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577B1 -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577B1
KR100843577B1 KR1020070018294A KR20070018294A KR100843577B1 KR 100843577 B1 KR100843577 B1 KR 100843577B1 KR 1020070018294 A KR1020070018294 A KR 1020070018294A KR 20070018294 A KR20070018294 A KR 20070018294A KR 100843577 B1 KR100843577 B1 KR 100843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reinforcement
hole
ground
grou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철
김수현
Original Assignee
김원철
김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철, 김수현 filed Critical 김원철
Priority to KR102007001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8Ground anchors anchored by using exclusively a bond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단순히 천공홀의 붕괴 및 수평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을 위하여 사용되는 케이싱 외주면에 나사부(슬레드,THREAD)를 더 형성시키거나, 케이싱 자체에 유공을 더 형성시켜 상기 그라우팅재가 케이싱의 유공을 통해 천공홀 내측으로부터 주위지반으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서, 기계적 맞물림에 의하여 케이싱 설치구간이 연직방향으로 작용하중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도록 한 파일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반보강, 케이싱, 마찰저항, 유공, 슬레드

Description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PILE CONSTRUCTION METHOD BY CASING}
도 1은 종래 케이싱을 이용하여 지반에 천공홀을 형성시키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시공방법의 순서를 개략 도시한 것이다.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시공방법의 순서를 개략 도시한 것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체의 연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공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시공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천공기 200:지반
210:천공홀 300:케이싱
310:나사부(슬레드) 320:유공(케이싱)
330:팩커 340:주입관
400:보강체 500:유공관
600:그라우팅재 700:기초판
본 발명은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반에 인위적으로 형성시킨 천공홀에 케이싱 및 보강체를 삽입시키고, 천공홀에 그라우팅재를 충진시켜 지반보강, 하부기초 또는 기 설치된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특히 파일을 시공하기 위하여 지반(20)에 케이싱(30)을 이용하여 천공홀을 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먼저 지반(20)에 소형 크롤러드릴과 같은 천공장비(10)를 이용하여 파일을 삽입시킬 수 있을 정도의 홀(21,천공홀)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지반의 상부가 토사층일 경우 천공홀이 붕괴될 우려가 있어 통상적으로 강관인 케이싱(30)을 함께 지반에 삽입시키되 상기 케이싱(30)은 지반 표층으로부터 지반 표층 하부 일정깊이에만 형성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기 케이싱(30)이 설치된 구간을 케이싱 설치구간이라 하고 그 하부를 지지층이라 한다.
이때, 상기 종래 강관인 케이싱(30)의 경우 단순히 천공홀(21)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 및 작용 외에도,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부재로서 설계되고 있다.
하지만, 케이싱과 지반사이의 마찰이 크지 않으므로 케이싱 설치구간의 연직방향에 대한 저항은 설계 단계에서 고려되지 못하여 고가인 자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천공홀 붕괴방지 및 수평방향 작용하중에 대한 저항을 위하여 사용되는 케이싱의 작용과 기능을 보다 확장시킴으로서 자재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경제적인 지반보강, 하부기초 또는 기 설치된 구조물의 보수보강이 가능한 파일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일시공방법은
첫째, 케이싱(300) 설치구간이 수평방향 뿐만 아니라 연직방향 작용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싱(300)으로 통상 사용되는 원통형 (강)관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시키거나, 케이싱 자체에 유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유공을 통해 천공홀(210) 내부에 충진 되는 그라우팅재(600)가 케이싱(300) 주위지반에 강제 주입되도록 하였다.
이때, 케이싱(300) 외주면에 나사부(310,슬레드,THREAD)를 형성시키는 경우 에는 나사부가 케이싱과 지반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켜 케이싱 설치구간이 연직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였고,
케이싱(300)에 유공(320)을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유공(320)을 통해 케이싱 주위 지반에 주입된 그라우팅재(600)가 케이싱과 지반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켜 케이싱 설치구간이 연직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또한 상기 케이싱(300)에 더하여 내진설계에 적합하도록 특히 지반 상부 표층에는 그라우팅재(600)와 연통되는 유공관(500)을 더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유공관(500)이 파일(보강체)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나아가 파일을 구성하는 보강체(400)를 이용함에 있어 지반 심도에 따라 단면크기가 서로 다른 보강체로 제작된 것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파일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내지 도 2e와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케이싱의 예에 따른 파일시공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와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체의 예 및 그 연결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공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시공 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a, 도 3a와 같이 소형 천공기(100, 예컨대 크롤러 드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파일을 설치해야 할 지반(200)에 소정의 깊이를 가진 천공홀(210)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천공홀(210)은 통상의 지반을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면, 토사층을 경유하여 지지층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사층에 형성된 천공홀(210) 내측으로 토사가 붕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강관으로 통상 제작되는 케이싱(300:300a,300b)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천공홀(210)을 형성시킬 때, 케이싱(300:300a,300b)이 지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며,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300:300a,300b)이 설치되는 구간을 케이싱설치구간이라 한다.
이때, 상기 케이싱(300:300a,300b)은 통상 강관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강관의 경우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나사부(310)가 형성된 강관인 케이싱(300a) 또는 유공(320)이 형성된 강관인 케이싱(300b)이 이용된다.
도 6a에 의하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케이싱(300a)의 외주면에 스파이럴 형태의 나사부(310)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사부는 케이싱과 서로 기계적인 맞물림 작용에 의하여 완성된 파일에 작용하는 하중에 저항할 수 있게 되어, 종래 단순히 천공홀의 붕괴방지 수 단으로서 작용하는 것 이외에, 본 발명의 케이싱(300a)은 주위지반과의 상호 기계적인 맞물림 작용에 의하여 케이싱과 지반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켜 케이싱 설치구간이 연직하중에 저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b에 의하면, 역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케이싱(300b)의 외주면에 다수의 유공(320)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유공(320)이 형성된 강관인 케이싱(300b)의 내측에는 그라우팅재(600)가 팩커(330)와 주입관(340)에 의하여 주입되는데, 이러한 그라우팅재(600)는 도 8a 및 도 8c와 같이 상기 유공을 통해 케이싱 주위지반 즉 수평방향으로 지반에 역시 함께 압입된다.
이에 케이싱과 주위지반은 상기 그라우팅재(600)에 의하여 주위지반과의 상호 기계적인 맞물림 작용에 의하여 케이싱과 지반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켜 케이싱 설치구간이 연직하중에 저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케이싱(300:300a,300b)에 형성된 나사부(310)과 유공(320)는 모두 케이싱과 지반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켜 케이싱 설치구간이 연직하중에 저항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이 지반(200)에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최종 심도까지 천공홀(210)을 형성시킨 다음에는
도 2b 및 도 3b와 같이 지반 심도에 따라 단면크기가 다르도록 형성된 파일의 보강체(400:410,420)를 천공홀(210)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보강체(400)는 본 발명에 있어 3가지 타입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a, 도 4b 및 도 4c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상기 도 4a의 경우에는 파일이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이형강봉(400a)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원형 봉 형태를 가지게 되며, 외주면에는 통상 나사부(430a, THREAD)가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은 에폭시를 코팅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에폭시 코팅은 다소 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방청유(440a)를 도포시킴으로서 보다 경제적인 보강체로서 이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보강체는 파일 전장에 걸쳐 적어도 2단 이상으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이형단면의 보강체(410a,420a)가 서로 연결된 것을 이용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2단의 경우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먼저, 지반 상부의 케이싱설치구간은 그 하부의 지지층과 비교해서 지반 지내력이 작으므로 이에 적합한 직경을 가진 상부 보강체(410a)를 이용하도록 한다.
이때 상부 보강체(410a)와 연결되는 하부 보강체(420a)가 설치되는 지반은 지지층으로서 적어도 케이싱설치구간 보다는 그 지내력이 더 크므로 상부 보강체(410a)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시켜도 충분하므로, 결국
하부 보강체(420a)의 단면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가인 파일용 보강체 사용량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지진하중은 통상 지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부 보강체(410a)의 직경(단면크기)을 지진하중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하되, 하부 보강체(420a)의 직경은 그대로 유지함으로서 더욱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보강체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보강체(410a,420a)의 직경은 천공홀의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르지만 대부분 다수의 보강체를 연결시켜 가면서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도 3a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보강체의 연결단부가 각각 체결될 수 있는 연결구(450a)를 준비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구(450a)는 상부 보강체(410a)의 직경에 맞는 체결소켓(451a)과 하부 보강체(420a)의 직경에 맞는 체결소켓(452a)이 양 단 내측면에 형성된 커플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로서 서로 직경이 다른 2단 형태의 보강체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4b의 경우에는 보강체로서 원형단면의 강봉(400b)을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인데, 보강체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시키는 비용은 다소 고가이기 때문에 동일한 보강효과라면 보다 가격이 저렴한 원형단면의 강봉을 이용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강봉은 그 제작 시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통상의 강봉을 이용한다면 연결구와 연결되는 부위만 추가적으로 나사부(430b)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역시, 상부 보강체(410b)와 하부 보강체(420b)로 구분되어 서로 연결구(450b)에 의하여 2단으로 연결되며, 방청유(440b)를 외면에 코팅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 4c의 경우에는 보강체로서 이형철근(400c)을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인데, 이형철근은 기존 판매되는 것 또는 주문 제작이 가능한 범위에서 소요 의 직경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을 위해 이형철근(400c)을 이용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며,
이러한 이형철근은 당초 마디와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달리 보강체에 나사부를 형성시키지 않고, 연결구(450c)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연결단부에만 나사부(430c)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역시 방청유(440c)를 이형철근 외면에 코팅시킬 수 있다.
나아가, 달리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보강체(400)의 경우 상부보강체는 이형강봉으로 하부보강체는 원형강봉으로 하든지, 그 역으로 하든지 보강체(400)는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것을 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강체(400)는 이형강봉(400a), 원형강봉(400b) 또는 이형철근(400c)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현장 여건, 설계 여건,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외 봉 형태의 보강체라면 상기 이형강봉(400a), 원형강봉(400b) 또는 이형철근(400c) 이외 예컨대 FRP(섬유강화폴리머) 보강체 등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상기 서로 다른 단면크기를 가진 2단의 보강체(400)가 준비되면, 천공홀(210)의 선단까지 삽입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체(400)는 천공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해야 하므로 통상 이용되는 간격재(460,스페이서)를 보강체(400)에 다수를 서로 이격시켜 더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보강체로서 이형강봉, 원형강봉, 이형철 근(400a,400b,400c)을 구성하는 상부 보강체(410a,410b,410c) 및 하부 보강체(420a,420b,420c)를 서로 연결시킴에 있어서, 연결구로서 커플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 보강체 저면에 홈으로서 삽입부(411a,411b,411c)를 형성시키되, 하부 보강체 상면에 돌출부(421a,421b,421c)를 형성시켜, 상기 돌출부가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상부 보강체와 하부보강체가 서로 연결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다음으로는 도 2c와 같이 유공(320)이 형성된 강관인 케이싱(300b)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케이싱(300a) 상단 내측에 팩커(330)를 삽입시키되, 상기 팩커(330)는 보강체(400)가 중앙부에 관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도우넛 형태로 제작된 팩커(330)를 이용한다.
이러한 팩커(330)에는 추가로 그라우팅재(600)가 팩커(330)를 통하여 천공홀에 주입될 수 있도록 주입용 구멍과 주입관(340)이 더 설치되도록 하게 되며, 이러한 팩커에는 공기배출관(360)을 형성시켜 그라우팅재 주입 시 공기의 배출에 의한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라우팅재가 효율적으로 충진되도록 한다.
이에 콤프레셔(350) 등을 이용하여 주입관(340)에 그라우팅재(600)가 천공홀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충진 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충진이 케이싱 설치구간에 도달하게 되면, 케이싱(300b)에는 유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위 지반에 강제적으로 그라우팅재(600)가 주입되게 된다.
이에 도 2c의 경우에는 그라우팅재(600)의 주위지반에 대한 수평 방향의 강제주입에 의하여 그라우팅재(600)는 케이싱 내부와 주위지반을 연통할 수 있게 되 어
그라우팅재(600)가 경화될 경우 케이싱(300b)은 주위지반과의 기계적인 맞물림 작용에 의하여 작용하중에 대하여 마찰력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저항력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은 단순히 천공홀 붕괴방지에 나아가 케이싱과 지반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켜 케이싱 설치구간이 연직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3c의 경우에는 그라우팅재(600)가 케이싱(300a) 및 천공홀(210)에 충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케이싱(300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310)에 의하여 역시 케이싱 설치구간이 연직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나사부가 형성된 케이싱의 경우에는 팩커, 주입관, 공기배출관 등이 아닌 통상의 트레미관을 이용하여 그라우팅재(600)를 주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2d 및 도 3d와 같이 팩커(330)와 주입관(340) 등을 해체하고 나서, 유공관(500)을 케이싱(300:300a,300b) 내측으로 삽입시켜 놓게 된다.
이러한 유공관(500)은 도 7과 같이 원형 강관에 다수의 구멍(510)을 형성시켜 놓은 것으로서, 마치 유공(320)이 형성된 케이싱(300b)과 유사한 형태가 되나 그 기능 및 작용은 상이하다.
즉, 상기 유공관(500)은 케이싱 내측에 충진되는 그라우팅재(600)가 그 구멍을 연통하도록 함으로서, 그라우팅재(600)에 의하여 보강체(400)와 일체화되어 지반 표층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든 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인 반면,
유공(320)이 형성된 케이싱(300b)은 그 유공(320)을 통해 주위 지반에 그라우팅재(600)가 주입되어 연통되도록 함으로서 케이싱(300b)이 수평하중 뿐만 아니라 연직하중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구조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임에 양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유공관(500)은 그라우팅재(600)가 충진된 천공홀 내부에 매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라우팅재(600)가 경과 되기 전 유공관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유공관을 먼저 설치하고 나서 그라우팅재를 충진시킬 수 도 있다.
이러한 작업이 끝나면, 보강체(400)는 천공홀(210) 중앙부에 그라우팅재(600)와 고정되어 그 설치가 완료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유공관(500)을 설치할 경우 보강체(400), 그라우팅재(600)는 유공관(500)과 함께 서로 일체화되어 하중에 대해 저항을 케이싱(300:300a,300b)과 함께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보강체(400)의 두부는 최종적으로 구조물 기초판(700,베이스 콘크리트)에 매립되는데, 즉, 도 2e 및 도 3e와 같이
기초판(700)과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종래 사용된 앵커플레이트(710,체결플레이트)를 보강체의 두부에 체결시켜 놓고, 앵커플레이트(체결플레이트) 상부면 및 저면에 락너트(720,체결너트)를 함께 체결시켜 상기 앵커플레이트(체결플레이트)가 일종의 고정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고정구 역할을 하는 앵커플레이트(체결플레이트), 락너트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들이 매립되도록 기초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최종 파일시공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는 특히 상부 보강체가 하부 보강체보다 직경(단면크기)이 크도록 형성시킨 보강체(400)를 구조물 하부 기초지반(200a)에 설치하는 경우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8a는 케이싱에 유공이 형성된 경우에 해당되며, 도 8b는 케이싱에 나사부가 형성된 경우라 할 수 있다. 이에 도 8a의 경우에는 그라우팅재가 주위지반에 압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8b의 경우에는 그라우팅재가 주위지반에 압입되지 않고 나사부가 주위지반과 기계적으로 맞물려지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c 및 도 8d는 지반 중 사면(200b)에 본 발명에 따른 보강체(400)를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인데, 하부 보강체가 오히려 상부보강체보다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도 8c는 케이싱에 유공이 형성된 경우에 해당되며, 도 8d는 케이싱에 나사부가 형성된 경우라 할 수 있다.
즉, 사면(200b)인 경우에는 그 파괴양상이 파괴활동면(C)를 따라 사면이 붕괴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파괴활동면(C)에 위치하는 보강체가 더 큰 하중(전단응력)을 받게 된다. 이에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파일의 직경을 더 크게 형성시킬 필요가 있어, 결국, 사면보강의 목적으로 설치된 하부 보강체가 상부 보강체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세팅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을 이용하는 경우, 종래 천공홀 붕괴방지에 더하여 기계적 맞물림에 의하여 케이싱 설치구간이 수평방향 뿐만 아니라 연직방향으로 작용하중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케이싱 설계 및 시공이 가능 하여 결과적으로 보다 경제적인 파일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이와 함께 보강체의 단면크기를 달리하여 지반보강을 하는 경우, 종래 불필요하게 과다 계상되는 파일공사비를 보다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유공관을 추가로 함께 사용함으로서 내진보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으로도 보다 안전하면서 경제적인 파일시공에 의한 지반보강이 가능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파일시공방법은 지반보강, 기초구조물보강 등에 최적의 대안으로서 사용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5)

  1. 지반에 천공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천공홀에 보강체 및 그라우팅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일을 삽입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 상부에는 강관을 포함하는 케이싱이 더 삽입 설치되도록 하되 케이싱이 주위지반에 대하여 마찰 저항력을 가지도록,
    케이싱 자체에 유공을 더 형성시켜 그라우팅재가 케이싱의 유공을 통해 천공홀 내측으로부터 주위지반으로 연통되도록 하거나, 케이싱 외주면에 나사부(슬레드)를 더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보강체는 봉 형태로서, 직경을 포함하는 단면크기가 지반의 심도에 따라 다르도록 형성시키되, 동일한 이형강봉, 원형강봉 및 이형철근 중 어느 하나로 그 단면크기를 다르도록 하거나, 서로 다른 이형강봉, 원형강봉 및 이형철근을 조합 사용하여 단면크기가 다른 보강체로 제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유공을 형성시킨 경우에 있어서, 그라우팅재는 케이싱 상단을 팩커로 폐쇄시킨 상태에서 주입관을 통해 압입됨으로서 유공을 통해 주위지반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크기가 다른 보강체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도록 하되, 연결구인 커플러에 의하여 보강체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연결구로서 보강체에 각각 돌출부 및 삽입부를 형성시켜 상기 돌출부가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보강체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재가 충진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천공홀 내측에 유공관이 추가로 더 삽입되어, 유공관이 천공홀 및 케이싱 내부에 충진된 그라우팅재와 일체화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KR1020070018294A 2007-02-23 2007-02-23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KR100843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294A KR100843577B1 (ko) 2007-02-23 2007-02-23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294A KR100843577B1 (ko) 2007-02-23 2007-02-23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577B1 true KR100843577B1 (ko) 2008-07-03

Family

ID=3982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294A KR100843577B1 (ko) 2007-02-23 2007-02-23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5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678B1 (ko) * 2010-04-30 2013-04-15 주식회사 다모이엔씨 말뚝 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83722B1 (ko) 2016-04-28 2016-12-09 주식회사 한국지오콘 강성 유공망을 이용한 압력식 파일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WO2018221781A1 (ko) * 2017-05-31 2018-12-06 한국전력공사 말뚝 및 그 시공방법
CN109141274A (zh) * 2018-08-01 2019-01-04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一种检测半灌浆套筒钢筋接头中连接钢筋插入深度的方法
CN115110523A (zh) * 2022-08-04 2022-09-2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螺杆桩完整性缺陷注浆修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920U (ko) * 1997-10-10 1999-05-15 홍원표 지중앵커파일
JP2001336149A (ja) * 2000-05-26 2001-12-07 Safety Service System:Kk 土木建築基礎工事用のテーパーパイルと土木建築基礎工事用のテーパーパイル基礎工事装置と土木建築基礎工事用のテーパーパイル埋設工法
KR100553478B1 (ko) * 2005-06-14 2006-02-22 (주)진산이엔지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KR100666678B1 (ko) * 2004-10-29 2007-01-19 지앤에스건설 주식회사 선단지지 라운드 플레이트를 가지는 마이크로파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920U (ko) * 1997-10-10 1999-05-15 홍원표 지중앵커파일
JP2001336149A (ja) * 2000-05-26 2001-12-07 Safety Service System:Kk 土木建築基礎工事用のテーパーパイルと土木建築基礎工事用のテーパーパイル基礎工事装置と土木建築基礎工事用のテーパーパイル埋設工法
KR100666678B1 (ko) * 2004-10-29 2007-01-19 지앤에스건설 주식회사 선단지지 라운드 플레이트를 가지는 마이크로파일
KR100553478B1 (ko) * 2005-06-14 2006-02-22 (주)진산이엔지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678B1 (ko) * 2010-04-30 2013-04-15 주식회사 다모이엔씨 말뚝 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83722B1 (ko) 2016-04-28 2016-12-09 주식회사 한국지오콘 강성 유공망을 이용한 압력식 파일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WO2018221781A1 (ko) * 2017-05-31 2018-12-06 한국전력공사 말뚝 및 그 시공방법
CN109141274A (zh) * 2018-08-01 2019-01-04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一种检测半灌浆套筒钢筋接头中连接钢筋插入深度的方法
CN115110523A (zh) * 2022-08-04 2022-09-2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螺杆桩完整性缺陷注浆修复方法
CN115110523B (zh) * 2022-08-04 2024-05-1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螺杆桩完整性缺陷注浆修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2874A (en) Micropile casing and method
KR100871882B1 (ko) 이형단면을 적용한 파일시공방법
KR101394235B1 (ko) 대심도 연약지반용 복합 파일 시공 방법
KR100843577B1 (ko) 케이싱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US7785040B2 (en) Foundation and a method for forming a mono pile foundation
KR20160025180A (ko)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23587B1 (ko) 마이크로 파일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KR100457406B1 (ko) 그라운드 앵커
JP4901593B2 (ja) 地中食い込ませ型アンカー及びそのアンカー工法
KR20110072814A (ko) 지표 부근의 상단부 직경이 확대된 변단면 기초 말뚝의 시공방법
KR101191289B1 (ko) 압밀침하에 따른 부주면 마찰력 저감을 위한 이중 헬리컬파일의 시공공법
KR101448145B1 (ko) 기둥 일체형 기초
KR20130029906A (ko) 주변마찰력 증가 장치
KR101331219B1 (ko) 선단지지력이 보강된 마이크로 파일
JP4341145B2 (ja) 埋込み杭
KR101500087B1 (ko) 기존 건물과 일체 거동을 위한 기초슬래브의 보강 공법 및 보강 구조
KR101864857B1 (ko) 보강 케이싱 구조를 갖는 기초말뚝 시공방법
KR20190123854A (ko) 마이크로파일
KR20180131042A (ko) 말뚝 및 그 시공방법
JP3561228B2 (ja) コンクリート合成杭用鋼管及び鋼管コンクリート合成杭の築造方法
JP5684069B2 (ja) 杭構造
JP2791361B2 (ja) 節付きパイル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03646Y1 (ko) 2차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보강재 정착구
KR102092244B1 (ko) 프리캐스트 엘형 옹벽 어셈블리
KR102492371B1 (ko) 말뚝의 지지력 증가를 위한 변단면 구조를 가진 보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파일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