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075B1 -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075B1
KR100846075B1 KR1020080012508A KR20080012508A KR100846075B1 KR 100846075 B1 KR100846075 B1 KR 100846075B1 KR 1020080012508 A KR1020080012508 A KR 1020080012508A KR 20080012508 A KR20080012508 A KR 20080012508A KR 100846075 B1 KR100846075 B1 KR 10084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lamp
water
ultraviolet
sterilize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석
김태일
이호일
송재강
Original Assignee
(주) 시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온텍 filed Critical (주) 시온텍
Priority to KR1020080012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4Lamp cleaning installations, e.g.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는 살균하고자 하는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10); 자외선램프(20)가 수용되며, 상기 공급관(10)으로 공급된 물이 공급되어 수용된 자외선램프(20)의 외부로 흐르도록 하여 상기 자외선램프(20)의 자외선조사에 의해 살균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하우징(30); 상기 자외선램프 하우징(30)으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불용성전극(DSA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불용성전극에 의해 전해 살균된 전해살균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불용성전극 하우징(40); 상기 자외선램프 하우징(30)이 거치되는 거치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자외선램프(20)는 테프론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외선램프와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살균하게 되므로 살균 뿐만아니라, 소금이나 기타 첨과물을 첨과하지 않고도 물속에 녹아있는 염분기만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켜 물속에 잔류시킴으로서 2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자외선램프의 재질을 소수성이고 세정성이 우수한 테프론관을 이용함으로써 자외선램프에 끼는 물때,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이 점착되지 않아 세척주기를 연장할 수 있고, 자외선 투과효율을 높여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외선램프, 전기분해, 불용성전극, 테프론관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Hybrid UltraViolet Sterilize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램프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의 살균 소독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 가장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적게 드는 장치는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살균방식이다. 자외선램프는 일반 자외선램프가 있고 오존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램프가 있다. 이들 방식은 AOP방식으로 OH라디칼이라는 중간생성 물질을 생성하여 각종오염물질인 유기물을 산화처리하는 기술을 뜻하는데 이는 방전 램프에 자외선 파장인 253.7㎚와 오존 생성파장인 184.9㎚를 동시 발생시켜 주면 및 공기 중의 산소(O₂)와 결합하여 광분해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OH라디칼을 생성 산화처리 하는 방식이다.
특히 이 AOP방식은 독성을 전혀 남기지 않으면서 완벽한 살균력을 나타낼 수 있는데 기존의 산화제인 염소, 이산화염소, 과망간산칼륨 등보다 훨씬 강한 산화력 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존발생기 단독사용에 비해서는 독성이나 잔류물질을 남기지 않으면서 최소 10배 에서 10,000배까지 반응속도를 높일 수 있는데 실제 한국화학시험연구소 살균력 실험결과에 의하면 오존발생기대비 150배 이상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생성된 OH Radical의 주요 효능은 살균, 소독작용, 표면 활성화작용, 난분해성 유기물질 산화분해, 탈색, 탈취, 탈미 작용, 발암성물질(THM)의 생성억제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균주에 관계없이 고른 살균효과로 인해 수질에 있어서는 초순수 살균처리로 무균처리는 물론 수질의 신선도를 6배나 증대시키므로 물탱크 및 배관내부의 스케일까지 방지할 수 있으며, 실내공기 정화에 있어서도 살균, 탈취가 가능하므로 지하수정화, 살균, 물 정화, 식품 살균처리, 농산물살균처리, 수산물 살균처리 등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적용분야에 있어서는 제약회사, 청량음료공장, 농수산물공장, 원예재배, 무농약 재배, 호텔, 식품제조 및 가공회사, 종합병원, 아파트단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방법의 단점은 시간이 지나면 램프 표면에 여러 가지 이물질이 부착되어 자외선램프의 자외선 방사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자외선 살균효과가 저하되게 되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기적인 램프의 세척이 필요하다. 이는 누군가가 관리해야 하는데 번거롭고 전문적으로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시 자외선램프에 끼는 물때나 스케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물탱크 내에서는 자외선램프에 의한 살균력으로 세균이 번식을 하지 못하지만 물탱크를 거쳐 각 가정으로 들어가는 배관이나 수도꼭지에 있는 2차세균에 대해서는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어 세균번식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사용시에도 자외선램프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줄여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램프가 강한 살균력에 비해 잔류성이 없어 2차오염에 무방비한 상태이므로 이를 해결하는 역할로서 소금이나 기타 첨과물을 첨과하지 않고도 물속에 녹아있는 염분기만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켜 물속에 잔류시킴으로서 2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는 살균하고자 하는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10); 자외선램프(20)가 수용되며, 상기 공급관(10)으로 공급된 물이 공급되어 수용된 자외선램프(20)의 외부로 흐르도록 하여 상기 자외선램프(20)의 자외선조사에 의해 살균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하우징(30); 상기 자외선램프 하우징(30)으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불용성전극(DSA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불용성전극에 의해 전해 살균된 전해살균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불용성전극 하우징(40); 상기 자외선램프 하우징(30)이 거치되는 거치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는 물탱크, 방류조와 같이 정체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조(1) 내에 수용되며 자외선조사에 의해 수용된 물을 살균하도록 하는 자외선램프(20); 상기 자외선램프(2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자외선램프(20)가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거치대(50); 상기 거치대(50)의 양측에 고정되며, 내부에 불용성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1)에 수용된 물을 전해살균되도록 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전해셀(60); 상기 거치대(5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거치대(50)를 저장조(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거리조절하여 저장조(1)에 고정되는 고정부(70); 상기 자외선램프(20)의 하부에 연결되며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자외선램프(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수위조절추(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자외선램프(20)는 테프론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테프론의 자외선 투과율은 석영관의 자외선 투과율의 80%이상이고 코팅두께는 0.1~0.8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 부근에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램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외선램프와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살균하게 되므로 살균 뿐만아니라, 소금이나 기타 첨과물을 첨과하지 않고도 물속에 녹아있는 염분기 만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켜 물속에 잔류시킴으로서 2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자외선램프의 재질을 소수성이고 세정성이 우수한 테프론관을 이용함으로써 자외선램프에 끼는 물때,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이 점착되지 않아 세척주기를 연장할 수 있고, 자외선 투과효율을 높여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10); 자외선램프(20)가 수용되며, 상기 자외선램프(20)의 자외선조사에 의해 살균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하우징(30); 상기 자외선램프 하우징(30)으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불용성전극(DSA 전극)이 구비되어 전해살균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불용성전극 하우징(40); 상기 자외선램프 하우징(30)이 거치되는 거치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관(10)은 살균하고자 하는 물이 공급되며 자외선램프 하우징(30) 내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외선램프 하우징(30)은 상기 공급관(10)으로 공급된 물이 공급되어 수용된 자외선램프(20)의 외부로 흐르도록 하여 상기 자외선램프(20)의 자외선조사 에 의해 살균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외선램프(20)는 상기 공급관(10)으로부터 공급되어 외부로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자외선램프는 살균선인 UV-C 파장의 저압 수은램프를 사용하며, 자외선의 투과성 때문에 석영관을 사용한다.
이 자외선램프는 자외선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수중에 자외선 램프를 침적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석영관은 친수성이며, 물때 및 조류가 잘 부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시 석영관의 표면에 물때나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이 발생하여 자외선의 투과효율을 저해시키고, 결과적으로 자외선램프의 살균효율을 감소시켜 소기의 살균 목적을 달성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소수성이고 세정효과가 우수한 테프론을 이용하여 석영관의 표면에 코팅하여 자외선램프의 석영관에 물때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테프론은 석영관을 대체할 정도의 자외선 투과력을 가지고 있고, 소수성인 재질로는 광투과성 Teflon(PFA: PerFluoroAlkoxy)이 있다.
테프론은 소수성이며 자외선을 잘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석영관을 교체할 시 물때가 발생하여 주기적으로 청소를 시행하거나 물리적으로 제거해야만 하는 별도의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없다.
불소수지의 종류 중 하나인 테프론의 특성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수한 비 점착성(이형성)
표면에너지가 낮아 어떠한 점착성 물질도 달라붙기 힘들며, 세정성이 우수하고, 물에 대한 접촉각이 크다(물에 대한 접촉각이 클수록 달라붙기 힘들다).
물에 대한 접촉각을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10256714-pat00001
(2) 저 마찰계수(윤활성)
마찰계수가 낮아 표면이 미끄러우며 윤활성이 매우 좋다. 사용되는 코팅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나 0.02~0.2 정도로 우수하다. 마찰계수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10256714-pat00002
(3) 내식성(내화학성)
산, 알카리, 용제, 유지, 염분 등에 대하여 뛰어난 저항성을 나타낸다.
(4) 열안정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비하여 사용온도 범위가 넓다. 통상 -270℃~290℃ 까지 연속사용이 가능하며 V0의 난연성을 가지고 있다.
(5) 비유성, 발수성
코팅 표면에 물이나 기름이 묻지 않기 때문에 청소가 힘든 부위에 적용하면, 자동으로 청결이 유지된다.
(6) 전기적 안정성
광범위한 주파수대에 걸쳐 높은 절연성, 낮은 손실율 및 높은 표면저항을 갖고 있으며, 특수기술로 대전방지 코팅도 있어 정전기 방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석영관에 비하여 파손의 위험이 없어 경제적이고 안정적이다.
전술한 특성을 가지는 불소수지인 테프론을 석영관에 박막(20㎛ 이하)으로 코팅할 경우 불소 수지의 여러 장점과 석영관의 자외선 투과에 대한 이점을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프론의 자외선 투과율은 석영관의 자외선 투과율의 80%이상이고, 코팅두께는 0.1~0.8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프론의 자외선 투과율이 석영관의 자외선 투과율에 비해 너무 작으면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과가 작으므로 석영관의 자외선 투과율의 8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테프론의 코팅두께가 너무 큰 경우에는 자외선 투과율이 낮게 되며 테프론에 의한 석영관의 강도보강을 위해 코팅두께는 0.1~0.8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장이 210~329nm영역의 자외선은 공기 또는 표면으로 전파되는 박테 리아, 바이러스, 효모,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살균에 특히 효과적이다. 250~260nm 파장 영역의 자외선은 살균작용이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 살균원리는 자외선이 세포막을 통과해서 핵내의 DNA사슬에 반응하여 DNA에 Thymine Dimer를 형성하여 DNA복제,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므로 성장/분열을 저해시켜 신진대사에 장해가 오고 그 결과 증식능력을 잃어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든 세균에 유효하고, 피조사물에 거의 변화를 주지 않으며, 조사받은 균에 내성을 주지 않고, 사용방법이 간단하며, 살균효과는 조사중에 한하며 잔존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자외선 살균은 약품 살균에 비하여 전술한 많은 장점을 갖추고 있으나 잔류성이 없고 조사중에 한하여 살균효과가 있다는 것은 장점이자 단점으로 여겨진다.
또한, 자외선의 살균효과는 자외선의 파장 또는 조사량과 관련이 있으며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세균의 생잔율은 조사량에 대해 다음식으로 표시되어 진다
N = N0e-klt
(N = 자외선 조사후 박테리아 밀도(organisms/L3), N0= 자외선 조사 전 초기 박테리아 밀도(organisms/L3), k = 비활성화율 상수(L2Watts-1T-1), l = 살균 자외선 에너지의 강도(Watts/L2), t = 노출시간(T))
조사량의 단위는 (㎼att-sec/㎠)이며, 강도와 시간에 대하여 상호의존적이 다.
조사량(㎼att-sec/㎠) = 강도(㎼att/㎠)m X Time(seconds)이다.
아래 표는 자외선(파장: 254nm) 조사량에 따른 미생물 사멸율을 나타낸다.
Figure 112008010256714-pat00003
아울러, 상기 자외선램프(20) 부근에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램프(2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미도시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불용성전극 하우징(40)은 상기 자외선램프 하우징(30)으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불용성전극(미도시됨)이 구비되고 상기 불용성전극에 의해 전해 살균된 전해살균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불용성전극은 티탄의 외부에 루테늄이나 이리듐을 코팅한 공지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한 불용성전극은 산소발생에 대한 과전압이 비교적 낮으며, 산소가 발생되는 전위 전후에서 발생 되는 강력한 산화력을 갖는 여러 형태의 활성산소에 의해 전극 표면에서의 전극 독성 유기물 자체도 산화되는 특성이 있다. 상기 불용성전극은 원통형태의 막대를 사용하여도 되며 메쉬형태로 된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불용성전극을 사용하여 수중에 존재하는 용존된 염분을 이용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시켜 살균소독에 이용하는 방법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번호 제10-0694846호(발명의 명칭: 전해살균소독수 공급시스템)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상기 불용성전극은 자외선 살균된 살균수에 함유된 염분기를 전기분해한다. 상기 불용성전극의 음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H2O + 2Na+ + 2e- → 2NaOH + H2
2H2O + 2e- → H2 + OH- 이고,
양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2Cl- - 2e- → Cl2
2H20 - 4e- → 4H+ + O2
Cl2 + H2O ↔ HClO + HCl 이다.
여기에서 음극에서 생성된 가성소다(NaOH)와 양전극의 염소가스가 결합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발생된다.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수용액은 상기 자외선램프(2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살균된 살균수에 잔존하는 각종 세균 밀 미생물에 대한 살균 및 소독을 하게 된다. 또한, 양극과 음극에서는 알칼리수와 산성수와 같은 이온수가 생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불용성전극과 전극 사이에 격막(미도시됨)이 설치되지 않아도 되고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격막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격막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극과 음극에서 발생되는 산성수와 알칼리수와 같은 이온수를 각각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하고자 하는 유체의 양에 따라 자외선램프(20) 및 불용성전극의 면적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거치대(50)는 상기 자외선램프 하우징(30)이 거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는 유수식으로 관로상에 설치되어 자외선 살균 및 전해살균을 하여 살균수를 공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1) 내에 수용되며 자외선조사에 의해 수용된 물을 살균하도록 하는 자외선램프(20); 상기 자외선램프(20)가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거치대(50); 상기 거치대(50)의 양측에 고정되며, 내부에 불용성전극이 구비되어 전해살균수를 배출되도록 하는 전해셀(60); 상기 거치대(50)를 저장조(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거리조절하여 저장조(1)에 고정되는 고정부(70); 상기 자외선램프(2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자외선램프(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수위조절추(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자외선램프(20)는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램프(20)와 동일하게 불소수지인 테프론 코팅이 된다. 상기 자외선램프(20)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자외선을 물탱크, 방류조와 같이 정체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조(1) 내에 수용된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되도록 한다.
전술한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자외선램프(20) 부근 에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램프(2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미도시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50)는 상기 자외선램프(2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자외선램프(20)가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해셀(60)은 상기 거치대(50)의 양측에 고정되며, 내부에 불용성전극(미도시됨)이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1)에 수용된 물을 전해살균되도록 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전해셀(60)은 전술한 불용성전극 하우징과 같은 형태이다.
상기 불용성전극은 전술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의 불용성전극과 마찬가지로 원통형태의 막대를 사용하여도 되며 메쉬형태로 된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부(70)는 상기 거치대(5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거치대(50)를 저장조(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거리조절하여 저장조(1)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위조절추(80)는 상기 자외선램프(20)의 하부에 연결되며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자외선램프(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는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는 부류식으로 물탱크, 저장조 및 방류조와 같이 정체된 곳에 사용되며, 자외선램프와 DSA전극을 각각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필요시 개별 사용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저장조 10: 공급관
20: 자외선램프 30: 자외선램프 하우징
40: 불용성전극 하우징 50: 거치대
60: 전해셀 70: 고정부
80: 수위조절추

Claims (5)

  1. 살균하고자 하는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10);
    테프론 코팅된 자외선램프(20)가 수용되며, 상기 공급관(10)으로 공급된 물이 공급되어 수용된 자외선램프(20)의 외부로 흐르도록 하여 상기 자외선램프(20)의 자외선조사에 의해 살균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하우징(30);
    상기 자외선램프 하우징(30)으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불용성전극(DSA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불용성전극에 의해 전해 살균된 전해살균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불용성전극 하우징(40);
    상기 자외선램프 하우징(30)이 거치되는 거치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
  2. 물탱크 또는 방류조에 사용되며 정체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조(1) 내에 수용되며 자외선조사에 의해 수용된 물을 살균하도록 하고 테프론 코팅된 자외선램프(20);
    상기 자외선램프(2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자외선램프(20)가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거치대(50);
    상기 거치대(50)의 양측에 고정되며, 내부에 불용성전극(DSA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1)에 수용된 물을 전해살균되도록 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전해셀(60);
    상기 거치대(5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거치대(50)를 저장조(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거리조절하여 저장조(1)에 고정되는 고정부(70);
    상기 자외선램프(20)의 하부에 연결되며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자외선램프(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수위조절추(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프론의 자외선 투과율은 석영관의 자외선 투과율의 80%이상이고, 코팅두께는 0.1~0.8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 부근에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램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
KR1020080012508A 2008-02-12 2008-02-12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 KR100846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508A KR100846075B1 (ko) 2008-02-12 2008-02-12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508A KR100846075B1 (ko) 2008-02-12 2008-02-12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075B1 true KR100846075B1 (ko) 2008-07-15

Family

ID=3982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508A KR100846075B1 (ko) 2008-02-12 2008-02-12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07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5460A1 (en) * 2010-06-01 2013-07-11 Bluemorph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v sterilization
US9707306B2 (en) 2010-06-01 2017-07-18 Bluemorph, Llc UV sterilization of containers
US10046073B2 (en) 2010-06-01 2018-08-14 Bluemorph, Llc Portable UV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ing
GB2559946A (en) * 2016-11-04 2018-08-29 Ultra Biotecs Ltd Disinfection of foodstuffs
CN109095679A (zh) * 2018-11-01 2018-12-28 南京林业大学 一种处理抗生素抗性菌和抗性基因的饮用水消毒净化系统及其工艺
KR20190054630A (ko) * 2017-11-14 2019-05-22 김민수 화장용품용 살균장치
US11260138B2 (en) 2010-06-01 2022-03-01 Bluemorph, Llc UV sterilization of container, room, space or defined environ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758A (ja) 1998-03-17 1999-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流体除菌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浴水循環濾過装置
KR20040066971A (ko) * 2003-01-21 2004-07-30 김인수 선박용 발라스트수 처리장치
KR20050089703A (ko) * 2004-03-05 2005-09-08 김태형 테프론튜브를 이용한 살균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758A (ja) 1998-03-17 1999-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流体除菌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浴水循環濾過装置
KR20040066971A (ko) * 2003-01-21 2004-07-30 김인수 선박용 발라스트수 처리장치
KR20050089703A (ko) * 2004-03-05 2005-09-08 김태형 테프론튜브를 이용한 살균정화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5460A1 (en) * 2010-06-01 2013-07-11 Bluemorph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v sterilization
US9387268B2 (en) * 2010-06-01 2016-07-12 Alexander Farr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V sterilization
US9682161B2 (en) 2010-06-01 2017-06-20 Bluemorph,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V sterilization
US9707306B2 (en) 2010-06-01 2017-07-18 Bluemorph, Llc UV sterilization of containers
US10046073B2 (en) 2010-06-01 2018-08-14 Bluemorph, Llc Portable UV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ing
US10603394B2 (en) 2010-06-01 2020-03-31 Bluemorph, Llc UV sterilization of container, room, space or defined environment
US11040121B2 (en) 2010-06-01 2021-06-22 Bluemorph, Llc UV sterilization of container, room, space or defined environment
US11260138B2 (en) 2010-06-01 2022-03-01 Bluemorph, Llc UV sterilization of container, room, space or defined environment
GB2559946A (en) * 2016-11-04 2018-08-29 Ultra Biotecs Ltd Disinfection of foodstuffs
KR20190054630A (ko) * 2017-11-14 2019-05-22 김민수 화장용품용 살균장치
KR102021919B1 (ko) 2017-11-14 2019-11-04 김민수 화장용품용 살균장치
CN109095679A (zh) * 2018-11-01 2018-12-28 南京林业大学 一种处理抗生素抗性菌和抗性基因的饮用水消毒净化系统及其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075B1 (ko) 하이브리드 자외선 살균장치
Martínez‐Huitle et al. Electrochemical alternatives for drinking water disinfection
US20040037737A1 (en) Method of and equipment for washing, disinfecting and/or sterilizing health care devices
Luo et al. Advances in application of ultraviolet irradiation for biofilm control in water and wastewater infrastructure
US20030164308A1 (en) Electroionic water disinfection apparatus
WO2010035421A1 (ja) 水処理装置
US9168321B2 (en) Toroidal-shaped treatment device for disinfecting a fluid such as air or water
KR20130012006A (ko) 고효율적인 불활성화 및 에너지 절약의 선박 밸러스트수 처리 방법과 시스템
CN101746857A (zh) 用于水的电化学消毒的方法和设备
US20140302168A1 (en) Microbiocidal Solution with Ozone and Methods
Yagi et al. Sterilization using 365 nm UV-LED
KR101180420B1 (ko) 자동 소독 강도 조절 기능을 갖는 벽면형 자외선-엘이디 소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50218084A1 (en) Enhanced photocatalytic system
JP2008229475A (ja) 滅菌水の製造装置
Daneshvar et al. Photocatalytic disinfection of water polluted by Pseudomonas aeruginosa
CN208802946U (zh) 一种复合型紫外线杀菌消毒装置
KR20180100765A (ko) 양식장 전해수 처리 장치
KR101065278B1 (ko) 해수의 살균방법 및 살균장치
Chen et al. Ultraviolet radiation for disinfection
CN213569613U (zh) 一种多离子强氧化催化消毒器
KR102057093B1 (ko) 전기분해를 통한 살균수 공급 시스템 및 방법
Wang et al. Disinfection of wastewater by a complete equipment based on a novel ultraviolet light source of microwave discharge electrodeless lamp: Characteristics of bacteria inactivation, reactivation and full-scale studies
Ramsay et al. The synergistic effect of excimer and low-pressure mercury lamps on the disinfection of flowing water
KR20150093293A (ko) 해수를 이용한 살균수 제조방법 및 수산물 살균 시스템
KR100830147B1 (ko) 전해셀과 초음파를 이용한 자외선복합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