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128B1 -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128B1
KR100844128B1 KR1020070037437A KR20070037437A KR100844128B1 KR 100844128 B1 KR100844128 B1 KR 100844128B1 KR 1020070037437 A KR1020070037437 A KR 1020070037437A KR 20070037437 A KR20070037437 A KR 20070037437A KR 100844128 B1 KR100844128 B1 KR 100844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name
feature information
directory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훈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의 이름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은 영상데이터 획득 시 상기 영상데이터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를 등록된 특징정보들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일치율이 높은 등록된 특징정보의 이름으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 사진저장, 영상데이터, 얼굴인식, 영상인식

Description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storing of image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흐름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
본 발명은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의 이름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단말기는 통신 기능 이외에 여러 가지 부가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는 카메라의 장착이 일반화되었고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 또는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으로 타인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자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해당하는 이름을 입력하지 않으면 휴대단말기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획득한 날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휴대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카메라 메뉴에 기본적으로 생성되어 있는 앨범의 기본 디렉토리로 저장이 된다.
사용자가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기본 디렉토리가 아닌 다른 디렉토리에 저장하여 따로 관리하고 싶을 경우, 사용자는 디렉토리를 생성한 후에 저장해야한다. 또한, 상기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디렉토리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렉토리로 이동해야한다.
그리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 또는 디렉토리 생성 시에 이름을 입력해야 하는 키 입력이 증가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영상데이터 이름 또는 두 개 이상의 디렉토리 이름이 동일하지 않도록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그리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보다 손쉬운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때 상기 영상데이터 에 존재하는 얼굴을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얼굴에 매칭되어 있는 이름으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 및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때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얼굴을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얼굴에 매칭되어 있는 이름으로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상기 디렉토리에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 및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은 영상데이터 획득 시 상기 영상데이터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를 등록된 특징정보들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일치율이 높은 등록된 특징정보의 이름으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휴대단말기는 영상데이터 획득 시 상기 영상데이터의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를 등록된 특징정보들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일치율이 높은 등록된 특징정보의 이름으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영상인식이 가능한 휴대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영상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데이터에 한 명의 인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한 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원 수가 증가하여도 하기에서 설명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하는 바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RF(Radio Frequency)부(101), 입력부(103), 카메라(105), 영상처리부(107), 표시부(109), 제어부(111), 영상인식부(113), 오디오부(115), 메모리(117), 데이터베이스(119)를 포함한다.
RF부(101)는 휴대단말기와 이동통신망과의 통상적인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RF부(101)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음성데이터의 송/수신,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및 멀티미디어메시지의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인물정보가 포함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메시지일 수 있다.
입력부(103)는 통상적인 키패드로 구성된다. 또한, 입력부(103)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또는 스크롤 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03)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11)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03)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키와, 상기 영상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9)에 등록하기 위한 키를 포함한다.
카메라(105)는 피사체의 광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카메라(105)는 렌즈를 통해 수집한 광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영상처리부(107)는 카메라(105)에서 생성한 프리뷰화면의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09)의 규격에 맞추어 처리한다.
표시부(109)는 제어부(111)의 제어를 받아 휴대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와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09)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09)는 카메라(105)를 통해 입력되어 영상처리부(107)에서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제어부(111)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제어부(111)는 카메라(105)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 또는 RF부(101)를 통해 수신된 멀티미디어메시지에 포함된 영상데이터(이하, 카메라(105)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로 통합하여 설명한다.)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영상인식부(113)를 포함한다.
영상인식부(113)는 카메라(105)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한다. 또한, 영상인식부(113)는 얼굴 영역에 해당하는 얼굴 윤곽, 상기 얼굴 윤 곽 내에서의 눈, 코, 입의 위치, 미간 넓이, 콧망울의 거리, 입술의 길이 등 얼굴에 존재하는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111)로 전송한다. 제어부(111)는 상기 특징정보를 수신하여 특징정보들 사이의 비율을 산출한다. 제어부(111)는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와 상기 산출된 일정비율에 이름을 할당하여 데이터베이스(119)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11)는 획득된 영상데이터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에 대한 비율을 산출한다. 아울러, 제어부(111)는 데이터베이스(119)에 등록된 특징정보에 대한 비율과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에 대한 비율을 비교하여 일치율을 판단한다. 제어부(111)는 상기 일치율이 임계치 이상인 등록된 특정정보에 매핑된 이름을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111)는 상기 추출된 이름을 이름목록으로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임계치가 80%이면, 제어부(111)는 획득된 영상데이터의 특징정보와 80%이상의 일치율을 갖는 등록된 특징정보를 검색하여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오디오부(115)는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1)로 제공한다. 오디오부(115)는 RF부(101)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메모리(117)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휴대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설정상태와 메뉴에 대한 정보 등)를 저장한다. 메모리(117)는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얼굴 인식 프로그램 을 저장한다. 메모리(117)는 카메라(105)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17)는 영상데이터에서 추출된 특징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119)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19)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사람의 얼굴 윤곽, 상기 윤곽 내에서의 눈, 코, 입의 위치, 미간 넓이, 콧망울의 거리, 입술의 길이 등으로 추출되는 특징정보에 이름을 할당하여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S201단계에서 제어부(111)는 카메라(105)를 활성화하거나, RF부(101)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S203단계에서 제어부(111)는 활성화된 카메라(105)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로부터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는 도 5a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1)는 S205단계에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영상인식부(113)로 전송한다. 영상인식부(113)는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영상인식부(113)는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얼굴 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얼굴 영역에 해당하는 얼굴 윤곽, 상기 얼굴 윤곽 내에서의 눈, 코, 입의 위치, 미간 넓 이, 콧망울의 거리, 입술의 길이 등 얼굴에 존재하는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111)로 전송한다.
S206단계에서 제어부(111)는 영상인식부(113)로부터 전송된 상기 특징정보에 대한 비율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미간 넓이와 콧망울의 거리에 대한 비율, 콧망울의 거리와 입술의 길이에 대한 비율 등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비율을 산출하는 이유는 획득되는 영상데이터의 크기, 상기 영상데이터를 획득한 카메라의 화소에 따라 특징정보 추출결과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보다 정확한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특징정보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어서, 제어부(111)는 S207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특징정보 및 상기 산출된 비율 등으로 데이터베이스(119)를 검색한다. S209단계에서 제어부(111)는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 및 산출된 비율을 데이터베이스(119)에 등록된 특징정보 및 비율과 비교한다. 제어부(111)는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특징정보 및 비율과 상기 등록된 특징정보 및 비율에 대한 일치율이 임계치 이상인 특징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9)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S209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일치율이 임계치 이상인 특징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9)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11)는 S2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의 특징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9)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119)에 등록하는 과정은 하기의 도 4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S401단계에서 제어부(111)는 입력부(103)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신호로 상기 특징정보에 대한 등록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입력 부(103)로부터 상기 특징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신호가 전송되면 제어부(111)는 S403단계로 진행한다. S403단계에서 제어부(111)는 S205단계에서 추출된 특징정보와 S206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특징정보에 대한 비율을 매핑할 이름을 입력부(103)로부터 입력받는다, 이어서, 제어부(111)는 S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특징정보와 상기 특징정보에 대한 비율을 상기 입력된 이름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119)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111)는 상기 특징정보에 대한 일정비율 즉, 미간넓이와 콧망울의 거리에 대한 비율, 콧망울의 거리와 입술의 길이에 대한 비율 등을 산출한다.
반대로, S209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일치율이 임계치 이상인 특징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9)에 존재하면 제어부(111)는 S211단계로 진행한다.
S211단계에서 제어부(111)는 일치율이 임계치 이상인 특징정보에 대한 이름을 모두 추출한다. S213단계에서 제어부(111)는 상기 추출된 이름 중에서 상기 일치율이 가장 높은 이름과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5b와 같이 획득된 영상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율이 가장 높은 "홍길삼 90%"을 표시하고, 팝 업(pop-up)형태로 "1. 홍길동 85%", "2. 정난정 75%"를 일치율이 높은 순서대로 이름목록을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일치율이 임계치 이상인 특징정보가 "홍길삼"일 경우, 도 5c와 같이 "홍길삼"만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이후, S215단계에서 제어부(111)는 상기 이름목록에 표시된 이름에 대한 선택유무를 판단하여 이름목록에 존재하는 이름이 선택되면 S219단계로 진행하고, 이 름이 선택되지 않으면 S221단계로 진행한다.
S215단계에서 제어부(111)가 상기 이름목록에 표시된 이름에 대한 선택신호를 감지하면, 제어부(111)는 S219단계에서 상기 선택신호가 입력된 이름을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와 같이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5d와 같이, "홍길동 85%"가 선택되면 제어부(111)는 도 5e와 같이 "홍길동"으로 상기 영상데이터의 이름을 설정하여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11)는 S221단계로 진행한다.
반대로, S215단계에서 제어부(111)가 상기 이름목록에 표시된 이름에 대한 선택신호를 감지하지 않으면, 제어부(111)는 S221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S221단계에서 제어부(111)는 입력부(103)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저장신호 입력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저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1)는 S223단계로 진행하고, 저장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11)는 영상데이터 저장 루틴을 종료한다.
S221단계에서 상기 저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1)는 S2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S223단계는 도 3과 같은 하위단계를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S301단계에서 제어부(111)는 S213단계에서 표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디렉토리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디렉토리는 예컨대,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드의 앨범메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와 같이 획득된 영상데이터에"홍길삼"이 표시되었으므로 상기 엘범메뉴에서 "홍길삼"디렉토리를 검색한다.
S301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앨범메뉴에 상기 선택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디렉토리가 존재하면 즉, "홍길삼"디렉토리가 존재하면, 제어부(111)는 S303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영상데이터가 상기 디렉토리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홍길삼"디렉토리에 "홍길삼"영상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홍길삼"영상데이터가 존재하면 S305단계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S307단계로 진행한다.
S30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표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영상데이터가 존재하면, 제어부(111)는 S305단계에서 상기 동일한 이름에 N(N=N+1)을 덧붙여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이름이 "홍길삼"인 영상데이터가 존재하면 제어부(111)는"홍길삼1"로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117)에 저장한다.
S30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표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영상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S307단계에서 제어부(111)는 상기 표시된 이름으로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117)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이름이 "홍길삼"인 영상데이터가 "홍길삼"디렉토리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홍길삼"으로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S301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앨범메뉴에 상기 표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S309단계에서 제어부(111)는 상기 표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디렉토리 생성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부(103)로부터 수신한다. 즉, "홍길삼"디렉토리가 앨범메뉴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11)는 S309단 계에서"홍길삼"디렉토리 생성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부(103)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상기 디렉토리 생성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1)는 S311단계로 진행하고,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11)는 S315단계로 진행한다.
S309단계에서 제어부(111)가 입력부(103)로부터 디렉토리 생성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11)는 S311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S307단계로 진행한다. 즉, 제어부(111)는 앨범메뉴에"홍길삼"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의 이름을 "홍길삼"으로 설정하여 메모리(117)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홍길삼"디렉토리가 신규로 생성된 것이므로, 상기 디렉토리에는 어떠한 영상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S309단계에서 디렉토리 생성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11)는 S315단계에서 상기 앨범메뉴의 기본 디렉토리에 상기 표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영상데이터의 존재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표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영상데이터가 메모리(117)에 존재하면 제어부(111)는 S305단계로 진행한다. 반대로, 상기 표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영상데이터가 메모리(117)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11)는 S307단계로 진행한다. S305단계와 S307단계는 상기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생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 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때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얼굴을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얼굴에 매칭되어 있는 이름으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 시 이름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때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얼굴을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얼굴에 매칭되어 있는 이름으로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상기 디렉토리에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디렉토리 생성 및 영상데이터 저장 시의 키 입력을 최소화하고, 영상데이터의 관리를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휴대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데이터 획득 시 상기 영상데이터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등록된 특징정보에 대한 비율과 비교하여 일치율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일치율이 임계치 이상인 등록된 특징정보의 이름으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저장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일치율이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특징정보에 매핑된 이름을 추출하여 이름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름목록에서 이름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름과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름목록에서 이름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이름목록에서 일치율이 임계치 이상인 이름과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디렉토리가 존재하면 상기 디렉토리에 상기 추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영상데이터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동일한 이름을 갖는 영상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영상데이터의 이름에 추가정보를 덧붙여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추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디렉토리의 생성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디렉토리 생성 선택 시 상기 추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디렉토리에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이름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디렉토리 생성 미선택 시 기본 디렉토리에 상기 추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영상데이터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동일한 이름을 갖는 영상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영상데이터의 이름에 추가정보를 덧붙여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기본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동일한 이름을 갖는 영상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이름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율의 판단결과, 상기 일치율이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특징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특징정보의 등록 선택 시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와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에 대한 비율에 매핑할 이름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와 상기 비율에 상기 입력된 이름을 매핑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 획득은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 획득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되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영상데이터의 특징정보를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영상데이터 획득 시 상기 영상데이터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인식부를 구비하며, 추출된 특징정보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특징정보에 대한 비율과 비교하여 일치율을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일치율이 임계치 이상인 등록된 특징정보의 이름으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일치율이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특징정보에 매핑된 이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름과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갖는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상기 디렉토리에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이름과 동일하게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70037437A 2007-04-17 2007-04-17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KR100844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437A KR100844128B1 (ko) 2007-04-17 2007-04-17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437A KR100844128B1 (ko) 2007-04-17 2007-04-17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128B1 true KR100844128B1 (ko) 2008-07-04

Family

ID=3982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437A KR100844128B1 (ko) 2007-04-17 2007-04-17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8648B2 (en) 2016-02-15 2018-02-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ace recogni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524A (ko) * 1998-12-26 2000-07-25 윤종용 휴대폰에서 전화번호 검색 및 다이얼링방법
KR20040023235A (ko)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타임즈텔레콤 이동통신기기의 화상전화번호부 자동검색 및 관리장치 및그 방법
KR20050054514A (ko) * 2003-12-05 2005-06-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070105074A (ko) * 2006-04-25 2007-10-3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524A (ko) * 1998-12-26 2000-07-25 윤종용 휴대폰에서 전화번호 검색 및 다이얼링방법
KR20040023235A (ko)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타임즈텔레콤 이동통신기기의 화상전화번호부 자동검색 및 관리장치 및그 방법
KR20050054514A (ko) * 2003-12-05 2005-06-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070105074A (ko) * 2006-04-25 2007-10-3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8648B2 (en) 2016-02-15 2018-02-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ace recogni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3600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7944447B (zh) 图像分类方法及装置
CN109189879B (zh) 电子书籍显示方法及装置
EP31793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milarity and terminal therefor
CN110556127B (zh) 语音识别结果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1749273B2 (en) Speech control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5009096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검색 결과 제공 방법
US100833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act card
CN107666536B (zh) 一种寻找终端的方法和装置、一种用于寻找终端的装置
US11335348B2 (en) Input method, devi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7116088B2 (ja) 音声情報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90063277A (ko)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는 전자 장치
CN110781813A (zh) 图像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209354A (zh) 一种地图兴趣点判重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7801282A (zh) 台灯、台灯控制方法及装置
US20190130196A1 (en) Video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3987128A (zh) 相关文章搜索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4112130B (zh) 光学字符识别方法及装置
CN113435205A (zh) 语义解析方法及装置
CN109829067B (zh) 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844128B1 (ko)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KR20040023235A (ko) 이동통신기기의 화상전화번호부 자동검색 및 관리장치 및그 방법
CN113923517B (zh) 一种背景音乐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032560B (zh) 语句分类模型训练方法、语句处理方法及设备
EP3812951A1 (en) Augmenting biligual training corpora by replacing named ent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