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939B1 - 걸이형 화상장치 - Google Patents

걸이형 화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939B1
KR100842939B1 KR1020070050944A KR20070050944A KR100842939B1 KR 100842939 B1 KR100842939 B1 KR 100842939B1 KR 1020070050944 A KR1020070050944 A KR 1020070050944A KR 20070050944 A KR20070050944 A KR 20070050944A KR 100842939 B1 KR100842939 B1 KR 100842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imager
wall
suppor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공현
Original Assignee
코스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텔(주) filed Critical 코스텔(주)
Priority to KR102007005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CD, PDP, OLED 방식의 대형 티브이 또는 슬라이딩 도어, 붙박이장과 같은 시설에 설치되는 화상기의 하중을 안정되게 견디도록 한 걸이형 화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걸이형 화상장치는 슬라이딩 도어, 건물 내벽과 같은 시설의 벽에 체결되는 고정브라켓과;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기와; 상기 고정브라켓과 화상기 사이를 간격이 변경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걸이형 화상장치{wall hanging type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부 평면도.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브라켓 20 : 화상기
22 : 브라켓 30 : 지지부
31 : 제1링크 32 : 제2링크
33 : 접철부 34 : 스토퍼
35 : 걸림턱 36 : 이탈방지부재
50 : 측벽
본 발명은 걸이형 화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CD, PDP 방식의 대형 티브이 또는 슬라이딩 도어, 붙박이장과 같은 시설에 설치되는 화상장치를 하중에 안정되게 견디도록 한 걸이형 화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zma display panel)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벽걸이형 화상장치들은 CRT 브라운관 화상장치에 비해 그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될 수 있어, 벽면에 고정하거나 스탠드형으로 사용하게 된다.
기존의 벽걸이형 화상장치는 벽면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에서 벽면에 대해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되도록 힌지로 결합되어 벽면과 화상장치의 화상기 배면 사이를 연결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한 것이었다.
최근에는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점차 초대형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기존의 벽걸이형 화상장치를 벽면에 연결하는 지지부는 화상장치의 화상기 배면 중앙부에 단일 힌지로 연결되어 대형화되는 화상장치의 하중을 견디기 적합하지 못했으며, 이에 따라 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이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 내벽뿐 아니라 통상 목재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도어, 붙박이장과 같은 시설 또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화상장치에는 목재의 특성상 큰 하중을 견디기 어려워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대 형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중을 안정하게 지지시켜 파손의 염려가 없는 걸이형 화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 또는 붙박이장과 같이 목재, 합성수지 등의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시설물에도 다양하게 적용가능한 걸이형 화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 건물 내벽과 같은 시설의 벽에 체결되는 고정브라켓과;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기와; 상기 고정브라켓과 화상기 사이를 간격이 변경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형 화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일 측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와; 일 측이 상기 화상기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 사이를 접철 결합시키는 접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형 화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화상기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대칭되게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형 화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화상기의 각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형 화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화상기의 내측으로 접철되도록 구성되 어, 지지부가 화상기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형 화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서로 맞닿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접철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회전각을 제한시키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형 화상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작동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 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화상장치(100)는,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화상기(20)와, 상기 화상기(20)를 설치하고자 하는 측벽(50)에 체결시키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10)과, 상기 고정브라켓(10)과 화상기(20)를 연결시켜 지지하며 화상기(20)를 벽면으로부터 인출시키거나 또는 벽면에 인접시킬 뿐 아니라 화상기(20)를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시켜 각도 조절을 가능케 하는 지지부(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화상기(20)는 케이블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며, PDP(plaz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다양한 방식의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걸이형 화상장치에서 화상기(20)의 크기는 소형에서부터 100인치 이상의 대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상기(20)가 소형은 물론 대형화되었을 때에도 벽면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고정브라켓(10)은 슬라이딩 도어, 건물 내벽과 같은 측면에 스크루, 피스 등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일정 이상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지지부(30)는 중앙부에서 접철되도록 형성된 것이며, 일단부가 상기 고정브라켓(10)과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고, 타단부는 상기 화상기(20)의 배면에 구비되는 브라켓(22)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특히, 상기 지지부(30)는 화상기(20)의 배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복수 개로 형성되어, 화상기(20)가 측벽(50)에 견고히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30)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 또는 네 개 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화상기(20)의 크기에 비례하여 그 수를 늘릴 수 있다.
정역학적인 측면에서 보의 원리에 따르면, 지지부(30)는 측벽(50)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하중에 의한 굽힘력이 증가하며, 수직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의 증가로 인해 지지부(30)는 안전율을 고려하여 큰 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즉, 단일보에 가해지는 큰 하중을 분산시키기 방안으로, 본 발명 걸이형 화상장치(100)는 지지부(30)를 적어도 두 개 이상 다수로 형성시킴으로써, 각각의 지 지부(30)가 화상기(20) 전체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화상기(20)가 대형화되어 전체 하중이 증가하여도, 각각의 지지부(30)는 안정된 상태에서 화상기(20)를 지지하고, 측벽(50)과 화상기(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화상기(20)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30)는 자체적으로 굽힘, 휨 등의 변형으로부터 보호되고, 고정브라켓(10)이 측벽(5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며, 목재, 합성수지와 같은 비교적 강도가 약한 연질의 벽면에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적용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는, 일 측이 상기 고정브라켓(10)에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31)와; 일 측이 상기 화상기(20)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32)와; 상기 제1링크(31)와 제2링크(32) 사이를 접철 결합시키는 접철부(3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30)를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시킴으로써 화상기(20)가 측벽(50) 측으로 밀착되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기(20)를 시청시 거리 조정은 물론, 시청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위치에서 시청을 행할 수 있게 되며, 반사되는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화상기(20)의 내측으로 접철되도록 구성되어, 지지부(30)가 화상기(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화상기(20)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만약 지지부(30)가 접힌 상태에서 지지부(30)의 일부가 화상기(20)의 테두리 외부로 돌출되게 되면, 외관이 지저분하고 미려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30)는 제1링크(31)와 제2링크(32)가 접철될 때 화상기(20)의 테두리 내측으로 접철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30)가 접힌 상태에서 화상기(20)의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제1링크(31)와 제2링크(32)의 서로 맞닿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35)과; 상기 접철부(33)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35)에 걸려, 제1링크(31)와 제2링크(32)의 회전각을 제한시키는 스토퍼(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부(33)는 스토퍼(34)를 구비하고, 상기 제1링크(31)와 제2링크(32)에는 각각 걸림턱(35)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1링크(31)와 제2링크(32)는 접철부(3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회동되며, 제1링크(31)와 제2링크(32)는 각각 상기 고정브라켓(10)과 화상기(20)의 배면 측에 구비된 브라켓(22)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된다. 상기 접철부(33)는 제1링크(31)와 제2링크(32)가 맞닿는 경계에 돌출되어 연장 형성된 스토퍼(34)가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31)와 제2링크(32)가 맞닿는 각각의 단부는 소정의 두께만큼 인입되어 상기 스토퍼(34)에 걸리도록 걸림턱(35)이 형성된다.
한편, 접철부(33)에 연결된 제1링크(31)와 제2링크(32)는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접철부(33)의 양단부에 너트 형태의 이탈방지부재(36)를 체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부(30)는 스토퍼(34)와 걸림턱(35)을 추가로 구성시킴으로써, 제1링크(31)와 제2링크(32)가 서로 펼쳐져 수평(180°)을 이룬 상태에서 더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링크(31)와 제2링크(32)는 한 방향으로만 접철되는 구조가 됨에 따라, 지지부(30)는 화상기(20)의 테두리 내측으로만 접철되도록 방향이 한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화상기(2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대칭되게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부(30a)(30b)가 상기 화상기(20)의 배면 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지지점을 단일로 형성시키던 구조에 비해, 더 큰 화상기(20)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부 중앙과 하부 중앙에 위치되는 지지부(30a)(30b)는 지지부(30a)(30b)가 펼쳐진 상태에서 화상기(20)가 측벽(50)으로부터 최대로 인출된 상태가 됨에 따라, 사용자는 좌우로 비교적 큰 폭으로 회전되는 화상기(20)를 다양한 각도에서 모니터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상기 지지부(30a)(30b)는 화상기(2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에 대칭되게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미도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화 상기(20)의 각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c)(30d)(30e)(30f)가 상기 화상기(20)의 배면 각 모서리부에 결합된 브라켓(22)에 연결됨으로써, 기존의 지지점을 단일로 형성시키던 구조에 비해, 더욱 큰 하중에 견디기 적합한 구조가 된다. 한편, 각 모서리에 지지점을 형성시키는 구조는 상기에서 기술한 두 개의 지지점을 갖는 방식에 비해서도, 더 큰 화상기(20)의 하중을 견디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각 모서리에 연결되는 각각의 지지부(30c)(30d)(30e)(30f)는 대형화된 화상기(20)의 설치를 가능케 한다.
또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기(20)는 일 측에 위치한 지지부(30c)(30e)를 접철시키고 타 측에 위치한 지지부(30d)(30f)는 펼침으로써, 좌우로 회전되며 각도 조절이 가능케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걸이형 화상장치는 화상기를 측벽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적어도 두 개소 또는 네 개소에 복수로 형성시킴으로써, 대형 화상기의 하중을 각 지지부가 분산 지지하여 파손의 염려가 없고, 역학적인 측면에서 가장 경제적으로 높은 하중을 견디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며, 슬라이딩 도어 또는 붙박이장과 같은 목재,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질의 시설에서도 다양하게 적용가능하여 그 활용성이 증대된다. 또한, 지지부가 화상기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미관이 외려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슬라이딩 도어, 건물 내벽과 같은 시설의 벽에 체결되는 고정브라켓과;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기와;
    일 측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와, 일 측이 상기 화상기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 사이를 접철 결합시키는 접철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과 화상기 사이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화상기의 각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서로 맞닿는 부위에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에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상기 화상기의 내측으로만 접철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화상기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턱에 걸려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형 화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50944A 2007-05-25 2007-05-25 걸이형 화상장치 KR100842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944A KR100842939B1 (ko) 2007-05-25 2007-05-25 걸이형 화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944A KR100842939B1 (ko) 2007-05-25 2007-05-25 걸이형 화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939B1 true KR100842939B1 (ko) 2008-07-02

Family

ID=3982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944A KR100842939B1 (ko) 2007-05-25 2007-05-25 걸이형 화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9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043A (ko) * 2005-01-12 2005-09-01 최병기 평판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KR200397713Y1 (ko) * 2005-07-22 2005-10-06 목대관 각도 및 거리조절 기능을 갖는 벽걸이형 텔레비젼의고정장치
JP2006337431A (ja) 2005-05-31 2006-12-14 Orion Denki Kk 映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043A (ko) * 2005-01-12 2005-09-01 최병기 평판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JP2006337431A (ja) 2005-05-31 2006-12-14 Orion Denki Kk 映像表示装置
KR200397713Y1 (ko) * 2005-07-22 2005-10-06 목대관 각도 및 거리조절 기능을 갖는 벽걸이형 텔레비젼의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2662B1 (en) Stand for image display device
CA2497543C (en) Support for one or more flat panel displays
US7703736B2 (en) Stand for image display device
WO2020215290A1 (zh) 一种显示器安装装置
US20060291151A1 (en) Display device with a supporter
WO2007148963A3 (en) Fold-flat display unit
WO2014179172A1 (en) Foot support assembly for cantilevered touch screen
KR100842939B1 (ko) 걸이형 화상장치
KR100643914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구조
US202203279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transparent organic lighting diode (toled) display with transparency control medium and with a versatile mounting system
JP2006330463A (ja) 平面ディスプレイ取り付け装置
KR101581308B1 (ko) 벽걸이용 고정구
KR200465713Y1 (ko)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용 고정구
KR20040037618A (ko) 영상표시기기의 천정/벽걸이 장치
US20170127829A1 (en) System for a combination furniture and display unit
US20110012001A1 (en) Angle adjusting device for display
CN111010520A (zh) 一种折叠电视机
KR20090043287A (ko) 수납기능을 갖는 화상수신장치
KR20190090964A (ko) 디스플레이 패널 스탠드
KR100389167B1 (ko)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스
KR20000000827U (ko) 액정 모니터
KR200169261Y1 (ko) 자동진열대
SE535110C2 (sv) Bildskärmstativ
CN208367371U (zh) 显示装置及显示器件
GB2262790A (en) &#34;display device with frame insert&#3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