캐리어(211)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류 홀(217)을 통해 스크류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캐리어(211)는 상기 후면 케이스(101b) 내에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 방사체들(221, 223)은 상기 캐리어(211)의 일면에 부착되는 주 방사체(221)와, 상기 주 방사체(221)로부터 연장되는 보조 방사체(223)로 분류된다. 상기 주 방사체(221)는 상기 캐리어(211)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캐리어(211)가 상기 후면 케이스(101b)에 장착되면 상기 주 방사체(221)는 상기 후면 케이스(101b)의 내측면에 대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방사체들(221, 223)을 단말기의 회로 장치들과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 단자(225a, 225b)가 상기 주 방사체(221)로부터 연장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접속 단자들이 각각 상기 주 방사체(22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캐리어(211)의 외주면을 감싸고, 그 단부는 각각 상기 캐리어(211)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 단자(225a, 225b)들 중 하나는 급전 단자로, 다른 하나는 접지 단자로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방사체(223)는 상기 캐리어(21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캐리어(211)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게 연장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체(213)들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주 방사체(221), 보조 방사체(223) 및 접속 단자들(225a, 225b)을 각각 상기 캐리어(211) 또는 지지체(213) 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200)는 융착 돌기들(215a, 215b)을 구비한다.
우선, 상기 보조 방사체(223)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지지체(213)들의 단부에는 각각 융착 돌기(215b)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방사체(223)를 관통하게 결합된다. 상기 융착 돌기(215b)들이 상기 보조 방사체(223)를 관통한 후, 그 단부를 가열, 융착시키면 상기 융착 돌기(215b)의 길이는 짧아지면서 그 직경이 커져 상기 보조 방사체(223)를 상기 지지체(213)의 단부에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체(213)의 단부에 밀착, 고정됨에 따라 상기 보조 방사체(223)는 상기 캐리어(21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캐리어(211)에는 또 다른 융착 돌기(215a)들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 단자들(225a, 225b)을 각각 관통하게 결합된다. 상기 접속 단자들(225a, 225b)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융착 돌기(215a)들의 단부를 가열, 융착시킴으로써 상기 접속 단자들(225a, 225b)은 상기 캐리어(211)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캐리어(211)의 외측면에도 다수의 융착 돌기들이 형성되어 각각 상기 주 방사체(221)를 관통하게 결합되며, 그 단부가 가열, 융착됨으로써 상기 주 방사체(221)가 상기 캐리어(211)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방사체들(221, 223)과 접속 단자들(225a, 225b)이 상기 캐리어(211) 상에 고정된 후, 상기 캐리어(211)가 상기 후면 케이스(101b) 내측면에 장착되면, 상기 주 방사체(221)는 상기 후면 케이스(101b)의 내측면에 대면하고, 상기 보조 방사체(223)는 상기 후면 케이스(101b)의 내측벽에 대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 리브(117)들은 상기 캐리어(211)의 외측면을 감싸게 위치되고, 상기 보조 방사체(223)는 상기 지지 리브(117)들과 상기 후면 케이스(101b)의 내측벽 사이에 위치 된다.
이때, 상기 후면 케이스(101b)의 내측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지체(115)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 방사체(223)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감싸게 지지한다. 상기 보조 지지체(115)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조 방사체(223)는 상기 캐리어(211)의 외주면과 상기 후면 케이스(101b)의 내측벽 사이에서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보조 방사체(223)가 상기 단말기(100)의 제1 하우징(101),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 케이스(101b)의 내측벽에 대면하면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안테나 장치(200)가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 중 후면 케이스에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 하우징의 전면 케이스 또는 제2 하우징 내에 상기 안테나 장치(2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캐리어로부터 연장된 지지체들을 구비하여 주 방사체로부터 연장된 보조 방사체를 지지하게 함으로써, 단말기 내에 장착되었을 때 보조 방사체는 캐리어와 이격됨과 동시에 단 말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나 단말기 하우징 내부의 구조물들과의 간섭을 줄여 안정적인 방사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지지체를 이용하여 보조 방사체를 지지하게 함으로써 캐리어의 형상은 단말기의 하우징에 적합하게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소형화, 슬림화된 단말기의 좁은 실장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안테나의 실효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서 동일 공간 내의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접속 단자를 캐리어의 내측면에 위치시킴으로써, 급전과 접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
    상기 캐리어 상에 부착되는 주 방사체; 및
    상기 주 방사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캐리어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체의 단부에 고정되는 보조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지지체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보조 방사체를 관통하는 융착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융착 돌기의 단부는 가열, 융착되어 상기 보조 방사체를 상기 지지체의 단부에 밀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방사체는 상기 캐리어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대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주 방사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의 단부는 상기 캐리어의 내측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캐리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접속 단자를 관통하는 융착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융착 돌기의 단부는 가열, 융착되어 상기 접속 단자를 상기 캐리어의 내측면에 밀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나는 급전 단자로, 다른 하나는 접지 단자로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내측벽에 돌출된 보조 지지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면 상기 보조 지지체는 상기 보조 방사체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감싸게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 리브; 및
    상기 고정 리브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면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홀에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면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지지체들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방사체는 상기 지지 리브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20060084665A 2006-09-04 2006-09-04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849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665A KR100849339B1 (ko) 2006-09-04 2006-09-04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11/709,826 US20080055165A1 (en) 2006-09-04 2007-02-23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NA2007100922292A CN101141022A (zh) 2006-09-04 2007-04-02 用于便携式终端的天线装置
EP07006884A EP1895618A1 (en) 2006-09-04 2007-04-02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BRPI0701641-7A BRPI0701641A2 (pt) 2006-09-04 2007-04-24 dispositivo de antena para terminal portÁt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665A KR100849339B1 (ko) 2006-09-04 2006-09-04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349A KR20080021349A (ko) 2008-03-07
KR100849339B1 true KR100849339B1 (ko) 2008-07-29

Family

ID=3837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665A KR100849339B1 (ko) 2006-09-04 2006-09-04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55165A1 (ko)
EP (1) EP1895618A1 (ko)
KR (1) KR100849339B1 (ko)
CN (1) CN101141022A (ko)
BR (1) BRPI07016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350B1 (ko) * 2008-12-08 201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
FR3029689B1 (fr) * 2014-12-03 2018-02-16 Ingenico Group Antenne sans contact, structure de support et connecteur corresponda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600A (ko) * 2005-01-03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안테나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0200B2 (en) * 2003-06-13 2005-02-01 Motorola, Inc. Compact PIFA antenna for automated manufacturing
US6885347B2 (en) * 2003-07-28 2005-04-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ethod for assembling antenna onto plastic base
KR20050013705A (ko) * 2003-07-29 2005-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JP2006211634A (ja) * 2004-12-27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600A (ko) * 2005-01-03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안테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1022A (zh) 2008-03-12
US20080055165A1 (en) 2008-03-06
BRPI0701641A2 (pt) 2008-12-09
KR20080021349A (ko) 2008-03-07
EP1895618A1 (en)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3126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649636B1 (ko) 이동 단말기
KR10200287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1418154B1 (ko) 스피커유닛을 구비하는 단말기
US9362611B2 (en) Internal antenna of mobile terminal
US20120270610A1 (en) Mobile terminal without microphone hole
KR1008493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90032608A (ko)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8208977B2 (en) Mobile terminal and speaker device thereof
JP5509302B2 (ja) 保護カバー
JP2006527531A (ja) 無線通信装置の伸長型アンテナ支持体
US7551143B2 (en) Antenna feed line for portable terminal
KR102015577B1 (ko) 안테나 캐리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1924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10044821A (ko) 배터리에 안테나를 장치한 핸드폰
KR101090217B1 (ko) 배터리커버 부착형 휴대단말기 케이스 어셈블리
JP2002171112A (ja) 携帯電話機
JP2010119002A (ja) 携帯端末装置
JP2005184037A (ja) 携帯電子機器用イヤホン
KR100604579B1 (ko)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121349A (ko)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디엠비 수신기
CN112040031A (zh) 设备套装及其折叠式终端设备
KR101005298B1 (ko)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안테나
JP2006345566A (ja) 電話機
KR2008004450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