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429B1 -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429B1
KR100846429B1 KR1020070037105A KR20070037105A KR100846429B1 KR 100846429 B1 KR100846429 B1 KR 100846429B1 KR 1020070037105 A KR1020070037105 A KR 1020070037105A KR 20070037105 A KR20070037105 A KR 20070037105A KR 100846429 B1 KR100846429 B1 KR 100846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advertisement
stream
inform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호권
이충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42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료채널을 광고와 함께 제공하여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광고와 함께 무료 제공이 가능한 유료 채널에 대해 사용자가 광고와 함께 무료로 시청하길 요청하는 경우, 방송사업자가 상기 유료 채널과 특정 광고를 먹싱하여 스트림을 생성 및 송출한다. 또한 상기 스트림을 특정 가입자만 수신 혹은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EMM을 함께 송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EMM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하여 광고 화면이 포함된 유료 채널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방송, 유료채널, ESG, EMM, 광고, 무료시청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휴대단말기{A method and a system for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and a mobile terminal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유료채널을 광고와 함께 제공하여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방송 전파를 디지털화하여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이 실현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구비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중의 방송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모바일 환경을 위한 디지털 방송 방식으로는 한국의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유럽의 DVB-H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미국의 미디어플로 (Mediaflo)가 대표적이다.
그 중, 상기 DVB-H는 유럽식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인 DVB-T (Digital Video Broadcasting-Television)를 모바일 환경에 적합하게 개량한 차세대 모바일 TV 기술이다.
상기 DVB-H에서는 방송이 스크램블(scramble)되어 송출되고, 시청권한이 확인된 휴대단말기에서만 디스크램블(descramble)되어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 기술이 적용된다. 이에 따라 방송사업자들은 특정 방송채널에 서비스 요금을 부과함으로써 방송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환경의 특성 상, 광고 수익을 올리기가 쉽지 않으며, 유료 채널의 과금 부담으로 인해 시청률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방송 사업자의 전체적인 수익률은 만족할 수준이 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비용부담으로 인해 사용자들 또한 유료 채널을 이용하는데 소극적일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광고를 함께 봄으로써 유료 채널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료채널을 광고와 함께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방송 사업자가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방송채널의 시청 중에 광고에 계속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주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은, 광고와 함께 무료로 제공될 수 있는 유료채널이 선택되면 휴대단말기가 해당 채널을 광고와 함께 무료로 시청할 것을 요구하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방송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가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유료채널과 특정 광고를 먹싱하여 생성한 스트림을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송출되는 스트림을 무료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수신이 가용한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특정 유료채널을 광고와 함께 시청하겠다는 요구가 수신되면, 상기 유료채널과 특정 광고를 먹싱한 스트림을 생성하여 특정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방송사업자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스트림의 시청 권한을 갖는 권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권한발행 서버와; 상기 스트림에 먹싱되는 특정 광고의 광고비용 정산을 위해 상기 생성한 스트림의 송출 정보를 저장하는 빌링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방송수신을 위한 방송수신부와; 상기 방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될 방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방송수신부에 수신되는 방송채널의 화면 표시를 위한 표시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특정 유료채널에 대해 광고 시청을 통한 무료 시청을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될 사용자 요구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상기 요구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0)는, 방송수신을 위한 방송수신부(110)와; 상기 방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될 방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부(120)와; 상기 방송수신부(110)에 수신되는 방송채널의 화면 표시를 위한 표시부(130)와; 상기 입력부(120)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유료채널에 대해 광고 시청을 통한 무료 시청을 요청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요청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150)와; 상기 수집된 정보와 함께 상기 요청을 전달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60)와;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방송수신전용단말기이거나 혹은 셀룰러폰, PCS, PDA, 노트북, 내비게이터와 같은 방송수신기능을 겸비한 휴대용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상기 방송수신부(110)는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되는 채널의 주파수 동조를 위한 튜너와;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에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3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LCD, PDP, 전계발광소자(예컨대 유기EL)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100)의 메뉴 및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및 그래픽의 형태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영상 제어기나 영상 데이터의 버퍼링을 위한 영상버퍼,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영상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150)는 상기 저장부(170)에 기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유료채널의 채널 식별자(ID: Identity), 컨텐츠ID 및 단말기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주소, 카스(CAS: Conditional Access System) 스마트키(Smart key)를 포함하는 정보(이하, '사용자 요구 정보'라 함)를 수집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채널정보와 가입자 정보,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정보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데이터 혹은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채널정보는 방송관련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실행될 때 다운로드(download) 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될 광고 화면 영역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생성부는 상기 입력부(120)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될 유료채널의 화면 영역 상에서 광고 화면 영역이 놓이게 될 위치와 크기가 조정되면, 상기 조정된 광고 화면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정보(이하 '화면 구성 정보'라 함)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화면 구성 정보는 광고 화면 영역의 화소 정보(예컨대, width=610:790, height=480:590)일 수 있다.
상기 화면 구성 정보는 상기 수집부(150)에 의해 상기 사용자 요구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성부와 수집부(150)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상기 제어부(140)에 포함될 수 있으며, 혹은 제어부(140)와 함께 하나의 IC(Integrated Circuit)칩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60)는 RF(Radio Frequency)모듈,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휴대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통해 상기 사용자 요구 정보를 방송사업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0)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내부메모리 혹은 탈착 가능한 가입자식별모듈(Subscribe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 혹은 둘 모두일 수 있다. 상기 SIM 카드는 CAS SIM 카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인가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인가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채널이 유료채널인지의 여부 및 유료채널인 경우 광고와 함께 무료로 제공될 수 있는 채널(이하 '스폰서(sponsor) 채널'이라 함)인지의 여부를 상기 저장부(170)에 기저장된 해당 채널의 채널정보(예컨대 ESG)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정보는 예컨대, 하기의 [표 1]과 같은 형식을 가질 수 있다.
Index Variable Value
1 Channel ID cbms://samsungtelecomitalia.it/content/5/MBC
2 Content Title Tiger King
3 Duration 2007/3/31/12:30:00
4 Related service Sponsor
상기 [표 1]에 기입된 바와 같이, 채널 정보는 해당 채널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1. Channel ID는 컨텐트의 식별자를 나타내며, 2. Content Title은 해당 컨텐트(방송 프로그램)의 제목(Tiger King)을 나타낸다. 또한, 3. Duration은 해당 채널을 시청할 수 있는 기간(2007년 3월 31일 12시 30분까지)을 나타내며, 4. Related service는 해당 채널의 스폰서 채널 여부(스폰서 채널임)를 나타낸다. 만약 Related service 값이 비어있다면, 해당 채널이 스폰서 채널이 아님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이 스폰서 채널인 경우 상기 수집부(150)를 제어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한 사용자 요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수집된 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스폰서 채널의 시청을 요구하는 메시지(이하 '요구 메시지'라 함)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통신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생성된 요구 메시지를 방송사업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구 메시지는 WAP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무선통신부(160)를 통해 상기 방송사업자로부터 상기 요청된 스폰서 채널의 시청권한(혹은 수신자격)을 포함하는 메시지(이하 '권한 메시지'라 함)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권한 메시지는 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혹은 KMM(Key Management Message)일 수 있다. 상기 권한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요구 정보에 포함된 카스 스마트키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휴대단말기(100)만이 해당 방송 스트림(stream)을 디스크램블(descramble)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스 스마트키와 대응되는 UA(User Agent)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방송사업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요청된 스폰서 채널과 특정 광고가 먹싱(muxing)된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권한 메시지에 포함된 시청권한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스크램블된(scrambled)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하여 재생한다. 상기 스트림은 상기 스폰서 채널과 특정 광고가 먹싱된 것으로 유료채널 화면과 광고 화면이 한 화면에 포함된다. 상기 스트림은 상기 화면 구성 정보에 맞추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외부 저장 매체를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을 가능토록 하는 저장매체 삽입부,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모바일 뱅킹 칩과 같은 전자 결재 모듈, 카메라 모듈, 외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연결 단자, 배터리 모듈, 충전용 단자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유닛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200)은, 방송수신이 가용한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유료채널을 광고와 함께 시청하겠다는 요구가 수신되면, 상기 유료채널과 특정 광고를 먹싱한 스트림을 만들어 특정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방송사업자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실시간 방송 채널을 송출하거나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100)(혹은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이 유료채널인 경우, 해당 채널이 광고와 함께 시청하면 무료로 제공되는 채널(스폰서 채널)인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채널의 유료채널 여부, 스폰서 채널 여부는 해당 채널의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채널 정보는 기저장된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데이터 혹은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채널 정보는 방송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외에도, 주기적으로 혹은 상기 서버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전원이 켜지거나 통신이 두절되었다 재개되는 경우 등에 갱신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유료채널이 스폰서 채널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광고와 함께 무료로 시청하시겠습니까?"와 같은 광고 시청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예' 혹은 '아니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광고 시청을 함께하여 유료채널을 무료로 이용할 것인지 아니면 비용지불을 감수하고 광고 없이 유료채널을 이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유료채널을 광고와 함께 무료로 이용하는 것이 선택되었는지, 광고 없이 시청하는 것으로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유료채널을 광고와 함께 무료로 이용하는 것이 선택된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사용자 요구 정보(채널ID, 컨텐츠ID, 단말기 IP, CAS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로 전송한다. 상기 요구 메시지 혹은 사용자 요구 정보에는 사용자에 의해 구성 혹은 선택되는 화면 구성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유료채널을 광고와 함께 무료로 이용하는 것이 선택된 경우, 광고화면 영역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입력 조작을 통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적절한 입력을 통해 광고 화면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이때 광고 화면 영역은 기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작게 조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수신되는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요구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유료채널과 특정 광고를 먹싱하여 하나의 스트림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유료채널 화면에서의 특정 광고의 화면 위치 및 크기를 상기 화면 구성 정보에 맞게 조정하여 먹싱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광고는 해당 채널에 명시된 광고주의 광고이거나 혹은 방송사업자가 임의로 편성한 광고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해당 유료채널에 특정 광고주가 명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광고주가 명시된 경우 명시된 광고주의 광고를 이용하고, 광고주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 임의로 광고를 선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권한 메시지(예컨대, EMM, KMM)를 생성하는 권한발행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권한 발행 서버는 해당 서비스를 요청한 휴대단말기(100)만 상기 생성된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할 수 있도록,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로부터 상기 사용자 요구 정보에 포함된 카스 스마트키에 대한 정보를 받아 상기 카스 스마트키와 대응되는 UA(User Agent) 번호를 상기 권한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권한발행 서버(220)는 EMM 서버일 수 있다.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상기 권한발행 서버(220)로부터 상기 권한 메시지를 받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상기 생성된 스트림을 서비스할 채널 ID를 ESG와 같은 채널 정보에 실어 상기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상기 생성된 스트림을 스크램블하여 해당 채널을 통해 송출한다.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한 휴대단말기(100)는 기저장된 채널 정보를 갱신하고, 수신된 채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채널 ID를 기반으로 채널 주파수를 맞추어 상기 유료채널과 광고를 먹싱하여 만든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기저장된 카스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시청권한을 갖는 메시지를 해독함으로써 특정 키를 얻을 수 있고, 상기 특정 키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램블된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광고주에게 광고비용을 요구하기 위해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로부터 유료채널의 무료제공에 이용된 광고 및 해당 광고의 송출시간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광고 송출 정보)를 받아 저장하는 빌링 서버(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상기 생성한 스트림을 송출할 때, 상기 빌링 서버(230)에 광고 송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해당 방송의 시청 종료 시, 상기 빌링 서버(230)에 광고 시청 종료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광고를 시청한 시간을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광고주에게 광고 비용을 부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10 단계에서 유료 채널이 선택되면, S420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선택된 유료채널이 스폰서 채널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폰서 채널인 경우, S430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광고와 함께 스폰서 채널을 무료로 시청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에 "광고와 함께 무료로 시청하시겠습니까?"와 같은 광고 시청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입력부(12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광고와 함께 스폰서 채널을 무료로 시청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유료채널이 스폰서 채널이 아니거나, 스폰서 채널을 광고와 함께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S440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해당 유료채널의 구매/인증 등의 일반적인 유료채널 시청절차에 따라 선택된 유료채널을 수신하고 재생할 수 있다.
한편 광고와 함께 상기 스폰서 채널을 무료로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S450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로 전송한다.
S460단계에서 상기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상기 선택된 스폰서 채널과 특정 광고를 먹싱하여 스트림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ID를 기반으로 선택된 스폰서 채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화면 구성 정보에 맞게 광고 화면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선택된 스폰서 채널과 특정 광고를 먹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스폰서 채널에 명시된 광고가 있는 경우 명시된 광고를 상기 스폰서 채널과 먹싱하고, 명시된 광고가 없는 경우 임의로 편성한 광고를 상기 스폰서 채널과 먹싱할 수 있다.
S470 단계에서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상기 권한발행 서버(220)로부터 상기 생성한 스트림의 시청 권한을 갖는 권한 메시지를 받아 송출한다.
그리고 S480 단계에서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상기 생성한 스트림을 서비스할 채널의 채널 ID를 채널 정보에 포함시켜 송출한다.
그리고 S490 단계에서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상기 생성한 스트림을 스크램블하여 해당 채널을 통해 송출한다.
S500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채널 정보를 받아 기저장된 채널 정보를 갱신한다.
채널 정보의 갱신이 완료되면, S510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채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생성된 스트림의 채널 ID를 기반으로 해당 채널에 주파수를 맞추어 송출되는 스트림을 수신한다.
그리고 S520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되는 권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스크램블된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하고 재생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권한 메시지를 해독하여 특정 키를 얻을 수 있고, 이 특정 키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방송 시청이 종료되면, S540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로 시청이 종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방송시청 종료를 인식한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상기 권한 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210)는 S560 단계에서 상기 빌링 서버(230)에 광고 송출 정보를 기록하고, S570 단계에서 스트림 송출을 중단한다.(스트림 생성 포함)
S580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채널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 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휴대단말기는, 유료 채널을 광고와 함께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덜고, 방송 시청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료채널을 무료로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광고에 대한 광고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방송사업자의 수익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료채널에 광고화면을 먹싱하여 송출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화면을 임의로 닫을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방송시청시간 동안 광고화면에 계속 노출되도록 하여 광고주의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Claims (30)

  1. 광고와 함께 무료로 제공될 수 있는 유료채널이 선택되면 휴대단말기가 해당 채널을 광고와 함께 무료로 시청할 것을 요구하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방송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가, 시청 권한을 갖는 휴대 단말기만 스크램블된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권한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유료채널과 특정 광고를 먹싱하여 생성된 스트림을 스크램블하여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송출되는 스트림 및 권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권한 메시지에 포함된 스크램블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스트림을 스크램블정보에 의해 디스크램블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요구 메시지 전송 단계는
    유료채널이 선택되면 선택된 유료 채널이 광고와 함께 무료로 제공될 수 있는 스폰서 채널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스폰서 채널인 경우, 해당 채널의 채널 식별자와 카스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요구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요구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메시지는
    화면 상의 광고 화면 영역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한 화면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는
    상기 화면 구성 정보에 맞게 광고 화면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선택된 유료채널과 특정 광고를 먹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서 채널의 판단은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의 권한 메시지와 스트림의 송출 단계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유료채널과 특정 광고를 먹싱하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해당 스트림의 시청 권한을 갖는 권한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스트림을 서비스할 채널의 채널 ID를 포함하는 채널정보를 송출하는 단계와;
    해당 채널을 통해 상기 생성된 스트림을 스크램블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메시지는
    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트림 재생 단계는
    상기 송출되는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된 채널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와;
    갱신된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채널에 주파수를 맞추어 상기 송출되는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출되는 권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하고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가 광고비용 정산을 위해 상기 생성한 스트림의 송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11.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특정 유료 채널을 광고와 함께 무료로 시청할 것을 요구하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방송수신이 가용한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특정 유료채널을 광고와 함께 시청하겠다는 요구가 수신되면, 시청 권한을 갖는 휴대 단말기만 스크램블된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권한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기 유료채널과 특정 광고를 먹싱하여 생성된 스트림을 스크램블하여 특정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방송사업자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유료 채널은
    광고와 함께 무료로 시청 가능한 스폰서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서 채널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기저장된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ESG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메시지는
    채널 식별자와 카스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스트림의 시청 권한을 갖는 권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권한발행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사업자 서버는
    상기 권한발행 서버에서 생성된 권한 메시지를 받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권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권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송출되는 스트림을 받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에 먹싱되는 특정 광고의 광고비용 정산을 위해 상기 생성한 스트림의 송출 정보를 저장하는 빌링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21. 방송수신을 위한 방송수신부와;
    상기 방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될 방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방송수신부에 수신되는 방송채널의 화면 표시를 위한 표시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특정 유료채널에 대해 광고 시청을 통한 무료 시청을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될 사용자 요구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상기 요구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유료채널의 채널 식별자와 카스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요구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광고 화면 영역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한 화면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 정보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유료 채널은
    광고와 함께 무료로 시청 가능한 스폰서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ESG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폰서 채널을 구분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무선응용프로토콜(WAP)을 통해 상기 생성된 요 구 메시지를 방송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
  28.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방송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시청을 요구한 유료채널과 특정 광고가 먹싱된 스트림의 시청권한을 갖는 EMM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사업자로부터 상기 시청을 요구한 유료채널과 특정 광고가 먹싱된 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EMM에 포함된 시청권한을 이용하여 수신된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
  30.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카스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SIM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
KR1020070037105A 2007-04-16 2007-04-16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휴대단말기 KR100846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105A KR100846429B1 (ko) 2007-04-16 2007-04-16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105A KR100846429B1 (ko) 2007-04-16 2007-04-16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429B1 true KR100846429B1 (ko) 2008-07-16

Family

ID=3982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105A KR100846429B1 (ko) 2007-04-16 2007-04-16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4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137A (ja) 1997-11-19 1999-06-08 Adams:Kk 有料チャンネルに対する広告付加選択システム
KR20010017377A (ko) * 1999-08-11 2001-03-05 김철 텔레비전 방송에서의 광고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 장치
WO2005025220A1 (en) 2003-09-05 2005-03-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forced commercial viewing
KR20050117726A (ko) * 2004-06-11 200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137A (ja) 1997-11-19 1999-06-08 Adams:Kk 有料チャンネルに対する広告付加選択システム
KR20010017377A (ko) * 1999-08-11 2001-03-05 김철 텔레비전 방송에서의 광고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 장치
WO2005025220A1 (en) 2003-09-05 2005-03-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forced commercial viewing
KR20050117726A (ko) * 2004-06-11 200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360E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spectators with audio/video signals pertaining to remote events
KR100795648B1 (ko) 데이터 송신 장치, 데이터 수신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데이터 수신 방법,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및재생 방법
US69861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content to be presented to a user
US8161412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CN102460578B (zh) 自动联系信息传输系统
KR101094553B1 (ko) 실시간 방송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CN101662647A (zh) 终端设备、音/视频系统及其方法
KR20010062056A (ko) 방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US20080249944A1 (en) System of offering digital broadcasting using pip of portable terminal,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CA257088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nveying personalized content to a viewer
US20180084295A1 (en) Interactive video system
CN101356815B (zh) 在播送节目之间进行单独更换的装置和方法
US20040062395A1 (en) Receiver for digital broadcast programs in accordance with receiver profile, and billing method therefor
KR100846429B1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휴대단말기
JP4210295B2 (ja) 携帯端末用放送通信システム
KR100981252B1 (ko) 쿠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JP2002300556A (ja) Tv受信料支払代行システム
CN2938648Y (zh) 一种手机电视终端
JP2001008185A (ja) データ記録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9635435B1 (en) Enhanced content access systems and methods
JP2007282168A (ja) 放送等の受信における視聴画像制御方法
JP2008219691A (ja) 映像配信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1359061A (ja) データ送出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出方法、及びデータ受信方法
KR100966560B1 (ko)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유료시청(ppv) 프로그램 시청 방법
KR100948487B1 (ko) 이동통신망 기반의 방송시청 권한 부여 시스템 및 방법,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