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529B1 - 도우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우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529B1
KR100847529B1 KR1020070084169A KR20070084169A KR100847529B1 KR 100847529 B1 KR100847529 B1 KR 100847529B1 KR 1020070084169 A KR1020070084169 A KR 1020070084169A KR 20070084169 A KR20070084169 A KR 20070084169A KR 100847529 B1 KR100847529 B1 KR 100847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ing agent
tank
valve
dosing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근
김재경
김경남
임재규
Original Assignee
(주)모토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토닉 filed Critical (주)모토닉
Priority to KR1020070084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90Injecting react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8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system for adding a substance into the exhaust
    • F01N2900/1806Properties of reducing agent or dos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우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환원제를 공급하는 탱크모듈,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및, 상기 탱크모듈과 공기공급장치를 통해 각각 공급되는 환원제 및 공기를 혼합하여 촉매컨버터장치 내부에 분무하는 도우징 노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탱크모듈은, 환원제를 내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환원제를 펌핑하는 환원제펌프, 및 상기 환원제펌프에 의해 펌핑된 환원제를 상기 도우징 노즐장치에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탱크에 결합되는 밸브 플레이트를 가지는 멀티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밸브의 밸브 플레이트에는 환원제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도우징 노즐장치로 방출하기 위한 출구포트가 형성된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에 인접되게 결합되어 도우징 노즐장치로의 환원제 공급을 통제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입구포트 및 리턴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조립구조가 콤팩트하고도 단순화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84169
도우징, 디젤, 질소산화물, 멀티밸브, 노즐, SCR

Description

도우징 시스템{DOSING SYSTEM}
본 발명은 도우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젤차량의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 등의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환원제를 공급하기 위한 도우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엔진은 높은 열효율 및 저속에서의 높은 토크(torque)로 인해 차량의 동력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디젤엔진은 매우 연료가 희박한 조건인 높은 A/F비(공기 대 연료비)에서 구동하므로 가스상 탄화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매우 적게 방출한다.
반면, 디젤엔진은 비교적 많은 양의 질소산화물(NOx) 및 미립자를 방출한다.
상기 방출되는 미립자는 고체인 불용성 탄소슈트(carbon soot) 입자, 윤활유 및 비연소 연료 형태의 액체 탄화수소, 가용성 유기분획(SOF), 또는 소위 SO3 + H2O = H2SO4 형태의 "설페이트"로 이루어진 다상의 물질이다.
NOx 및 미립자 모두는 환원하기 어려운 디젤배기성분으로서, 최근에 미국 및 유럽(EURO V 규정)에서는, 최소한 50%까지, 바람직하게는 70-90%까지 감소가 필 요한 것으로 방출기준이 정해져 있다.
현재, 이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로 DPF, SCR, LNT, LNC 등 많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들 중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촉매환원방법) 기술은 희박 배기조건하에서 NOx를 감소시키는데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촉매(예를 들어, 제올라이드, V/Ti)상에서 NH3로 NOx를 N2로 환원하게 되는데, 90%이상 NOx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격적인 NOx 감소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한 최상의 대책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NH3의 환원제로 우레아 수용액을 사용하는 유해가스 저감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우레아 수용액을 사용하는 유해가스 저감시스템에서는 우레아 수용액을 공급을 위한 도우징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도우징 시스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개략적으로 기술하면 아래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환원제 도우징 시스템은 환원제가 충진되어 있는 환원제 탱크모듈(10)과,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유닛(20)과, 상기 탱크모듈(10) 및 에어 유닛(20)을 통해 공급받은 환원제 및 공기를 혼합하는 도우징 유닛(30)과, 상기 도우징 유닛(30)을 통해 혼합된 환원제 및 공기를 촉매컨버터장치(60)에 분사하는 노즐(40)과, 상기 도우징 유닛(30)을 통해 혼합되는 환원제 및 공기의 비율과 분사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탱크모듈(10)과 도우징 유닛(30)은 연료 공급라인(31)과 회수라인(3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환원제 도우징 시스템은 환원제의 공급, 복귀, 압력조절 및 연료차단을 위한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있어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구성요소 상호간의 조립작업이 복잡하고 유지보수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도우징 시스템에서 환원제의 공급, 복귀, 압력조절 및 연료차단을 위한 구조를 콤팩트하고도 단순화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도우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우징 시스템은,
환원제를 공급하는 탱크모듈,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및,
상기 탱크모듈과 공기공급장치를 통해 각각 공급되는 환원제 및 공기를 혼합하여 촉매컨버터장치 내부에 분무하는 도우징 노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탱크모듈은,
환원제를 내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환원제를 펌핑하는 환원제펌프, 및
상기 환원제펌프에 의해 펌핑된 환원제를 상기 도우징 노즐장치에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탱크에 결합되는 밸브 플레이트를 가지는 멀티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밸브의 밸브 플레이트에는 환원제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도우징 노즐장치로 방출하기 위한 출구포트가 형성된 레귤레이터와, 입구포트 및 리턴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밸브의 밸브 플레이트에는 환원제펌프에 연결되는 전원용 와이어가 관통 설치되는 와이어 실링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실링부는 전원용 와이어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무판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지지판이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부 지지판의 위쪽에는 판 스프링을 개재하여 너트가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에 인접되게 결합되어 도우징 노즐장치로의 환원제 공급을 통제하는 환원제 공급 조절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원제 공급 조절기는 솔레노이드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횡방향으로 왕복이 가능한 작동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작동부의 둘레에는 구동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부의 선단에는 밸브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부 선단쪽에는 배압식 다이아프램형 레귤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밸브판의 작동에 의해 환원제가 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는 다이아프램을 사이에 두고 배면쪽의 스프링과 전면쪽의 중앙 지지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우징 시스템은, 상기 탱크모듈은 상기 탱크에 내장된 환원제의 잔류량을 측정하는 레벨게이지,
상기 탱크에 내장된 환원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탱크에 내장된 환원제의 성질을 감지하는 환원제 감지센서,
상기 탱크에 내장된 환원제의 결빙을 방지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벨게이지와 온도센서와 환원제 감지센서는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탱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밸브에 레귤레이터와 솔레 노이드 밸브를 설치하고, 환원제의 공급, 방출 및 복귀를 위한 포트도 함께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구조가 콤팩트하고도 단순화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우징 시스템은 환원제를 공급하는 탱크모듈(100)과,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200)와, 상기 탱크모듈(100)과 공기공급장치(200)를 통해 각각 공급되는 환원제 및 공기를 혼합하여 촉매컨버터장치(60) 내부에 분무하는 도우징 노즐장치(300)와, 상기 탱크모듈(100), 공기공급장치(200) 및 도우징 노즐장치(300)를 제어하는 ECU(400)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모듈(100)은 환원제를 저장하고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환원제를 내장하는 탱크(110)와, 상기 탱크(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탱크(110)에 내장된 환원제를 펌핑하는 환원제펌프(120)와, 상기 탱크(110)의 외측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환원제펌프(120)와 연결되어 환원제펌프(120)에 의해 펌핑된 환원제를 후술되는 도우징 노즐장치(300)에 공급하는 멀티밸브(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밸브(130)는 공급라인(133)을 통해 도우징 노즐장치(3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멀티밸브(130)에는 도우징 노즐장치(300)로 공급되는 환원제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131)와, 도우징 노즐장치(300)로 환원제가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13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2)는 환원제 공급 조절기로서 기능한다. 환원제 공급 조절기로는 본 실시예에서 소개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외에 유압식 밸브 등의 통상적인 밸브가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2)는 환원제의 공급압력이 지나치게 높을 때 ECU(400)에 의해 환원제펌프(120)에서 공급되는 환원제를 일시 차단하도록 하여 환원제 공급시스템의 부품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원제 공급압이 저압인 시스템에서는 환원제의 공급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2)를 생략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멀티밸브(130)의 구조를 더 단순화시킬 수 있다. 솔레노이드를 제외하면,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도면부호와 일치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탱크모듈(100)은 상기 탱크(110)의 외측 상면에 설치되어 탱크(110)에 내장된 환원제의 잔류량을 측정하는 레벨게이지(140)와, 상기 탱크(1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환원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50)와, 상기 탱크(1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환원제의 성질을 감지하는 환원제 감지센서(160)와, 상기 탱크(1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환원제의 결빙을 방지하는 히팅부(1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환원제 감지센서(160)는 환원제의 농도 등 성질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환원제 즉, 우레아(urea) 수용액은 물과 유사하여 시각적으로는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환원제 감지센서(160)를 통해 수용된 물질이 우레아 수용 액인지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원제 감지센서(160)는 점도, 밀도 혹은 전도성을 측정하여 범위를 벗어날 때 외부로 표시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레벨게이지(140)와 온도센서(150)와 환원제 감지센서(160)는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탱크(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또 제조비용을 더욱 절감하기 위해 환원제 감지센서(160)는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모듈(100)은 환원제펌프(120)를 통해 탱크(110)에 내장된 환원제를 펌핑한 다음 멀티밸브(130)에 공급하고, 상기 멀티밸브(130)는 공급된 환원제를 공급라인(133)을 통해 도우징 노즐장치(300)에 공급한다.
이때, 멀티밸브(130)를 통과하는 환원제는 레귤레이터(131)를 통해 압력이 일정하게 조절되어 출구포트(135) 및 공급라인(133)을 통해 도우징 노즐장치(300)에 공급된다.
또한, 출구포트(135)로 방출되고 남은 여분의 환원제는 리턴포트(136) 및 리턴유로(137)를 통해 탱크(110) 내부로 복귀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멀티밸브(130)의 밸브 플레이트(130a)에서 솔레노이드밸브(132)와 레귤레이터(131)는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어, 환원제펌프(120)로부터 밸브 플레이트(130a)의 입구포트(130b)를 통해 유입되는 환원제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2) 및 레귤레이터(131)를 연속적으로 지나 출구포트(135)를 통해 공급라인(133)으로 방출된다.
도 4와 도 5에는 멀티밸브(130)의 내부 구성이 한층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2)는 횡방향으로 왕복이 가능한 작동부(132a)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작동부(132a)의 둘레에는 솔레노이드 구동부(132b)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132a)의 선단에는 밸브판(13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판(132c)은 후술하는 레귤레이터(131)의 내부에 형성딘 공급통로(131f)를 개폐하는 구성요소로서 고무 등의 탄성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2)의 작동부(132a) 선단쪽에는 레귤레이터(131)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귤레이터(131)는 배압식 다이아프램의 구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귤레이터(131)는 다이아프램(131a)을 사이에 두고 배면쪽의 스프링(131b)과 전면쪽의 중앙 지지편(131c)으로 구성되어 있어, 환원제펌프(12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환원제가 다이아프램(131a)을 통해 스프링(131b)에 전달되어 감압된 상태에서 출구포트(135)로 배출된다.
한편, 배출되고 남은 환원제는 중앙 지지편(131c) 내에 형성된 복귀통로(131d)를 통해 리턴포트(136)로 배출된다.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멀티밸브(130)에는 대기와 연통되는 벤트홀(138)이 형성되어 있어 도시되지 않은 벤트 튜브를 통해 환원제펌프(120)의 다이아프램에 대기압이 작용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멀티밸브(130)의 밸브 플레이트(130a)에는 레귤레이터(131)의 옆 쪽에 와이어 실링부(139)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환원제가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원 터미널을 환원제펌프(120)에 바로 연결하지 못하고 전원용 와이어를 통해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한 구성이다. 상기 와이어 실링부(139)에 설치된 와이어는 멀티밸브(13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실링 기능을 확실히 수행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 실링부(139)는 전원용 와이어가 통과하는 홀(139f)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무판(139b)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지지판(139a)이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부 지지판(139a)의 위쪽에는 판 스프링(139c)을 개재하여 너트(139d)가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탱크(110)에 내장된 환원제의 온도는 온도센서(150)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며, 설정된 온도이하로 내려갈 경우 히팅부(170)를 통해 환원제를 가열함으로써 항상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110)에 내장된 환원제의 양은 레벨게이지(140)를 통해 확인되며, 상기 탱크(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환원제를 보충할 수 있다.
이때, 주입되는 물질이 환원제가 맞는지 환원제 감지센서(16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장치(200)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우징 노즐장치(30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탱크(210)와, 도우징 노즐장치(3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도우징 레귤레이터(220)와, 도우징 노즐장치(300)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도우징 솔레노이드밸브(230)와, 도우징 노즐장치(300)로 공급 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40)와, 도우징 노즐장치에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2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공기공급장치(200)의 공기탱크(21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도우징 레귤레이터(220)를 통과하면서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되고, 필터(25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며, 이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후술되는 도우징 노즐장치(300)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공급되는 공기는 압력센서(2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압력이 측정되며, 설정된 압력이상 상승시 도우징 솔레노이드밸브(230)를 통해 공기 공급유로를 차단함으로써, 공기공급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도우징 노즐장치(300)는 상기 탱크모듈(100)의 멀티밸브(130)와 공기공급장치(200)의 공기탱크(210)로부터 공급되는 환원제 및 공기를 혼합하여 촉매컨버터장치(60)에 분무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SCR 촉매컨버터장치(6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 중에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도우징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우징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a는 도 2에서 멀티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2에서 멀티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c는 도 2에서 멀티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b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b에 표시된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3a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저면 사시도.
도 7c는 도 7a의 평면도.
도 7d는 도 7a의 측면도.
도 8은 도 7c에서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c에서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탱크모듈 110 : 탱크
120 : 환원제펌프 130 : 멀티밸브
131 : 레귤레이터 131a : 다이아프램
131b : 스프링 131c : 중앙 지지편
131d : 복귀통로 132 : 레귤레이터
132a : 레귤레이터 작동부 132b : 구동부
132c : 밸브판 135 : 출구포트
136 : 리턴포트 137 : 리턴유로
140 : 레벨게이지 150 : 온도센서
160 : 환원제 감지센서 170 : 히팅부
200 : 공기공급장치 210 : 공기탱크
220 : 레귤레이터 230 : 솔레노이드밸브
240 : 압력센서 250 : 필터
300 : 도우징 노즐장치

Claims (9)

  1. 환원제를 공급하는 탱크모듈,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및,
    상기 탱크모듈과 공기공급장치를 통해 각각 공급되는 환원제 및 공기를 혼합하여 촉매컨버터장치 내부에 분무하는 도우징 노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탱크모듈은,
    환원제를 내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환원제를 펌핑하는 환원제펌프, 및
    상기 환원제펌프에 의해 펌핑된 환원제를 상기 도우징 노즐장치에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탱크에 결합되는 밸브 플레이트를 가지는 멀티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밸브의 밸브 플레이트에는 환원제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도우징 노즐장치로 방출하기 위한 출구포트가 형성된 레귤레이터와, 입구포트 및 리턴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밸브의 밸브 플레이트에는 환원제펌프에 연결되는 전원용 와이어가 관통 설치되는 와이어 실링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실링부는 전원용 와이어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무판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지지판이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부 지지판의 위쪽에는 판 스프링을 개재하여 너트가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징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에 인접되게 결합되어 도우징 노즐장치로의 환원제 공급을 통제하는 환원제 공급 조절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 공급 조절기는 솔레노이드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횡방향으로 왕복이 가능한 작동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작동부의 둘레에는 구동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부의 선단에는 밸브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부 선단쪽에는 배압식 다이아프램형 레귤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밸브판의 작동에 의해 환원제가 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징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다이아프램을 사이에 두고 배면쪽의 스프링과 전면쪽의 중앙 지지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징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모듈은 상기 탱크에 내장된 환원제의 잔류량을 측정하는 레벨게이지,
    상기 탱크에 내장된 환원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탱크에 내장된 환원제의 성질을 감지하는 환원제 감지센서,
    상기 탱크에 내장된 환원제의 결빙을 방지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게이지와 온도센서와 환원제 감지센서는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탱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징 시스템.
KR1020070084169A 2007-08-21 2007-08-21 도우징 시스템 KR100847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169A KR100847529B1 (ko) 2007-08-21 2007-08-21 도우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169A KR100847529B1 (ko) 2007-08-21 2007-08-21 도우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529B1 true KR100847529B1 (ko) 2008-07-22

Family

ID=39824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169A KR100847529B1 (ko) 2007-08-21 2007-08-21 도우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5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742B1 (ko) 2010-03-24 2011-11-22 (주)모토닉 우레아 수용액 공급장치의 조절장치
RU2509900C2 (ru) * 2008-09-10 2014-03-20 Эмитек Гезельшафт Фюр Эмиссионстехнологи Мбх Модульная бак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жидкого восстановителя со сборнико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702A (ko) * 1999-06-22 2002-02-28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환원제 투여 장치
KR20020053870A (ko) * 2000-09-22 2002-07-0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 제거를 위한 환원제 도우징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702A (ko) * 1999-06-22 2002-02-28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환원제 투여 장치
KR20020053870A (ko) * 2000-09-22 2002-07-0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 제거를 위한 환원제 도우징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09900C2 (ru) * 2008-09-10 2014-03-20 Эмитек Гезельшафт Фюр Эмиссионстехнологи Мбх Модульная бак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жидкого восстановителя со сборником
KR101084742B1 (ko) 2010-03-24 2011-11-22 (주)모토닉 우레아 수용액 공급장치의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1211B1 (en)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for a lean burn engine
US77078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tant dosing of an exhaust
US9546584B2 (en) Multi-stage SCR system
US20080148717A1 (en) Exhaust gas purifying system
EP1431533A2 (en) Emissions control system for increasing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efficiency
KR100926659B1 (ko) 내연 기관의 배기 정화 장치
US9416710B2 (en) Metering arrangement for a liquid exhaust-gas aftertreatment medium and metering method
EP2843225A1 (en) Intake manifold having a mixing duct that is integrally formed into an EGR flow measurement system
CA2794876A1 (en) Exhaust emission control device
US20080302089A1 (en) Dispensing System with Remotely Mounted Metering Device
KR20110126333A (ko) 디젤 차량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CN112065538B (zh) 一种柴油机后处理系统的热管理装置
KR100847529B1 (ko) 도우징 시스템
CN102162390B (zh) 一种多次定量精确喷射的选择性催化还原系统
KR102440662B1 (ko) 차량의 연료 및 요소수 히팅 시스템
KR100859443B1 (ko) 도우징 시스템
RU2573547C2 (ru) Система последующей обработки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с добавлением активиру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в восстановитель, вводимый в каталитический нейтрализатор
KR101048658B1 (ko) 우레아 수용액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896424B1 (ko) 도우징 시스템용 에어유닛
CN202718734U (zh) 环保型尾气排放系统
WO2008017673A1 (en) System for storing an additive and injecting it into the exhaust gases of an engine
KR100904217B1 (ko)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도우징 시스템
KR101461875B1 (ko) 배기정화장치
KR20070060917A (ko) 디젤 엔진의 연료 주입 구조
KR100839949B1 (ko) 도우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