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646B1 - 바이오 매트 - Google Patents
바이오 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3646B1 KR100843646B1 KR1020070105104A KR20070105104A KR100843646B1 KR 100843646 B1 KR100843646 B1 KR 100843646B1 KR 1020070105104 A KR1020070105104 A KR 1020070105104A KR 20070105104 A KR20070105104 A KR 20070105104A KR 100843646 B1 KR100843646 B1 KR 100843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o
- net
- nonwoven fabric
- soil
- microorganism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제방, 경사면 보강 등에 대한 토목공학분야 기술과 미생물의 배양, 녹화(綠花) 환경 조성 등에 대한 생태, 환경공학분야 기술을 접목시킨 것으로서, 미생물 및 작은 동식물이 자체적으로 서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이오 매트(ma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직포; 상기 부직포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틀; 상기 격자틀 상부에 배치되며, 럼프(Lump) 다수개가 접착제에 의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접착된 바이오 네트; 및 상기 부직포, 격자틀 및 바이오 네트를 엮어 매는 부재로서, 럼프(Lump) 다수개가 접착제에 의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부착된 바이오 로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럼프(Lump)는 활성화된 리그닌(lignin), 토양미생물, 미네랄 및 생장제가 혼합되어 구성된 생태혼합물과 다공성재료 또는 골재를 섞어 뭉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매트를 제공한다.
생태혼합물, 바이오 제품, 옹벽, 로프, 네트, 매트, 부직포, 비점오염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천제방, 경사면 보강 등에 대한 토목공학분야 기술과 미생물의 배양, 녹화(綠花) 환경 조성 등에 대한 생태, 환경공학분야 기술을 접목시킨 것으로서, 미생물 및 작은 동식물이 자체적으로 서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이오 매트(mat)에 관한 것이다.
환경정화 및 녹화를 위한 기술은 여러가지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와 관련된 기술들을 문헌 중심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미생물
접촉여재를
통하여 수중에서
접촉여재들
사이의 공기와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미생물의 성장 촉진을 통한 하천 정화율을 높이는 발명에 관한 것.
(1) 특허등록 10-0248940 "오폐수 정화처리를 위한 미생물 접촉여과제 및 그의 제조방법"
(2) 특허등록 10-0288049 "탄성체를 이용한 미생물접촉재에 의한 하천장치"
(3) 특허등록 10-0474482 "오페수 정화처리용 미생물 접촉 여재의 제조장치 및 그제품"
2. 기능성 천연재료로 처리된 생태블록이나 하천의 설치구조물의 형태를
수변
및 수중의
수생동식물이
서식하기에 적절한 환경으로 변형하고 개선하여 자연정화능력을 개선하는 발명에 관한 것.
(1) 특허등록 10-0322869 "식생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2) 실용신안등록 20-0324533 "하천용 4각블록"
(3) 실용신안등록 20-0361711 "기능성 천연재료로 표면처리된 생태블럭"
3.
폐활성탄과
참숯칩에
미생물을 흡착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성물로 사용하거나 콘크리트 블록 및 구조물의 표면에 수용성 다당류를 이용하여 유효미생물들을 고정화함으로써
생물막을
형성하여 수중 및
수변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발명에 관한 것.
(1) 특허등록 10-04449414 "콘크리트 구조물"
(2) 공개특허 10-2006-0090546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 및 구조물과 그의 제조방법"
(3) 실용신안등록 20-0392281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럭"
4. 다공성재료를 이용한 제품 및 그 제품의 제조방법.
4-1. 바텀애쉬(저회; bottom ash) 재료 이용
(1) 특허등록 10-0364911 "바텀애쉬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품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2) 특허등록 10-0429669 "버톰애쉬를 사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3) 특허등록 10-0447739 "바텀애쉬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4) 특허등록 10-0470676 "콘크리트 배합 골재 대체재로서의 바텀애쉬를 사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5) 특허등록 10-0526036 "바텀애쉬를 사용한 고강도 시멘트 모르타르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6) 특허등록 10-0526037 "바텀애쉬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7) 특허등록 10-0592781 "바텀애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8) 특허등록 10-0660386 "바텀애쉬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그 콘크리트 제품 및 그 제품의 제조방법"
(9) 특허등록 10-0719606 "콘크리트 배합용 골재로서 바텀애쉬를 적용한 해안 및 항만 구조물"
(10) 특허등록 10-0398076 "바텀애쉬를 함유하는 고유동성 충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11) 공개특허 10-2006-0107459 "저회의 경량골재를 이용한 흡음형 방음패널"
(12) Chih-Shin Shieh, 1993, "Environmental Acceptability of Precast Concrete Using Treated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Bottom Ash", Florida Institute of Technology, State University System of Florida, Florida Center For Solid And Hazardous Waste Management.
(13) Chih-Shin Shieh, 1995, "Effect of Aging on the Suitability of Municipal Waste Combustor Ash for Stabilization and Utilization", Florida Institute of Technology, State University System of Florida, Florida Center For Solid And Hazardous Waste Management.
(14) Elsevier, 1995, "Solid brick manufacture from fly ashes, bottom ash, lime, gypsum, and calcium carbonate", Fuel and Energy Abstracts, Vol. 36, Number 3, pp. 192-192(1).
(15) Nader Ghafoori, Wayne Bahr, 1998~2000, "Large-Scale Field Utilization of Illinois PCC Bottom Ash For Roadways and Parking Lots Of a Youth, Sport, Safety Complex",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DCCA Project Number 96-205103(CRG-270), htttp://www.icci.org/00final/Ghafoori.htm.
(16) Nisnevich M., 1998, "Improving lightweight concrete with bottom ash", Fuel and Energy Abstracts, Vol. 39, Number 3, pp. 191-191(1).
(17) Pera J., Coutaz L., Ambroise J., Chababbet M., 1997, "Use of Incinerator Bottom Ash in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7, Number 1, pp.1-5(5).
(18) Weyand T. E., 1998, "Manufacture of building blocks from coal combustion waste and related products", Fuel and Energy Abstracts, Vol. 39, Number 3, pp. 191-191(1).
(19) BS(British Standard Code) 1165, "Clinker and furnace bottom ash aggregate for concrete", 1985.
4-2. 점토 재료 이용
(1) 특허등록 10-0340121 "점토벽돌, 보차도용 점토블록 및 그 제조방법"
(2) 특허등록 10-0456727 "점토블록 제조방법"
(3) 특허등록 10-0549962 "유약조성물을 도포한 점토블록 제조방법 및 그 점토블록"
4-3.
고로슬래그
재료 이용
(1) 특허등록 10-0709388 "제철부산물을 이용한 복토 혹은 성토용 매립재 및 그 제조방법"
(2) 특허등록 10-0367480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2차제품 및 그 제조방법"
위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옹벽이나 제방의 구성제품의 재료나 구조의 물리적 변경을 통해 기능성을 추구한 것들로서, 대부분 생물학적인 기능이 배제되어 있고, 미생물을 이용한 구조물에 기술도 미생물 흡착 방식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을 뿐이지 구조물에서 자체적으로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한 매트(mat)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등록특허 제0766555호 "생태혼합물, 생태혼합물을 이용한 바이오 제품 및 그 제조방법" 응용하여 위 과제를 해결한다.
즉, 토양미생물과 토양미생물의 서식처가 되는 활성화된 리그닌(lignin)과 토양미생물의 먹이가 되는 미네랄 및 생장제가 혼합된 생태혼합물을 골재와 섞어 작은 덩어리 형태(lump)로 뭉쳐 이를 로프와 네트를 결합시킴으로서 바이오 로프와 바이오 네트를 구성하고, 이러한 바이오 로프와 바이오 네트를 기본 구성요소로 하여 바이오 매트를 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매트를 옹벽 구조체 또는 보강재로 활용하는 경우 이들에 붙어 있는 다수개의 럼프가 지반내에서의 마찰력을 증진시켜 수평변위, 수평이동에 대한 저항력이 큰 안정감 있는 옹벽 구조를 이루어 낸다.
2. 상기 바이오 매트에 부착되어 있는 생태혼합물이 포함된 럼프가 지반에 매립되거나 옹벽표면에 부착됨에 따라 지반 내에서의 토양미생물 서식환경이 마련되고, 이로 인해 지반 내의 질소, 인, 유류, 중금속 등의 비점오염물질 제거 효과, 지반 내의 산소공급 효과, 유기질 분해 효과, 소동물 및 식물의 생장촉진 및 토질 개선 기능을 함께 수행해낸다.
3. 상기 바이오 매트를 이용하여 축조한 옹벽은 옹벽면의 전면녹화가 촉진되며, 이로 인한 대기온난화 등의 환경문제를 해소하는데 조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직포(31); 상기 부직포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틀(32); 상기 격자틀(32) 상부에 배치되며, 럼프(Lump, 1) 다수개가 접착제에 의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접착된 바이오 네트(20); 및 상기 부직포(31), 격자틀(32) 및 바이오 네트(20)를 엮어 매는 부재로서, 럼프(Lump, 1) 다수개가 접착제에 의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부착된 바이오 로프(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럼프(Lump, 1)는 활성화된 리그닌(lignin), 토양미생물, 미네랄 및 생장제가 혼합되어 구성된 생태혼합물과 다공성재료 또는 골재를 섞어 뭉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매트(30)를 제공한다.
0. 토양미생물이 함유된 럼프(Lump)
0. 토양미생물이 함유된 럼프(Lump)
본 발명에서는 활성화된 리그닌(lignin), 토양미생물, 미네랄, 및 생장제가 혼합된 생태혼합물을 다공성재료 또는 골재(천연골재, 재생골재 등)에 섞어 작게 뭉친 럼프(1, lump)가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상기 생태혼합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생태혼합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토양미생물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lis), 바실러스 라이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모자벤시스(Bacillus mojavens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퍼밀러 스(Bacillus pumilus),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 바실러스 아미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셀루로모나스(Cellulomonas), 셀루로모나스 비아조티아(Cellulomonas biazotea), 슈도모나스 데니프리피칸스(Pseudomonas denitrificans),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Paenibacillus polymyxa), 슈도모나스 스투체리(Pseudomonas stutzeri),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Rhodopseudomonas palustris), 니트로바실러스 지오지엔시스(Nitrobacillus georgiensis)를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토양미생물 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토양미생물들은 오염물질(유기물질)을 몸에 축적하여 생장하며, 먹이가 되는 오염물질(유기물질)이 충분이 있고 생육환경이 적합하면 대량으로 번식하여, 대량으로 번식한 이들이 더욱 많은 오염물질을 먹음으로써 정화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토양미생물들은 수체, 토양 등 모든 장소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어디에서든지 쉽게 입수할 수 있으므로 자연채취를 통해 쉽게 입수할 수 있고, 통상적인 인공배양 방법에 의해서도 쉽게 입수할 수 있다.
인공배양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순수배양기술에 의해 상기 토양미생물들을 추출하여 리그닌, 미네랄 등의 혼합체에 접종(seeding)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된 리그닌(lignin)은 미생물 부착매체로서 활용되는 것이다. 상기 리그닌(lignin)은 목질화된 식물체 주성분의 한 종류로서, 페닐프로펜(phenylpropane) 골격을 가지는 구성단위체가 축합되어 스펀지와 같은 분자구조 를 가지는 고분자화합물이다. 활성화된 리그닌은 광대한 비표면적(약 900,000m2/kg)을 갖고 있어 용해성 유기물질 및 미생물의 흡착 및 부착능력이 매우 크다. 또한, 활성화된 리그닌은 양이온 치환능력이 우수하므로(약 200~ 600meq/100g) 양이온 성격을 띠는 중금속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리그닌의 특징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서식공간으로 활용하고, 후술할 미생물의 먹이 저장공간으로도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활성화된 리그닌은 약 200meq/100g~600meq/100g 정도의 양이온 치환력이 있어 양이온 성격을 띠는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화된 리그닌을 다공성재료 입자 사이에 투입하면, 다공성재료에 미생물의 서식공간 및 먹이 저장공간이 제공되고, 다공성재료의 용해성 유기물질 및 미생물의 흡착 및 부착능력이 극대화된다.
또한, 상기 생태혼합물에는 미생물 생장에 필요한 미네랄(mineral; Fe, Mn, B, Zn, Mo, Cu, Cl, Si, N, P, K, P, Ca, V, Al, Na, Ni, Co, S, Mg 등의 성분)과 생장제가 함유되어 있으며, 상기 생장제는 휴믹산(humic acids), 풀빅산(fulvic acids), 울믹산(ulmic acids), 휴민(humi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휴믹산은 식물이 땅속에서 오랜 기간 부식된 잔류물로서 일명 부식산으로 불리워진다. 휴믹산은 중간내지 고분자의 산성 물질로서 무정형이며, 색깔은 황갈색~흙갈색을 띠고, 방향족화합물인 벤젠핵과 나프탈레인, 피리딘, 안트라센등과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다. 그 밖에 카르복실기, 페놀성 수산기, 알코올성 수산기, 폴리우드 나이드, 다당류, 단백질, 펩티드 등이 존재한다.
휴믹산은 기본적으로 자연상태에서는 탄화된 불용성 퇴적물로 존재하며 휴믹산의 역할은 양이온성 양분물질들의 킬레이트화, 양이온교환기능, 유용한 활성유기물 및 미량요소 공급 등이다. 휴믹산은 식물 종자의 발아 및 발아율 증가, 각종 유해 화학물질 및 중금속의 독성감소, 토양구조 개선 및 비옥화, 세포활성을 통한 성장 자극 효과, 강력한 킬레이트제, 토양의 pH 조정제, 토양 내 유효산소량증가, 세포막의 삼투력 증가, 가뭄에 대한 내성증가, 뿌리 발육 촉진 등의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로 인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켜 각종 유기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휴믹산은 미생물에 대하여 미생물의 활성을 극대화시켜 유기물질 및 기름 등 하이드로카본과 고분자 물질을 분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풀빅산은 저분자의 부식산과 비부식물질이 결합한 것으로 부식산에 비하여 탄소의 함량은 적지만 산소의 함량은 많다. 풀빅산은 Ca2 +, Mg2 +, Fe2 +, Al2 + 등과 결합하여 물에 잘 용해되는 염을 만든다.
상기 생태혼합물에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 식물로부터의 산소공급에 의해 토양미생물의 성장이 활성화되고, 토양미생물은 유기물, 중금속 및 방사성 물질과 같은 무기오염물질을 체내에 흡수, 축적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이로 인해 식물의 생장 또한 촉진된다.
미생물은 식물의 왕성한 뿌리활동으로 증진되는데, 식물의 뿌리는 전체광합성의 10~20%양에 해당하는 아미노산, 지방족, 아미드, 당류와 같은 용해성 확산물질과 점액질을 분비하여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탄소원과 에너지원을 공급하고, 광합성 과정 중 생성된 산소가 뿌리를 통해 방출되어 근권 주변에 호기조건을 형성하며 이때 많은 양의 산소가 토양미생물에 전달됨으로써 이들의 분해활동이 촉진되고 호기성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이때 근권은 토양미생물에 좋은 서식처를 제공하여 상당한 수의 미생물군집이 형성된다.
위와 같이, 생태혼합물에서는 토양미생물이 활성화되어 기름 등의 하이드로카본 고분자 물질 및 유기물질의 분해능력이 극대화되어, 상기 생태혼합물이 사용된 제품이 지중(地中)이나 수중(水中)에 배치되면 오염물질의 추출, 분해가 촉진되며, 상기 생태혼합물에 식물이 식재되면 식물과 토양미생물의 활성이 극대화된다. 이 때 식물은 산소공급원이 되어 토양미생물의 혐기성화를 방지하고, 토양미생물은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식물의 유기물 흡수를 돕기 때문이다.
1. 바이오 로프
본 발명에는 상기 럼프(1)가 다수개 부착된 바이오 로프(10)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로프(rope)는 생분해성 비닐, PE, 폐어망, 능형코팅철선, 천연섬유재, 한지, 펄프 중 하나 이상의 재료로 구비된 것이다. 상기 럼프(1)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붙일 수도 있고,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붙여 둘 수도 있다. 상기 럼프(1)를 로프에 부착시킬 때에는 자연접착제인 CMC(carboxy methyl cellulose)는 물론 시멘트풀, 각종 인공접착제 등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2. 바이오 네트
본 발명에는 상기 럼프(1)가 다수개 부착된 바이오 네트(20)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네트(net)로는 폐어망, 능형코팅망, 철망 등은 물론 생분해성 비닐, PE, 천연섬유, 짚, 한지, 펄프, 부직포 중 하나 이상의 재료로 구비된 매쉬망 형태인 것이다. 상기 럼프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를 구성하는 씨줄 날줄의 교차점에 규칙적으로 붙일 수도 있고, 무작위적으로 붙일 수도 있으며, 상기 럼프(1)를 네트에 부착시킬 때는 자연접착제인 CMC(carboxy methyl cellulose)는 물론 시멘트풀, 각종 인공접착제 등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3. 바이오 매트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매트는 부직포(31); 상기 부직포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틀(32); 상기 격자틀(32)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바이오 네트(20); 및 상기 부직포(31), 격자틀(32) 및 바이오 네트(20)를 엮어 매는 상기 바이오 로프(1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자틀(32)은 목재, 합성플라스틱, 금속,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격자틀은 물이 닿는 부분에는 콘크리트나 목재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고, 물이 닿지 않는 부분에는 합성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등, 시공상 필요에 의한 재료의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격자틀(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토사, 자갈, 잡석 등을 채워 둘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매트는 부직포(31); 상기 부직포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틀(32); 상기 격자틀(32)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바이오 네트(20); 및 상기 부직포(31), 격자틀(32) 및 바이오 네트(20)를 엮어 매는 상기 바이오 로프(1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자틀(32)은 목재, 합성플라스틱, 금속,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격자틀은 물이 닿는 부분에는 콘크리트나 목재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고, 물이 닿지 않는 부분에는 합성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등, 시공상 필요에 의한 재료의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격자틀(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토사, 자갈, 잡석 등을 채워 둘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부직포(31), 격자틀(32), 바이오 네트(20)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후술할 바이오 보강토 옹벽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바이오 로프(10)로 상기 부직포(31), 격자틀(32) 및 바이오 네트(20)를 엮어 매어 하나의 매트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오 네트(20) 위를 덮개(33)를 덮은 채로 엮어 맬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덮개(33)로는 천연섬유나 황마로 엮은 가마니나 망형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4. 바이오 보강토 옹벽
본 발명은 흙이 다져지며 다수층으로 형성된 성토지반(100); 상기 성토지반(100)의 각 층 사이에 펼쳐져 매립되는 상기 바이오 네트(20); 상기 성토지반(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부직포(31); 상기 부직포(31)의 전면에 설치되는 격자틀(32); 상기 격자틀(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자갈과 잡석이 채워져 형성된 투수층(130); 상기 격자틀(32) 전면에 설치되는 상기 바이오 네트(20); 상기 바이오 네트(20) 전면에 다수개가 상호 설치되어 지반에 고정된 수직강재(110); 및 상기 수직강재(110) 사이에 설치, 고정되는 수평강재(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도 3 참조)
상기 수직강재(110) 및 수평강재(120)는 옹벽 전면 보강용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주로 H형강. L형강, 형강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이오 보강토 옹벽은 종래의 강제틀을 이용한 옹벽을 개량한 구조로서, 종래 성토지반 전면에 설치되었던 철망, 거적 대신 상기 부직포(31), 격자틀(32) 및 바이오 네트(20)를 차례로 설치하여 낙석방지, 옹벽전면녹화, 격자틀에 의한 보강 및 투수층 형성, 중금속, 질소, 인, 유류 제거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한 것이다. 이 때 단위크기의 부직포, 격자틀 및 바이오 네트를 상기 바이오 로프로 엮은 상기 바이오 매트(30)를 쌓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바이오 보강토 옹벽에 사용되었던 일반 토목섬유 그리드 대신 상기 바이오 네트(20)를 적용함으로서 성토지반간의 마찰력 증진을 꾀하며 성토지반 내 미생물 생장에 의한 산소공급 효과로 식물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바이오 로프와 바이오 네트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매트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매트를 이용하여 축조한 바이오 보강토 옹벽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럼프 10 : 바이오 로프
20 : 바이오 네트 30 : 제1형 바이오 매트
31 : 부직포 32 : 격자틀
33 : 덮개
100 : 성토지반
110 : 수직강재 120 : 수평강재
130 : 투수층
Claims (6)
- 삭제
- 삭제
- 부직포(31);상기 부직포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틀(32);상기 격자틀(32) 상부에 배치되며, 럼프(Lump, 1) 다수개가 접착제에 의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접착된 바이오 네트(20); 및상기 부직포(31), 격자틀(32) 및 바이오 네트(20)를 엮어 매는 부재로서, 럼프(Lump, 1) 다수개가 접착제에 의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부착된 바이오 로프(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럼프(Lump, 1)는 활성화된 리그닌(lignin), 토양미생물, 미네랄 및 생장제가 혼합되어 구성된 생태혼합물과 다공성재료 또는 골재를 섞어 뭉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매트(30).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5104A KR100843646B1 (ko) | 2007-10-18 | 2007-10-18 | 바이오 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5104A KR100843646B1 (ko) | 2007-10-18 | 2007-10-18 | 바이오 매트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0972A Division KR20090039579A (ko) | 2008-03-06 | 2008-03-06 | 바이오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보강토옹벽 |
KR1020080020973A Division KR20090039580A (ko) | 2008-03-06 | 2008-03-06 | 보강토옹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3646B1 true KR100843646B1 (ko) | 2008-07-03 |
Family
ID=3982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5104A KR100843646B1 (ko) | 2007-10-18 | 2007-10-18 | 바이오 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36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3950B1 (ko) * | 2008-10-02 | 2010-04-21 | (주)에코원 | 미생물 및 식물 생육이 용이한 식생기반재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9078B1 (ko) * | 2006-11-29 | 2007-05-16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법면 녹화용 줄 네트 |
KR100766555B1 (ko) * | 2007-06-08 | 2007-10-12 | (주)한국바이오콘 | 생태혼합물, 생태혼합물을 이용한 바이오 제품 및 그 제조방법 |
-
2007
- 2007-10-18 KR KR1020070105104A patent/KR10084364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9078B1 (ko) * | 2006-11-29 | 2007-05-16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법면 녹화용 줄 네트 |
KR100766555B1 (ko) * | 2007-06-08 | 2007-10-12 | (주)한국바이오콘 | 생태혼합물, 생태혼합물을 이용한 바이오 제품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3950B1 (ko) * | 2008-10-02 | 2010-04-21 | (주)에코원 | 미생물 및 식물 생육이 용이한 식생기반재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6555B1 (ko) | 생태혼합물, 생태혼합물을 이용한 바이오 제품 및 그 제조방법 | |
CN111593745B (zh) | 用于金属矿山酸性废石场生态修复的改良基质及其生态修复方法 | |
KR100697671B1 (ko) | 점토질성 미립토의 이화학성을 개선하고 중금속에 오염된토양을 복원하는 토양 개량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토양 개량 방법 | |
Skousen | Overview of passive systems for treating acid mine drainage | |
CN110698222B (zh) | 一种石质边坡生态防护用复合式植被混凝土及其制备方法 | |
He et al. | Sustainability of riparian zone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in Chongming Island: Status, challenges, and perspectives | |
KR102050972B1 (ko) | 경사형 구심향습지 | |
CN105645592B (zh) | 一种净化面源污染物的生态护岸 | |
CN105714758A (zh) | 基于湖泊底泥控酸的氧化矿石废石场生态修复方法 | |
González-Méndez et al. | Re-thinking the Technosol design for greenery systems: Challenges for the provision of ecosystem services in semiarid and arid cities | |
CN108265580B (zh) | 一种基于淤泥资源化的截污-护坡-净水的河道生态系统的构建方法 | |
CN210491800U (zh) | 一种利用建筑废弃物构建的雨水花园 | |
KR101654044B1 (ko) | 녹화용 식생 조성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 |
KR20070092575A (ko) | 사면 녹화용 조성물 및 그를 구비한 사면 녹화용 구조체 | |
CN101811782A (zh) | 一种利用煤渣的抑草控淤技术 | |
CN106927572B (zh) | 一种河流生态活性水岸及其制作方法 | |
KR100843646B1 (ko) | 바이오 매트 | |
CN219395680U (zh) | 一种生态护坡结构及边坡防护毯 | |
KR102287700B1 (ko) | 인공습지 수처리 시스템 | |
RU2617693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родукта из отходов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потребления и продукт из отходов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потребления (варианты) | |
JP2002114556A (ja) | 機能性セメント硬化体 | |
Haigh | Soil stewardship on reclaimed coal lands | |
KR20090039580A (ko) | 보강토옹벽 | |
KR20090039579A (ko) | 바이오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보강토옹벽 | |
CN109320174B (zh) | 具高效截污和快速成型植被能力的绿化混凝土材料及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