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289B1 -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289B1
KR100846289B1 KR1020060045769A KR20060045769A KR100846289B1 KR 100846289 B1 KR100846289 B1 KR 100846289B1 KR 1020060045769 A KR1020060045769 A KR 1020060045769A KR 20060045769 A KR20060045769 A KR 20060045769A KR 100846289 B1 KR100846289 B1 KR 100846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hannel
broadcast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2635A (ko
Inventor
이동기
김현국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6004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289B1/ko
Priority to PCT/KR2007/002475 priority patent/WO2007136217A1/en
Priority to US12/224,985 priority patent/US20090135952A1/en
Publication of KR2007011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권역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방송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가 개시된다. 무선송수신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저장한다. 그리고, 시스템 정보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표시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따라서, 방송권역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방송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searching for broadcasting channel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20 : 표시부
30 : 제어부 40 : 저장부
50 : 방송수신부 60 : 무선송수신부
70 : 방송권역 추출모듈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에 적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약칭함) 서비스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작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DMB 전용 수신기, PDA(Personel Digital Assistant)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이동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지상파 DMB 서비스는 디지털 방송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중에 TV 동영상, 라디오 및 문자방송 수신이 가능한 서비스로 CD 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또는 영상서비스 등이 가능하고, 우수한 고정 및 이동 TV 품질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식의 통신과 방송이 융합된 멀티미디어 이동방송 서비스이다.
지상파 DMB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방송망은 동일 주파수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지역에 대해 단일 주파수망으로 구성되지 않고 방송권역별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한다. 즉, 동일한 방송에 대해 방송 권역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특정 방송권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이 설정된 휴대용 단말기가 방송권역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기설정된 방송채널 이 수신되지 않게 된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방송채널이 설정된 방송권역과 다른 방송권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방송채널 설정 기능을 직접 실행시켜 방송채널을 재설정해야 하고, 방송 권역이 달라질 때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권역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방송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권역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방송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시스템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SID(system identification) 및 NID(network identification)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채널과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한 상기 방송채널을 시청 회수에 따라 정렬한 후 정렬된 상기 방송채널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한 상기 방송채널을 수신 감도에 따라 정렬한 후 정렬된 상기 방송채널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방송권역 및 상기 방송권역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시스템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에서 상기 방송권역을 추출한 후 추출된 상기 방송권역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방법은, 수신된 시스템 정보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는 방송채널 독출단계 및 상기 독출된 방송채널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SID 및 NID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채널과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송채널 검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방법은, 수신된 시스템 정보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방송권역을 추출하는 방송권역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방송권역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는 방송채널 독출단계 및 상기 독출된 방송채널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방송이라 함은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방송이라 함은 지상파 DMB 방송 및 유럽 방식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송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는 키입력부(10), 표시부(20), 제어부(30), 저장부(40), 방송수신부(50) 및 무선송수신부(6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0)는 복수의 문자, 숫자 입력 키 및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키조작에 대응되는 키이벤트 신호를 제어부(30)로 전달한다. 특히, 키입력부(10)는 방송채널 자동검색 설정/해제, 방송채널 검색, 방송채널 선택 등에 해당하는 키가 조작되면 이에 상응하는 키이벤트 신호를 제어부(30)로 전달한다.
표시부(20)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와 같은 표시 장치이며,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거나, 여러 가지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방송 시청시에는 방송 영상을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20)는 방송채널 자동검색 설정/해제, 방송권역, 채널 표시, 채널 검색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방송채널의 자동검색 기능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30)로부터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의 검색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한다.
제어부(30)는 키입력부(10)로부터 방송채널 자동검색 설정에 해당하는 키이벤트 신호가 활성화되면 무선송수신부(60)를 통해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system parameter message)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에서 SID(System IDentification) 정보와 NID(Network IDentification) 정보를 추출한다.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초기화(initialization) 과정이 수행된 후 대기 상태(idle state)에 들어간다. 초기화 과정은 휴대용 단말기를 부팅(booting)시키고 파일롯 채널(pilot channel), 싱크 채널(sync channel)을 수신하는 것을 말하며, 대기 상태는 휴대용 단말기가 모든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완료한 후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메시지를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말한다.
페이징 채널 메시지는 모든 단말기가 기본적으로 수신해야 하고, 중요한 시스템 정보가 포함된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를 의미한다. 오버헤드 메시지는 크게 컨피규레이션 메시지(configuration message)와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로 구분되며, 컨피규레이션 메시지에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가 포함된다.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는 SID 정보, NID 정보, 기지국 정보, 기지국의 섹터별 지정값들이 포함된다. SID 정보는 시스템 번호 즉, 서로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간을 구분하기 위한 번호로써 15비트로 구성된다. NID 정보는 SID 정보의 하위 개념으로써 네트워크 즉, 이동통신 사업자가 여러 개의 교환기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각 교환기를 구분하는 번호를 말하며 16비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현재 위치 하는 지역(방송권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자동으로 검색하기 위해 SID 및 NID 정보를 이용한다.
제어부(30)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로부터 SID, NID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SID, NID 정보와 대응되는 방송채널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방송채널이 존재하는 경우는 이를 표시부(20)에 표시한다.
데이터베이스에 SID, NID 정보와 대응되는 방송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0)는 방송수신부(5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에서 방송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채널과 SID, NID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와 동시에 검색된 방송채널을 표시부(20)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는 검색된 방송채널을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된 방송채널을 표시부(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우선순위 적용의 예를 들면, 제어부(30)는 사용자가 특정 방송채널을 시청시마다 데이터베이스에 방송채널 시청 회수와 시청 시간 등과 같은 방송채널 시청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키입력부(10)로부터 방송 시청에 해당하는 키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시간에 시청 회수가 가장 많은 방송채널을 표시부(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제일 상위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즐겨 시청하는 방송채널을 간단한 키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제어부(30)는 방송채널의 검색시에 검색된 방송채널과 방송채널의 수 신 감도를 같이 저장하고, 방송채널이 표시부(20)에 표시될 때 수신 감도가 가장 좋은 방송채널부터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부(4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40)에는 제어부(30)로부터 수신된 SID, NID 정보 및 방송채널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40)에는 SID, NID 정보와 방송채널 이외에도 각각의 방송채널별로 사용자가 해당 방송채널을 시청한 시간 및/또는 시청 회수 등도 저장될 수 있다.
방송수신부(50)는 안테나(ANT1)와 연결된 튜너(미도시) 및 복조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튜너는 제어부(30)로부터 수신된 채널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ANT1)로 수신된 고주파 신호로부터 선택된 방송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추출한다.
복조기는 튜너로부터 방송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제어부(30)에 제공함으로써 제어부(30)가 현재 방송권역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송수신부(30)는 상기와 같은 기능 이외에도 안테나(ANT1)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가 시청될 수 있도록 변환한다.
무선송수신부(60)는 안테나(ANT2)를 통하여 수신되는 고주파(radio frequency) 신호를 기저대역(baseband)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0)에 제공함으로써 제어부(30)가 수신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2)를 통해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화된 후,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해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가 지속적으로 수신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30)는 무선송수신부(60)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고(단계 101), 수신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서 SID 및 NID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103).
이후, 제어부(30)는 추출된 SID, NID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저장부(4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단계 105), 데이터베이스에 추출된 SID, NID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07).
SID, NID 정보 대응되는 방송채널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검색된 방송채널이 표시부(2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키입력부(10)로부터 방송채널 검색에 해당하는 키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111), 방송채널 검색에 해당하는 키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방송수신부(5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한다(단계 113).
그리고, 검색된 방송채널이 단계 103에서 추출된 SID, NID 정보와 연관되도 록 SID, NID 정보 및 방송채널을 저장부(4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115).
단계 113에서 수행되는 방송채널 검색은 추출된 SID, NID 정보에 해당하는 방송채널이 표시부(20)에 표시된 후에 실행되는 것이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현재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재검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107에서 판단결과, 추출된 SID, NID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단계 113으로 진행하여 방송채널을 검색한다.
그리고, 단계 111에서 키입력부(10)로부터 방송채널 검색에 해당하는 키이벤트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사용자가 방송채널 검색을 실행시키지 않은 것을 의미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과정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단계 201에서 단계 207까지는 도 2에 도시한 단계 101에서 단계 107까지와 내용이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단계 207에서 판단결과, 추출된 SID, NID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검색된 방송채널을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한다(단계 209). 우선순위의 예로는 방송채널별 시청 회수 또는 수신감도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된 방송채널의 목록을 표시부(20)에 표시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좋아하는 방송채널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211).
다음으로, 제어부(30)는 키입력부(10)로부터 방송채널 검색에 대한 키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213), 방송채널 검색에 해당하는 키이벤트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 수신부(5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한다(단계 215).
그리고 제어부(30)는 단계 203에서 추출된 SID, NID 정보와 검색된 방송채널 및 각 방송채널과 관련된 우선순위 정보을 저장부(4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단계 217), 단계 209로 되돌아가서 검색된 방송채널을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고,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예를 들어, 방송채널의 수신감도를 우선순위 정보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30)는 현재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채널과 방송채널 각각의 수신감도를 방송채널과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표시부(20)에 방송채널을 표시할 때는 수신감도에 따라 방송채널을 정렬하고, 정렬된 방송채널을 표시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수신감도가 양호한 방송채널을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30)는 SID 및 NID 정보에 대등되는 방송채널을 저장부(4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방송채널을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부(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채널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표시부(20)에 방송채널이 표시된 후 사용자에 의해 방송채널 검색이 실행되면 방송채널을 검색하여 추출된 SID, NID 정보와 검색된 방송채널 및 우선순위 관련 정보를 서로 연관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이와 동시에 표시부(20)에 표시한다.
단계 207에서 판단결과, SID, NID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단계 215로 진행하여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한다.
그리고, 단계 213에서 제어부(30)는 키입력(10)로부터 방송채널 검색에 해당하는 키이벤트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사용자가 방송채널 검색을 실행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과정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는 키입력부(10), 표시부(20), 제어부(35), 저장부(40), 방송수신부(50), 무선송수신부(60) 및 방송권역 추출모듈(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키입력부(10), 표시부(20), 방송수신부(50) 및 무선송수신부(60)는 도 1에 도시된 도면부호가 동일한 구성요소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35)는 내부에 방송권역 추출모듈(70)을 포함하고 키입력부(10)로부터 방송채널 자동검색 설정에 해당하는 키이벤트 신호가 활성화되면 무선송수신부(60)를 통해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에서 SID 및 NID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방송권역 추출모듈(70)은 추출된 SID, NID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권역을 저장부(45)로부터 읽어온다. SID, NID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권역은 저장부(45)에 미리 설정된다. SID, NID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권역이 저장되는 저장부(45)는 바람직하게는 EEPROM이 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5)는 방송권역 추출모듈(70)로부터 추출된 방송권역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이 저장부(40)의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방송채널이 존재하는 경우는 이를 표시부(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추출된 방송권역에 대응하는 방송채널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5)는 방송수신부(5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서 방송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채널을 저장부(45)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와 동시에 표시부(20)에 표시한다.
저장부(45)는 플래쉬 메모리, RAM, EEPROM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45)에는 SID, NID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방송권역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45)에는 방송권역 및 각각의 방송권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이 저장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 채널 자동검색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화된 후,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해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가 지속적으로 수신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35)는 무선송수신부(60)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고(단계 301), 수신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서 SID 및 NID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303).
이후, 제어부(35)는 추출된 SID, NID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권역을 저장부(45)에서 독출함으로써, 현재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하는 지역에 해당하는 방송권역을 추출한다(단계 305).
그리고, 제어부(35)는 추출된 방송권역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저장부(45)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단계 307), 방송권역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09).
추출된 방송권역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5)는 검색된 방송채널이 표시부(2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단계 311).
그리고, 제어부(35)는 키입력부(10)로부터 방송채널 검색에 해당하는 키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313), 방송채널 검색에 해당하는 키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방송수신부(5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방송권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한다(단계 315).
그리고, 제어부(35)는 추출된 방송권역과 검색된 방송채널을 저장부(45)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함으써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단계 317), 단계 311로 되돌아가서 검색된 방송채널을 표시부(20)에 표시한 후 이후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단계 309에서 판단결과, 저장부(45)의 데이터베이스에 휴대용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는 방송권역에 해당하는 방송채널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5)는 단계 315로 진행하여 현재 방송권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하고 이후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단계 313에서 판단결과, 키입력부(10)로부터 방송채널 검색에 해당하는 키이벤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사용자가 방송채널 검색을 실행시키지 않은 것을 의미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SID 및 NID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수신되는 SID 및 NID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시청 가능한 방송채널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시스템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SID(system identification) 및 NID(network identification)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채널과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한 상기 방송채널을 시청 회수에 따라 정렬한 후 정렬된 상기 방송채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한 상기 방송채널을 수신 감도에 따라 정렬한 후 정렬된 상기 방송채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7.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방송권역 및 상기 방송권역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시스템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에서 상기 방송권역을 추출한 후 추출된 상기 방송권역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SID 및 NID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방송권역에 해당하는 방송채널이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속하는 방송권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채널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10. 수신된 시스템 정보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단계;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는 방송채널 독출단계; 및
    상기 독출된 방송채널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SID 및 NID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채널과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송채널 검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방법.
  13. 수신된 시스템 정보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단계;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방송권역을 추출하는 방송권역 추출단계;
    상기 추출된 방송권역에 대응되는 방송채널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는 방송채널 독출단계; 및
    상기 독출된 방송채널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SID 및 NID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방법은, 상기 추출된 방송권역에 해당하는 방송채널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속하는 방송권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채널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방법.
KR1020060045769A 2006-05-22 2006-05-22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및 방법 KR100846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769A KR100846289B1 (ko) 2006-05-22 2006-05-22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및 방법
PCT/KR2007/002475 WO2007136217A1 (en) 2006-05-22 2007-05-22 Portable terminal having automatic searching function for broadcasting channel and method for searching broadcasting channel automatically in portable terminal
US12/224,985 US20090135952A1 (en) 2006-05-22 2007-05-22 Portable Terminal Having Automatic Searching Function For Broadcasting Channel And Method For Searching Broadcasting Channel Automatically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769A KR100846289B1 (ko) 2006-05-22 2006-05-22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635A KR20070112635A (ko) 2007-11-27
KR100846289B1 true KR100846289B1 (ko) 2008-07-16

Family

ID=3909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769A KR100846289B1 (ko) 2006-05-22 2006-05-22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2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253A (ko) * 2003-11-21 2005-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주파수 및 프로그램 자동전환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253A (ko) * 2003-11-21 2005-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주파수 및 프로그램 자동전환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635A (ko) 200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45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디지털 방송 채널 등록 및 표시방법
KR10099976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부가정보 저장 및이용방법
US20060245605A1 (en) Broadcast receiver, broadcast reception control program, and reception channel switching method
KR1006452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채널정보 제공장치와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으로의 자동접속방법과 채널접속정보 제공방법
KR101174659B1 (ko) 방송수신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방송정보 서비스 방법
CN101123478B (zh) web服务提供系统和web服务提供方法
US200801633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informa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35952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utomatic Searching Function For Broadcasting Channel And Method For Searching Broadcasting Channel Automatically In Portable Terminal
US20070204306A1 (en) Program searching in digital multimedia terminal
KR101345662B1 (ko)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기
KR20060074479A (ko) 디지털 방송 채널정보 표시 단말기 및 방법
EP173475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JP5398998B2 (ja) 放送波受信端末装置及び放送番組選定方法
WO20060225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ching dmb programs on a mobile terminal by direct channel input
KR10084628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및 방법
US8661474B2 (en) Mobile terminal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thereor
US200600754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a digital broadcasting program
KR10087955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자동검색 장치 및 방법
JP6488565B2 (ja) データ放送情報制御装置、データ放送情報表示システム、データ放送情報制御方法およびデータ放送情報制御装置プログラム
CN100435565C (zh) 利用生成的子频道表的频道搜索装置及方法
KR20070000751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검색어 입력을 통한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KR101613729B1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19990081501A (ko) 문자 페이져에서 수신되는 문자정보에 따른 아이콘 표시방법
KR101265620B1 (ko)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단말기
KR101499957B1 (ko) 디지털방송 수신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