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862B1 -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862B1
KR100847862B1 KR1020070102105A KR20070102105A KR100847862B1 KR 100847862 B1 KR100847862 B1 KR 100847862B1 KR 1020070102105 A KR1020070102105 A KR 1020070102105A KR 20070102105 A KR20070102105 A KR 20070102105A KR 100847862 B1 KR100847862 B1 KR 100847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masonry
filler
processing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권
Original Assignee
유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권 filed Critical 유영권
Priority to PCT/KR2008/00300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14711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0Producing and filling perforations, e.g. tarsia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공이 많은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에 관한 것으로서, 석공으로 인한 취약성을 보강함과 더불어 석공에 귀금속분말 또는 장식분말을 채워 미관이 수려하도록 구성한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및 그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은 외표면에 다수 개의 석공들이 노출된 석재에 있어, 상기 석재의 색깔과 다른 색깔의 분말과 접착제가 혼합된 제1 충진물이 일부의 석공에 채워지고, 제1 충진물이 채워진 석공을 제외한 나머지 외표면에 노출된 석공에 석분과 잔돌과 접착제가 혼합된 제2 충진물이 채워지며, 상기 석재의 외표면에 도료가 칠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더불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은 석재의 외표면에 노출된 석공 중에서 일부 선택된 석공에 테이핑하는 단계와, 테이핑된 석공을 제외한 외표면에 노출된 석공에 제2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핑된 석공에서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석공에 제1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충진물과 제2 충진물이 충진된 석재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석재를 후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102105
석재품, 석재, 금분, 은분, 제1 충진물, 석분, 제2 충진물, 도료

Description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Method for processing a stone block with many holes}
본 발명은 석공이 많은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석공으로 인한 취약성을 보강함과 더불어 석공에 귀금속분말 또는 장식분말을 채워 미관이 수려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석공이 많은 트라발티나 및 현무암 같은 석재는 석공으로 인한 취약성 및 외관의 지저분함 때문에 건축물의 내외장용 석재 또는 장식용 석재 등과 같은 석재품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석재의 석공을 메워 보강함과 더불어 일부의 석공에는 귀금속분말 또는 장식분말과 같은 석재와 다른 색깔을 갖는 분말을 채워 외관이 수려하게 가공한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및 그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은 외표면에 다수 개의 석공들이 노출된 석재에 있어, 상기 석재의 색깔과 다른 색깔의 분말과 접착제가 혼합된 제1 충진물이 일부의 석공에 채워지고, 제1 충진물이 채워진 석공을 제외한 나머지 외표면에 노출된 석공에 석분과 잔돌과 접착제가 혼합된 제2 충진물이 채워지며, 상기 석재의 외표면에 도료가 칠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충진물의 분말은 금분, 은분, 펄분, 광택분말, 형광분말 및 합성수지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충진물에는 경화제 및 투명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충진물에는 경화제, 투명액, 발광액 및 변색 방지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료는 상기 제1 충진물과 제2 충진물이 석공에 채워진 석재의 외표면을 복수 회 덧칠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료는 폴리에틸렌 도료 또는 폴리우레탄 도료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충진물이 채워지는 석 공은 상기 석재의 1m2 당 5개 내지 15개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은 석재의 외표면에 노출된 석공 중에서 일부 선택된 석공에 테이핑하는 단계와, 테이핑된 석공을 제외한 외표면에 노출된 석공에 제2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핑된 석공에서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석공에 제1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충진물과 제2 충진물이 충진된 석재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석재를 후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이핑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석재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건조단계가 추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충진물을 충진한 후에, 외표면을 평탄화 하는 단계와 건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테이프를 제거함으로써 노출된 선택된 석공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충진물을 충진한 후에는, 외표면을 평탄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하는 단계에서는, 70℃ 내지 80℃의 건조온도로 건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처리 단계는, 도료 칠하는 단계와, 사포 처리하는 단계와, 광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료 칠하는 단계에서, 초벌칠의 경우에는 이후 덧칠하는 도료의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묽게 하여 칠하고, 2회 및 3회 덧칠 경우에 도료 농도는 상대적으로 상기 초벌칠의 도료 농도보다 진한 농도로 칠하는 과정을 최소 1회 이상 반복하여 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료 칠하는 단계 이후에는, 건조단계와, 평탄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및 그 가공방법은 석공에 충진물을 채워 둠으로써, 석공이 많은 석재를 보강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용 석재 또는 장식용 석재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효용가치가 없는 석재를 훌륭한 고급원자재 또는 장식품 및 석재가구 등으로 사용할 수 있어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및 그 가공방법은 충진물에 화려하고 현란한 분말을 첨가하여 석재에 광맥 또는 다른 소재가 내재된 것과 같은 특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및 그 가공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석제품의 가공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재품(100)은 석공(103)이 전체적으로 형성된 트라발티나 또는 현무암과 같은 종류의 석재를 이용한다.
석재품(100)은 자연 상태의 석재를 용도에 맞게 판의 형태 또는 특정 모양으로 켠 형태이며, 석재품(100)의 외표면에 노출된 석공(103)들 중 선택한 일부의 석공(103C)에는 석재와 다른 색깔을 띠는 분말과 접착제를 혼합한 제1 충진물(110)이 충진되고, 제1 충진물이 채워진 석공을 제외한 나머지 외표면에 노출된 석공(103R)에는 상기 석재와 동일 계통의 잔돌과 석분 및 접착제를 혼합한 제2 충진물(120)이 충진된다. 그리고 석공(103C, 103R)들이 제1 충진물(110)과 제2 충진물(120)로 충진된 상태에서, 석재(101)의 외표면에는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한 도료(130)가 도포된다.
여기에서, 제1 충진물(110)에 포함된 분말은 귀금속분말 또는 장식을 위한 형광분말 등과 같이 화려한 색깔을 띠는 분말이 바람직하고, 제2 충진물(120)에 포함된 분말은 가공하는 석재의 자투리 석재를 분쇄하여 만든 분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석재품을 가공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공이 많은 석재를 특정 모양 또는 판 형태(이하 통칭하여 '판재석'이라 함.)로 켠다(S10). 그리고 판재석의 외표면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S20). 이때 세척방법은 고압의 에어를 불어 판재석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고, 또는 물로 판재석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S21). 만약 물로서 세척할 경우에는 세척후에 건조과정(S23)이 뒤따른다.
다음으로 판재석 1m2 당 5개 내지 15개 정도의 석공을 선택한 후, 약 15~30mm의 폭과 약 200~300mm의 길이를 갖는 테이프로 선택된 석공을 테이핑하여 석공을 보존한다(S30).
앞에서는, 단위 면적 1m2 당 5개 내지 15개 정도의 석공을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수치는 미관상 바람직한 것일 뿐, 단위 면적당 석공의 개수를 5개 내지 15개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테이프의 폭과 길이에 관한 수치 또한 석공을 한 번의 테이핑 작업으로 폐쇄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의 테이프를 제시한 것일 뿐, 상기 수치로 테이프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테이핑된 석공을 제외한 외표면에 노출된 석공에 제2 충진물을 채운다(S40). 여기에서, 제2 충진물은 석재의 분말 및 작은 입자의 돌에 접착제를 혼합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제2 충진물에 투명액, 발광액 또는 변색 방지액을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가 포함된 제2 충진물을 석공에 채움으로써, 접착제에 의해 석재의 분말 및 잔돌이 고착되어 판재석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투명액, 발광액 또 는 변색 방지액을 첨가함으로써, 거친 판재석의 표면이 매끈해지고 광택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석공에 제2 충진물을 충진한 후에는 끌과 같은 납작한 도구를 이용하여 판재석의 외표면을 긁어 평탄화 작업을 수행한(S41) 후, 제2 충진물이 석공에 고착될 때까지 건조시킨다(S43).
이와 같이 제2 충진물의 건조가 끝나면, 석공을 보존하기 위해 부착된 테이프를 뜯어 제거한다(S50). 그리고 판재석의 외표면에 노출된 선택된 석공의 안쪽에 경화제가 혼합된 접착제를 바른다(S51).
여기에서, 선택된 석공의 내부에 접착제를 미리 도포하는 이유는 차후에 제1 충진물을 충진하였을 때에, 제1 충진물에 포함된 접착제가 미리 도포된 접착제와 잘 접착되게 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접착제를 미리 도포하지 않게 되면, 제1 충진물과 판재석의 물성이 달라 판재석에 잘 접착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선택된 석공의 내부에 경화제를 혼합한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건조하여 접착제가 마르면, 제1 충진물을 선택된 석공의 내부에 충진한다(S60).
여기에서 제1 충진물은 석재의 색깔과 다르면서 화려하고 현란한 색깔을 갖는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는, 금분 및 은분과 같은 귀금속분말이거나 또는 이와 같은 귀금속분말과 같이 광택이 있는 천연분말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합성수지분말을 들 수 있다.
한편 제1 충진물은 상기 분말에 경화제와 투명액을 혼합한 것으로서, 경화제는 건조를 빠르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접착제는 제1 충진물을 석공 내부에 고착시켜 판재석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제1 충진물의 반죽상태는 꾸덕꾸 덕한 반액체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반죽된 제1 충진물을 선택한 석공에 채우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납작한 도구로 평탄작업을 수행한다(S61). 그리고 깨끗한 걸레로 판재석의 외표면을 닦는다.
한편, 제1 충진물과 제2 충진물이 석공에 채워진 판재석을 건조하게 되는데, 건조실에서 70℃~80℃의 온도로 8시간 내지 9시간 건조한다(S70).
이와 같이 판재석을 건조함으로써, 석재의 부식을 방지하고, 접착제 등을 응고시켜 판재석의 강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1 충진물 및 제2 충진물의 색깔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건조온도를 70℃ 내지 80℃로 한 것은 건조시간과 건조효과를 고려한 것이다. 건조온도가 70℃ 미만일 경우에 건조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지며, 건조온도가 80℃를 초과하면, 판재석이 오히려 취약해지고 접착도 및 투명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건조된 판재석을 건조실에서 꺼낸 후에 석제품의 용도에 따라 후처리한다(S80).
후처리는 판재석의 외표면에 각종 도료를 덧칠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후처리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판재석의 색상이 우수해진다.
후처리 중 첫 번째의 처리과정은 건조된 판재석에 PE(폴리에틸렌)도료 또는 PU(폴리우레탄) 도료로 칠하는 것이다(S81).
여기에서 PE 및 PU은 영하 40℃에서 영상 70℃까지 견딜 수 있는 도료로서, 상기 도료를 다수 회 덧칠한다.
바람직한 칠 작업으로서, 초벌칠의 경우에는 이후 덧칠의 도료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도료의 농도를 묽게 하여 칠하고, 다음으로 2회 및 3회 덧칠할 경우에 도료 농도는 상대적으로 초벌칠의 도료 농도보다 진한 농도로 칠한다. 그리고 4회 덧칠 시에는 초벌칠 때의 도료 농도로 칠하고, 다시 5회 및 6회 덧칠 시에는 진한 농도의 도료로 덧칠한다.
이와 같이 초벌의 경우에 농도를 상대적으로 묽게 하는 이유는, 묽은 농도의 도료로 칠을 함으로써, 도료가 판재석의 외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틈까지 침투하게 되고, 이 상태로 건조됨으로써, 판재석의 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제1 충진물 및 제2 충진물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초벌의 농도가 진하게 되면, 기포가 생길 우려가 있고, 접착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덧칠 과정이 완료되면, 자연상태에서 건조한다(S83).
도료가 건조되어 견고하게 안착되면, 글라이더 및 칼로 흘러내린 자국이 있는 부위를 긁어 평탄하게 한다(S85). 그리고 물광 사포처리를 한다(S87).
이와 같은 물광 사포처리를 통해 거친 면이 매끈하게 되면, 광택유지 소재를 사용하여 광택처리를 한다(S89).
이와 같이 가공된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은 제1 충진물에 채워진 분말 즉 화려하고 현란한 색깔을 띠는 분말이 석재 속에 형성된 광맥과 같은 형태로 도출되어 다양한 장식재, 건축용 자재 및 가구용 자재 등으로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석제품의 가공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석재품 101 : 석재
103, 103C, 103R : 석공 110 : 제1 충진물
120 : 제2 충진물 130 : 도료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석재의 외표면에 노출된 석공 중에서 일부 선택된 석공에 테이핑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핑된 석공을 제외한 외표면에 노출된 석공에 제2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핑된 석공에서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석공에 제1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충진물과 제2 충진물이 충진된 석재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석재를 후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석재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건조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진물을 충진한 후에,
    외표면을 평탄화 하는 단계와 건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테이프를 제거함으로써 노출된 선택된 석공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진물을 충진한 후에는,
    외표면을 평탄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에서는,
    70℃ 내지 80℃의 건조온도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단계는,
    도료 칠하는 단계와,
    사포 처리하는 단계와,
    광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칠하는 단계에서,
    초벌칠의 경우에는 이후 덧칠하는 도료의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묽게 하여 칠하고, 2회 및 3회 덧칠 경우에 도료 농도는 상대적으로 상기 초벌칠의 도료 농도보다 진한 농도로 칠하는 과정을 최소 1회 이상 반복하여 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칠하는 단계 이후에는,
    건조단계와, 평탄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KR1020070102105A 2007-05-31 2007-10-10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KR100847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3002 WO2008147114A1 (en) 2007-05-31 2008-05-29 Stone product processed from a stone block with many holes and its proces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347 2007-05-31
KR20070053347 2007-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862B1 true KR100847862B1 (ko) 2008-07-23

Family

ID=3982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105A KR100847862B1 (ko) 2007-05-31 2007-10-10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7862B1 (ko)
WO (1) WO20081471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6587A (zh) * 2010-07-23 2012-02-01 福建溪石股份有限公司 石板材加工后残留洞孔的填平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761A (ko) * 2006-03-30 2006-04-19 김진완 형광성 또는 야광성 물질을 함유하는 석재
KR200424612Y1 (ko) * 2006-05-23 2006-08-28 김태석 일측면에 장식분말이 피착된 장식문양이 음각 형성된유리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288A (ja) * 1981-08-10 1983-02-16 Kawaguchiko Seimitsu Kk 時計用貴石文字板の製造方法
US4640850A (en) * 1983-04-18 1987-02-03 Technomarmi Maiera S.P.A. Composite slab incorporating a sheet of marble or similar natural stone, for the formation of facings for building, interior decoration and the like
JPH07195388A (ja) * 1993-12-28 1995-08-01 Toto Ltd 人造石製品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761A (ko) * 2006-03-30 2006-04-19 김진완 형광성 또는 야광성 물질을 함유하는 석재
KR200424612Y1 (ko) * 2006-05-23 2006-08-28 김태석 일측면에 장식분말이 피착된 장식문양이 음각 형성된유리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6587A (zh) * 2010-07-23 2012-02-01 福建溪石股份有限公司 石板材加工后残留洞孔的填平方法
CN102336587B (zh) * 2010-07-23 2013-01-30 福建溪石股份有限公司 石板材加工后残留洞孔的填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7114A1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84936B (zh) 一种砂岩石硬化光亮剂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KR100847862B1 (ko) 다석공 석재를 가공한 석재품 가공방법
KR20190016232A (ko) 건축 실내장식용 알루미늄 메탈보드 제조방법
KR101602551B1 (ko) 석재 착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착색된 칼라 샌드의 제조방법
KR101134026B1 (ko) 옻칠을 이용한 자개 부착 방법
KR101816482B1 (ko) 생옻을 이용한 도자기의 결손된 부위 복원방법
US20050025908A1 (en) Simulated stone block and aged artist's canvas articles and method
KR20210078924A (ko) 다석공 석재품 가공방법
KR102462976B1 (ko) 옻칠 도막을 활용한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1171644B1 (ko) 목재가구의 표면에 입체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20020023497A (ko) 도태칠기(陶胎漆器) 기법
WO2001036762A1 (en) Terrazzo flooring system
KR101633435B1 (ko) 대리석의 무늬형성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 대리석
CN100376638C (zh) 装饰性涂装材料以及装饰性建材
KR100710243B1 (ko) 천연무늬목을 가지는 가구용 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0642306B1 (ko) 자연석 염색 방법
KR20120040643A (ko) 옻칠을 이용한 타일 제조방법
US20160107927A1 (en) Decorative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31649Y1 (ko) 건축용 바닥판재
JP5026876B2 (ja) 板状装飾材
KR20070106958A (ko) 자연석 콩자갈을 이용한 가구류 및 인테리어용 장식물과 그제조방법
KR101225570B1 (ko)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
KR101575496B1 (ko) 상감 장식 제공 방법
CN102011479A (zh) 木质地板涂装夜光材料的处理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