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980B1 - Lens drive device, imaging device, imaging instrument, lens position adjustment method, and lens drive method - Google Patents

Lens drive device, imaging device, imaging instrument, lens position adjustment method, and lens driv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980B1
KR100847980B1 KR1020077008707A KR20077008707A KR100847980B1 KR 100847980 B1 KR100847980 B1 KR 100847980B1 KR 1020077008707 A KR1020077008707 A KR 1020077008707A KR 20077008707 A KR20077008707 A KR 20077008707A KR 100847980 B1 KR100847980 B1 KR 100847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axis
lens frame
axis dir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7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44509A (en
Inventor
노리유키 고모리
다케노리 우에지마
모토아키 다마야
스스무 다니구치
히데키 구니시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5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9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렌즈 구동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렌즈(2a, 2b)와, 렌즈(2a, 2b)를 유지하고, 렌즈(2a, 2b)의 광축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가이드 구멍(35)을 갖는 렌즈 프레임(3)과, 가이드 구멍(35)에 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렌즈 프레임(3)을 광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축(4)을 갖는 고정부와, 렌즈 프레임(3)에 고정된 코일(5)과, 코일(5)과 결합하는 마그넷(7)과, 마그넷(7)이 부착된 요크(6)를 구비하고 있다. 요크(6)는, 렌즈(2a, 2b)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Figure 112007029134718-pct00001

The lens drive device includes a lens frame having lenses 2a and 2b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guide holes 35 that hold the lenses 2a and 2b and are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optical axes of the lenses 2a and 2b. (3), a fixed portion having a guide shaft (4)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hole (35) and guiding the lens frame (3)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coil (5) fixed to the lens frame (3). ), A magnet 7 engaged with the coil 5, and a yoke 6 with the magnet 7 attached thereto. The yoke 6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es 2a and 2b.

Figure 112007029134718-pct00001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촬상 장치, 촬상 기기, 렌즈 위치의 조정 방법 및 렌즈 구동 방법{LENS DRIVE DEVICE, IMAGING DEVICE, IMAGING INSTRUMENT, LENS POSITION ADJUSTMENT METHOD, AND LENS DRIVE METHOD}LENS DRIVE DEVICE, IMAGING DEVICE, IMAGING INSTRUMENT, LENS POSITION ADJUSTMENT METHOD, AND LENS DRIVE METHOD}

본 발명은 렌즈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 렌즈 구동 장치를 이용한 촬상 장치, 촬상 기기, 렌즈 위치의 조정 방법, 및 렌즈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for driving a lens, and an imaging device, an imaging device, a lens position adjusting method, and a lens driving method using the lens driving device.

종래부터, 렌즈를 이동시켜 초점을 조정하는 카메라에서는, 렌즈의 초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방법은, 렌즈를 보지하는 렌즈 프레임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촬상 소자를 탑재한 경통에 마련한 암나사를 나사 결합시켜, 렌즈 프레임을 회전시킴으로써, 이 렌즈 프레임을 경통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촬상 소자의 촬상면에 대한 렌즈의 초기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방법은, 렌즈 프레임과 경통 사이에 링 형상의 캠(cam) 기구를 마련하고, 이 캠 기구에 의해 렌즈 프레임을 경통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렌즈의 초기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Conventionally, various methods for adjusting the initial position of a lens have been proposed in the camera which moves a lens and adjusts a focu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2). In the method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male fram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frame holding the lens and the female screw provided in the barrel on which the imaging element is mounted are screwed to rotate the lens frame, thereby rotating the lens frame relative to the barrel. To adjus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imaging surface of the imaging device. Moreover,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2 provides the ring-shaped cam mechanism between a lens frame and a barrel, and moves a lens frame to an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a barrel by this cam mechanism, and the initial position of a lens is changed. To adjust.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2-374439호(단락 0009, 도 1)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374439 (paragraph 0009, Fig. 1)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 공보 평7-67017호(단락 0017, 도 3)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7-67017 (paragraph 0017, Fig. 3)

그런데, 최근, 휴대 전화기나 휴대 장치 등의 모바일 기기에 촬상 기능을 탑재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들 모바일 기기는, 그 성격상, 소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촬상 기기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대하여도, 소형화 및 박형화가 강하게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근거로, 모바일 기기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탑재되는 촬상 장치에 대해서도, 소형화(및 그에 따른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By the way, in recent years, the demand which mounts an imaging function in mobile devices, such as a mobile telephone and a portable device, is increasing. These mobile devices are preferably small in nature. On the other hand, miniaturization and thickness reduction are also expected strongly about the digital still camera which is an imaging device. On the basis of such a situation, miniaturization (and consequently light weight) is also required for imaging devices mounted in mobile devices and digital still cameras.

그래서, 촬상 장치의 소형화의 요청에 응하기 위해서, 종래의 스텝핑 모터 대신에, 보이스 코일(voice coil) 모터를 이용하여 렌즈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spond to the request for downsizing of the imaging device, a lens driving device for driving a lens using a voice coil motor instead of a conventional stepping motor has been proposed.

보이스 코일 모터는, 리니어 구동이 가능하여, 스텝핑 모터와 같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텝핑 모터를 이용한 경우보다도 촬상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Since the voice coil motor can be linearly driven and there is no need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into a linear motion like the stepping motor,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can be made smaller than in the case of using the stepping motor.

여기서, 보이스 코일 모터를 렌즈 구동에 이용한 경우에는, 렌즈 구동 장치를 조립할 때에, 렌즈의 초기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생긴다. 즉, 스텝핑 모터의 경우는,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은 상태(비통전 상태)에서도 유지력을 갖기 때문에, 카메라의 기동 후에 모터에 의해 렌즈를 이동시켜 고체 촬상 소자에 대한 렌즈의 초점을 맞추고, 그 후, 비통전 상태에서 렌즈를 초점이 모이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보이스 코일 모터의 경우는, 비통전 상태에서 렌즈를 임의의 위치에 유지할 수 없다. 그래서, 비통전 상태에서(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서), 프리뷰(preview)시에 피사체와 구도를 확정할 수 있을 정도로 렌즈의 초점이 맞춰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비통전 상태, 즉 렌즈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무한원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렌즈의 초기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유효하다.Here, when the voice coil motor is used for lens driving,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when assembl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That is, in the case of the stepping motor, since it has a holding force even in a state where no current flows (non-energized state), the lens is moved by the motor after the camera is started to focus the lens on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and then, In the non-energized state, the lens can be kept in the position where focus is achiev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voice coil motor, the lens cannot be held at any position in the non-energized state. Therefore, in the non-energized state (to suppress power consumption), it is necessary to focus the lens so that the subject and the composition can be determined at the time of preview. In this case, it is effective to adjus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such that the non-energized state, i.e., the lens is focused at infinity in the initial position.

그러나, 보이스 코일 모터를 이용하는 렌즈 구동 장치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렌즈의 초기 위치의 조정 방법을 채용한 경우, 렌즈를 보지하는 렌즈 프레임의 외주면으로 수나사를 형성하고, 코일 또는 마그넷을 유지하는 홀더부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이들 수나사와 암나사를 나사 결합시킨 상태로 렌즈 프레임을 홀더부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 경우, 렌즈 프레임과 홀더부에 나사부를 형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이들을 예를 들면 렌즈 반경 방향으로 크게 하지 않을 수 없고, 렌즈 구동 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장해가 된다.However, when the lens driving device using the voice coil motor is adopted in the method of adjust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 holder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frame holding the lens to hold the coil or magnet. The female screw is formed in the portion, and the lens frame is attached to the holder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male screw and the female screw are screwed together. In this case, since screw portions must be formed in the lens frame and the holder, these must be enlarged in the lens radial direction, for example, and this becomes a hindrance to downsiz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렌즈의 초기 위치의 조정 방법을 채용한 경우도, 캠 기구가 필요로 되기 때문에, 렌즈 구동 장치가 대형화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is employed, the cam mechanism is required, so that the lens driving apparatus is enlarg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렌즈 구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subject, and the objective is to miniaturize a lens drive apparatus.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렌즈와, 상기 렌즈를 보지하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가이드 구멍을 갖는 렌즈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구멍에 접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축을 갖는 고정부와, 상기 렌즈 프레임에 고정된 코일과,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이 부착된 요크(yoke)를 구비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frame having a len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 guide frame holding the lens, and formed in substantially parallel to an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and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hole. And a fixing portion having a guide shaft for guiding the lens fram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coil fixed to the lens frame, a magnet opposite the coil, and a yoke with the magnet attached thereto, the yoke Is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렌즈 구동 장치 자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Since the lens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ens drive device itself can be miniaturi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측단면도(a) 및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b), 2 is a cross-sectional view (b) showing an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a) and a part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배면도,4 is a rear view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자기 회로를 도시하는 단면도,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agnetic circuit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렌즈 편심 핀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 면,7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lens eccentric pi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촬상 장치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촬상 장치의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셔터 기구부의 분해 사시도,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utter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4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17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18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9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 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20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21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내지 6에 대한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2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to Embodiments 1 to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a: 렌즈 2b: 렌즈2a: lens 2b: lens

3: 렌즈 프레임 3a: 렌즈 프레임 유닛3: lens frame 3a: lens frame unit

4: 가이드 축 4a: 수나사4: guide shaft 4a: external thread

4b: 홈 5: 코일4b: groove 5: coil

6: 요크 6a: 암나사 6: york 6a: female thread

6b: 긴 구멍 6c: 측면6b: long hole 6c: side

7: 마그넷 7a: 바닥면7: magnet 7a: bottom

8: 자성편 9: 셔터 기구8: Magnetic Edition 9: Shutter Mechanism

9a: 기준면 9b: 클로9a: reference plane 9b: claw

9c: 접촉면 9d, 9e: 리브9c: contact surface 9d, 9e: rib

9f: 개구부 9g: 하우징9f: opening 9g: housing

9h: 모터 9i: 셔터 블레이드9h: motor 9i: shutter blade

9j: 판금 9k, 9l: 돌기부9j: sheet metal 9k, 9l: protrusion

9m: 돌기 10, 12, 13: 렌즈 구동 장치9m: projection 10, 12, 13: lens drive

11: 하우징 11b: 구멍11: housing 11b: hole

11c: 접동 기준 11d 가이드 리브11c: sliding standard 11d guide rib

11j: 상면 11k: 광체11j: top face 11k: ore

40, 50, 60: 촬상 장치 15: 편심 핀40, 50, 60: imaging device 15: eccentric pin

15f: 원통부 15g: 핀15f: Cylindrical section 15g: Pin

15h: 플랜지부 15i: 홈15h: flange 15i: groove

31: 작은 직경 프레임부 32: 큰 직경 프레임부31: small diameter frame portion 32: large diameter frame portion

33: 지지부 33a: 바닥면33: support portion 33a: bottom surface

33b: 돌기 33c: 상면33b: projection 33c: top surface

34: 코일 유지부 35: 가이드 구멍34: coil holding part 35: guide hole

61, 62: 벽부 63: 바닥부61, 62: wall portion 63: bottom portion

64: 기준면 65: 절결부64: reference plane 65: cutout

66, 67: 기준면 91: 고체 촬상 소자66, 67: reference plane 91: solid-state imaging device

92: 회로 기판 F1: 추력92: circuit board F 1 : thrust

F2: 자기 스프링력 F3: 중력F 2 : magnetic spring force F 3 : gravity

F4: 마찰력 F4(a): 정지 마찰력F 4 : Friction F 4 (a): Static Friction

F4(b): 동마찰력F 4 (b): dynamic fric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ttached drawing.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이용한 렌즈 구동 장치에 있어서, 렌즈를 보지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가동부에 부착된 코일과, 보이스 코일 모터의 고정부인 요크와, 요크에 부착된 마그넷으로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 전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렌즈의 초기 위치의 조정을 행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가동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가이드 축을, 렌즈 구동 장치가 부착된 촬상 장치의 하우징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가이드 축에 형성한 나사부와 요크에 형성한 나사부를 나사 결합시켜서 액츄에이터 전체를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using the voice coil motor, the entire actuator including a coil attached to the movable portion of the voice coil motor holding the lens, a yoke that is a fixed portion of the voice coil motor, and a magnet attached to the yoke. By mov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is adjusted. That is,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shaft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is supported by the housing of the imaging device with the lens driving apparatus, and th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guide shaft and th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yoke are provided. By screwing in, the entire actuator is movable.

<구조> <Structure>

우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한 II-II선에 있어서의 렌즈 구동 장치(10)의 단면도(YZ 단면도)이다. 이 렌즈 구동 장치(10)는, 촬상 기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에 탑재된 촬상 장치(예를 들면 소형 카메라)에 있어서, 단초점 렌즈의 자동 초점 기구(오토 포커스 기구)로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2a, 2b)(도 2의 (a))를 광축 A를 따라 이동시켜, 피사체상을 고체 촬상 소자(91)(도 2의 (a))에 결상시키는 것이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 is a plan view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A is a sectional view (YZ sectional view) of the lens drive device 10 in the II-II line shown in FIG. 1. This lens drive device 10 is used as an autofocus mechanism (autofocus mechanism) of a short focus lens in an imaging device (for example, a small camera) mounted in an imaging device (for example, a mobile phone). Specifically, the lens drive device 10 moves the lenses 2a and 2b (FIG. 2A) along the optical axis A to move the object image onto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FIG. 2A). It is an image to).

도 1 및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2a, 2b)를 각각의 광축이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유지하는 렌즈 프레임(3)과, 이 렌즈 프레임(3)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축(4)과, 이 가이드 축(4)이 고정된 요크(6)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의 (a)에 있어서, 렌즈(2a, 2b)의 광축 A(도 2의 (a))의 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광축 A에 직교하는 면내에 있어서의 한 방향(도 1 및 도 2의 (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을 Y방향으로 한다. 또한, 광축 A에 직교하는 면내에 있어서 Y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방향으로 한다. Z방향에 대해서는,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을 상방(즉, +Z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 즉 후술하는 고체 촬상 소자(91)를 향하는 방향을 하방(즉, -Z방향)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the lens driving apparatus 10 includes a lens frame 3 which holds the lenses 2a and 2b so that their respective optical axes are coaxially positioned with the lenses. It has the guide shaft 4 which supports the frame 3 so that a movement is possible, and the yoke 6 to which the guide shaft 4 was fixed. 1 and 2 (a),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 (FIG. 2 (a)) of the lenses 2a and 2b is set as the Z direction, and one direction i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 (Fig. 1 and 2)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 are referred to as the Y direction. Moreover, in the surface orthogonal to the optical axis A,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Y direction is made into X direction. In the Z direction, the direction toward the subject is made upward (that is, the + Z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toward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described later is made downward (that is, the -Z direction).

렌즈 프레임(3)은, 렌즈(2a, 2b)를 유지하는 프레임부(31, 32)와, 이들 프레임부(31, 32)에 대하여 Y방향(렌즈(2a, 2b)의 반경 방향)에 인접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33)를 가지고 있다. 이 지지부(33)는, Y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렌즈 프레임(3)의 지지부(33)에는, Z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3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구멍(35)에는, 상술한 가이드 축(4)이 접동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The lens frame 3 is adjacent to the frame portions 31 and 32 holding the lenses 2a and 2b and the Y directio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enses 2a and 2b) with respect to these frame portions 31 and 32. It has a support 33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This support part 33 has a shape long in the Y direction. A guide hole 35 penetrating in the Z direction i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33 of the lens frame 3, and the guide shaft 4 is slidably penetrated through the guide hole 35.

도 2의 (b)는, 가이드 축(4)의 하단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의 (a)에 원 B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것이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축(4)의 하단에는 수나사(4a)가 형성되어 있고, 요크(6)에 형성된 암나사(6a)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가이드 축(4)의 수나사(4a)의 선단은, 요크(6)를 관통해서 더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촬상 장치의 하우징(11)의 바닥부에 형성된 오목부(11a)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축(4)은, 그 축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1a)는, 도 2의 (b)에서는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가이드 축(4)을 지지하는 데에 충분한 내경과 깊이를 갖는 것으로 한다. 가이드 축(4)의 상단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축(4)을 공구에 의해 축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홈(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홈(4b)을 마이너스 형상으로 도시했지만, 플러스형상이어도, 또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FIG. 2B is a view show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uide shaft 4, and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enclosed by the circle B in FIG. 2A. As shown in FIG.2 (b), the male screw 4a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guide shaft 4, and is screwed to the female screw 6a formed in the yoke 6. As shown to FIG. The tip of the male screw 4a of the guide shaft 4 penetrates the yoke 6 and projects further down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1a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11 of the imaging device. As a result, the guide shaft 4 is rotatably positioned around the center of the shaft. In addition, although the recessed part 11a is typically shown in FIG.2 (b), suppose that the recessed part 11a has sufficient inner diameter and depth for supporting the guide shaft 4. In the upper end of the guide shaft 4, as shown in Figs. 1 and 2, a groove 4b for rotating the guide shaft 4 around the shaft by a tool is formed. In addition, although the groove 4b was shown in the negative shape in FIG. 1, it may be plus shape or another shape.

렌즈 프레임(3)은, 가이드 축(4)과 가이드 구멍(35)과의 접동에 의해, 가이드 축(4)을 따라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렌즈 프레임(3)의 Z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가능 범위를 규정하기 위해서, 렌즈 프레임(3)이 +Z방향의 이동 한계 및 -Z방향의 이동 한계에 달했을 때에 닿는 위치에, 각각 스토퍼(stopper)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lens frame 3 is movable along the guide shaft 4 in the Z direction by sliding between the guide shaft 4 and the guide hole 35. In order to define the movable range in the Z direction of the lens frame 3, stoppers are respectively placed at positions reached when the lens frame 3 reaches the movement limit in the + Z direction and the movement limit in the -Z direction. Is provided. The stoppe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렌즈 구동 장치(10)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구동 장치(10)를 Y방향으로 본 배면도이다. 요크(6)는, 예를 들면 판 형상 부재를 U자 형상으로 굴곡한 것으로, 바닥부(63)와, 이 바닥부(63)의 X방향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재하는 벽부(61, 62)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63)에는, 가이드 축(4)의 하단에 형성된 수나사(4a)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6a)(도 2의 (b))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벽부(61, 62)의 내측의 면에는, 각각 마그넷(7)이, 코일(5)을 X방향으로 끼워 넣도록 부착되어 있다. 각 마그넷(7)은, 코일(5)의 Y방향으로 연재하는 변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요크(6)가 가이드 축(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촬상 장치의 하우징(11)에는 회전 방지 부재(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가이드 리브(11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요크(6)의 앞쪽의 벽부(62)가 절결되어 도시되어 있다. 액츄에이터로서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은, 코일(5), 요크(6), 마그넷(7) 및 가이드 축(4)(요크로서의 기능도 가짐)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rear view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 shown in FIG. The yoke 6 is, for example, a plate-shaped member that is bent in a U shape, and the bottom portion 63 and the wall portions 61 and 62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in the X direction of the bottom portion 63. Have. The bottom portion 63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6a (FIG. 2B) that is screwed into the male screw 4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shaft 4. The magnets 7 ar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61 and 62 described above so as to sandwich the coil 5 in the X direction, respectively. Each magnet 7 opposes the edge extending in the Y direction of the coil 5. In addition, the rotation preventing member (for example, the guide rib 11d shown in FIG. 6)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 of the imaging device so that the yoke 6 does not rotate about the guide shaft 4. . 4, the front wall 62 of the yoke 6 is cut out and shown. The coil 5, the yoke 6, the magnet 7, and the guide shaft 4 (which also have the function as a yoke) are realized as the actuator.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3)의 +Z방향의 이동 한계는, 지지부(33)의 측면에 마련한 돌기(33b)의 상면(33c)과 마그넷(7)의 바닥면(7a)이 접촉하는 위치이다. 렌즈 프레임(3)의 -Z방향의 이동 한계는, 지지부(33)의 바닥면(33a)이 요크(6)의 바닥부(63)의 상면(63a)에 접촉한 위치이다. 요크(6) 및 가이드 축(4)은, 각각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마그넷(7)을 포함하는 자기 회로(후술)를 구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movement limit in the + Z direction of the lens frame 3 is the top surface 33c of the protrusion 33b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gnet 7. It is the position where 7a contacts. The movement limit in the −Z direction of the lens frame 3 is a posi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33a of the support portion 33 contacts the top surface 63a of the bottom portion 63 of the yoke 6. The yoke 6 and the guide shaft 4 are each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and constitute a magnetic circuit (described later) including the magnet 7.

렌즈 프레임(3)의 지지부(33)의 위쪽에는, 코일 유지부(34)(도 2의 (a))가 형성되어 있다.Above the support part 33 of the lens frame 3, the coil holding part 34 ((a) of FIG. 2) is formed.

코일 유지부(34)에는, 가이드 축(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코일(5)이 권취되어 있다. 코일(5)은 X방향의 2변과 Y방향의 2변을 갖도록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권취되어 있다.The coil 5 is wound around the coil holder 34 so as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shaft 4. The coil 5 is woun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so as to have two sides in the X direction and two sides in the Y direction.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체 촬상 소자(91)는, 그 패키지(package)가 하우징(11)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촬상 장치의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고체 촬상 소자(91)에는, 회로 기판(92)이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고체 촬상 소자(91)와 회로 기판(92)의 양쪽을 하우징(11)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해도 되고, 회로 기판(92)만을 하우징(11)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여, 고체 촬상 소자(91)를 간접적으로 하우징(11)에 고정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에서는, 하우징(11)과 회로 기판(92)에 의해 고정부가 형성된다. 또한, 이들에 고정되어 있는 고체 촬상 소자(91), 가이드 축(4)을 고정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is fixed to the housing 11 of the imaging device by attaching a package to the housing 11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92 is fix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is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In addition, both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and the circuit board 92 may be fixed to the housing 11 with an adhesive, or only the circuit board 92 is fixed to the housing 11 with an adhesive, thereby providing a solid-state imaging element ( 91 may be indirectly fixed to the housing 11.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by the housing 11 and the circuit board 92. Moreover,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and the guide shaft 4 which are fixed to these can also be included in a fixed part.

렌즈 프레임(3)의 상면에는, 코일(5)보다도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자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 자성편(8)이 고정되어 있다. 이 자성편(8)은, 렌즈 프레임(3)이 그 Z방향의 이동 가능 범위에 있을 때에는, 항상 마그넷(7)의 Z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상방(+Z측, 즉 피사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는, 코일(5)에의 통전을 정지한 경우, 자성편(8)이 마그넷(7)의 Z방향의 대략 중앙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통전 정지시에, 지지부(33)의 바닥면(33a)이 요크(6)의 바닥부(63)의 상면(63a)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렌즈 프레임(3)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frame 3, a magnetic piece 8 made of a magnetic material is fixed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coil 5. When the lens frame 3 is in the movable range of the Z direction, the magnetic piece 8 is always positioned above the center position of the magnet 7 in the Z direction (+ Z side, that is, the subject side). It is arranged. This is because, when the energization to the coil 5 is stoppe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3 at the time of stopping the energization by utilizing the property that the magnetic piece 8 tries to move to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Z direction of the magnet 7. This is to hold the lens frame 3 at the position where 33a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63a of the bottom portion 63 of the yoke 6.

도 5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자기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의 Ⅳ-Ⅳ선에 있어서의 단면도(XZ 단면도)에 대응하고 있다. 2개의 마그넷(7)은, 가이드 축(4)에 대하여 X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마그넷(7)은, 요크(6)에 고정된 면측이 N극으로 되고, 코일(5)에 대향하는 쪽이 S극으로 되도록, X방향으로 착자(着磁)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일(5)의 Y방향의 변이, 마그넷(7)의 S극과 가이드 축(4) 사이에 위치한다. 마그넷(7)의 N극으로부터의 자력선은, 요크(6)의 벽부(61, 62) 및 바닥부(63)를 따라 진행하고, 또한 가이드 축(4)을 지나, 코일 유지부(34) 및 코일(5)을 경유하여, 마그넷(7)의 S극에 도달한다. 코일(5)에 전류를 흘리면, 전류와 마그넷(7)에 의한 자장과의 작용에 의해, 코일(5)에는 가이드 축(4)의 축 방향(즉, Z방향)의 전자력이 발생한다. 여기에서는, 코일(5)에 +Z방향(상방향)의 전자력이 생기는 방향으로 전류를 흘린다.FIG.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magnetic circuit of the lens drive apparatus 10, and respond | corresponds to sectional drawing (XZ sectional drawing) in the IV-IV line | wire of FIG. The two magnets 7 are arranged symmetrically in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uide shaft 4. Each magnet 7 is magnetized in the X direction such that the surface side fixed to the yoke 6 becomes the N pole and the side opposite to the coil 5 becomes the S pole. As a result, the variation in the Y direction of the coil 5 is located between the S pole of the magnet 7 and the guide shaft 4. The magnetic lines of force from the north pole of the magnet 7 travel along the wall portions 61 and 62 and the bottom portion 63 of the yoke 6, and also pass through the guide shaft 4 to form the coil holder 34 and Via the coil 5, the S pole of the magnet 7 is reached.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5, an electromagnetic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that is, Z direction) of the guide shaft 4 is generated in the coil 5 by the action of the current and the magnetic field caused by the magnet 7. Here, a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magnetic force in the + Z direction (upward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coil 5.

한편, 자성편(8)은, 마그넷(7)이 생기는 자장에 의해, 마그넷(7)의 Z방향의 대략 중심 위치(즉, 자속 밀도가 가장 높은 위치)를 향해서 항상 가압(付勢)되어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5)에의 통전을 정지한 경우, 자성편(8)이 마그넷(7)의 Z방향의 대략 중앙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렌즈 프레임(3)의 이동 가능 범위는, 자성편(8)이 마그넷(7)의 Z방향 중심보다도 항상 +Z방향측(피사체측)에 위치하도록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프레임(3)에는 항상 -Z방향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큰 가압력을 얻는 관점에서는, 자성편(8)은, 니켈 등의 연자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piece 8 is always pressed toward the substantially center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with the highest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 7 in the Z direction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 7.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ergization to the coil 5 is stopped, the magnetic piece 8 utilizes the property of moving to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magnet 7 in the Z direction. Since the movable piece of the lens frame 3 is determined so that the magnetic piece 8 will always be located in the + Z direction side (the subject side)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Z direction of the magnet 7, it will always be in the lens frame 3. The pressing force in the -Z direction is acting.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large pressing force, the magnetic piece 8 is preferably made of a soft magnetic material such as nickel.

코일(5)에 소정 방향의 전류를 흘림으로써 +Z방향의 전자력이 발생하면, 렌즈 프레임(3)은, 자성편(8)이 마그넷(7)으로부터 받는 -Z방향의 가압력에 저항하고, 가이드 축(4)을 따라 +Z방향으로 이동한다. 코일(5)에 흐르는 전류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전자력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어, +Z방향의 전자력과 -Z방향의 가압력이 균형이 잡히는 위치까지, 렌즈 프레임(3)을 가이드 축(4)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When an electromagnetic force in the + Z direction is generated by flowing a curr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rough the coil 5, the lens frame 3 resists the pressing force in the -Z direction that the magnetic piece 8 receives from the magnet 7, and guides it. Move along the axis 4 in the + Z direction. The magnitude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current value flowing in the coil 5, and the lens frame 3 is moved to the guide shaft 4 to a position where the electromagnetic force in the + Z direction and the pressing force in the -Z direction are balanced. Can be moved accordingly.

코일(5)의 전류를 정지하면, +Z방향의 전자력이 소멸하기 때문에, 자성편(8)이 마그넷(7)으로부터 받는 -Z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렌즈 프레임(3)은 -Z방향의 이동 한계까지 복귀한다.When the current in the coil 5 is stopped, the electromagnetic force in the + Z direction is extinguished. Therefore, due to the pressing force in the -Z direction that the magnetic piece 8 receives from the magnet 7, the lens frame 3 is in the -Z direction. Return to the travel limit.

여기서는, 렌즈 프레임(3)이 -Z방향의 이동 한계에 있을 때에, 무한원 물체로부터의 광이 렌즈(2a, 2b)에 의해 고체 촬상 소자(91)의 촬상면에 결상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렌즈(2a, 2b)를 +Z방향(피사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피사체상을 고체 촬상 소자(91)에 결상할 수 있다. 그 결과, 무한원으로부터 근접 위치까지의 임의의 피사체를, 자동 초점에 의해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Here, when the lens frame 3 is at the limit of movement in the -Z direction, light from the infinity object is imaged on the imaging surface of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by the lenses 2a and 2b. By moving the lenses 2a and 2b in the + Z direction (subject side) from this state,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can form an image of a subject at a closer posi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any subject from the infinity to the proximal position by auto focus.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넷(7)은, 큰 직경 렌즈(2b)를 유지하는 큰 직경 프레임부(32)의 일 부분(도면부호 32a로 나타냄)의 위쪽에 겹쳐져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큰 직경 프레임부(32)의 해당 부분(32a)과 마그넷(7) 사이에는, 렌즈 프레임(3)의 이동량 E보다도 큰 간극 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프레임(3)이 Z방향으로 이동해도 마그넷(7)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magnet 7 is superimposed on a portion of the large diameter frame portion 32 (represented by reference numeral 32a) that holds the large diameter lens 2b. However, as shown in FIG. 4, since the clearance gap C larger than the movement amount E of the lens frame 3 is formed between the corresponding part 32a of the large diameter frame part 32, and the magnet 7, the lens Even if the frame 3 moves in the Z direction,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magnet 7.

<초기 위치의 조정 방법> <How to adjust the initial position>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의 렌즈 초기 위치의 조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렌즈 프레임(3)이 -Z방향의 이동 한계에 있을 때에, 무한원 물체로부터의 광이 렌즈(2a, 2b)에 의해 고체 촬상 소자(91)의 촬상면에 결상하도록, 렌즈 프레임(3)과 고체 촬상 소자(91)와의 초기 상태의 위치 관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Next, the adjustment method of the lens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drive apparatus 1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First, when the lens frame 3 is at the limit of movement in the -Z direction, the lens frame 3 is formed so that light from an infinity object is imaged on the imaging surface of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by the lenses 2a and 2b.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initial state with the solid-state image sensor 91 needs to be adjusted.

본 실시 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10)의 경우, 가이드 축(4)의 상단에 형성된 홈(4b)을 이용하여 공구에 의해 회전시키면, 가이드 축(4)에 형성된 수나사(4a)가 회전한다. 가이드 축(4)의 수나사(4a)와 요크(6)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6a)가 나사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 축(4)을 회전시킴으로써, 요크(6)가 광축 A방향으로 이동한다. 렌즈 프레임(3)은, 자성편(8)과 마그넷(7)에 의해 -Z방향으로 가압되고, 렌즈 프레임(3)의 바닥면(33a)과 요크(6)의 바닥부(63)의 상면(63a)이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요크(6)를 광축 A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렌즈 프레임(3)도 동시에 이동하고, 렌즈(2a, 2b)와 고체 촬상 소자(91)의 촬상면과의 초점 위치 조정할 수 있다.In the lens drive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le screw 4a formed on the guide shaft 4 rotates when the lens is rotated by the tool using the groove 4b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shaft 4. Since the male screw 4a of the guide shaft 4 and the female screw 6a formed on the yoke 6 are screwed together, the yoke 6 moves in the optical axis A direction by rotating the guide shaft 4. . The lens frame 3 is pressed in the -Z direction by the magnetic piece 8 and the magnet 7,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33a of the lens frame 3 and the bottom portion 63 of the yoke 6. Since the 63a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yoke 6 is moved in the optical axis A direction, the lens frames 3 are also moved at the same time, and the focal positions of the lenses 2a and 2b and the imaging surface of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are adjusted. I can adjust i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이드 축(4)을 회전시킴으로써, 렌즈 프레임(3), 코일(5), 요크(6) 및 마그넷(7)으로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 전체를 광축 A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렌즈 초기 위치의 조정을 나사 끼워 맞춤이나 캠 기구로 행하는 종래의 렌즈 구동 장치보다도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특히, 종래의 렌즈 구동 장치와 같이 렌즈 프레임의 외주에 나사를 형성하거나, 혹은 캠 기구를 마련한 경우에는, 렌즈 반경 방향의 장치 치수가 커져 버리지만,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렌즈 반경 방향의 장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병진 방향의 구동이 가능한 모터(보이스 코일 모터)를 이용한 것에 의한 소형화에 부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초기 위치의 조정을 위한 구조를 소형화한 것에 의해, 렌즈 구동 장치(10)의 한층더 소형화가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tire actuator including the lens frame 3, the coil 5, the yoke 6, and the magnet 7 is moved in the optical axis A direction by rotating the guide shaft 4. Since the lens initial position can be adjusted, the size of the lens can be made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lens driving apparatus which performs screw fitting or cam mechanism. In particular, when a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ns frame or a cam mechanism is provided, as in the conventional lens driving apparatus, the device dimension in the lens radial direction increases,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vice dimension in the lens radial direction Can be made small. That is, in addition to miniaturization by using a motor (voice coil motor) capable of driving in the translatio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miniaturization of the structure for adjusting the lens initial position further reduces the lens drive device 10. Miniaturization becomes possible.

또한, 가이드 축(4)의 수나사(4a)와 요크(6)의 암나사(6a)를 나사 결합시키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렌즈 프레임(3) 및 요크(6)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전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덧붙여, 렌즈 프레임(3)의 돌기(33b)와 마그넷(7)과의 접촉에 의해 렌즈 프레임(3)의 +Z방향의 이동 한계를 규정하고, 렌즈 프레임(3)의 바닥면(7a)과 요크(6)의 바닥부(63)와의 접촉에 의해 렌즈 프레임(3)의 -Z방향의 이동 한계를 규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스토퍼를 마련하지 않고 렌즈 프레임(3)의 이동 범위를 규제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male screw 4a of the guide shaft 4 and the female screw 6a of the yoke 6 are screwed together, the entire actuator including the lens frame 3 and the yoke 6 can be configur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Can be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contact limit of the lens frame 3 in the + Z direction is defin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projection 33b and the magnet 7 of the lens frame 3, and the bottom surface 7a of the lens frame 3 Since the movement limit of the lens frame 3 in the -Z direction is defined by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63 of the yoke 6, the movement range of the lens frame 3 can be regulated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stopper. Can be.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보이스 코일 모터를 이용한 렌즈 구동 장치에 있어서, 렌즈를 보지하는 가동부에 부착된 코일과, 마그넷과, 요크로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 전체를 구동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요크의 측면에 배치한 편심 핀에 의해, 요크, 코일 및 마그넷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전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렌즈의 초기 위치의 조정을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using the voice coil motor, the entire actuator including the coil attached to the movable part holding the lens, the magnet, and the yoke is driven. That is,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move the entire actuator including the yoke, the coil, and the magne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adjusting the eccentric pi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yoke to adjus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will b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2)에 이용하는 편심 핀(15)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실시 형태 1(도 1 내지 5)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인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e device 12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hape of the eccentric pin 15 used for the lens drive apparatus 12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6 and 7,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FIGS. 1 to 5).

도 6에 있어서, 요크(6)의 한쪽의 벽부(61)에는 긴 구멍(6b)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축(4)은, 요크(6)의 바닥면(63)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해서 하우징(11)의 바닥면에 끼워 맞추고 있고, 요크(6)는 가이드 축(4)을 따른 광축 A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광체(11)의 측면에는, 요크(6)의 벽부(61)에 형성된 긴 구멍(6b)과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1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1)의 내측의 측면에 마련한 가이드 리브(11d)는, 요크(6)의 다른 쪽의 벽부(62)의 측면(6c)에 끼워 맞추고, 요크(6)가 광축 A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경사를 규제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부품 사이의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요크(6)의 X방향의 길이를 짧게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가이드 리브(11d)가 요크(6)로부터 떨어지고 있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요크(6)의 벽부(62)의 외측의 측면(6c)과 하우징(11)의 내측의 측면과는 좁은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고, 가이드 리브(11d)는, 요크(6)의 경사나 회전을 방지하도록 요크(6)에 접하고 있다.In FIG. 6, the long hole 6b is formed in one wall portion 61 of the yoke 6. The guide shaft 4 is fit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63 of the yoke 6, and the yoke 6 is in the optical axis A direction along the guide shaft 4. Can be moved to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1, a hole 11b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elongated hole 6b formed in the wall portion 61 of the yoke 6. On the other hand, the guide ribs 11d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1 are fitted to the side surfaces 6c of the other wall portion 62 of the yoke 6 so that the yoke 6 moves in the optical axis A direction. It regulates the slope of time. In addition, in FIG. 6, in order to make the structure between components clear, the length of the yoke 6 in the X direction is shown short. In addition, in FIG. 6, although the guide rib 11d is shown so that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yoke 6, in fact, the outer side surface 6c of the wall part 62 of the yoke 6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 are shown. The guide rib 11d is in contact with the yoke 6 so as to prevent inclination and rotation of the yoke 6.

편심 핀(15)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15f)와, 원통부(15f)의 선단면의 중심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중심을 갖는 편심 핀(15g)과, 원통부(15f)의 후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5h)와, 편심 핀(15)을 회전시키는 공구를 결합하게 하는 홈(15i)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1)에 형성된 상기의 구멍(11b)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15f)를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가지고, 그 삽입 방향의 안쪽에는 접동 기준면(11c)이 형성되어 있다. 편심 핀(15)을 하우징(11)에 부착하면, 편심 핀(15)의 원통부(15f)가 구멍(11b)에 삽입되고, 원통부(15f)의 원통의 측면이 접동 기준면(11c)에 접촉하고, 핀(15g)이 구멍(11b)을 관통해서 요크(6)에 형성된 긴 구멍(6b)과 끼워 맞춘다.As shown in FIG. 7, the eccentric pin 15 has a cylindrical portion 15f, an eccentric pin 15g having a center at a position deviated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5f, It consists of the flange part 15h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cylindrical part 15f, and the groove 15i which engages the tool which rotates the eccentric pin 15.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hole 11b formed in the housing 11 has an inner diameter into which the cylindrical portion 15f can be inserted, as shown in FIG. 6, and a sliding reference plane 11c is formed inside the insertion direction. have. When the eccentric pin 15 is attached to the housing 11, the cylindrical portion 15f of the eccentric pin 15 is inserted into the hole 11b,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15f is attached to the sliding reference plane 11c. The pin 15g penetrates through the hole 11b and fits into the long hole 6b formed in the yoke 6.

렌즈의 초기 위치의 조정을 행하기 위해서, 공구를 홈(15i)에 결합하게 하여 편심 핀(15g)을 회전시키면, 편심 핀(15g)과 끼워 맞추고 있는 긴 구멍(6b)을 통해서 요크(6)가 광축 A방향(Z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시, 요크(6)뿐만 아니라, 렌즈 프레임(3), 코일(5) 및 마그넷(7)으로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 전체가 광축 A방향으로 이동한다.In order to adjus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when the tool is coupled to the groove 15i and the eccentric pin 15g is rotated, the yoke 6 is provided through the long hole 6b fitted with the eccentric pin 15g. Moves in the optical axis A direction (Z direction). In this movement, not only the yoke 6 but the entire actuator including the lens frame 3, the coil 5, and the magnet 7 moves in the optical axis A direction.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편심 핀(15)을 이용함으로써,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렌즈 구동 장치(12)를 (특히 렌즈 반경 방향으로) 크게 하지 않고, 렌즈(2a, 2b)와 고체 촬상 소자(91)의 촬상면과의 초기 상태의 초점 위치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렌즈 구동 장치(12)를 대형화하지 않고, 렌즈의 초기 위치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편심 핀(15)을, 촬상 장치의 하우징(11)의 벽의 두께 내로 거의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촬상 장치의 X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using the eccentric pin 15, the lenses 2a and 2b and the solid are not enlarged (particularly in the lens radial direc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thout making the lens driving device 12 larg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ocal position adjustment of the initial state with the imaging surface of the imaging element 91.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without increasing the lens drive device 12. More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eccentric pin 15 can be accommodated almost in the thickness of the wall of the housing 11 of the imaging device, the dimension of the imaging device in the X direction can be made small.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심 핀(15)을 요크(6)의 한쪽의 벽부(61)에만 마련하고, 가이드 리브(11d)를 요크(6)의 한쪽의 벽부(62)에만 접촉하도록 마련했지만, 편심 핀(15)을 양 벽부(61, 62)에 마련해도 되고, 또한 가이드 리브(11d)를 양 벽부(61, 62)에 접촉하도록 마련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eccentric pin 15 was provided only in the one wall part 61 of the yoke 6, and the guide rib 11d was provided so that only one wall part 62 of the yoke 6 may contact. The eccentric pin 15 may be provided on both wall portions 61 and 62, and the guide rib 11d may be provided to contact both wall portions 61 and 62.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구동 장치의 렌즈 프레임의 피사체측에 셔터 기구부를 배치하고, 그 셔터 기구부를 요크에 부착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is disposed on the subject side of the lens frame of the lens drive device, and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is attached to the yoke.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3)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렌즈 구동 장치(13)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셔터 기구부를 요크(6)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있어서, 실시 형태 1(도 1 내지 5)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인다.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ens driving device 1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sembled.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ens driving device 13 is assembl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ttaching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to the yoke 6. In FIGS. 8-10,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same as the component demonstrated in Embodiment 1 (FIGS. 1-5).

도 8 내지 도 10에 있어서, 개구부(9f)(도 9 내지 도 10)를 갖는 셔터 기구부(9)는 렌즈(2a)의 피사체측에 배치되어 있다. 셔터 기구부(9)는, 렌즈(2a, 2b)(도 2의 (a) 등)에 입사하는 광을 통과시키는 상기의 개구부(9f)가 형성된 하우징(9g)을 가지고 있다. 이 하우징(9g)에는, 아래쪽(피사체와 반대의 방향)에 면하는 부착 기준면(9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 기준면(9a)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크(6)의 벽부(61, 62)의 상단(피사체측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기준면(64)과 접촉하고, 이에 의해 셔터 기구부(9)의 광축 A방향(즉, Z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8-10,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which has opening part 9f (FIGS. 9-1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ubject side of the lens 2a.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has a housing 9g in which the opening portion 9f is formed so as to pass light incident on the lenses 2a and 2b (Fig. 2 (a) and the like). In this housing 9g, the attachment reference surface 9a which faces the lower side (direction opposite to a subject) is formed. As shown in FIG. 10, this attachment reference surface 9a is in contact with the reference surface 64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end (edge of the subject side) of the wall parts 61 and 62 of the yoke 6, and thereby a shutter mechanism part Positioning of the optical axis A direction (ie, Z direction) of (9) is performed.

셔터 기구부(9)는, 하우징(9g)의 아래쪽(피사체로 반대인 측)으로 돌출한 부분에, X방향 외측에 면하는 접촉면(9c)을 가지고 있다. 이 접촉면(9c)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크(6)의 벽부(61, 62)의 X방향 내측의 측면(6d)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셔터 기구부(9)의 X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셔터 기구부(9)는, 접촉면(9c)에 대한 Y방향 양쪽에, 리브(9d, 9e)를 가지고 있다. 이 리브(9d, 9e)는, 요크(6)의 벽부(61, 62)의 각 상부(기준면(64)이 형성된 부분)의 Y방향 양 단면에 마련된 위치 결정 기준면(66, 67)과 접촉하고, 이에 의해 셔터 기구부(9)의 Y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셔터 기구부(9)는, 하우징(9g)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클로(9b)를 가지고 있고, 이 클로(9b)가 요크(6)의 양 벽부(61, 62)에 마련된 절결부(65)에 끼워 맞춤으로써, 셔터 기구부(9)가 요크(6)에 고정된다.The shutter mechanism part 9 has a contact surface 9c facing the outer side in the X-direction on a portion protruding downward (the side opposite to the subject) of the housing 9g. As shown in FIG. 10, this contact surface 9c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6d of the X direction inner side of the wall parts 61 and 62 of the yoke 6, and by this is the X direction of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Positioning is made.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has ribs 9d and 9e on both sides of the 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urface 9c. The ribs 9d and 9e come in contact with the positioning reference planes 66 and 67 provided in the Y-direction both end surfaces of the upper portions (parts on which the reference plane 64 is formed) of the wall portions 61 and 62 of the yoke 6. Thus, positioning of the shutter mechanism 9 in the Y direction is achieved.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has the claw 9b which protrudes below the housing 9g, and this claw 9b is provided in the notch part 65 provided in the both wall parts 61 and 62 of the yoke 6. As shown in FIG. By fitting, the shutter mechanism 9 is fixed to the yoke 6.

실시 형태 1 및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2a, 2b)의 고체 촬상 소자(91)의 촬상면에 대한 초기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3)에서는, 셔터 기구부(9)가 요크(6)와 일체로 되어 Z방향으로 이동한다.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when adjusting the initi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maging surface of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of the lenses 2a and 2b, in the lens drive device 1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9 ) Is integrated with the yoke 6 and moves in the Z direction.

셔터 기구부(9)를 요크(6)가 아니라 하우징(11)에 고정한 경우, 렌즈(2a)와 셔터 기구부(9)와의 거리는, 핀 위치를 무한원으로부터 근접 위치에 이동시킬 때에 렌즈(2a, 2b)를 피사체측으로 이동시키는 양에 부가하여, 렌즈 초기 위치의 조정시에 렌즈(2a, 2b)를 이동시키는 양을 더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3)에서는, 셔터 기구부(9)를 요크(6)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 초기 위치의 조정시에 렌즈(2a, 2b)와 셔터 기구부(9)가 함께 이동한다. 그 때문에, 렌즈(2a)와 셔터 기구부(9)와의 거리는, 핀 위치를 무한원으로부터 근접 위치에 이동시킬 때에 렌즈(2a, 2b)를 피사체측으로 이동시키는 양만을 확보하면 된다. 즉, 셔터 기구부(9)를 요크(6)에 고정함으로써, 렌즈(2a)와 셔터 기구부(9)와의 거리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9 is fixed to the housing 11 instead of the yoke 6,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2a and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9 is such that the lens 2a, 2b is used when the pin position is moved from the infinity to the proximal position. ), In addition to the amount of moving to the subject side, it is necessary to further secure the amount of moving the lenses 2a and 2b at the time of adjusting the lens initial posi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lens drive device 1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utter mechanism 9 is fixed to the yoke 6, so that the lenses 2a and 2b and the shutter mechanism 9 are adjusted at the time of adjusting the lens initial position. ) Move together.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2a and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9 only needs to ensure an amount of moving the lenses 2a and 2b toward the subject side when the pin position is moved from the infinity to the proximal position. That is, by fixing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to the yoke 6,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2a and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can be shortened.

또한, 셔터 기구부(9)에 마련하는 개구부(9f)의 직경과, 개구부(9f)를 차광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셔터 블레이드는, 개구부(9f)의 위치가 렌즈(2a)에 가까울수록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3)와 같이 셔터 기구부(9)를 요크(6)에 고정한 구조이면, 셔터 기구부(9)를 하우징(11)에 고정한 구조와 비교하여 개구부(9f) 및 셔터 블레이드를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셔터 기구부(9)를 소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part 9f provided in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and the shutter blade which are not shown in order to shield the opening part 9f can be miniaturiz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opening part 9f is closer to the lens 2a. have. Therefore, if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9 is fixed to the yoke 6 like the lens drive device 1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9f i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of fixing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9 to the housing 11. And the shutter blade can be made small, whereby the shutter mechanism 9 can be made smaller.

실시 형태 4Embodiment 4

본 실시 형태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셔터 기구부의 피사체측에, 촬상 기기의 하우징에 부딪히게 되는 부분(부딪힘 기준)을 마련한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imaging device WHEREIN: The part (collision reference) which hits the housing of an imag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subject side of a shutter mechanism part.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촬상 장치(4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실시 형태 1(도 1 내지 5)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인다.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maging device 40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1 and FIG. 12,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same as the component demonstrated in Embodiment 1 (FIGS. 1-5).

도 13은 일반적인 셔터 기구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일반적인 셔터 기구부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된 하우징(9g)과, 하우징(9g)의 내부에 수납된 셔터 블레이드(9i)와, 셔터 블레이드(9i)를 구동하기 위해서 하우징(9g)에 부착된 모터(9h)와, 하우징(9g)의 피사체측을 덮는 판금(9j)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al example of a general shutter mechanism part. As shown in FIG. 13, the general shutter mechanism part includes a housing 9g made of a resin molded article, a shutter blade 9i housed inside the housing 9g, and a housing (for driving the shutter blade 9i). It consists of the motor 9h attached to 9g) and the sheet metal 9j which covers the subject side of the housing 9g.

렌즈 구동 장치를 조립한 촬상 장치를, 촬상 기기(예를 들면, 촬상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등의 모바일 기기)에 탑재하는 경우, 촬상 장치의 피사체측의 면을, 촬상 기기의 하우징 내면에 부딪히고, 피사체측과 반대의 측으로부터 스폰지와 같은 탄력성이 있는 부품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촬상 장치에 셔터 기구부가 조립되어 있으면, 그 피사체측이 얇은 판금(9j)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 등의 촬상 기기의 하우징 내면에 부딪히게 함으로써 변형할 가능성이 있다.When the imaging device incorporating the lens driving device is mounted in an imaging device (for example,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having an imaging function), the surface of the object side of the imaging device is hit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imaging device. It is common to press and fix with elastic parts, such as a sponge,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object side. However, if the shutter mechanism part is assembled in the imaging device, since the object side is comprised by the thin sheet metal 9j, it may deform by making it hit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f imaging devices, such as a mobile device.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4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 기구부(9)의 하우징(9g)의 피사체측의 면(상면)에, 이 하우징(9g)과 일체로 형성된 부딪힘 기준으로 되는 돌기부(9k, 9l)를 가지고 있다. 돌기부(9k)는, 하우징(9g)의 X방향 양단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9l)는, 하우징(9g)의 Y방향 일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딪힘 기준으로 되는 돌기부(9k)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하우징(9g)의 대략 아래쪽(피사체와 반대의 측)에는, 돌기(9m)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imaging device 4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hits the surface (upper surface) on the subject side of the housing 9g of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integrally with this housing 9g. It has projections 9k and 9l as reference. The protrusions 9k are formed one by one at both ends of the housing 9g in the X direction. The protrusion 9l is formed along one end of the housing 9g in the Y direction. Moreover,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nsity | strength of the projection part 9k which becomes a reference | standard of a hit, the projection 9m is protrudingly formed in the substantially lower side (opposite side to a subject) of the housing 9g.

렌즈 구동 장치는, 실시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렌즈 초기 위치의 조정이 완료한 후, 촬상 장치(예를 들면 내장 카메라)에 조립되지만, 이때, 셔터 기구부(9)의 돌기(9m)는,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촬상 장치의 하우징(11)의 Y방향 단면(맞춤면)(11j)에 접착 고정된다. 또한, 셔터 기구부(9)의 돌기(9l)는, 그 측면(Y방향 후단면)이 촬상 장치의 하우징(11)의 대향면인 맞춤면(11k)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강도를 증가시킨다.The lens drive device is assembled to the imaging device (for example, a built-in camera) after the adjustment of the lens initial positio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r the like is completed, but at this time, the projection 9m of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9 is opposed to the position. Adhesively fixed to the end surface (alignment surface) 11j in the Y-direction of the housing 11 of the imaging device in FIG. Moreover, the projection 9l of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increases strength by adhesively fixing the side surface (rear end surface of Y direction) to the fitting surface 11k which is the opposing surface of the housing 11 of the imaging device.

이와 같이 렌즈 구동 장치를 조립한 촬상 장치를, 촬상 기기(예를 들면, 촬상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등의 모바일 기기)에 탑재할 때는, 셔터 기구부(9)의 돌기(9k, 9l)를 촬상 기기의 하우징 내면에 부딪히고, 회로 기판(92)측으로부터 스폰지와 같은 탄력성이 있는 부품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때, 셔터 기구부(9)의 하우징(9g)에 돌기(9k, 9l)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돌기(9l, 9m)와 하우징(11)의 맞춤면(11j, 11k)을 접착 고정한 것으로, 돌기(9k, 9l)의 강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셔터 기구부(9)의 하우징(9g)의 변형이 방지된다.Thus, when mounting the imaging device which assembled the lens drive apparatus to an imaging device (for example, mobile apparatuses, such as a mobile telephone which has an imaging function), the projection 9k, 9l of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is equipped with an imaging device. It hit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presses and fixes it with elastic components, such as a sponge, from the circuit board 92 side. At this time, the projections 9k and 9l are formed in the housing 9g of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and the projections 9l and 9m and the fitting surfaces 11j and 11k of the housing 11 are adhesively fixed. Since the strength of 9k and 9l is increasing, deformation of the housing 9g of the shutter mechanism part 9 is prevent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셔터 기구부(9)의 하우징(9g)에 부딪힘 기준으로 되는 돌기(9k, 9l)를 일체로 형성하고, 또한 돌기(9m)(돌기(9k)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음) 및 돌기(9l)의 측면을 하우징(11)의 맞춤면(11j, 11k)에 접착 고정함으로써 부딪힘 면인 돌기(9k, 9l)의 강도를 증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촬상 장치(40)에 셔터 기구부(9)를 부착하고, 이를 촬상 기기의 하우징 내면에 부딪혀 고정하는 경우에도, 셔터 기구부(9)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jections 9k and 9l serving as the reference for hitting the housing 9g of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9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projections 9m (proximate to the projection 9k). Formed)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projections 9l are fixed to the fitting surfaces 11j and 11k of the housing 11 so a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rojections 9k and 9l which are the bumping surfaces. Even when the shutter mechanism 9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imaging device, deformation of the shutter mechanism 9 can be prevented.

또한, 실시 형태 3, 4에서는, 셔터 기구부(9)의 셔터 블레이드(9i)를 이용하여 입사광을 차단하는 기능을 실현하고 있었지만, 감광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감광 필터를 구비한 감광 기구부를 이용하여 감광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the function of blocking incident light by using the shutter blades 9i of the shutter mechanism unit 9 is realized. However, in order to realize the photosensitive function, a photosensitive mechanism unit having a photosensitive filter is used. The photosensitive function can also be realized.

실시 형태 5Embodiment 5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의 기동시, 또는 촬상 장치에 의한 촬영 개시시에, 코일(5)에 전류를 흘려 렌즈 프레임(3)을 고체 촬상 소자(91)측으로 이동시켜, 기준면에 접촉하게 하는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t the start of the imaging apparatus or at the start of photographing by the imaging apparatus,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5 to move the lens frame 3 toward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so as to contact the reference plane. It is supposed to perform an operation.

도 14,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촬상 장치(50)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있어서, 실시 형태 1(도 1 내지 5)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인다. 도 17 및 도 18은 촬상 장치(50)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14, 15, and 16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50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14-16,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same as the component demonstrated in Embodiment 1 (FIGS. 1-5). 17 and 18 are timing ch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50.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50)의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렌즈 프레임(3), 렌즈(2a, 2b)(도 1 등), 코일(5), 및 자성편(8)은, 가동체로서의 렌즈 프레임 유닛(3a)을 구성하고 있다. 실시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편(8)이, 마그넷(7)이 생기는 자장에 의해 마그넷(7)의 Z방향의 대략 중심 위치를 향해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프레임(3)에는, 이른바 자기 스프링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요크(6) 및 마그넷(7)은, 가동체인 렌즈 프레임 유닛(3a)에 대하여, 고정부를 이루고 있다.As shown in FIG. 14,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imaging device 50, the lens frames 3, the lenses 2a and 2b (FIG. 1, etc.), the coils 5, and the magnetic pieces 8 are provided. The lens frame unit 3a as a movable body is constituted.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ike, since the magnetic piece 8 is pressed toward the approximately center position of the magnet 7 in the Z direction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 7, the so-called lens frame 3 is called a so-called lens frame 3. Magnetic spring force is working. In addition, the yoke 6 and the magnet 7 form the fixed part with respect to the lens frame unit 3a which is a movable body.

도 14에서는, 촬상 장치(50)는, 지면측(중력 G방향)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자세에 있다. 코일(5)에 전류를 흘리고 있지 않은 경우, 렌즈 프레임(3)에 걸리는 힘은, 자기 스프링력 F2, 렌즈 유닛(3a)에 걸리는 중력 F3, 가이드 축(4)과 렌즈 프레임(3)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 F4이다. 렌즈 프레임(3)의 고체 촬상 소자(91)측(도 14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상방)의 기준 위치는, 렌즈 프레임(3)의 바닥면(33a)과 요크(6)의 바닥부(63)와의 접촉에 의해 결정된다. 요크(6)의 바닥부(63)에 있어서, 렌즈 프레임(3)의 바닥면(33a)에 접촉하는 면을, 기준면 D로 한다.In FIG. 14, the imaging device 50 is in a postur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on the ground side (gravity G direction). When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5, the force applied to the lens frame 3 is the magnetic spring force F 2 , the gravity F 3 applied to the lens unit 3a, the guide shaft 4, and the lens frame 3. It is the friction force F 4 which occurs between.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side (upward in the state shown in FIG. 14) of the lens frame 3 is the bottom surface 33a of the lens frame 3 and the bottom portion 63 of the yoke 6. Is determined by contact with In the bottom part 63 of the yoke 6, the surface which contacts the bottom face 33a of the lens frame 3 is set as the reference plane D. As shown in FIG.

도 14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렌즈 프레임(3)의 바닥면(33a)과 기준면 D(요크(6)의 바닥부(63)의 접촉면) 사이에는 간극이 있고, 렌즈 프레임(3)이 기준면 D로부터 떨어진 상태에 있다. 자기 스프링력 F2로만 렌즈 프레임(3)을 기준면 D에 접촉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자기 스프링력을 F2(a)로 하면, 이 자기 스프링력F2(a)는, In the state shown in FIG. 14, there is a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33a of the lens frame 3 and the reference surface D (the contact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63 of the yoke 6), and the lens frame 3 is the reference surface D. Is in a state away from When the magnetic spring force F 2 (a) necessary to bring the lens frame 3 into contact with the reference plane D only by the magnetic spring force F 2 is F 2 (a), the magnetic spring force F 2 (a) is

F2(a)>F3+F4 F 2 (a)> F 3 + F 4

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Need to satisfy

도 15에서는, 촬상 장치(50)는, 지면측(중력 G방향)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자세에 있지만, 렌즈 프레임(3)이 고체 촬상 소자(91)측의 기준면 D(요크(6)의 바닥부(63))에 접촉한 상태에 있다. 렌즈 프레임(3)이 기준면 D로부터 떨어지지 않도 록 하기 위해서, 즉 렌즈 프레임(3)의 바닥면(33a)과 기준면 D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자기 스프링력을 F2(b)로 하면, 이 자기 스프링력 F2(b)는,In FIG. 15, although the imaging device 50 is in the attitude | position which photographs the subject of the ground side (gravity G direction), the lens frame 3 is the reference surface D (bottom of the yoke 6) by the solid-state imaging element 91 side. (63). In order to prevent the lens frame 3 from falling off from the reference plane D, that is, a magnetic spring force for preventing a gap between the bottom face 33a of the lens frame 3 and the reference plane D is set to F 2 (b), This magnetic spring force F 2 (b) is

F2(b)+F4>F3 F 2 (b) + F 4 > F 3

을 만족할 필요가 있고, 그것을 위해서는, 자기 스프링력 F2(b)는,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magnetic spring force F 2 (b),

F2(b)>F3-F4 F 2 (b)> F 3 -F 4

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Need to satisfy

F2(a)와 F2(b)를 비교하면, F2(a)>F2(b)이며, 기준면 D로부터 떨어져 있는 렌즈 프레임(3)을 기준면 D에 접촉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자기 스프링력 F2(a)의 쪽이, 기준면 D에 접촉하고 있는 렌즈 프레임(3)을 중력 F3에 의해 기준면 D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자기 스프링력 F2(b)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Comparing F 2 (a) and F 2 (b), the magnetic spring force required to bring the lens frame 3 away from the reference plane D into contact with the reference plane D is F 2 (a)> F 2 (b). the side of the F 2 (a), are required to know that he is greater than the spring force F 2 (b), to maintain by the lens frame (3) in contact with the reference surface D of gravity F 3 does not fall from the reference surface D.

도 16에서는, 촬상 장치(50)는, 지면과 반대측(즉, 연직 위쪽)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자세에 있고, 렌즈 프레임(3)은 기준면 D(요크(6)의 바닥부(63))에 접촉한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 코일(5)에 전류를 흘려, 렌즈 프레임(3)을 피사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추력 F1은,In FIG. 16, the imaging device 50 is in a posture of photographing a subject opposite to the ground (ie, vertically upward), and the lens frame 3 is positioned on the reference plane D (bottom portion 63 of the yoke 6). Are in contact. The thrust F 1 necessary for flowing a current through the coil 5 in this state and moving the lens frame 3 toward the subject side is

F1>F2+F3+F4 F 1 > F 2 + F 3 + F 4

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Need to satisfy

여기서, 촬상 장치(50)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렌즈 구동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유효하고, 그것을 위해서는 마그넷(7) 및 코일(5)을 작게 하기 때문에, 추력 F1을 작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Here, in order to downsize the imaging device 50, it is effective to downsize the lens drive device, and in order to do so, the magnet 7 and the coil 5 are made sma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the thrust F 1 small.

추력 F1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수학식 4로부터, 자기 스프링력 F2를 작게 하는 것이 유효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기 스프링력 F2를, 수학식 3을 만족하지만, 수학식 1을 만족하지 않도록 작게 하고, 이것에 의해 마그넷(7) 및 코일(5)을 소형화한다.In order to reduce the force F 1, it can be seen that that from Equation (4), reducing the magnetic spring force F 2 is vali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gnetic spring force F 2 satisfies the expression (3), but is made small so as not to satisfy the expression (1), thereby miniaturizing the magnet 7 and the coil 5.

단, 수학식 3을 만족해도, 수학식 1을 만족하지 않으면, 기준면 D(요크(6)의 바닥부(63))로부터 떨어져 있는 렌즈 프레임(3)을 기준면 D에 접촉하게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50)가 기동하고, 프리뷰(촬상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가 개시된 시점, 또는 촬영(촬상한 화상을 기록하는 것)을 개시하는 시점에서, 코일(5)에 전류를 흘려, 렌즈 프레임(3)을 고체 촬상 소자(91)측으로 이동시켜, 기준면 D에 접촉하게 하는 동작을 행한다. 일단, 렌즈 프레임(3)이 기준면 D에 접촉하면, 그 시점에서 수학식 3을 만족하기 위해서, 코일(5)의 전류를 정지해도, 렌즈 프레임(3)을 기준면 D에 접촉하게 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However, even if the expression (3) is satisfied, if the expression (1) is not satisfied, the lens frame 3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plane D (bottom portion 63 of the yoke 6) cannot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ference plane D.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il is started when the imaging device 50 is started to start preview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on the display unit) or start photographing (recording the photographed image). An electric current flows to (5), and the lens frame 3 is moved to the solid-state image sensor 91 side, and the operation which makes it contact the reference plane D is performed. Once the lens frame 3 contacts the reference plane D, the lens frame 3 remains in contact with the reference plane D even if the current of the coil 5 is stopped in order to satisfy the equation 3 at that time. Can be.

도 17은 촬상 장치(50)의 기동시에 코일(5)에 전류를 흘려, 렌즈 프레임 유닛(3a)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촬상 장치의 전원이 ON으로 되면(예를 들면 전원 버튼이 눌리면), 코일(5)에 역방향으로 전류가 일정 시간 흐르게 된다. 또한, 「역방향」이란, 렌즈 프레임(3)을 요크(6)의 바닥부(63)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전자력을 발생시킬 때의 전류의 방향을 말한다. 이에 의해, 렌즈 프레임(3)이 기준면 D에 접촉하고, 그래서 유지된다. 코일(5)에 전류를 일정 시간 흘린 후, 프리뷰 화면의 표시를 행한다.FIG. 17 shows an operation of moving the lens frame unit 3a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coil 5 at the start of the imaging device 50.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imaging device is turned ON (for example, whe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the current flow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coil 5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reverse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current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which moves the lens frame 3 toward the bottom part 63 of the yoke 6. Thereby, the lens frame 3 contacts the reference plane D, and thus is held. After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coil 5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review screen is displayed.

도 18은 촬상 장치(50)의 기동시가 아니라, 촬영을 개시하기 전에 렌즈 프레임 유닛(3a)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촬영 개시 버튼이 눌리면(ON으로 됨), 코일(5)에 상기 역방향으로 전류가 일정 시간 흐르게 된다. 이에 의해, 렌즈 프레임(3)이 기준면 D에 접촉하고, 그래서 유지된다. 코일(5)에 전류를 일정 시간 흘린 후, 실시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자동 초점 동작을 행한다. 초점이 맞은 시점에서, 촬영 화상의 기록이 개시된다.FIG. 18 shows an operation of moving the lens frame unit 3a before starting the imaging, not at the start of the imaging device 50. In this case, when the photographing start button is pressed (turned ON), current flow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coil 5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the lens frame 3 contacts the reference plane D, and thus is held. After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coil 5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autofocus operatio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r the like is performed. At the point of focus, recording of the captured image is star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리뷰시나 촬영 개시시에, 렌즈 프레임(3)을 기준면 D(요크(6)의 바닥부(63))로부터 이간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자기 스프링력 F2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렌즈 구동 장치부를 소형화하고, 더욱 촬상 장치(50)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s frame 3 can be held at the time of preview or photographing start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plane D (bottom portion 63 of the yoke 6) and at the same time magnetic spring force. F 2 can be made small. As a result, the lens driving device portion can be downsized, and the imaging device 50 can be further downsized.

실시 형태 6Embodiment 6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의 기동시 또는 촬영 개시시에, 코일(5)에 전 류를 흘려 렌즈 프레임(3)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가이드 축(4)과 렌즈 프레임(3)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 F4를 정지 마찰로부터 동마찰로 바꿈으로써 마찰력 F4를 작게 하고, 자기 스프링력 F2에 의해 렌즈 프레임(3)을 기준면에 접촉하게 하는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5 at the start of the imaging device or at the start of photographing to move the lens frame 3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between the guide shaft 4 and the lens frame 3. The frictional force F 4 is reduced by changing the generated frictional force F 4 from static friction to dynamic friction, and the magnetic spring force F 2 causes the lens frame 3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ference plane.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촬상 장치(60)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실시 형태 1(도 1 내지 5)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 20 및 도 21은 촬상 장치(60)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1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60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9,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same as the component demonstrated in Embodiment 1 (FIGS. 1-5). 20 and 21 are timing ch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60.

도 19에 도시하는 촬상 장치(60)의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렌즈 프레임(3)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는, 가이드 축(4)과 렌즈 프레임(3)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 F4는 정지 마찰력 F4(a)이지만, 렌즈 프레임(3)이 추력 F1에 의해 움직이기 시작하면, 마찰력 F4는 동마찰력 F4(b)로 된다. 일반적으로, 정지 마찰력 F4(a)과 동마찰력 F4(b)의 관계는,In the lens driving device of the imaging device 60 shown in FIG. 19, when the lens frame 3 is stopped, the frictional force F 4 generated between the guide shaft 4 and the lens frame 3 is the static frictional force F. 4 (a), but when the lens frame 3 starts to move by the thrust F 1 , the frictional force F 4 becomes dynamic frictional force F 4 (b). In gener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ic frictional force F 4 (a) and the dynamic frictional force F 4 (b) is

F4(a)>F4(b) F 4 (a)> F 4 (b)

로 된다. 즉, 렌즈 프레임(3)을 이동시킴으로써(즉, 정지 마찰력이 아니라 동마찰력이 생기도록 함), 마찰력 F4를 작게 할 수 있다.It becomes That 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lso so that is, not the static friction the advent of such friction), the frictional force F 4 by moving the lens frame (3).

마찰력 F4는, 렌즈 프레임(3)을 광축 방향의 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도 작게 할 수 있지만, 렌즈 프레임(3)의 이동량을 작게 하기 위해서, 광축 방향에 대해서 수회의 왕복 운동을 시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자기 스프링력 F2를 이하의 수학식 6을 만족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자기 스프링력 F2를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렌즈 구동 장치를 소형화하여, 더욱 촬상 장치(60)를 소형화할 수 있다.Although the frictional force F 4 can be made small by moving the lens frame 3 in one direc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making several reciprocating motio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lens frame 3. Can be obtained. By setting the magnetic spring force so as to satisfy the F 2 the equation (6) below,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gnetic spring force F 2, as a result, to reduce the size of the lens driving device, and further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imaging device 60. The

F2>F3+F4(b)F 2 > F 3 + F 4 (b)

도 20 및 도 2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 20은 촬상 장치(60)의 기동시에 코일(5)에 전류를 간헐적으로 흘리고, 렌즈 프레임 유닛(3a)은 광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촬상 장치의 전원이 ON으로 되면(예를 들면 전원 버튼이 눌리면), 코일(5)에 간헐적으로 정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코일(5)에 정방향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동안은, 렌즈 프레임(3)은 추력 F1에 의해 피사체측으로 이동한다. 코일(5)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동안은, 렌즈 프레임(3)은 자기 스프링력 F2에 의해 피사체측과 반대측으로(요크(6)의 바닥부(63)를 향해서) 이동한다. 렌즈 프레임(3)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 축(4)과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은 동마찰력 F4(b)로 되고, 상기의 수학식 6을 만족할 정도의 작은 자기 스프링력 F2로도 렌즈 프레임(3)을 요크(6)의 바닥부(63)(기준면 D)에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헐적으로 전류를 일정 시간 흘린 후, 프리뷰 화면의 표시를 행한다.20 and 21 are timing ch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0 illustrates an operation of intermittently flowing a current through the coil 5 when the imaging device 60 is started, and causing the lens frame unit 3a to reciprocat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this case,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imaging device is turned ON (for example, whe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the positive current flows intermittently through the coil 5. While the positiv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5, the lens frame 3 moves to the subject side by the thrust F 1 . While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5, the lens frame 3 moves to the side opposite to the subject side (toward the bottom 63 of the yoke 6) by the magnetic spring force F 2 . Since the lens frame 3 is moving,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guide shaft 4 is equal to the frictional force F 4 (b), and the lens also has a small magnetic spring force F 2 that satisfies the above expression (6). The frame 3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63 (reference plane D) of the yoke 6. In this manner, the current is passed for a certain time, and then the preview screen is displayed.

도 21은 촬영 화상의 기록 개시 전에 렌즈 프레임 유닛(3a)을 동작시키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촬영 개시 버튼이 눌리면(ON으로 되면), 코일(5)에 간헐적으로 정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코일(5)에 정방향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동안은, 렌즈 프레임(3)은 추력 F1에 의해 피사체측으로 이동한다. 코일(5)에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은 동안은, 렌즈 프레임(3)은 자기 스프링력 F2에 의해 피사체측과 반대측으로(요크(6)의 바닥부(63)를 향해서) 이동한다. 렌즈 프레임(3)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 축(4)과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은 동마찰력 F4(b)로 되고, 상기의 수학식 6을 만족할 정도의 작은 자기 스프링력 F2로도 렌즈 프레임(3)을 요크(6)의 바닥부(63)(기준면 D)에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헐적인 전류를 일정 시간 흘린 후, 자동 초점 동작을 행하여, 초점이 맞은 시점에서 촬영 화상의 기록을 개시한다.Fig. 21 shows a case where the lens frame unit 3a is operated before recording of the captured image is started. When the photographing start button is pressed (turned ON), a positive current flows intermittently through the coil 5. While the positiv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5, the lens frame 3 moves to the subject side by the thrust F 1 . While no current flows in the coil 5, the lens frame 3 moves to the side opposite to the subject side (toward the bottom 63 of the yoke 6) by the magnetic spring force F 2 . Since the lens frame 3 is moving,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guide shaft 4 is equal to the frictional force F 4 (b), and the lens also has a small magnetic spring force F 2 that satisfies the above expression (6). The frame 3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63 (reference plane D) of the yoke 6. After passing such an intermittent current for a certain time, the auto focus operation is performed to start recording the photographed image at the point of focus.

또한, 도 20 및 도 21에 있어서, 코일(5)에의 통전 방향은, 정방향에 한하지 않고, 역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코일(5)에의 통전을 온 오프하는 대신에, 코일(5)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바꾸어도 된다.20 and 21, the energization direction to the coil 5 is not limited to the forward direction but may be reverse. In addition, instead of turning on / off the energization to the coil 5, you ma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the coil 5 to a positive direction and a reverse direc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리뷰시 또는 촬영 개시시에, 렌즈 프레임(3)을 기준 위치로부터 이간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자기 스프링력 F2를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마그넷(7) 및 코일(5)을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렌즈 구동 장치부를 소형화하여, 더욱 촬상 장치(50)를 소형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s frame 3 can be hel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t the time of preview or photographing start. Since the magnetic spring force F 2 can be suppressed small, the magnet 7 and the coil 5 can be made small, and as a result, the lens driving unit can be made smaller, and the imaging device 50 can be further made smaller.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프레임(3)에 코일(5)을 부착하고, 요크(6)에 마그넷(7)을 부착하였지만, 렌즈 프레임(3)에 마그넷(7)을 부착하고, 요크(6)에 코일(5)을 부착해도 된다.Moreover, in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il 5 was attached to the lens frame 3 and the magnet 7 was attached to the yoke 6, the magnet 7 was attached to the lens frame 3, The coil 5 may be attached to the yoke 6.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5, 6은 요크(6)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촬상 장치에 한하지 않고, 요크(6)가 고정부(예를 들면 촬상 장치의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있는 촬상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5 and 6 are not limited to the imaging device in which the yoke 6 is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yoke 6 is fixed to a fixed portion (for example, the housing 11 of the imaging device). You may apply to an imaging device.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를 탑재하는 촬상 기기로서, 촬상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실시 형태 1 내지 6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 및 촬상 장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촬상 기기에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having an imaging func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imaging device in which the imaging device is mounted.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in imaging equipment, such as a still camera.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프레임(3)을 고체 촬상 소자(91)측에 가압하기 위해서, 자성편(8)을 이용한 자기 스프링을 사용했지만, 렌즈 프레임(3)의 피사체측 또는 촬상 소자측에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을 마련해서 렌즈 프레임(3)에 가압력을 줄 수도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렌즈 프레임(3)의 피사체측에 한 쌍의 판스프링(17)을 마련하고 있다. 이 판 스프링(17)은, 요크(6)(도 1 등)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접촉부에 접촉하여, 렌즈 프레임(3)을 촬상 소자측에 가압하는 것이다. 도 22에 도시한 판 스프링(17)은, 코일(5)에의 급전 수단으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코일(5)에 땜납(18)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magnetic spring using the magnetic piece 8 was used in order to press the lens frame 3 to the solid-state image sensor 91 side, the object side or imaging of the lens frame 3 was carried out. A coil spring, a leaf spring, or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element side to apply pressure to the lens frame 3. In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22, a pair of leaf springs 17 are provided on the subject side of the lens frame 3. This leaf spring 17 contacts the contact part which is not shown in the yoke 6 (FIG. 1 etc.), and presses the lens frame 3 to the imaging element side. Since the leaf spring 17 shown in FIG. 22 functions also as a power supply means to the coil 5, it is fixed by the solder 18 to the coil 5, but it is not limited to such a structure.

Claims (20)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렌즈와, A len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상기 렌즈를 보지하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가이드 구멍을 갖는 렌즈 프레임과, A lens frame holding the lens and having a guide hol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상기 가이드 구멍에 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축을 갖는 고정부와, A fixing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hole and having a guide shaft for guiding the lens fram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 프레임에 고정된 코일과, A coil fixed to the lens frame,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마그넷과, A magnet facing the coil, 상기 마그넷이 부착된 요크와,Yoke attached to the magnet,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요크에 대해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And pressing means for bringing the lens frame into contact with the yok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요크는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요크를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렌즈의 상기 광축 방향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he yoke is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and the position of the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adjusted by moving the yok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렌즈 구동 장치.Lens driv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 축과 상기 요크는 나사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guide shaft and the yoke are screw-fit 렌즈 구동 장치.Lens driv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요크와 결합하는 편심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he fixing portion has an eccentric pin for engaging with the yoke 렌즈 구동 장치.Lens drive device.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렌즈 프레임은 돌기부를 구비하고, The lens frame has a protrusion, 상기 돌기부의 상기 피사체측의 면과, 상기 마그넷의 상기 피사체와 반대측의 면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렌즈 프레임의 상기 피사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surface of the projection side of the subject side and the surface of the magnet opposite to the subjec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regulate movement of the lens frame toward the subject side. 렌즈 구동 장치.Lens drive device.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렌즈 프레임의 상기 피사체와 반대측의 면과, 상기 요크의 상기 피사체측의 면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렌즈 프레임의 상기 피사체와 반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 surfa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ubject of the lens frame and a surface on the subject side of the yoke are contacted to regulate movement of the lens frame to the opposite side to the subject. 렌즈 구동 장치.Lens drive device.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렌즈에의 입사광의 광량을 조정하는 셔터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 기구부가 상기 요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nd a shutter mechanism portion for adjusting an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lens, wherein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is fixed to the yoke. 렌즈 구동 장치.Lens drive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셔터 기구부의 상기 피사체측의 면에 상기 피사체측의 면보다도 상기 피사체측으로 더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nd a projection on the surface of the subject side of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that protrudes more toward the subject than on the surface of the subject side. 렌즈 구동 장치.Lens drive device.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렌즈 구동 장치와,The lens driv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렌즈에 의해 결상되는 피사체상을 수용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nd an imaging device for accommodating the subject image formed by the lens. 촬상 장치.Imaging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기동시 또는 촬영 개시시에,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의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t the start or when photographing starts, the lens frame is moved to a reference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flowing a current through the coil. 촬상 장치.Imaging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렌즈 프레임이 그 상기 광축 방향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기준면에 접촉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he reference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lens frame is in contact with a reference plane defining a movement limi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촬상 장치.Imaging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기동시 또는 촬영 개시시에,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t the start or when photographing is started, the lens frame is reciprocat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flowing a current through the coil. 촬상 장치.Imaging device. 제 8 항의 촬상 장치와, The imaging device of claim 8, 상기 촬상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imaging device. 촬상 기기.Imaging equipment.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렌즈에의 입사광의 광량을 조정하는, 상기 요크에 고정된 셔터 기구부를 구비하고, And a shutter mechanism portion fixed to the yok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lens, 상기 셔터 기구부의 상기 피사체측의 면에, 상기 피사체측의 면보다도 상기 피사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On the surface of the subject side of the shutter mechanism portion, a projection that projects toward the subject side rather than the surface of the subject side, 상기 돌기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h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housing. 촬상 기기.Imaging equipment.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렌즈와, A len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상기 렌즈를 보지하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가이드 구멍을 갖는 렌즈 프레임과, A lens frame holding the lens and having a guide hol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상기 가이드 구멍에 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축을 갖는 고정부와, A fixing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hole and having a guide shaft for guiding the lens fram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 프레임에 고정된 코일과,A coil fixed to the lens frame,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마그넷과, A magnet facing the coil, 상기 마그넷이 부착되고,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요크와,A yoke to which the magnet is attached and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요크에 대해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접촉하게 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 렌즈 구동 장치에서, In the lens driving device having a pressing means for bringing the lens frame in contact with the yok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요크의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광축 방향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상기 광축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he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portion of the yoke. 렌즈 위치의 조정 방법. How to adjust the lens position.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렌즈와, A len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상기 렌즈를 보지하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가이드 구멍을 갖는 렌즈 프레임과, A lens frame holding the lens and having a guide hol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상기 가이드 구멍에 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축과,A guide shaft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hole and guiding the lens fram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의 기준 위치로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lens frame toward a reference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코일 및 마그넷과, Coils and magnets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lens fram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에 의해 결상되는 피사체상을 수용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 An imaging element for accommodating the subject image formed by the lens,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이, 상기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구멍 사이의 정지 마찰력과 상기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프레임에 고정된 부품의 총 중량의 합보다 작고, 상기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구멍 사이의 동마찰력과 상기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프레임에 고정된 부품의 총 중량의 합보다 크며,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means is less than the sum of the static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uide shaft and the guide hole and the total weight of the lens frame and the parts fixed to the lens frame, and the dynamic friction force between the guide shaft and the guide hole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total weight of the lens frame and the components fixed to the lens frame, 기동시 또는 촬상 개시시에,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의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 the time of startup or start of imaging, the lens is moved to a reference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flowing a current through the coil. 촬상 장치.Imaging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렌즈 프레임이, 그 상기 광축 방향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기준면에 접촉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reference position is a position in which the lens frame is in contact with a reference plane defining a movement limi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촬상 장치.Imaging device.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렌즈와, A len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상기 렌즈를 보지하고,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렌즈 프레임과, A lens frame which holds the lens and is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코일 및 마그넷과,Coils and magnets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lens fram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에 의해 결상되는 피사체상을 수용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An imaging element for accommodating the subject image formed by the lens, 기동시 또는 촬영 개시시에,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 the start or when photographing is started, the lens is reciprocat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flowing a current through the coil. 촬상 장치.Imaging device.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렌즈와, A len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상기 렌즈를 보지하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가이드 구멍을 갖는 렌즈 프레임과,A lens frame holding the lens and having a guide hol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상기 가이드 구멍에 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축과,A guide shaft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hole and guiding the lens fram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의 기준 위치로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lens frame toward a reference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코일 및 마그넷과, Coils and magnets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lens fram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에 의해 결상되는 피사체상을 수용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 An imaging element for accommodating the subject image formed by the lens,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이, 상기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구멍 사이의 정지 마찰력과 상기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프레임에 고정된 부품의 총 중량의 합보다 작고, 상기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구멍 사이의 동마찰력과 상기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프레임에 고정된 부품의 총 중량의 합보다 큰 촬상 장치에서,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means is smaller than the sum of the static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uide shaft and the guide hole and the total weight of the lens frame and the parts fixed to the lens frame, and the dynamic friction force between the guide shaft and the guide hole and In the imaging device larger than the sum of the total weight of the lens frame and the parts fixed to the lens frame, 기동시 또는 촬영 개시시에,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의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t the start or when photographing starts, the lens is moved to a reference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flowing a current through the coil. 렌즈 구동 방법.How to drive a lens. 제 1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렌즈 프레임이, 그 상기 광축 방향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기준면에 접촉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reference position is a position in which the lens frame is in contact with a reference plane defining a movement limi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렌즈 구동 방법.How to drive a lens.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렌즈와, A len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상기 렌즈를 보지하고,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렌즈 프레임과, A lens frame which holds the lens and is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코일 및 마그넷과, Coils and magnets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lens fram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에 의해 결상되는 피사체상을 수용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서, In the imaging device provided with the imaging element which accommodates the subject image formed by the said lens, 기동시 또는 촬영 개시시에,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 the start or when photographing is started, the lens is reciprocat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flowing a current through the coil. 렌즈 구동 방법.How to drive a lens.
KR1020077008707A 2004-10-18 2005-07-27 Lens drive device, imaging device, imaging instrument, lens position adjustment method, and lens drive method KR10084798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3197 2004-10-18
JP2004303197 2004-10-18
JP2005090817A JP3765825B1 (en) 2004-10-18 2005-03-28 LENS DRIVE DEVICE,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LENS POSITION ADJUSTING METHOD
JPJP-P-2005-00090817 2005-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509A KR20070044509A (en) 2007-04-27
KR100847980B1 true KR100847980B1 (en) 2008-07-22

Family

ID=3620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707A KR100847980B1 (en) 2004-10-18 2005-07-27 Lens drive device, imaging device, imaging instrument, lens position adjustment method, and lens drive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65825B1 (en)
KR (1) KR100847980B1 (en)
TW (1) TWI269900B (en)
WO (1) WO200604335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9361B2 (en) * 2008-03-21 2013-03-27 ソニー株式会社 The camera module
JP2012113186A (en) * 2010-11-26 2012-06-14 Mitsumi Electric Co Ltd Camera module
TWI505015B (en) * 2013-06-27 2015-10-21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Lens assembly
TWI631409B (en) * 2016-10-21 2018-08-01 揚明光學股份有限公司 Light path adjustment mechanism and optical mechanism
CN117250717A (en) * 2016-09-30 2023-12-19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Light path adjusting mechanism and optical mechanism
CN110058377B (en) * 2018-01-19 2024-04-09 新思考电机有限公司 Lens driv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7304519B2 (en) * 2018-10-12 2023-07-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ens barrel
JPWO2022138573A1 (en) * 2020-12-25 2022-06-30
JPWO2022138542A1 (en) * 2020-12-25 2022-06-30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8295A (en) * 1995-03-09 1996-09-27 Sony Corp Lens barrel
JP2002214504A (en) * 2001-01-19 2002-07-31 Canon Inc Optical device and photograph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9117U (en) * 1983-03-24 1984-10-0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camera lens drive device
JPH0833385A (en) * 1994-07-12 1996-02-02 Olympus Optical Co Ltd Control device of voice-coil motor
JP4323964B2 (en) * 2004-01-05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8295A (en) * 1995-03-09 1996-09-27 Sony Corp Lens barrel
JP2002214504A (en) * 2001-01-19 2002-07-31 Canon Inc Optical device and photograp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3794A (en) 2006-05-01
JP2006146133A (en) 2006-06-08
KR20070044509A (en) 2007-04-27
JP3765825B1 (en) 2006-04-12
TWI269900B (en) 2007-01-01
WO2006043358A1 (en)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980B1 (en) Lens drive device, imaging device, imaging instrument, lens position adjustment method, and lens drive method
KR101354775B1 (en) Camera module
US8682156B2 (en) Autofocus camera systems and methods
KR100770846B1 (en) Auto focus controlling apparatus for camera module
US8059951B2 (en) Image stabilizing device and camera
EP2219365A2 (en) Camera lens assembly
RU2732363C1 (en) Drive mechanism,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210051991U (en) Diaphragm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566299B1 (en) Voice coil module
TWI533044B (en) Camera module
KR20090026023A (en) Camera lens module
JP2008233385A (en) Blur preventing device,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KR100849306B1 (en) Lens drive device, imaging device, and lens position adjustment method for imaging device
JP4702612B2 (en) Imaging device
JP2014085632A (en) Lens driving device
JP4324885B2 (en) Blur correction mechanism and imaging apparatus
TWI484245B (en) Autofocus camera
KR20100124135A (en) Lens actuator for image pickup apparatus
JP2006146255A (en) Imaging apparatus and lens drive method
JP4527051B2 (en) LENS DRIVE DEVICE AND IMAGING DEVICE
JPH11160603A (en) Lens driving mechanism of optical equipment
JP2008203645A (en) Blur correction mechanism and imaging apparatus
JP2003195139A (en) Lens barrel
JP2007078907A (en) Lens driving module and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