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141B1 -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141B1
KR100847141B1 KR1020060116366A KR20060116366A KR100847141B1 KR 100847141 B1 KR100847141 B1 KR 100847141B1 KR 1020060116366 A KR1020060116366 A KR 1020060116366A KR 20060116366 A KR20060116366 A KR 20060116366A KR 100847141 B1 KR100847141 B1 KR 100847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key
remote control
event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6839A (ko
Inventor
오봉진
배유석
박현
문경덕
백의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1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141B1/ko
Publication of KR2008004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8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mapping a matrix of displayed objects on the screen to the numerical key-matrix of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빠르고 간편한 콤포넌트 검색하기 위하여, 스마트키, 숫자키, 방향키, 선택키, 및 탭키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를 통보하기 위한 키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콘; 상기 스마트키에 따라 스마트 모드를 설정하고 복수개의 콤포넌트가 표시되는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류한 후, 상기 숫자키에 따라 하나의 분할 영역과 콤포넌트를 포커싱하고, 상기 방향키에 따라 기포커싱된 콤포넌트에 인접된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고, 상기 선택키에 따라 현재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하는 리모콘 입력 제어부; 상기 복수개의 콤포넌트와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형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화면 형성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와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콤포넌트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 동작을 수행하는 리모콘 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의하여 보다 빠르고 간편한 콤포넌트 검색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방송, 리모콘 키, 콤포넌트 선택

Description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User input apparatus using remote for data-broadcast service and method thereof}
도1은 일반적인 데이터방송서비스에 따라 전국 날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의 일예,
도2는 일반적인 데이터방송 수신단말의 구성도,
도3은 도2의 화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2의 그래픽 화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의 구성도.
도6은 콤포넌트간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도5의 리모콘 키 분석부의 콤포넌트의 행렬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분할영역내에 위치되는 컴포넌트들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영역 선택 방법을 이용한 컴포넌트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9는 도8의 컴포넌트 선택 방법에 따른 콤포넌트 선택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키 분석부의 건너뛰기 방법을 이용한 컴포넌트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11은 도10의 컴포넌트 선택 방법에 따른 콤포넌트 선택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방송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방송서비스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및 인터넷을 통해 고화질(HD)급의 동영상과 함께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나 자바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부가서비스를 섞어 보내는 것이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하여 리모콘을 통해 채널을 선택하게 되는데, 부가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면에 아이콘이 표시되거나 리모콘의 특정 버튼을 통해 서비스 목록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 서비스를 선택하면 HTML 문서인 경우에는 HTML 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서비스에 대응되는 화면을 보여주고, 자바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는 자바 비추얼 머신(Java Virtual Machine)에 의해 해당 서비스를 수행한다.
각각의 경우 데이터방송 수신단말은 사용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조작하기 위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보여주고, 리모콘을 통해 입력을 받아 새로운 절차로 넘어가는 형식을 취하게 된다.
이때에, 사용자가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함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을 키 입력을 통해 원하는 부가 서비스의 위치를 어플리케이션에게 알려주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이는 현재 데이터방송 수신단말의 디폴트 입력 수단인 리모콘을 통해서는 컴퓨터의 마우스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스타일러스 펜 혹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임의의 위치를 바로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국의 날씨 정보를 지역별로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전체 지역을 아이콘 형태로 화면에 나열하면, 사용자는 하나의 지역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방향키를 통해 전체 지역의 아이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야 하나의 지역을 겨우 선택할 수 있었다. 최악의 경우에는 전체 아이콘의 수만큼 리모콘의 키를 눌려야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모콘의 키들 각각에 아이콘들 각각을 매핑하여 특정 키를 통해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게 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화면상에 리모콘의 키와 아이콘 간의 매핑관계를 디스플레이해야 하므로 화면의 구성이 조잡해질 뿐 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영역도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방송서비스에 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른 스마트키, 숫자키, 방향키, 선택키, 및 탭키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를 통보하기 위한 키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콘; 상기 스마트키에 따라 스마트 모드를 설정하고 복수개의 콤포넌트가 표시되는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류한 후, 상기 숫자키에 따라 하나의 분할 영역과 콤포넌트를 포커싱하고, 상기 방향키에 따라 기포커싱된 콤포넌트에 인접된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고, 상기 선택키에 따라 현재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하는 리모콘 입력 제어부; 상기 복수개의 콤포넌트와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형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화면 형성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와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콤포넌트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 동작을 수행하는 리모콘 이벤트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른 숫자키, 방향키, 선택키, 및 탭키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를 통보하기 위한 키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콘; 상기 방향키에 따라 기포커싱된 콤포넌트에 인접된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거나 상기 탭키에 따라 상기 기포커싱된 콤포넌트로부터 설정 개수의 콤포넌트만큼 떨어진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며, 상기 선택키에 따라 현재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하는 리모콘 입력 제어부; 복수개의 콤포넌트와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형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화면 형성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와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콤포넌트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 동작을 수행하는 리모콘 이벤트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형태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은 스마트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스마트 모드를 설정하고 복수개의 콤포넌트가 표시되는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류한 후, 디폴트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디폴트 영역내에 위치되는 디폴트 콤포넌트를 포커싱하는 모드 설정 단계; 숫자키가 선택되면, 상기 숫자키에 대응되는 분할영역을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내에 위치되는 디폴트 콤포넌트를 포커싱하는 영역 선택 단계; 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방향키의 방향으로 기포커싱된 콤포넌트에 인접된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는 이동 단계; 및 선택키가 선택되면 현재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콤포넌트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 동작을 수행하는 이벤트 수행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형태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은 상기 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방향키의 방향으로 기포커싱된 콤포넌트에 인접된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는 방향키 이동 단계; 상기 탭키가 선택되면, 상기 기포커싱된 콤포넌트로부터 설정 개수의 콤포넌트만큼 떨어진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는 탭키 이동 단계; 및 상기 선택키가 선택되면 현재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콤포넌트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 동작을 수행하는 이벤트 수행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2는 일반적인 데이터방송 수신단말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데이터방송 수신단말은 튜너(101), 디먹스(102), 데이터방송 제어부(103), 미디어 디코더(104), 비디오 디바이스(105), 사용자 입력부(106), 그래픽 디바이스(107), 및 화면 조합부(108)로 구성된다.
이에 사용자가 데이터방송 수신단말의 전원을 켜고 특정 채널을 선택하면, 튜너(101)는 선택된 채널에 매핑된 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디먹스(10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디먹싱하여 디지털 스트림(예를 들어, MPEG-2 TS)을 생성한다. 그러면 데이터방송 제어부(103)는 이를 프로그램 지정 정보(PSI; Program Specific Information)와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프로토콜(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등을 이용하여 동영상과 부가 정보로 분리한다. 동영상은 미디어 디코더(104)를 통해 디코딩되어 비디오와 오디오로 분리되고, 부 가 정보는 데이터방송 제어부(103)내에 구비되는 방송 미들웨어(미도시)를 통해 분석되어 방송 송출국에서 송출한 원래의 HTML 이나 자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방송 미들웨어는 현재 수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유지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HTML 브라우저 또는 자바 비추얼 머신을 통해 실행시킨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자신의 현재 상황을 표현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User Interface)를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HAVi UI라는 그래픽 라이브러리 API를 통해 그래픽 디바이스(107)에 그래픽 화면으로써 그려지고, 동영상의 비디오 화면은 비디오 디바이스(105)에 그려진다. 그리고 도3과 같이 오버레이되어 사용자가 하나의 화면으로 인식하고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리모콘을 통해 특정 부가 서비스를 원하는 시점에 동작시킬 수 있고, 동작되고 있는 부가 서비스는 리모콘의 키 입력에 따라 수행하는 과정에 UI가 변경되어 또 다시 그래픽 디바이스(107)에 그려진 후, 비디오 화면과 함께 하나의 화면으로써 디스플레이된다.
데이터방송서비스에서 부가 서비스는 여러 문서나 혹은 여러 절차를 위한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 코드)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UI를 구성하는 각종 위짓(예를 들어, 버튼, 라벨, 아이콘, 리스트, 스크롤바 등), 이미지, 및 텍스트등을 선택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어플리케이션에 알려줘야 한다.
도4는 도2의 어플리케이션 UI를 위한 그래픽 화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그래픽 화면은 루트 윈도우(P3a)와, HSCENE(P3b)와, 각종 위짓, 이미 지, 및 텍스트등(P3c)으로 이루어진다.
루트 윈도우(P3a)는 데이터방송 수신단말이 파워온되면 투명하게 형성되어 비디오 화면(P2)상에 떠 있는 상태가 되며,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어 HSCENE(P3b)이라는 컨테이너(container)가 생성되어 루트 윈도우(P3a) 위에 위치된다. 그리고 HSCENE(P3b)상에 어플리케이션의 UI를 표현하기 위한 각종 위짓, 이미지, 텍스트등(P3c)이 그려지게 된다.
이때, 각종 위짓, 이미지, 및 텍스트들 중 키 이벤트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객체는 콤포넌트라 불리우며, 이는 실질적인 키 이벤트 처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이벤트 리스너를 생성하여 원하는 키를 등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UI는 복수개의 콤포넌트들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특정 콤포넌트를 선택하여 필요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콤포넌트 선택 방법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UI가 구비하는 콤포넌트가 많아질수록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의 콤포넌트를 선택하기가 어려워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의 콤포넌트를 보다 쉽고 빨리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 장치는 데이터방송 수신단말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현되는 리모콘(200)과, 데이터방송 수신단말내에 구현되는 리모콘 드라이버(310), 그래픽 화면 구성부(320), 리모콘 키 분석부(330), 이벤트 관리부(340), 이벤트 큐(350), 및 복수개의 이벤트 판독부(361~36n)들을 구비한다.
리모콘(200)은 일반적인 리모콘이 구비하는 전원키(power), 숫자키들(0~9), 방향키들(↑,↓,→,←), 및 선택키(ok) 이외에 스마트키(sm)와 탭키들(L tab, R tab)을 별도로 더 구비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대응되는 키신호를 발생한다. 특히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스마트키(sm)는 스마트 모드를 설정 및 해제시키기 위한 스마트키 신호를 발생하고, 탭키들(L tab, R tab)은 콤포넌트의 포커싱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건너뛰기 위한 키 신호를 발생한다.
리모콘 드라이버(310)는 리모콘(200)으로부터 전송되는 키신호를 사용자 입력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 형태로 변환한다.
그래픽 화면 구성부(320)는 어플리케이션 UI와 스마트 창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도4와 같이 구성하며, 화면상에 형성된 콤포넌트들을 파악하여 콤포넌트 목록을 수집한다.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콤포넌트 선택 방법 뿐 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영역 선택 방법과 건너뛰기 방법을 통해서도 입력된 키신호에 대응되는 콤포넌트를 획득한 후, 입력된 키 신호에 획득된 콤포넌트의 레퍼런스 값을 첨부하여 이벤트 관리부(340)로 전송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콤포넌트 선택 방법은 사용자가 방향키를 통해 콤포넌트 의 포커싱 위치를 한단위씩 이동시켜 원하는 콤포넌트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의 영역 선택 방법은 스마트키신호가 입력되면 스마트 모드를 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의 UI의 전체화면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스마트 창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하나의 분할영역을 선택하고, 방향키를 이용하여 콤포넌트의 포커싱 위치를 한 단위씩 이동시켜 원하는 콤포넌트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건너뛰기 선택 방법은 상기의 영역 선택 방법과 연동하여 사용 뿐 만 아니라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탭키를 통해 콤포넌트의 포커싱 위치를 여러 단위 건너뛰면서 이동시켜 원하는 콤포넌트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방법들 각각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하도록 한다.
이벤트 관리부(340)는 리모콘 키 분석부(330)로부터 키신호와 이에 첨부된 콤포넌트의 레퍼런스 값을 분석하여 키 입력을 처리할 콤포넌트를 결정하여 복수개의 이벤트 판독부들(361~36n)에 통보하고, 키 신호와 콤포넌트의 레퍼런스 값을 포함하는 키 이벤트의 형태로써 이벤트 큐(350)에 등록한다.
이벤트 큐(350)는 이벤트 관리부(340)를 통해 등록된 키이벤트를 자바의 키 핸들림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콤포넌트의 이벤트 판독부(예를들어, 361)로 전달한다.
복수개의 이벤트 판독부들(361~36n) 각각은 그래픽 화면 구성부(320)를 통해 수집된 복수개의 콤포넌트들 각각에 대응되며, 자신에게 입력된 키이벤트를 판독하여 대응되는 콤포넌트에 연결된 HTML 문서 또는 자바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이벤트 작업등을 수행한다.
도6은 콤포넌트간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도5의 리모콘 키 분석부의 콤포넌트의 행렬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포넌트는 어플리케이션 UI를 통해 표현되는 각종 위짓, 이미지, 텍스트 중 기능을 수행할 객체들이므로, 랜덤하게 배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방향키 또는 탭키를 이용한 콤포넌트간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본 발명의 리모콘 키 분석부는 이하의 두가지 방법을 통해 콤포넌트간 행렬 관계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첫 번째 방법은 기준 콤포넌트와 비교 콤포넌트의 가로 또는 세로 영역의 중심이 상대에 포함되는 경우, 기준 콤포넌트와 비교 콤포넌트가 동일한 행 또는 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방법이다.
열 비교시에는 기준 콤포넌트의 가로 영역의 범위(즉, "가로 시작점(X)"~ "가로 시작점(X) + 가로폭(W)")내에 비교 콤포넌트들 각각의 가로 영역의 반 이상이 포함되며, 비교 콤포넌트들 각각의 가로 영역의 범위내에 기준 콤포넌트의 가로 영역의 반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에, 기준 콤포넌트와 비교 콤포넌트들이 동일열에 있다고 판단한다.
행 비교시에는 기준 콤포넌트의 세로 영역의 범위(즉, "세로 시작점(Y)"~"세로 시작점(Y) + 세로폭(H)")내에 비교 콤포넌트들 각각의 세로 영역의 반 이상이 포함되며, 비교 콤포넌트들 각각의 세로 영역의 범위 내에 기준 콤포넌트의 세로 영역의 반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에, 기준 콤포넌트와 비교 콤포넌트들이 동일행에 있다고 판단한다.
이에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콤포넌트(C1)는 제2콤포넌트(C2) 및 제4콤포넌트(C4)와 동일열에, 제9콤포넌트(C1)와 제5콤포넌트(C5)와 동일행이 위치된다고 인식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제1콤포넌트(C1)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른쪽 방향키를 두 번 연속 선택하면, 제2콤포넌트(C2)와 제4콤포넌트(C4)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사용자가 아래 방향키를 두 번 연속 선택하면, 제9콤포넌트(C9)와 제5콤포넌트(C5)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준다.
두 번째 방법은 기준 콤포넌트와 비교 콤포넌트의 가로 또는 세로 영역의 일부라도 상대에 포함되는 경우, 동일한 행 또는 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방법이다.
열 비교시에는 기준 콤포넌트의 가로 영역의 범위내에 비교 콤포넌트의 영역이 일부라도 포함되는 경우에, 기준 콤포넌트와 비교 콤포넌트는 동일열에 있다고 판단한다.
행 비교시에는 기준 콤포넌트의 세로 영역의 범위내에 비교 콤포넌트의 영역이 일부라도 포함되는 기준 콤포넌트와 비교 콤포넌트는 동일행에 있다고 판단한다.
이에 리모콘 키 분석부는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콤포넌트(C1)는 제2콤포넌트(C2), 제3콤포넌트(C3), 및 제4콤포넌트(C5)와 동일열에, 제9콤포넌트(C9)와 제5콤포넌트(C5)와 동일행이 위치된다고 인식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제1콤포넌트(C1)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른쪽 방향키를 두 번 연속 선택하면, 오른쪽 방향으로 제1콤포넌트(C1)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2콤포넌트(C2)와 제3콤포넌트(C3)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사용자가 아래 방향키를 두 번 연속 선택하면, 아래 방향으로 제1콤포넌트(C1)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9콤포넌트(C9)와 제5콤포넌트(C5)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준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준 콤포넌트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키를 선택하였을 때, 두개 이상의 콤포넌트가 동시에 선택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움직임별 우선 선택 순위를 사전에 정의함으로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움직임의 경우에는 후보 콤포넌트들 중 제일 왼쪽에 있는 콤포넌트를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좌우 움직임의 경우에는 후보 콤포넌트들 중 제일 위쪽에 있는 콤포넌트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제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7은 분할영역내에 위치되는 컴포넌트들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리모콘 키 분석부는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방향키를 이용하여 선택된 분할영역내의 콤포넌트를 하나씩 선택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하의 방법을 통해 분할영역내에 구비되는 콤포넌트들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도7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스마트 모드시에 생성되는 복수개의 분할영역들 각각은 화면상에서 위치되어 시작 위치((X1,Y1); X1은 분할영역의 가로 시작점, Y1은 분할영역의 세로 시작점)와 영역 크기((W1,H1); W1은 분할영역의 가로폭, H1은 분할영역의 세로폭)의 정보를 가지고, 각 콤포넌트도 화면상에서 시작 위 치((X2,Y2); X2는 콤포넌트의 가로 시작점, Y2는 콤포넌트의 세로 시작점) 및 영역 크기(W2,H2); W2은 콤포넌트의 가로폭, H2는 콤포넌트의 세로폭)의 정보를 가지게 된다.
이에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각 분할영역의 시작 위치(X1,Y1) 및 영역 크기(W1,H1)와 각 콤포넌트의 시작 위치(X2,Y2) 및 영역 크기(W2,H2)를 비교하여, 분할영역이 포함하는 콤포넌트들을 파악한다.
그리고 여러개의 분할영역들에 공통 포함되는 콤포넌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콤포넌트는 시작 위치(X,Y)를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위치되는 것으로 정의하거나 많은 영역 크기(W,H)를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위치되는 것으로 정의하여, 하나의 콤포넌트는 하나의 분할영역에만 포함되도록 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영역 선택 방법을 이용한 컴포넌트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특정 키를 선택하여, 리모콘(200)으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면(S11),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현재의 동작 모드가 스마트 모드인지를 확인하고(S12), 스마트 모드가 아니면 일반 모드임을 확인하고 입력된 키 신호를 분석한다(S13).
단계S13의 분석결과, 스마트키 이외의 키가 선택되었으면 종래의 컴포넌트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선택된 키에 대응되는 콤포넌트를 획득하고, 이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를 발생하여(S14),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키 이벤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S15).
반면에 스마트키가 선택되었으면 현재의 동작 모드를 스마트 모드로 전환하여 스마트 창을 생성한 후 디폴트 영역을 표시하고 디폴트 영역내의 디폴트 콤포넌트를 포커싱한다(S16). 그리고 새로운 키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단계 S1로 재진입한다.
이때, 스마트 창은 어플리케이션 UI의 전체 영역을 복수개로 분할한 복수개의 분할영역들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분할영역들 각각에는 숫자키가 하나씩 매핑되어, 사용자가 숫자키를 통해 하나의 분할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폴트 영역은 스마트 모드의 진입시에 기본적으로 선택되는 분할영역이고, 디폴트 콤포넌트는 분할영역이 선택되었을 때 기본적으로 포커싱되는 콤포넌트이며, 이들의 선택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단계S1을 통해 새로운 키 신호가 더 입력되면,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다시 키 분석을 수행한다(S17).
단계S17의 분석결과, 스마트키가 한번 더 선택되었으면 스마트 모드를 해제하고 스마트 창을 제거한다(S18).
반면에 숫자키가 선택되었으면,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숫자키에 대응되는 분할영역을 선택하여 표시하고, 선택된 분할영역내의 디폴트 콤포넌트를 포커싱하고(S19), 방향키가 선택되었으면 콤포넌트의 포커싱 위치를 방향키의 방향에 따라 이동시킨다(S20). 그리고 선택키가 선택되었으면,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스마트 모드를 해제하고 현재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한다(S21).
그러면 이벤트 관리부(340)는 현재에 선택된 키와 콤포넌트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를 발생하여(S22),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키 이벤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S23).
이에 도9의 (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UI내에 20개의 콤포넌트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제8콤포넌트(C8)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4번의 키 입력동작만을 통해서 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리모콘의 스마트키를 선택하여 스마트 모드가 설정되어 도9의 (B)와 같이 스마트 창을 생성하고, 숫자키3을 선택하여 도9의 (C)와 같이 제3분할영역(PA3)을 선택하고 제3콤포넌트(C3)를 포커싱한 후, 아랫방향키를 선택하여 도9의 (D)와 같이 제4콤포넌트(C4)의 아랫방향에 위치하는 제8콤포넌트(C8)를 포커싱한다. 그리고 선택키를 선택하여 포커싱된 제8콤포넌트(C8)를 선택하면 된다.
이에 종래에는 6번의 키 입력 동작(5번의 방향키 입력 동작과 1번의 선택키 입력 동작)이 필요하던 컴포넌트 선택 동작을 4번의 키 입력 동작만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너뛰기 방법을 이용한 컴포넌트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특정 키를 선택하여 리모콘(200)으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면(S31),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키신호를 분석한다(S32).
단계S32의 분석결과 방향키가 선택되었으면,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이전에 설정된 콤포넌트의 포커싱 위치를 방향키의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켜준다(S33).
반면에 탭키가 선택되었으면,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이전에 설정된 콤포넌트의 포커싱 위치를 여러 단위 이동시켜준다(S34).
그리고 선택키가 선택되었으면, 리모콘 키 분석부(330)는 단계S33 또는 S34를 통해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한다(S35). 그러면 이벤트 관리부(340)는 현재에 선택된 키와 콤포넌트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를 발생하여(S36),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키 이벤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S37).
이에 건너뛰기의 단위가 "3"이고 도11의 (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UI내에 20개의 콤포넌트가 존재하며 제1 콤포넌트(C1)가 포커싱된 상황에서, 포커싱 위치를 제8콤포넌트(C8)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2번의 키 입력동작만으로 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리모콘의 오른쪽 방향 탭키를 선택하여 도12의 (B)와 같이 포커싱 위치를 제1 컴포넌트(C1)의 오른쪽 방향으로 건너뛰기 단위(3개의 콤포넌트)만큼 떨어진 제4컴포넌트(C4)로 이동시킨 후, 아랫방향키 선택하여 도12의 (C)와 같이 제4컴포넌트(C4)의 아래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된 제8컴포넌트(C8)로 다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2번의 키 입력 동작만으로 원하는 콤포넌트를 포커싱한 후, 선택키를 통해 해당 콤포넌트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 치 및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많은 콤포넌트를 제공하더라도 보다 간편한 리모콘의 키 입력 동작을 통해 필요로 하는 콤포넌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32)

  1. 스마트키, 숫자키, 방향키, 선택키, 및 탭키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를 통보하기 위한 키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콘;
    상기 스마트키에 따라 스마트 모드를 설정하고 복수개의 콤포넌트가 표시되는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류한 후, 상기 숫자키에 따라 하나의 분할 영역과 콤포넌트를 포커싱하고, 상기 방향키에 따라 기포커싱된 콤포넌트에 인접된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고, 상기 선택키에 따라 현재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하는 리모콘 입력 제어부;
    상기 복수개의 콤포넌트와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형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화면 형성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와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콤포넌트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 동작을 수행하는 리모콘 이벤트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의 키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 형태로 리모콘 드라이버; 및
    상기 스마트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스마트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방향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콤포넌트의 포커싱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선택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현재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콤포넌트의 정보를 상기 리모콘의 키 신호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리모콘 키 분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키 분석부는
    비교대상 콤포넌트의 가로 또는 세로 영역의 중심이 기준 콤포넌트에 포함되면, 상기 비교대상 콤포넌트는 상기 기준 콤포넌트와 동일한 행 또는 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키 분석부는
    비교대상 콤포넌트의 가로 또는 세로 영역의 일부가 기준 콤포넌트에 포함되면, 상기 비교대상 콤포넌트는 상기 기준 콤포넌트와 동일한 행 또는 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키 분석부는
    상기 분할영역의 시작 위치 및 영역 크기와 상기 콤포넌트의 시작 위치 및 영역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분할영역이 포함하는 상기 콤포넌트들을 파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키 분석부는
    두 개 이상의 분할영역들에 공통포함되는 콤포넌트가 존재하면, 상기 콤포넌트의 시작 위치를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상기 콤포넌트가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키 분석부는
    두 개 이상의 분할영역들에 공통포함되는 콤포넌트가 존재하면, 상기 콤포넌트의 영역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분할영역에 상기 콤포넌트가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키 분석부는
    상기 스마트키 및 상기 숫자키가 선택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포커싱될 디폴트 영역 및 디폴트 콤포넌트의 선택 조건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는
    스마트 모드시에 상기 스마트키 또는 상기 선택키가 추가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 모드를 해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분할영역들 각각을 선택하기 위한 숫자키를 상기 복수개의 분할 영역 각각에 매핑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는
    상기 탭키에 따라 상기 기포커싱된 콤포넌트로부터 설정 개수의 콤포넌트만큼 떨어진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고,
    상기 탭키가 선택될 때에 새로운 콤포넌트를 포커싱하기 위해 상기 기포커싱된 콤포넌트로부터 건너뛰어야 하는 콤포넌트의 개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콤포넌트들 각각에 대응되어, 키 이벤트를 처리하는 복수개의 이벤트 판독부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와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콤포넌트를 분석하여 상기 키 이벤트를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키 이벤트를 처리할 상기 이벤트 판독부를 결정하는 이벤트 관리부; 및
    상기 이벤트 관리부를 통해 발생된 상기 키 이벤트를 대응되는 상기 이벤트 판독부로 전달하는 이벤트 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13. 숫자키, 방향키, 선택키, 및 탭키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를 통보하기 위한 키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콘;
    상기 방향키에 따라 기포커싱된 콤포넌트에 인접된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거나 상기 탭키에 따라 상기 기포커싱된 콤포넌트로부터 설정 개수의 콤포넌트만큼 떨어진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며, 상기 선택키에 따라 현재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하는 리모콘 입력 제어부;
    복수개의 콤포넌트와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형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화면 형성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와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콤포넌트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 동작을 수행하는 리모콘 이벤트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는
    상기 탭키가 선택될 때에 새로운 콤포넌트를 포커싱하기 위해 상기 기포커싱된 콤포넌트로부터 건너뛰어야 하는 콤포넌트의 개수를 설정 및 변경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의 키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 형태로 리모콘 드라이버; 및
    상기 방향키 및 상기 탭키에 따라 콤포넌트의 포커싱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선택키에 따라 현재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콤포넌트의 정보를 상기 리모콘의 키 신호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리모콘 키 분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는
    비교대상 콤포넌트의 가로 또는 세로 영역의 중심이 기준 콤포넌트에 포함되면, 상기 비교대상 콤포넌트는 상기 기준 콤포넌트와 동일한 행 또는 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는
    비교대상 콤포넌트의 가로 또는 세로 영역의 일부가 기준 콤포넌트에 포함되면, 상기 비교대상 콤포넌트는 상기 기준 콤포넌트와 동일한 행 또는 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콤포넌트들 각각에 대응되어, 키 이벤트를 처리하는 복수개의 이벤트 판독부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와 상기 리모콘 입력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콤포넌트를 분석하여 상기 키 이벤트를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키 이벤트를 처리할 상 기 이벤트 판독부를 결정하는 이벤트 관리부; 및
    상기 이벤트 관리부를 통해 발생된 상기 키 이벤트를 대응되는 상기 이벤트 판독부로 전달하는 이벤트 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19. 스마트키, 숫자키, 방향키, 선택키, 및 탭키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리모콘의 신호를 처리하여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내의 콤포넌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스마트 모드를 설정하고 복수개의 콤포넌트가 표시되는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류한 후, 디폴트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디폴트 영역내에 위치되는 디폴트 콤포넌트를 포커싱하는 모드 설정 단계;
    상기 숫자키가 선택되면, 상기 숫자키에 대응되는 분할영역을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내에 위치되는 디폴트 콤포넌트를 포커싱하는 영역 선택 단계;
    상기 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방향키의 방향으로 기포커싱된 콤포넌트에 인접된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는 이동 단계; 및
    상기 선택키가 선택되면 현재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콤포넌트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 동작을 수행하는 이벤트 수행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비교대상 콤포넌트의 가로 또는 세로 영역의 중심이 기준 콤포넌트에 포함되면, 상기 비교대상 콤포넌트는 상기 기준 콤포넌트와 동일한 행 또는 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제1 행렬 파악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비교대상 콤포넌트의 가로 또는 세로 영역의 일부가 기준 콤포넌트에 포함되면, 상기 비교대상 콤포넌트는 상기 기준 콤포넌트와 동일한 행 또는 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제2 행렬 파악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역의 시작 위치 및 영역 크기와 상기 콤포넌트의 시작 위치 및 영역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분할영역이 포함하는 상기 콤포넌트들을 파악하는 콤포넌트 위치 파악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콤포넌트 위치 파악 단계는
    두 개 이상의 분할영역들에 공통포함되는 콤포넌트가 존재하면, 상기 콤포넌트의 시작 위치를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상기 콤포넌트가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콤포넌트 위치 파악 단계는
    두 개 이상의 분할영역들에 공통포함되는 콤포넌트가 존재하면, 상기 콤포넌트의 영역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상기 콤포넌트가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영역과 상기 디폴트 콤포넌트의 선택 조건을 설정 및 변경하는 선택 조건 설정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모드시에 상기 스마트키 또는 상기 선택키가 추가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 모드를 해제하는 모드 해제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할영역들 각각을 선택하기 위한 숫자키를 상기 복수개의 분할 영역 각각에 매핑하는 영역 매핑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탭키에 따라 상기 기포커싱된 콤포넌트로부터 설정 개수의 콤포넌트만큼 떨어진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는 건너뛰기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탭키가 선택될 때에 새로운 콤포넌트를 포커싱하기 위해 상기 기포커싱된 콤포넌트로부터 건너뛰어야 하는 콤포넌트의 개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29. 방향키 및 탭키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리모콘의 신호를 처리하여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내의 콤포넌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방향키의 방향으로 기포커싱된 콤포넌트에 인접된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는 방향키 이동 단계;
    상기 탭키가 선택되면, 상기 기포커싱된 콤포넌트로부터 설정 개수의 콤포넌트만큼 떨어진 콤포넌트를 새로이 포커싱하는 탭키 이동 단계; 및
    상기 선택키가 선택되면 현재 포커싱된 콤포넌트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콤포넌트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 동작을 수행하는 이벤트 수행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탭키가 선택될 때에 새로운 콤포넌트를 포커싱하기 위해 상기 기포커싱된 콤포넌트로부터 건너뛰어야 하는 콤포넌트의 개수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 설정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비교대상 콤포넌트의 가로 또는 세로 영역의 중심이 기준 콤포넌트에 포함되면, 상기 비교대상 콤포넌트는 상기 기준 콤포넌트와 동일한 행 또는 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제1 행렬 파악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비교대상 콤포넌트의 가로 또는 세로 영역의 일부가 기준 콤포넌트에 포함되면, 상기 비교대상 콤포넌트는 상기 기준 콤포넌트와 동일한 행 또는 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제2 행렬 파악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KR1020060116366A 2006-11-23 2006-11-23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84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366A KR100847141B1 (ko) 2006-11-23 2006-11-23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366A KR100847141B1 (ko) 2006-11-23 2006-11-23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839A KR20080046839A (ko) 2008-05-28
KR100847141B1 true KR100847141B1 (ko) 2008-07-18

Family

ID=3966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366A KR100847141B1 (ko) 2006-11-23 2006-11-23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1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676A (ja) * 1994-12-20 1996-07-02 Toshiba Corp 通信制御装置
KR970068524A (ko) * 1996-03-22 1997-10-13 배순훈 리모콘 콘트롤러를 이용한 메뉴선택 방법(method for selecting the using remote controller)
KR20050022557A (ko) * 2003-08-20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방식 핫키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 및 그제어 방법
KR20060057071A (ko)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글 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676A (ja) * 1994-12-20 1996-07-02 Toshiba Corp 通信制御装置
KR970068524A (ko) * 1996-03-22 1997-10-13 배순훈 리모콘 콘트롤러를 이용한 메뉴선택 방법(method for selecting the using remote controller)
KR20050022557A (ko) * 2003-08-20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방식 핫키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 및 그제어 방법
KR20060057071A (ko)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글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839A (ko)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8479B2 (en)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23324B2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ther devices using the same
CN109618206B (zh) 呈现用户界面的方法和显示设备
US20100122207A1 (en) Broadcas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460652B (zh) 資訊瀏覽方法及儲存電腦程式的機器可讀媒體
US87890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70228133A1 (en) Image display control device,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JP2012128662A (ja) 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112463269B (zh) 用户界面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2015008118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추천 문자 제공 방법
US20140344862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500493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KR10187381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텐츠 추천 방법
KR20150142347A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그리고 멀티미디어 시스템
EP2750401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 thereof
JP2007114402A (ja) 表示処理装置
CN112584229A (zh) 一种显示设备切换频道的方法及显示设备
JP2007174267A (ja) 電子番組表の表示方法、電子番組表の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番組表
KR100847141B1 (ko)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방법
US939832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0700792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pplication with remote-controllable interface
JP2005167712A (ja) 番組表示方法、番組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EP2613523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91089A (ko) 데이터방송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을 사용한 사용자 입력장치와 방법
JP2011134131A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